KR20000033350A -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350A
KR20000033350A KR1019980050190A KR19980050190A KR20000033350A KR 20000033350 A KR20000033350 A KR 20000033350A KR 1019980050190 A KR1019980050190 A KR 1019980050190A KR 19980050190 A KR19980050190 A KR 19980050190A KR 20000033350 A KR20000033350 A KR 2000003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gas
swirl
swirler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350B1 (ko
Inventor
김인규
김영수
김양호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350B1/ko
Priority to US09/447,048 priority patent/US6234785B1/en
Publication of KR2000003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2Structural details of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4Preventing flame lif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연소기의 버어너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버어너부를 구성하는 스월러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화염의 검지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드레프트 튜브(10)와, 상기 드레프트 튜브 내부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6)과 연결된 노즐(10)과, 상기 드레프트 튜브의 전면을 이루는 스월러판(100)과, 상기 스월러판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드레프트 튜브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 및 가스가 혼합되면서 연소실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스월깃(111)(121)이 경사진 상태로 각각 일체화된 다수의 슬릿공(110)(120)과, 그 끝단이 스월러판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연소실측의 연소 주반응대 영역에 위치되도록 돌출되어 화염을 측정하는 염검지봉(30)을 구비한 가스연소기의 버어너부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판에 형성된 각 슬릿공(110)(120)의 스월깃(111)(121)중 염검지봉이 위치된 연소 주반응대 영역내로 강한 강도의 화염을 분사하는 슬릿공(120)의 스월깃(121) 경사를 나머지 슬릿공(110)의 스월깃(111) 경사각도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강한 강도의 화염영역 전부분이 염검지봉의 측정영역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본 발명은 가스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화염을 염검지봉이 보다 정확히 측정해 낼 수 있도록 한 버어너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연소기는 연료인 가스(일반적으로 도시가스(LNG)를 주로 사용)를 연소시킴에 따라 얻어지는 연소열을 이용해 찬공기를 더운공기로 열교환시키면서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기기이다.
상기와 같은 가스연소기는 도시한 도 1 및 도 2 와 같이 본체(1)의 전면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는 기내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 내에는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실(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 내의 하부에는 송풍팬(5a)이 설치된 팬하우징(5)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내에는 공기와 가스를 혼합함과 함께 상기 혼합된 가스를 착화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어너부가 가스공급관(6)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의 상부측에는 상기 버어너부에 의해 연소된 가스가 이동하면서 본체내로 흡입된 찬공기를 그 연소열에 의해 더운공기로 열교환시켜 주는 열교환기(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는 본체 내부로 흡입된 찬공기를 연소열에 의해 더운공기로 열교환시키고 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가스배출관(8)이 연결되어 있고, 버어너부에는 상기 가스배출관과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로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공기공급팬을 구비한 공기공급관(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를 실내의 적소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난방모드를 선택하면, 먼저 공기공급관(9) 내에 설치된 공기공급팬(9a)이 콘트롤러(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신호를 받아 회전하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공기공급팬(9a)의 회전이 계속되는 동안 버어너부를 통해 연소실(4) 내로 들어간 다음 계속해서 열교환기(7)를 지나 가스배출관(8)을 통해 다시 실외로 빠져나가는 프리 퍼지 과정을 수분동안 수행한다.
상기에서 프리 퍼지 과정을 수분동안 수행하는 것은, 연소실(4) 내에 남아있는 잔존가스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켜 후술하는 작용에서 연료인 가스가 상기 연소실에서 초기 연소될 때 잔존가스에 의한 연소실의 폭발 위험성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리퍼지 과정이 수행되고 나면, 공기공급팬(9a)은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버어너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가스공급관(6)에 설치된 가스밸브(6a)가 콘트롤러(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신호를 받아 열리므로 연료인 가스가 상기 가스공급관을 통해 버어너부로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공기 및 가스는 버어너부에 의해 적절히 혼합된 상태로 점화되어 결국, 연소실(4) 내에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버어너부를 통해 연소실로 분사되는 혼합가스가 착화되면 연소가 행하여 지므로 연소열이 발생되고, 이 때 발생된 연소열은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연결된 열교환기(7)를 가열시킨 다음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된 가스배출관(8)을 통해 실외로 빠져나간다.
한편, 연료인 가스가 연소실(4)에서 연소될 때 본체(1) 내에 고정된 팬하우징(5) 내의 송풍팬(5a)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므로 송풍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흡입그릴(2)을 통해 본체(1) 내부로 흡입된 다음 송풍팬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 내의 상부로 이동하고, 이 이동하는 공기는 열교환기(7)를 지나면서 연소열에 의해 열교환되어 더운 공기로 바뀌어진 다음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토출그릴(3)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실내가 이 토출되는 더운 공기로 인해 난방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스연소기의 각 구성부분중 버어너부는 외부에서 공급된 연소공기와 가스를 서로 혼합하여 연소실로 분사하고, 이렇게 분사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되도록 불꽃을 점화시켜 주는등 중요한 역할을 행하게 된다.
이하, 상기 버어너부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버어너부는 크게 가스공급관(6)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분출시켜 주도록 복수개의 가스분출공(11)이 그 끝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노즐(10)과, 상기 노즐의 각 가스분출공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와 외부로 부터 유입된 공기를 서로 혼합한 후 상기와 같이 혼합된 가스를 연소실내로 안내하는 드레프트 튜브(draft tube)(20)와, 상기 노즐에 그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다른 일단이 상기 드레프트 튜브의 전면을 관통하여 연소실 내로 그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염검지봉(30) 및 점화플러그(4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드레프트 튜브(20)는 튜브몸체(21)와, 상기 튜브몸체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월러판(22)과, 상기 튜브몸체(21)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 및 상기 노즐의 각 가스분출공(11)을 통해 튜브몸체(21) 내부로 분출된 가스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써 연소실(4) 내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노즐의 각 가스분출공(11)에 대응하여 스월러판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공(23)과, 상기 연소실쪽에 위치한 스월러판(22)의 각 슬릿공(23)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스월깃(24)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스월깃은 각 슬릿공을 통해 토출되는 혼합가스(공기+가스)가 회전하면서 토출될 수 있도록 동일한 방향을 향함과 함께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는 토출되는 혼합가스가 회전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잘 되도록 하여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버어너부를 구성하는 드레프트 튜브(2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됨과 함께 가스공급관(6)으로부터 전달된 가스가 노즐(10)의 각 가스분출공(11)을 통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부 공기와 가스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써 스월러판(22)에 형성된 각 슬릿공(23)을 통해 연소실(4) 내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노즐의 각 가스분출공(11)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가 스월러판(22)에 형성된 각 슬릿공(23)으로 원활히 토출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스월러판에 형성된 각 슬릿공(23)이 위치한 방향이 상기 노즐에 형성된 각 가스분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토출범위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상기 각 가스분출공이 형성된 노즐(10)의 끝단이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가스분출공(11)이 향하는 방향이 각 슬릿공(23)이 위치된 방향에 대응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에서 혼합가스(공기+가스)가 연소실 내부로 토출될 수 있음은 공기공급관(9)내에 설치된 공기공급팬(9a)이 계속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외부공기를 버어너부로 토출시키고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같이 드레프트 튜브(20)의 각 슬릿공(23)을 통해 혼합가스가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혼합가스는 각 슬릿공(23)의 일측면(연소실의 내부에 위치한 면)에 형성된 각 스월깃(24)에 의해 그 토출방향이 안내된 상태로 연소실(4) 내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각 스월깃이 토출되는 혼합가스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이유는 기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와 가스의 혼합을 더욱 원활히 하도록 하여 강한 화염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혼합가스가 연소실(4) 내로 분사되면 노즐의 상부에 고정된 점화플러그(40)가 작동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연소실 내로 분사되는 혼합가스가 착화되어 연소된다.
이 때, 상기 점화플러그와 함께 노즐(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염감지봉(30)이 착화초기의 불꽃염을 감지하여 콘트롤러(도시는 생략함)에 입력하면 상기 콘트롤러는 입력된 염감지값과 기 입력된 염기준값을 비교하고, 이 비교상태에 이상이 없으면 혼합가스가 정상적으로 착화되었다고 판단하여 점화플러그(40)에 의한 더 이상의 불꽃발생을 중단시키도록 콘트롤러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염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염검지봉은 일반적으로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이용한 교류형 염검지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화염의 발생에 따른 염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화염의 생성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즉, 슬릿공(23)을 통과하면서 스월깃(24)에 의해 토출방향을 안내받는 혼합가스가 점화플러그(40)의 점화에 따라 불꽃을 발생하면서 계속적인 토출이 이루어질 때 염검지봉(30)이 상기와 같이 토출되는 혼합가스의 염전압을 측정하여 화염의 생성여부 및 운전중에 화염의 이상 여부 등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슬릿공(23)을 통과하는 혼합가스는 점화플러그(40)의 점화에 의해 불꽃 즉, 화염이 생성되면 그 화염은 공기와 가스를 혼합함과 함께 그 혼합가스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스월깃(24)에 의해 유동을 안내 받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생성된 화염은 일반적으로 그 중앙부분의 영역에서의 화염 강도가 극히 미약하다.
이에 따라 염검지봉(30)에 근접된 위치에 있는 슬릿공(이하, “제1슬릿공”이라 한다)(23a)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의 중앙부에 상기 염검지봉이 위치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화염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상기 제1슬릿공의 후방측 즉, 상기 제1슬릿공이 위치한 측을 향해 혼합가스(혹은 화염)를 토출하는 슬릿공(이하, “제2슬릿공”이라 한다)(23b)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도 4 에 도시한 화염 토출방향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슬릿공(23b)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중 그 화염강도가 가장 강한 부분(염 이온에 의한 염전압이 가장 많이 검출되는 영역, 도면상 “연소 주 반응영역”)이 염검지봉(30)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기 때문에 결국, 상기 염검지봉이 측정하게 되는 화염은 상기 제2슬릿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의 생성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염의 생성 여부를 검지하는 과정은 상당히 중요한 과정중의 하나로써 만일 그 결과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즉, 화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주위영향(염검지봉 주위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신호등)에 따라 화염이 생성된 것으로 간주하여 점화플러그의 점화를 중지하게 되면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써 계속하여 가스가 토출됨에 따라 결국, 사용자의 안전을 해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제2슬릿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의 토출방향이 상기 제2슬릿공의 스월깃 경사에 의해 염검지봉이 돌출된 높이보다도 더 높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염검지봉이 측정하게 되는 화염강도가 강한 영역의 화염중 일부만을 감지하는 구성을 이루게 되어 결국, 화염의 생성여부를 측정함에 있어서 그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염검지봉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혹은 염검지봉의 전체적인 높이를 보다 높게 형성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 역시 염검지봉이 비교적 고가의 제품임에 따라 그 비용상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었고, 또한 그 가공상의 복잡함 즉, 상기 염검지봉과 스월러판과의 결합 및 염검지봉의 형상가공의 어려움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에서 염검지봉의 전체적인 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오히려 외부 환경 즉, 노이즈신호등과 같은 오동작 요인을 더욱 많이 받게 됨에 따라 그 동작상의 신뢰성이 문제되었고, 상기와 같이 염검지봉이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오랜 사용으로 인한 변형 및 타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스연소기를 구성하는 버어너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화염의 검지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외형을 이루는 드레프트 튜브와, 상기 드레프트 튜브 내부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과 연결된 노즐과, 상기 드레프트 튜브의 전면을 이루는 스월러판과, 상기 스월러판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드레프트 튜브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 및 가스가 혼합되면서 연소실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스월깃이 경사진 상태로 각각 일체화된 다수의 슬릿공과, 그 끝단이 스월러판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연소실측의 연소 주반응대 영역에 위치되도록 돌출되어 화염을 측정하는 염검지봉을 구비한 가스연소기의 버어너부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판에 형성된 각 슬릿공의 스월깃중 염검지봉이 위치된 연소 주반응대 영역내로 강한 강도의 화염을 분사하는 슬릿공의 스월깃 경사를 나머지 슬릿공의 스월깃 경사각도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강한 강도의 화염영역 전부분이 염검지봉의 측정영역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가 제공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가스연소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가스연소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의 도 2 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4 는 종래 버어너부를 구성하는 드레프트 튜브를 전면에서 본 상태도
도 5 는 도 4 의 Ⅰ-Ⅰ선 단면도
도 6 은 종래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열방출비 및 과다공기비에 대한 염전압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를 전면에서 본 상태도
도 8 은 도 7 의 Ⅱ-Ⅱ선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열방출비 및 과다공기비에 대한 염전압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월러판 110. 슬릿공
111. 스월깃 120. 제1슬릿공
121. 제1스월깃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를 전면에서 본 상태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열방출비 및 과다공기비에 대한 염전압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발명의 구성중 일부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본 발명은 스월러판(100)에 형성된 각 슬릿공(110)(120)의 스월깃(111)(121)중 염검지봉(13)이 위치된 연소 주반응대 영역내로 강한 강도의 화염(염 이온에 의한 염전압이 가장 많이 검출되는 영역을 이루는 화염)이 형성되도록 스월러판에 형성된 각 스월깃중 하나를 상대적으로 경사각도 또는 그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스월깃중 염검지봉에 가장 근접한 스월깃 건너에 위치한 슬릿공(이하,“제1슬릿공”이라 한다)(120)의 스월깃(이하,“제1스월깃”이라 한다)(121) 경사를 나머지 슬릿공(110)의 스월깃(111) 경사각도보다 낮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 때, 상기와 같은 제1슬릿공(120)의 제1스월깃(121) 경사각도는 나머지 슬릿공(110)의 스월깃(111) 경사각도보다 20∼50% 정도 낮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중 종래 일반적인 작용과 동일한 부분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용만을 중점으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레프트 튜브(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가스가 각 슬릿공(110)(1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슬릿공에 일체화된 스월깃(111)(121)에 의해 혼합된 후 그 토출방향이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과정중에는 점화플러그(40)의 점화에 의해 불꽃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은 불꽃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슬릿공(110)(120)을 통과하는 혼합가스는 상기와 같은 혼합가스의 착화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화염중 제1스월깃(121)에 의해 그 토출방향을 안내받는 화염은 상기 제1스월깃의 경사에 따라 나머지 슬릿공(110)의 스월깃(111)에 의해 토출방향을 안내받는 화염보다 대체적으로 낮은 경사를 이루면서 염검지봉(30)이 위치된 연소 주반응대 영역내로 강한 강도의 화염(염 이온에 의한 염전압이 가장 많이 검출되는 영역을 이루는 화염)을 분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염검지봉(30)은 상기와 같이 화염내에 포함된 염전압을 측정한 후 그 측정된 값을 콘트롤러(도시는 생략함)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측정 염전압값과 상기 콘트롤러에 기 설정된 설정 염전압값을 서로 비교하여 화염의 발생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스월깃(121)의 경사가 나머지 스월깃(111)의 경사에 대해 20∼50% 정도 낮게 이루어진 이유는 만일 상기 제1스월깃의 경사가 나머지 스월깃 경사의 50% 정도보다 높게 형성되면 상기 제1스월깃에 의해 안내받는 강한 강도의 화염영역 전부분이 염검지봉(30)의 측정영역내에 위치하지 못하고 종래와 동일하게 그 일부가 벗어나게 되며, 또한, 상기 제1스월깃의 경사가 나머지 스월깃에 대해 20% 정도보다 더 낮을 경우에는 원활한 화염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상기와 같이 화염이 염검지봉의 측정영역대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월깃의 경사 각도는 나머지 스월깃의 경사 각도에 비해 20∼50% 정도의 범위만큼 낮게 하는 것이 좋으나,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제1스월깃의 경사 각도가 나머지 스월깃의 경사 각도에 비해 30% 정도만 낮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열 방출량이 크지 않더라도 염검지봉은 높은 전압대의 염전압을 감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염의 생성 유무를 정확히 측정해 낼 수 있다.
이는, 도시한 도 6 과 같이 종래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열방출비 및 과다공기비에 대한 염전압의 크기와, 도시한 도 9 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에서의 열방출비 및 과다공기비에 대한 염전압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확연히 알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과도공기비가 낮고(대략 1배 정도) 열방출비가 높아야만이(17000kcal/h) 1.2(V)정도의 전압을 감지하게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은 구조에서는 과도공기비가 높고(대략 2배 정도) 열방출비가 낮아도(8000kcal/h) 1.4(V)정도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화염의 생성여부는 더욱 정확히, 보다 빠르게 측정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같이 제1스월깃(염검지봉에 가장 근접된 스월깃 건너의 스월깃)(121)의 경사각도 또는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하는 이유는 화염 구조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화염의 구조를 살펴 보면, 일반적으로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화염의 바깥부분은 붉은 색이고, 화염의 안쪽은 파란색 또는 하얀색에 가깝게 비추어진다.
이는 온도 및 에너지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인데, 상기 화염의 안쪽이 염검지봉과 접하게 된다면 염검지봉의 염검지는 매우 정확하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바로 이러한 점에 착안하였는데, 상기 제1스월깃의 경사각도를 낮게 형성하여 염검지봉(30)에 가장 근접한 스월깃(110)에 형성되는 불꽃을 제1스월깃(121)의 혼합가스 분출유동이 눌러주게 되어 상기 불꽃이 낮아지게 됨에 따라 화염의 안쪽이 염검지봉(30)의 하부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1스월깃에 형성되는 화염자체도 낮아지게 되어 결국, 상기 염검지봉의 상부측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염검지봉의 전체적으로 화염의 접촉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므로써, 정확한 염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제1스월깃만을 나머지 스월깃의 경사각도보다 낮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나머지 스월깃의 경사각도 역시 동시에 낮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전체적인 화염의 토출량이 줄어들게 되어 오히려 화염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으며, 연소효율도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하나의 슬릿공을 통한 토출량만을 적게 하여 즉, 제1스월깃의 경사각도만을 변형함에 따라 전체 화염의 토출량 변화가 거의 없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연소효율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연소기 버어너부를 구성하는 스월러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염검지봉이 더욱 정확히 화염의 생성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화염 생성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불필요한 점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염검지봉의 구성을 변형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가공성이 우수하고, 상기 염검지봉의 추가설치에 따른 비용증가의 부담이 없다.
셋째, 염검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형을 이루는 드레프트 튜브와, 상기 드레프트 튜브 내부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과 연결된 노즐과, 상기 드레프트 튜브의 전면을 이루는 스월러판과, 상기 스월러판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드레프트 튜브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 및 가스가 혼합되면서 연소실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스월깃이 경사진 상태로 각각 일체화된 다수의 슬릿공과, 그 끝단이 스월러판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연소실측의 연소 주반응대 영역에 위치되도록 돌출되어 화염을 측정하는 염검지봉을 구비한 가스연소기의 버어너부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판에 형성된 각 슬릿공의 스월깃중 염검지봉이 위치된 연소 주반응대 영역내로 강한 강도의 화염을 분사하는 슬릿공의 스월깃 경사를 나머지 슬릿공의 스월깃 경사각도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강한 강도의 화염영역 전부분이 염검지봉의 측정영역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월러판에 형성된 각 슬릿공의 스월깃중 염검지봉이 위치된 연소 주반응대 영역내로 강한 강도의 화염을 분사하는 슬릿공의 스월깃 경사를 나머지 슬릿공의 스월깃 경사각도보다 20∼50% 낮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각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한 스월깃은 염검지봉에 가장 근접한 스월깃 건너의 스월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KR1019980050190A 1998-11-23 1998-11-23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KR10028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190A KR100282350B1 (ko) 1998-11-23 1998-11-23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US09/447,048 US6234785B1 (en) 1998-11-23 1999-11-23 Swirler plate in gas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190A KR100282350B1 (ko) 1998-11-23 1998-11-23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350A true KR20000033350A (ko) 2000-06-15
KR100282350B1 KR100282350B1 (ko) 2001-02-15

Family

ID=1955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190A KR100282350B1 (ko) 1998-11-23 1998-11-23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5003A (zh) * 2017-10-25 2018-02-02 滁州蓝擎装备有限公司 一种旋流微混合燃烧机及燃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5003A (zh) * 2017-10-25 2018-02-02 滁州蓝擎装备有限公司 一种旋流微混合燃烧机及燃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350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774B1 (ko) 노즐 및 가스 터빈 연소기, 가스 터빈
JP4346724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用燃焼装置
KR0149059B1 (ko) 가스터빈연소기
JP2544470B2 (ja) ガスタ―ビン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2528894B2 (ja) ガスタ―ビン燃焼器
JPH0828874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US6024083A (en) Radiant tube burner nozzle
US6186775B1 (en) Burner for operating a heat generator
JP3886653B2 (ja) バーナ用点火トーチ
KR100282350B1 (ko)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구조
KR100937409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20050020553A (ko) 가스버너
KR100282349B1 (ko)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
KR100282355B1 (ko) 가스연소기 드레프트 튜브의 연소 안정화 구조
KR200212864Y1 (ko)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
US6234785B1 (en) Swirler plate in gas burner
CN217004456U (zh) 点火器喷嘴装置
KR20000017154U (ko)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
KR0132199Y1 (ko) 온풍난방기의 연소장치
JP3272447B2 (ja) ガス燃料用バーナ
CN219222865U (zh) 旋流式燃烧头、燃烧器和燃气热水器
KR100290849B1 (ko) 가스온풍기
JP3891112B2 (ja) 二段燃焼装置
KR0179140B1 (ko) 냉온풍기 온풍시스템의 연소장치
JPH08233226A (ja) 予混合式ガスバーナおよびその着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