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344A - Transmitting system - Google Patents

Transmit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344A
KR20000033344A KR1019980050184A KR19980050184A KR20000033344A KR 20000033344 A KR20000033344 A KR 20000033344A KR 1019980050184 A KR1019980050184 A KR 1019980050184A KR 19980050184 A KR19980050184 A KR 19980050184A KR 20000033344 A KR20000033344 A KR 20000033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r frame
power supply
solenoid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12770B1 (en
Inventor
황지현
김윤현
황상연
황현주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8005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770B1/en
Publication of KR2000003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3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7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PURPOSE: A transmitting system is provided to operate plural caps on plural hoist ways and to stably and efficiently accomplis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ps. CONSTITUTION: A cap is ascended up to the highest end of a first hoist way (11A) by the rise of a first car frame(11B)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rope caused by an elevation driving device. Next, the ascended cap is moved to a second car frame(12B)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of a second hoist way and is ascended up to the highest end of the second hoist way by the rise of the second car frame caused by movement of the rope by the elevation driving device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ist way. Then the ascended cap is moved to a third hoist way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of the third hoist way and is ascended to the highest end of the third hoist way by the rise of a third car frame(13A) caused by movement of the rope by the driving device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hoist way. Herein, the cap is also moved to a fourth car frame(14B) of a fourth hoist way (14A) through a horizontal movement passage(13) on the upper side of an elevation passage unit(10) and is descended to the lowest end of the fourth hoist way by movement of the rope caused by the elevation driving device of the fourth hoist way. Thereby, this process is continuously circulated.

Description

운송시스템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빌딩내 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고층 혹은 최대규모 빌딩 내에서의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하도록 한 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ation system in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portation system that enables efficient transportation in a skyscraper or a largest building.

현재 건물 내의 수직 운송시스템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로프식 엘리베이터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을 태우고 소정의 층에 하차시키기 위한 박스형태의 카(1)와, 상기 카(1)가 승강하는 공간인 승강로(2)와, 카(1)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머시인(Traction machine)(3)과, 상기 트랙션 머시인(3)과 각종 제어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등이 위치하는 기계실(4)과, 카(1)와 트랙션 머시인(3) 그리고 카운터 웨이트(5)를 연결하는 로프(6)와, 최악의 비상시 카(1)의 추락에 의한 충격 완화로 카(1) 내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승강로(2) 하부의 완충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The mainstream of the vertical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current building is a rope type elevator, which is a box-shaped car 1 for picking up passengers and getting off a predetermined floor as shown in FIG. The machine room in which the hoistway 2, which is the space for elevating, the traction machine 3 for elevating the car 1, the traction machine 3, various controllers, power supplies, and the like are located. (4), the rope (6) connecting the car (1), the traction machine (3) and the counterweight (5), and the shock relief caused by the fall of the car (1) in the worst case emergency. It consists of a shock absorber 7 under the hoistway 2 for protecting passengers.

한편, 현대 건축의 뚜렷한 특징은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초 고층화와 초 대규모화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도 세계 주요 도시에는 주거와 사무 그리고 레저, 쇼핑을 한 건물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주상 복합 기능을 갖는 건물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도 2는 세계에서 5번째로 높은 초 고층 건물인 뉴욕 타워의 엘리베이터 운송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이 초 고층 건물의 엘리베이터 운송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3개의 스테이지(Stage)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전 층을 3등분하여 스테이지별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최상층까지 한 번에 운행하는 익스프레스 셔틀(Express shuttle) 개념의 A1엘리베이터와, 스테이지1에서 스테이지2까지 운행하는 A3엘리베이터와, 스테이지1 내의 층 구간을 운행하는 A2,A4,A5엘리베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스테이지2 내의 층 구간을 운행하는 B1,B2,B3엘리베이터와, 스테이지3 내의 층 구간을 운행하는 C1,C2엘리베이터로 구성되어 운용된다. 이러한 초 고층 건물의 승강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첩식 승강로로 되어 있고, 각각의 승강로 상에서의 카 운행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프식 엘리베이터 방식으로 운행되는 것으로, 카는 승객이 직접 탑승하는 박스형태의 캡(CAB)과 상기 캡을 지지하는 카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는 제1승강로(1A) 및 제2승강로(1B)와 제3승강로(1C)가 서로 연이어 통하게 중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1A)(1B)(1C) 내부에는 캡(C)이 탑재되는 카프레임(2A)(2B)(2C)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프레임(2A)(2B)(2C)은 각 승강로(1A)(1B)(1C)의 상부측 기계실(3A)(3B)(3C)에 설치된 트랙션머시인(4A)(4B)(4C)에 의한 로프(5A)(5B)(5C) 전동에 의해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승강로(1A)(1B)(1C)의 중첩부에는 일측 카프레임 상에 탑재된 캡(C)을 타측 카프레임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캡수평이동장치(6)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캡수평이동장치(6)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도 4는 푸쉬 방식에 의한 캡 이송장치를 보인 것이고, 도 5는 랙-피니언 방식에 의한 캡 이송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 방식에 의한 캡 이송장치는 모터(미도시됨)로 구동되는 스크류(7)에 의해 작동되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7)는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7)가 전진하면 제1승강로(1A)의 카프레임(2A) 상에 탑재된 캡(C)을 제2승강로(1B)의 카프레임(2B) 상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고, 스크류(7)의 후퇴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랙-피니언 방식에 의한 캡 이송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C)이 탑재된 제1승강로(1A) 상의 카프레임(2A)이 상기 제1승강로(1A) 측에 고정되고, 이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카프레임(2A)의 하부측 피니언(8A)(8B)이 모터(미도시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8A)(8B)과 맞물린 캡(C) 하부측의 랙(8)을 제2승강로(1B) 상의 카프레임(2B)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캡(C)은 상기 제2승강로(1B)의 카프레임(2B) 상으로 이동하게 되고, 캡(C)이 1/2 정도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승강로(1B) 측의 카프레임(2B) 상의 피니언(8C)(8D)도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어 캡(C)을 완전히 상기 제2승강로(1B) 측의 카프레임(2B) 상으로 이동 및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9는, 카프레임 고정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tinctive feature of modern architecture is that it is aiming for ultra high-rise and ultra-large scale for efficient use of space. Even today,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are building buildings with multi-functional complexes that can solve residential, office, leisure, and shopping in one building. Figure 2 shows the elevator transport system of the New York Tower, the world's fifth tallest building, the elevator transport system of the skyscraper is composed of an elevator system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1, Figure 2 As shown in Figure 3, it is composed of three stages. The elevator system is operated by stages by dividing the whole floor of the building into three parts. It consists of an A1 elevator with the concept of an express shuttle that runs to the top floor at once, an A3 elevator that runs from stage 1 to stage 2, and an A2, A4 and A5 elevator that runs on the floor section within stage 1. It is composed of B1, B2, B3 elevators that operate the floor section in stage 2, and C1, C2 elevators that operate the floor section in Stage 3. The hoistway of such a high-rise building is an overlapping hoistway as shown in FIG. 3, and the car driving method on each hoistway is operated by a rope-type elevator method as shown in FIG. 1. It includes a box-shaped cap (CAB) that directly rides and a car frame supporting the cap.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hoistway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hoistway 1A, the second hoistway 1B, and the third hoistway 1C with each other. In addition, car frames 2A, 2B and 2C on which the caps C are mounted are provided in the hoistways 1A, 1B and 1C, respectively, and the car frames 2A, 2B and 2C. The rope 5A, 5B, 5C by the traction machine 4A, 4B, 4C provided in the upper side machine room 3A, 3B, 3C of each hoistway 1A, 1B, 1C. It is configured to be elevated by electric. In addition, at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hoistways 1A, 1B, and 1C, a cap horizontal shifting device 6 capable of moving the cap C mounted on one car frame onto the other car frame is provided.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6 is made in the manner as shown in FIG. 4 or FIG. 5. That is, FIG. 4 shows a cap conveying apparatus by a push method, and FIG. 5 shows a cap conveying apparatus by a rack-pinion method. As shown therein, the cap conveying apparatus by a push method is a motor (not shown). Driven by a screw (7), which is configured to advance or retrac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 That is, when the screw 7 moves forwar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the cap C mounted on the car frame 2A of the first hoistway 1A is pushed onto the car frame 2B of the second hoistway 1B. It is configured to be mov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traction of the screw (7). And in the cap-pinion device of the rack-pinion method, as shown in FIG. 5, the car frame 2A on the first hoistway 1A on which the cap C is mounted is fixed to the first hoistway 1A side, When the fixing is released, the lower pinion 8A, 8B of the car frame 2A is driven by a motor (not shown), and the lower side of the cap C engaged with the pinion 8A, 8B. The rack 8 is moved to the side of the car frame 2B on the second hoistway 1B. Accordingly, the cap C moves on the car frame 2B of the second hoistway 1B, and when the cap C moves about 1/2, the car on the side of the second hoistway 1B is moved. The pinions 8C and 8D on the frame 2B are also driven by a motor to completely move and position the cap C onto the car frame 2B on the side of the second hoistway 1B.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car frame fixing device.

그러나 이러한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점차 1000m 이상으로 초고층화되어 가는 초 대규모의 건물에 있어서는 적합하지 않다. 그것은 승강행정이 증가되면, 즉 건물의 높이가 커질수록 총 현수 하중에서 로프가 차지하는 중량의 비율이 크게 되고, 로프의 파단강도의 10배 이상의 안전율을 정한 법규를 만족시키려면 현행 구조 및 재료의 로프를 사용하는 한에는 행정이 700~800m 정도가 실용적인 한계가 된다. 또한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구조상 하나의 승강로에 1대의 카 밖에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건물 총수에 비례하여 엘리베이터의 설치 대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결국 초고층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 코어 면적이 건물 전체의 수평 투영 바닥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초과하는 것이 예측되어 대단히 비경제적인 건물이 되는 것이다.However, these rope elevators are not suitable for very large buildings, which are gradually getting higher and higher than 1000m. That is, as the lifting stroke increases, that is, the greater the height of the building, the greater the weight of the rope's weight in the total suspension load, and the higher the rope's current structure and material in order to satisfy the legislation that defines a safety factor of 10 times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rope. As long as you use, the practical limit is about 700 ~ 800m of stroke. In addition, rope-type elevators can only operate one car on one hoistway,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levators installed in proportion to the total number of buildings in order to reduce waiting time for elevators. As a result, in high-rise buil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elevator core area occupies more than 50% of the horizontal projection floor area of the entire building, making the building extremely uneconomical.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에서와 같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주식의 리니어 모터 구동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기존의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순환식 카 운행과 한 승강로 안에서 다수의 카 운행이 가능하여 건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장점에 도 불구하고 전력소비의 과다와 안전성 및 효율 등의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실용상 한계에 직면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실용화시키기 위해서는 관련기술, 특히 고효율 리니어 모터 제작 기술의 획기적인 진보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인 진보는 가까운 장래에는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이 관련 기술 분야에 관계된 사람들의 일반적인 견해이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rope type elevator as described above, expectations are increasing for the ropeless elevator driven by a self-propelled linear motor. The ropeless elevator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rope-type elevator,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building space because a plurality of car operations are possible in a circular car operation and one hoistway. However, in spite of the above advantages, not only are they confronted practically practical limitations in terms of excessive power consumption, safety and efficiency, but also in order to make them practical, significant advances in related technologies, in particular, high efficiency linear motor manufacturing technology. Is needed. It is also the general view of those involved in the technical field that such technological advances are unlikely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대규모화된 건물이 갖는 공통된 문제는 건물 내의 운송시스템이다. 현재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초고층화되는 건물 내의 운송시스템으로는 많은 한계를 갖는 운송시스템으로서, 초고층화 혹은 대 규모화된 건물내 운송에서의 딜레마는 건물내 운송시스템이 건물의 코어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운송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고층(Upper floor)으로 이동은 저층(Lower floor)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장 간단히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한 한 많은 다수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설치하면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물 내에서 운송시스템이 차지하는 코어 면적을 확대하여 공간의 효율적 이용 측면에서 불리하다. 도로의 러시 아워와 같이 건물 내에서도 특정시간, 즉 출퇴근 또는 점심시간 등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용객이 폭주한다. 이러한 혼잡 시간(Peak time)에서 운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더블 데크(Double deck) 혹은 멀티 데크(Multi-deck)방식으로 한 승강로에서 한 번에 가능한 많은 인원을 운송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이 방법은 대규모의 운송 효과는 있으나 초고층 구조의 건물 내 운송에서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외에 운송 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양면 개폐도어(Double side open door) 구조의 카를 채용하여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킴으로 해서 운송 효율을 높이는 방법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점차 초 고층화 및 대규모화되는 건물 내의 운송 시스템은 건물내의 생활 비중이 점점 많아지는 추세에서 매우 중요한 해결과제가 된다.On the other hand, a common problem with large-scale buildings as described above is th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building. The current rope elevator is a transportation system that has many limitations in the transportation system of a high-rise building, and the dilemma in the transportation of a high-rise or large-scale building is that the intra-building transportation system does not increase the core area of the building. It is to increase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Generally, the movement to the upper floor is through the lower floor. The simplest thing to think about in terms of transportation efficiency is to install as many elevator lifts as possible. However, this method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fficient use of space by expanding the core area occupied by th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building as mentioned above. Like the rush hour on the road, the elevators runaway during certain hours, ie commute or lunch. In order to increase transportation efficiency at such a peak time, a double deck or multi-deck method of transporting as many people as possible in one hoistway at a time is also used. This method has a large transportation effect, but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the transportation of high-rise buildings. In addition, 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by shortening the time of getting on and off by adopting a double side open door car.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building which is getting higher and larger in size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problem in the trend of increasing the share of living in the building.

상기한 바와 같이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초고층 및 대규모 건물의 운송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승강로는 구비되어 있으나 다수의 캡을 운용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운송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일단 다른 카프레임으로 캡을 인계한 후에는 다시 상기 캡이 돌이올 때까지 대기해야만 되므로 그 대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승객은 고층으로 올라간 엘리베이터를 지루하게 저층에서 오랜시간 동안 기다려만 되므로 시간낭비는 물론 사용의 불편성 및 운용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을 다른 카프레임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방식, 즉 캡 푸쉬방식은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2개 모터의 동기 구동에 정밀한 제어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 장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하므로 공간활용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함께 상기 캡 푸쉬방식은 스크류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어 캡을 정확하게 카프레임 상에 위치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신뢰성 및 성능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으면 캡이 이동중에 턱에 걸려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릴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연결부재와 카프레임 간의 높이차로 인해 캡이 덜컹거리는 노이즈로 인해 탑승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랙-피니언을 이용한 또 다른 캡 수평이동방식은 캡 측에 설치된 랙과 카프레임 고정장치, 카프레임 간의 정확한 정렬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피니언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카프레임 상에 설치되어야만 되므로 캡의 이송속도 고속화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승강로 상에서 다수의 캡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캡의 수평이동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ation system of a high-rise and large-scale building using a rope-type elev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istways as shown in Figs. In addition, once the cap is turned over to another car frame, the waiting time is increased because the cap has to wait again, and passengers have to wait for a long time at the low floor, boring the elevator to go upstairs. Of course,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in use and inefficiency in operation. In addition, the method used to move the cab to another car frame, ie the cap push method, requires precise control for the synchronous drive of the two motors that drive the screw and also requires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for the device. There was a problem causing inefficiency of utilization. In addition, the cap push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cap accurately on the car frame due to the long length of the screw,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reliability and performance. In addition, if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car frame is not inserted correctly, the cap is caught in the jaw while moving, and the motor driving the screw is not only overloaded, but also the rattling noise is caus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ar frame. Due to the problem of creating anxiety of boarding. In addition, the cab horizontal movement using the rack-pinion requires precise alignment between the rack, the car frame fixing device and the car frame installed on the cab side, and a separate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pinion must be installed on the car fra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p is not suitable for speeding up the feed.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 plurality of caps to be operated on a plurality of hoistways, so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ps can be mad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도 1은 일반적인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rope elevator.

도 2는 도 1에 의한 초고층 빌딩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례를 보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vator system of the skyscraper according to FIG.

도 3은 종래의 승강로 중첩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istway elevator system.

도 4는 푸쉬방식에 의한 도 3의 캡수평이동장치를 보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of Figure 3 by a push method.

도 5는 랙-피니언방식에 의한 도 3의 캡수평이동장치를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of Figure 3 by a rack-pinion method.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운송시스템의 전체 구성도.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por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7b,7c는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방법을 보인 것으로,Figure 7a, 7b, 7c shows the cap horizontal mov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사시도.7A is a perspective view.

도 7b는 측면도.7B is a side view.

도 7b는 평면도.7B is a plan view.

도 8a,도 8b,도 8c는 본 발명의 카 구조를 보인 것으로,Figure 8a, 8b, 8c shows the c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사시도.8A is a perspective view.

도 8b는 측면도.8B is a side view.

도 8c는 정면도.8C is a front view.

도 9는 본 발명의 카프레임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fram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도 10b는 도 9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10A and 10B illustrate an operating state of FIG. 9.

도 10a는 펼침상태도.Figure 10a is an expanded state.

도 10b는 접힘상태도.Figure 10b is a folded state.

도 11a,도 11b는 본 발명의 연결레일 및 이의 구동수단을 보인 것으로,Figure 11a, 11b shows the connection rail and the driving mean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작동전의 상태도.11A is a state diagram before operation.

도 11b는 작동시의 상태도.11B is a state diagram at the time of oper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장치를 보인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p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휠고정장치를 보인 정면도.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도 14b는 도 13의 내부 구조 및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Figure 14a, 14b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operating state of Figure 13,

도 14a는 작동전의 상태도.14A is a state diagram before operation.

도 14b는 작동시의 상태도.14B is a state diagram at the time of operation.

도 15a,도 15b는 본 발명의 캡로케이션장치를 보인 것으로,15A and 15B show the cap lo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는 작동시의 상태도.15A is a state diagram at the time of operation.

도 15b는 작동전의 상태도.15B is a state diagram before operation.

도 16a,도 16b,도 16c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를 보인 것으로,Figure 16a, 16b, 16c shows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는 측면도.16A is a side view.

도 16b는 단면도.16B is a sectional view.

도 16c는 전원공급 계통도.16C is a power supply system diagram.

도 17a 내지 도 17i는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과정을 보인 작동예시도.Figures 17a to 17i is an operational example showing the cap horizontal movemen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블록도.18 is a block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cap horizontal movemen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내지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19 to 2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운송시스템의 전체 구성도.19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por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수평이동통로의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movement pass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유지보수 공간을 보인 보인 단면도.Figure 2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tenanc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a 내지 도 22j는 수직-수평 절환과정을 보인 작동예시도.22A to 22J are operational examples showing a vertical-horizontal switching process.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캡 이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블록도.Figure 23 is a block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cap mov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너 트랜싯 시스템을 보인 전체 구성도.2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an inner trans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카 C:캡1: Car C: Cap

10,100:승강통로부 11,110:상승전용승강로10,100: lifting passage part 11,110: ascent only

11A,12A,13A,14A,15A,16A,111,112,113,114,115,116:제1,2,3,4,5,6승강로11A, 12A, 13A, 14A, 15A, 16A, 111, 112, 113, 114, 115, 116: First, 2, 3, 4, 5, 6

11B,12B,13B,14B,15B,16B,111A,112A,113A,114A,115A,116A:제1,2,3,4,5,6카프레임11B, 12B, 13B, 14B, 15B, 16B, 111A, 112A, 113A, 114A, 115A, 116A: 1, 2, 3, 4, 5, 6 car frame

12,120:하강전용승강로 13,14,130.130A:수평이동통로12,120: descending hoist 13,14,130.130A: horizontal movement passage

20:카프레임지지장치 21,34,41,51:솔레노이드20: Car frame support device 21, 34, 41, 51: Solenoid

21A,34A,41A,51A:마그네틱코일 21B,34B,41B,51B:플런저21 A, 34 A, 41 A, 51 A: Magnetic coil 21 B, 34 B, 41 B, 51 B: Plunger

21C,34C,41C,51C,66:스프링 22,23:지지대21C, 34C, 41C, 51C, 66: Spring 22,23: Support

24:힌지 25,25A:링크부재24: hinge 25, 25A: link member

26,26A:스트레인 게이지 30:캡수평이동장치26, 26A: Strain gauge 30: Cap horizontal shifter

31,140:가이드레일 31A:고정홈31,140: Guide rail 31A: Fixed groove

32:연결레일 33:연결레일 구동수단32: connecting rail 33: connecting rail drive means

35:구동휠 35A:구동모터35: Drive wheel 35A: Drive motor

35B:구동축 36:가이드휠35B: Drive shaft 36: Guide wheel

36A:회전축 40:휠고정장치36A: rotating shaft 40: wheel lock

41D:플런저핀 42:휠스토퍼41D: Plunger Pin 42: Wheel Stopper

43:스프링지지대 50:캡로케이션장치43: spring support 50: cap location device

52:장착홈 53:접점스위치52: Mounting groove 53: Contact switch

60,150:전원공급장치 61,151:가이드덕트60,150: Power supply 61,151: Guide duct

61A:전원공급 플레이트 62:카전원공급라인61A: Power supply plate 62: Car power supply line

63,63A,152:집전자 63B:전극63, 63A, 152: current collector 63B: electrode

64:캡측전원공급라인 65:가이드롤러64: Cap side power supply line 65: Guide roller

130B:통로 160,161:빌딩A,B130B: Passage 160,161: Building A, B

162:지상연결통로 163:지하연결통로162: ground connection passage 163: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164:수직연결통로 165:대중교통수단164: vertical connecting passage 165: public transportation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캡이 탑재되는 카프레임 및 상기 카프레임을 로프 전동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갖는 다수의 승강로를 중첩시켜 상기 캡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통로부와; 상기 승강통로부의 각 승강로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로 상의 각 카프레임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카프레임 지지장치와; 상기 카프레임 상의 캡을 인접한 승강로 상의 카프레임 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캡수평이동장치와; 상기 캡의 위치를 위치를 감지하는 캡로케이션장치와; 상기 카프레임 및 캡수평이동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캡은 승강로 또는 카프레임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N-2개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통로부는 다수의 승강로를 연이어 통하도록 중첩시켜 상승전용승강로와 하강전용승강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승전용승강로와 하강전용승강로 사이의 상.하부측에는 수평이동통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프레임지지장치는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흡인시키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와; 힌지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를 펼침상태로 동작시키고,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지지대를 상시 접힘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와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카프레임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스트레인 게이지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수평이동장치는 각각의 카프레임 측면부에 동일 높이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레일 및 이의 구동수단과; 상기 연결레일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캡의 양측면부에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접촉운동을 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의 하부측 캡의 측면부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휠과 함께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접촉운동을 하면서 가이드레일에 대한 구동휠의 구름접촉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레일 구동수단은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전진시키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로서,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 연결레일을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어 구동휠 및 가이드휠의 구름운동을 저지시키는 휠고정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고정장치는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흡인하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카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하부측에 각각 위치되는 휠스토퍼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휠 및 가이드휠을 간섭하여 고정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와 휠스토퍼를 연결 및 지지하는 스토퍼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로케이션장치는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전진시키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캡의 밑면부에 수개 형성된 장착홈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플런저의 가압으로 동작되는 접점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카프레임의 상부측에 직각되게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카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된 수개의 전원공급 플레이트가 구비된 가이드덕트와; 캡의 상단부 전.후방측에 간격을 두고 일체로 설치되고, 캡측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된 전극을 상시 가이드덕트 내부의 전원공급플레이트에 슬라이드되게 접촉시킨 집전자와; 상기 집전자의 전극을 상기 전원공급플레이트에 지속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덕트 상의 집전자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이동통로는 거리가 긴 구간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캡수평이동장치의 가이드레일 및 거리에 상응하는 또다른 가이드레일과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assage portion for superimposing a plurality of elevating paths having a car frame on which the cap is mounted and an elevating driving device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car frame by rope transmission; ; A car frame support device installed between each hoistway of the hoistway part to support a lower side of each carframe on the hoistway; A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ap on the car frame to the side of the car frame on an adjacent hoistway; A cap location device for detecting a location of the cap; A transportation system is provided, comprising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r frame and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and for communication. The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N-2, when the number of the hoistway or car frame N. The elevating passage portion overlaps a plurality of elevating passages in series so as to form an ascent-only elevation and an ascent-only elevation, and form a horizontal movement passag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between the elevation-only elevation and the elevation-only elevation. The car frame support apparatus includes: a solenoid which sucks the plunger due to a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returns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A pair of support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A link member interconnecting the plunger and the support of the solenoid so as to operate the support in an extended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and to maintain the support in a normally folded state when the solenoid is not ope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installed on the support consists of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of the car frame. The sens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n gauge.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includes a guide rail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same height in each side of the car frame; A connecting rail and a driving means thereof connecting the guide rails of the car frame to each other; A driving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p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rails to drive shaft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s to perform rolling contact motion along the guide rails of the car frame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s; The guide wheel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side cap of the driving wheel and guides the rolling contact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relative to the guide rail while rolling contact movement along the guide rail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 do. The connecting rail driving means is a solenoid for advancing the plunger by a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repositioning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rail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wheel fixing device installed on the guide rail to block the rolling motion of the drive wheel and the guide wheel. The wheel fixing device includes: a solenoid which sucks the plunger due to the magnetic field change by the power supply, and returns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Wheel stoppers respectively position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rail of the car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support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lunger and the wheel stopper of the solenoid to be fixed or released by interference with the driv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The cap location device includes: a solenoid for advancing the plunger by a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for repositioning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switch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cap is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plunger by the solenoid operation. The power supply device is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side of the car frame, the guide duct ha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plates connected to the car power supply line therein; A current collector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ap, and which has an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p side power supply line so as to slide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plate in the guide duct at all times;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electrode of the current collecto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urrent collector on the guide duct. The horizontal moving passage is formed of a long distance, and the in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ail and the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and the distance of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운송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7a,7b,7c는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방법을 보인 것이고, 도 8a,도 8b,도 8c는 본 발명의 카 구조를 보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카프레임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0a,도 10b는 도 9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11a,도 11b는 본 발명의 연결레일 및 이의 구동수단을 보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휠고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4a,도 14b는 도 13의 내부 구조 및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5a,도 15b는 본 발명의 캡로케이션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16a,도 16b,도 16c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를 보인 것이고, 도 17a 내지 도 17i는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과정을 보인 작동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캡수평이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순환형태의 승강통로부(10)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통로부(10)는 상승전용승강로(11) 및 하강전용승강로(12)로 구성되고, 상기 상승전용승강로(11)와 하강전용승강로(12)의 사이는 상.하부측 수평이동통로(13)(14)에 의해서 서로 연이어 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승전용승강로(11) 및 하강전용승강로(12)는 다수의 승강로(11A)(12A)(13A)(14A)(15A)(16A)를 중첩시켜 형성하고, 상기 승강로(11A)(12A)(13A)(14A)(15A)(16A) 상에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같이 각각 카프레임 (11B)(12B)(13B)(14B)(15B)(16B) 및 상기 카프레임 (11B)(12B)(13B)(14B) (15B)(16B)을 로프 전동으로 승강로 (11A)(12A)(13A)(14A)(15A)(16A) 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미도시됨)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승강로(11A) (12A) (13A) (14A)(15A)(16A) 상에는 승객이 직접 탑승하는 박스형태의 캡(C)이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상에 탑재되는데, 이때 상기 캡(C)은 승강로(11A)(12A)(13A)(14A)(15A)(16A) 또는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N-2개가 구비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로(11A)(12A)(13A)(14A)(15A)(16A) 또는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개수가 6개일 때, 4개의 캡(C)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각의 승강로(11A)(12A)(13A)(14A)(15A)(16A) 상에 구비된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간에 캡(C)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도 7 내지 도 18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수평 이동장치는 캡(C)이 탑재되고, 승강구동장치(미도시됨)에 의한 로프 전동으로 승강되는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양측면부에 각각 횡방향의 동일 높이로 가이드레일(31)이 설치된다. 또한 승강로(11A)(12A)(13A)(14A)(15A)(16A)의 각 중첩부분과 승강통로부(10)의 상.하부측 수평이동통로(13)(14)에는 인접한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간의 가이드레일(31) 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해서 연결레일(32) 및 이의 구동수단(3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레일 구동수단(33)은 승강로(11A)(12A)(13A)(14A)(15A)(16A)의 측벽부에 매립되는 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34B)를 전진시키고, 내부의 스프링(34C)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34B)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34)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4)는 원통형의 마그네틱코일(34A) 안에 흡인된 플런저(34B)를 조합시킨 기구로서, 상기 플런저(34B)의 선단부에는 연결레일(32)이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1)의 양단부측 및 상기 연결레일(32)의 양단부측은 상호 결합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함께 각 승강로(11A)(12A)(13A)(14A)(15A)(16A)의 중첩부분 또는 상승전용승강로(11) 및 하강전용승강로(12) 사이의 상.하부측 수평이동통로(13)(14)에는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사이를 하부측에서 지지해주는 카프레임 지지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카프레임지지장치(20)은 도 9 및 도 10a,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4)로 상호 결합된 한 쌍의 지지대(22)(2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2)(23)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힌지(24)를 중심으로 접고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 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21B)를 흡인하고, 내부의 스프링(21C)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21B)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21)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1)는 원통형의 마그네틱코일(21A) 안에 흡인된 플런저(21B)를 조합시킨 기구로서, 솔레노이드(21)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22)(23)를 펼침상태로 동작시키거나 스프링(21C)의 복원력으로 다시 접힘상태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21)의 플런저(21B)와 지지대(22)(23) 사이는 링크부재(25)(25A)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2)(23)에는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26)(26A)가 장착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26)(26A)는 변형 게이지로서, 금속 또는 반도체의 저항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그 저항값이 변화하는 압력 저항 효과를 이용한 부품으로서,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이 접촉되면 그 변화된 저항값으로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접촉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캡(C)의 양측면부에는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1)을 따라 구름접촉운동을 하면서 이의 마찰력으로 상기 캡(C)을 자주적으로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간에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휠(35)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휠(35)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5A)와 연결된 구동축(35B)으로 캡(C)의 측벽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5A)의 구동력을 구동축(35B)으로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휠(35)의 하부측에는 가이드레일(31)에 대한 구동휠(35)의 구름접촉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가이드휠(36)이 마찬가지로 캡(C)의 측벽부에 회전축(36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된 캡(C)이 다시 그 전에 탑재되었던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31) 상에는 구동휠(35) 및 가이드휠(36)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휠고정장치(40)가 구비된다. 상기 휠고정장치(40)는 도 13 및 도 14a,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으로 플런저(41B)가 흡인되고, 내부의 스프링(41C)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41B)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41)가 상.하 한 쌍으로 동일 수직선 상에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41)의 상.하부측에는 휠스토퍼(42)가 구비되며, 상기 휠스토퍼(42)가 솔레노이드(41)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휠(35) 및 가이드휠(36)을 간섭하여 고정시키거나 상기 솔레노이드(41) 내부의 스프링(41C)에 의해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41)의 플런저(41B)와 휠스토퍼(42) 사이는 후향 절곡된 스토퍼지지대(43)로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41)는 내부에 마그네틱코일(41A)이 위치되고, 그 안에 흡인된 플런저(41B)를 조합시킨 기구로서, 상기 플런저(41B)의 배면에는 플런저(41D)이 일체로 구비되어 솔레노이드(41) 작동시 가이드레일(31)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홈(31A)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바닥부분 수개소에는 캡(C)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캡로케이션장치(50)가 구비된다. 상기 캡로케이션장치(50)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51B)를 전진시키고, 내부의 스프링(51C)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283)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51)로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51)의 위치와 상응하는 캡(C)의 밑면부 수개소에 형성된 장착홈(52) 내부에는 솔레노이드(51)의 작동에 의한 플런저(51B)의 가압으로 동작되는 접점스위치(53)가 설치된다. 그리고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상부측에는 캡(C)이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간을 이동하는 도중에도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6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60)는 도 6a,도 6b,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나팔관 형태로 된 길이가 긴 가이드덕트(61)가 직각을 이루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덕트(61) 내부에는 카전원공급라인(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개의 전원공급플레이트(61A)가 구비된다. 또한 캡(C)의 상단부 전.후방측에는 간격을 두고 집전자(63)(63A)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집전자(63)(63A)에는 캡측전원공급라인(64)으로 연결된 수개의 전극(63B)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시 전원공급플레이트(61A)와 슬라이드식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5는 가이드롤러이고, 66는 스프링이다.Figure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7b, 7c shows the cap horizontal mov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8b, 8c shows the c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fram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Figure 10b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FIG. In addition, Figure 11a, Figure 11b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ail and the dr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p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a Figure 14b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operating state of Figure 13, Figure 15a, Figure 15b shows the cap lo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16B, and 16C illustrate the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7A to 17I illustrate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the cap horizontal movemen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sequentially illustrates the cap horizontal movemen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block diagram,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lifting passage portion 10 of the vertical circulation form. The elevating passage part 10 is constituted by an elevated dedicated elevating passage 11 and a descending dedicated elevating passage 12, and between the elevated dedicated elevating passage 11 and the descending dedicated elevating passage 12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moving passages ( 13) 14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ascent-only hoistway 11 and the ascent-only hoistway 12 ar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hoistways 11A, 12A, 13A, 14A, 15A, 16A, and the hoistway 11A, 12A. On the 13A, 14A, 15A, 16A,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16B and the carframe 11B, 12B, respectively, as in a normal elevator system. Lifting and driving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for elevating (13B) (14B) (15B) (16B) on the hoist (11A) (12A) (13A) (14A) (15A) (16A) by rope transmission. . In addition, on the hoists 11A, 12A, 13A, 14A, 15A, and 16A, a box-shaped cap C, in which a passenger boards directly, is a car frame 11B, 12B, 13B, 14B. Mounted on (15B) 16B, the cap (C) is a hoist (11A) 12A (13A) 14A (15A) 16A or car frame (11B) 12B (13B) ( When the number of 14B) 15B and 16B is N, N-2 pieces are provided. That is, the number of hoist 11A, 12A, 13A, 14A, 15A, 16A or carframe 11B, 12B, 13B, 14B, 15B, 16B, as shown in FIG. When 6 is, four caps (C) are provi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car frame (11B) 12B (13B) 14B (15B) 16B provided on each hoistway (11A) 12A (13A) 14A (15A) 16A. An apparatus for moving the cap C is provid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8B. As shown therein,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is a car frame 11B, 12B, 13B, 14B, 15B on which a cap C is mounted and which is lifted by rope transmission by a lifting driving device (not shown). Guide rails 31 ar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spectively,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16B. In addition, each of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elevating passages 11A, 12A, 13A, 14A, 15A, and 16A an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moving passages 13 and 14 of the elevating passage portion 10 are adjacent car frames ( A connecting rail 32 and its driving means 33 ar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guide rails 31 between 11B) 12B, 13B, 14B, 15B, and 16B. The connecting rail driving means 33 is installed in a way that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elevating path (11A) 12A (13A) 14A (15A) 16A, as shown in Figure 11a and 11b. It consists of a solenoid 34 which advances the plunger 34B by the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positions the plunger 34B in place by the internal spring 34C. The solenoid 34 is a mechanism in which the plunger 34B sucked in the cylindrical magnetic coil 34A is combined, and the connecting rail 32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34B. And both ends of the guide rail 31 and th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ail 32 provided in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16B are formed in a wedge shape so that mutual coupling is made precisely. Is formed. At the same time,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movement passages 13 of the hoistways 11A, 12A, 13A, 14A, 15A, and 16A, or between the hoistway 11 and the hoistway 12, respectively. 14 is provided with a car frame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between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and 16B from the lower side. The car frame support device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s 22, 23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24, as shown in Figure 9 and 10a, 10b, the support 22 ( 23 is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about the hinge 24 by the drive means. The driving means is composed of a solenoid 21 which sucks the plunger 21B due to the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replaces the plunger 21B by the spring 21C inside. The solenoid 21 is a mechanism that combines the plunger 21B sucked into the cylindrical magnetic coil 21A. The solenoid 21 is operated by the solenoid 21 to operate in the unfolded state, or the spring 22 or 23 is opened. Between the plunger 21B and the supports 22 and 23 of the solenoid 21 are interconnected by the link members 25 and 25A to operate again in the folded state with the restoring force of 21C. In addition, as a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of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16B) on the support (22), (23), strain gauge (26) 26A is mounted. The strain gages 26 and 26A are strain gages, and are components using a pressure resistance effect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when a strain is applied to a resistor of a metal or a semiconductor, and the car frames 11B, 12B, 13B ( When the 14B), 15B, and 16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and 16B can be detected by the changed resistance value. And both sides of the cap (C) in the rolling contact motion along the guide rail 31 installed on the car frame (11B) 12B (13B) 14B (15B) 16B, the cap (C) by its frictional force ) Is independently provided with a drive wheel 35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16B. In addition, the driving wheel 35 is a drive shaft 35B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5A, as shown in FIG. 12,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cap C to dr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35A. The guide wheel 36 is similarly configured to guide the rolling contact movement of the drive wheel 35 relative to the guide rail 31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e wheel 35. It is provided rotatably with the rotating shaft 36A in the side wall part of (C). And a drive wheel on the guide rail 31 to prevent the horizontally moved cap C from moving back to the previously mounted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and 16B. Wheel fixing device 40 is provided to fix 35 and guide wheels 36. As shown in FIGS. 13, 14A, and 14B, the wheel fixing device 40 sucks the plunger 41B by the power supply, and replaces the solenoid that the plunger 41B is repositioned by the internal spring 41C. 41 is provid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a pair of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side of the solenoid 41 is provided with a wheel stopper 42, the wheel stopper 42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41 The plunger 41B and the wheel stopper 42 of the solenoid 41 can be fixed by interfering with the driving wheel 35 and the guide wheel 36 or released by the spring 41C inside the solenoid 41. ) Is connected to the rear bent stopper support 43. The solenoid 41 is a mechanism in which a magnetic coil 41A is positioned inside, and a plunger 41B sucked therein is combined. A plunger 41D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unger 41B so that the solenoid ( 41)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1A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31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cap location apparatus 50 which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p C is provided in several bottom parts of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and 16B.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cap location apparatus 50 advances the plunger 51B by the magnetic field change by the power supply, and replaces the plunger 283 by the internal spring 51C. It is composed of 51, the inside of the mounting groove 52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cap (C)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olenoid 51 by the pressure of the plunger 51B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51 An operating contact switch 53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16B, the cap C is between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16B. The power supply device 60 is installed in order to be continuously supplied power even while moving. As shown in FIGS. 6A, 6B, and 6C, the power supply device 60 is provided with a long guide duct 61 having a long en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at right angles, respectively, and inside the guide duct 61. There are several power supply plates 61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r power supply line 62. In addition, the collectors 63, 63A are integral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ap C at intervals, and the electrodes 63, 63A are connected to the cap side power supply line 64 by a plurality of electrodes. 63B is integrally provided and configured to slide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plate 61A at all times. Here, reference numeral 65 denotes a guide roller and 66 denotes a spring.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캡 수평 이동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캡(C)은 상승전용승강로(11)의 제1승강로(11A) 최하단에서 승객을 탑승시킨 뒤, 제1승강로(11A)의 상부측에 설치된 승강구동장치(미도시됨)의 로프 전동에 의한 제1카프레임(11B)의 상승에 의해서 제1승강로(11A)의 최상단까지 상승한다. 제1승강로(11A)의 최상단까지 상승한 캡(C)은 다시 인접한 제2승강로(12A)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2카프레임(12B)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카프레임(12B)으로 이동된 캡(C)은 제2승강로(12A)의 상부측 승강구동장치의 로프 전동에 의한 제2카프레임(12B)의 상승으로 제2승강로(12A)의 최상단까지 상승한다. 또 상기 제2승강로(12A)의 최상단까지 상승한 캡(C)은 다시 인접한 제3승강로(13A)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3카프레임(13A)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3카프레임(13A)으로 이동된 캡(C)은 제3승강로(13A)의 상부측 승강구동장치의 로프 전동에 의한 제3카프레임(13A)의 상승으로 제3승강로(13A)의 최상단까지 상승한다. 이렇게 상승전용승강로(11)의 제3승강로(13A) 최상단까지 이동된 캡(C)은 승강통로부(10)의 상부측 수평이동통로(13)를 통해 하강전용승강로(12)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4승강로(14A)의 제4카프레임(14B)으로 이동되고, 제4카프레임(14B)으로 이동한 캡(C)은 다시 제4승강로(14A)의 승강구동장치에 의한 로프 전동으로 제4승강로(14A)의 최하단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제4승강로(14A)의 최하단까지 이동한 캡(C)은 상기 제4승강로(14A)와 중첩된 제5승강로(15A)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5카프레임(15B) 상으로 이동되어 탑재되고, 상기 제5카프레임(15B) 상에 탑재된 캡(C)은 다시 제5승강로(15A)의 승강구동장치에 의한 로프 전동으로 제5승강로(15A)의 최하단으로 하강한다. 이렇게 제5승강로(15A)의 최하단으로 하강된 캡(C)은 제6승강로(16A)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6카프레임(16B) 상으로 또다시 이동하고, 상기 제6카프레임(16B) 상으로 이동된 캡(C)은 제6승강로(16A)의 승강구동장치에 의한 로프 전동으로 하강하는 제6카프레임(16B)에 의해서 제6승강로(16A)의 최하단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제6승강로(16A)의 최하단까지 이동한 캡(C)은 승강통로부(10)의 하부측 수평이동통로(14)를 통해 다시 제1승강로(11A)의 제1카프레임(11B) 측으로 이동하는 식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수직 순환되는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ap horizontal movement process and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cap (C) of the present invention boards the passenger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ist 11A of the lift-only hoist 11, and then the lifting drive device (not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ist 11A. The first car frame 11B is rais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first hoistway 11A by the rope transmission. The cap C rais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first hoist 11A is moved to the second car frame 12B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djacent second hoist 12A, and moved to the second car frame 12B. (C) rises to the uppermost end of the second hoistway 12A due to the rise of the second car frame 12B by the rope transmission of the upper hoistway drive device of the second hoistway 12A. In addition, the cap C, which has risen to the uppermost end of the second hoistway 12A, is moved to the third car frame 13A located at the lowest end of the adjacent third hoistway 13A, and then moved to the third carframe 13A. The cap C ascended rises to the uppermost end of the third hoistway 13A by the rise of the third car frame 13A by the rope transmission of the upper hoisting device of the third hoistway 13A. The cap (C) moved to the top of the third hoistway 13A of the lift-only hoistway 1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oistway-only hoistway 12 through the upper horizontal moving passageway 13 of the hoistway part 10. The cap C, which is moved to the fourth car frame 14B of the fourth hoistway 14A, and moved to the fourth car frame 14B, is again made by rope transmission by the lift drive device of the fourth hoistway 14A. Descend to the bottom of four hoists 14A. The cap C moved to the lowest end of the fourth hoistway 14A is moved and mounted on the fifth car frame 15B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fifth hoistway 15A that overlaps the fourth hoistway 14A. The cap C mounted on the fifth car frame 15B is lower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fifth elevating path 15A by rope transmission by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of the fifth elevating path 15A. Thus, the cap (C) lower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fifth hoistway 15A moves again on the sixth car frame 16B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ixth hoistway 16A, and on the sixth car frame 16B. The cap C moved to the bottom is moved to the lowest end of the sixth hoistway 16A by the sixth car frame 16B which is lowered by rope transmission by the elevating drive device of the sixth hoistway 16A. And the cap (C) moved to the lowest end of the sixth hoistway (16A) to the first car frame (11B) side of the first hoistway (11A)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movement passageway 14 of the hoistway section (10). It is a vertical cycle that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repeated by moving.

한편, 각 승강로(11A)(12A)(13A)(14A)(15A)(16A)의 중첩부 및 승강통로부(10)의 상.하부측 수평이동통로(13)(14)에서 이루어지는 캡(C)의 자주적인 이동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수평이동장치(3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도 17a 내지 도 17i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로(12A) 상에서 상승하는 제2카프레임(12B)과 제3승강로(13A) 상에서 하강하는 제3카프레임(13A)이 도 17b와 같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상기 제2카프레임(12B)과 제3카프레임(13A) 사이의 하부측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된 한 쌍의 카프레임 지지대(22)(23)가 솔레노이드(21)의 작동에 의해서 도 17c와 같이 펼쳐진다. 그리고 상기 제2카프레임(12B) 및 제3카프레임(13A)은 도 17d와 같이 펼쳐진 상기 지지대(22)(23) 상에 안착된 후, 연결레일 구동수단(33)의 솔레노이드(34) 작동에 의해서 선단부에 연결레일(32)이 일체로 구비된 플런저(34B)가 전진하게 되고, 이로인해 단절된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간의 가이드레일(31)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 간의 가이드레일(31)이 연결레일(32)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면, 도 17e,도 17f,도 1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카프레임(12B) 상에 탑재되었던 캡(C)이 인접한 제3카프레임(13A) 상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으로 캡(C)의 양측벽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5A)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의 구동력은 구동축(35B)을 통해 구동휠(35)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휠(35)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휠(35)은 제2카프레임(12B)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1)과 구름접촉하게 되고, 이의 마찰력으로 캡(C)은 제3카프레임(13A) 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휠(35)의 하부측에 설치된 가이드휠(36)은 구동휠(35)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레일(31)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31)에 대한 구동휠(35)의 구름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2카프레임(12B)의 가이드레일(31)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구동휠(35) 및 가이드휠(36)은 도 20e와 같이 상기 제2카프레임(12B) 및 제3카프레임(13A)의 가이드레일(31) 사이의 연결레일(32)을 거쳐 제3카프레임(13A)의 가이드레일(31)을 따라 계속해서 구름접촉운동을 하면서 캡(C)을 자주적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캡(C)이 도 1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카프레임(13A) 측으로 모두 이동되면, 구동모터(35A)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구동휠(35)의 구름접촉운동에 의한 캡(C)의 수평이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동시에 가이드레일(31) 상에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된 휠고정장치(40)의 솔레노이드(41)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작동되고, 이의 작동으로 플런저(41B)가 흡입되면서 가이드레일(31)의 상.하부측에 위치한 휠스토퍼(42)를 가이드레일(31)의 상.하면 상으로 당겨 구동휠(35) 및 가이드휠(36)의 구동을 간섭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구동휠(35) 및 가이드휠(36)이 다시 제2카프레임(12B) 측으로 구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카프레임(12B)에서 제3카프레임(13A) 측으로 이동되는 캡(C)의 위치는 도 15a 및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프레임(11B)(12B)(13B)(14B)(15B)(16B)의 바닥부분 수개소에 설치된 캡로케이션장치(50)의 솔레노이드(51)의 작동에 의해서 감지되는 것으로, 우선 상기 솔레노이드(51)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플런저(51B)가 전진(여기서는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의미함)하게 되고, 이 전진된 플런저(51B)가 캡(C)의 밑면부 수개소에 형성된 장착홈(52) 내의 접점스위치(285)를 눌러 이의 작동신호로서 캡(C)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캡(C)이 탑재된 상기 제3카프레임(13A)은 도 17h 및 도 1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승강로(13A)에 설치된 승강구동장치에 의한 로프 전동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고, 제2카프레임(12B)은 다시 다음 캡(C)을 전달받기 위해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카프레임(13A)에 탑재된 캡(C)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수평이동동작으로 승강통로부(10)의 상승전용승강로(11) 및 하강전용승강로(12)를 통해 연속적으로 수직 순환되는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제2카프레임(12B)에서 제3카프레임(13A) 측으로 이동하는 캡(C)은 상기 제2카프레임(12B) 및 제3카프레임(13A)의 상부측 전원공급장치(60)에 의해서 이동하는 도중에도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를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캡(C)의 상단면 상에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측으로 간격을 두고 집전자(63)(63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집전자(63)(63A)의 전극(63B)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카프레임(12B)의 상부측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덕트(61) 내의 전원공급플레이트(61A)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C)이 제2카프레임(12B)에서 제3카프레임(13A) 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집전자(63)(63A)의 전극(63B)도 전원공급플레이트(61A)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한다. 즉, 도 17d,도 17e,도 17f,도 1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상기 캡(C)의 집전자(63)(63A)가 제2카프레임(12B) 및 제3카프레임(13A)의 가이드덕트(61)를 따라 이동하면서 캡(C) 측으로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p formed of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elevating passages 11A, 12A, 13A, 14A, 15A, 16A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horizontal movement passages 13 and 14 of the elevating passage portion 10 ( The independent movement of C) is made by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30 as shown in FIG. 12,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A to 17I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17A, when the second car frame 12B rising on the second hoistway 12A and the third car frame 13A descending on the third hoistway 13A coincid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7B. 17C and 17C show a pair of car frame supports 22 and 23 installed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second car frame 12B and the third car frame 13A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21. Unfolds together. Then, the second car frame 12B and the third car frame 13A are seated on the supports 22 and 23 unfolded as shown in FIG. 17D, and then the solenoid 34 of the connecting rail driving means 33 is operated. As a result, the plunger 34B having the connecting rail 32 integral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is moved forward, and thus the guide rail between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and 16B that is disconnected. 31) are interconnected. When the guide rails 31 between the car frames 11B, 12B, 13B, 14B, 15B, and 16B ar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ng rails 32, as shown in FIGS. 17E, 17F, and 17G. As shown in FIG. 12, the cap C, which was mounted on the second car frame 12B, is horizontally moved onto the adjacent third car frame 13A. The driving motor (35A) is installed on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drive),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e wheel 35 through the drive shaft (35B) to rotate the drive wheel (35). Accordingly, the driving wheel 35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rail 31 installed in the second car frame 12B, and the cap C is horizontally moved toward the third car frame 13A by the frictional force thereof. At this time, the guide wheel 36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wheel 35 is similar to the driving wheel 35, while the rolling motion of the driving wheel 35 relative to the guide rail 31 moves along the guide rail 31. It will guide the cloud movement.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wheel 35 and the guide wheel 36 which perform rolling motion along the guide rail 31 of the second car frame 12B are the second car frame 12B and the third car frame (see FIG. 20E). The cap C is moved independently while continuously rolling along the guide rails 31 of the third car frame 13A via the connecting rails 32 between the guide rails 31 of the 13A), When the cap (C) is all moved toward the third car frame (13A) as shown in Figure 17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35A is cut off while the cap (C) by the rolling contact movement of the drive wheel 35 Will stop the horizontal movement. At the same time, power is supplied to the solenoid 41 of the wheel fixing device 40 installed in a pair of upper and lower parts on the guide rail 31 at the same time, and the guide rail 31 is sucked by the operation of the plunger 41B. The driving wheel 35 by interfering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35 and the guide wheel 36 by pulling the wheel stoppers 42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rail 31 upward and downward. And the guide wheel 36 is to prevent the rolling motion to the second car frame 12B side again.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ap (C) moved from the second car frame 12B to the third car frame 13A side is the car frames 11B, 12B, 13B, and 14B,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Det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51 of the cap location device 50 install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15B) (16B), the plunger 51B is advanced while power is first supplied to the solenoid 51 ( In this case, the advanced plunger 51B presses the contact switch 285 in the mounting groove 52 formed at several lower portions of the cap C, and the cap (operation signal) is used as its operation signal. The position of C) can be detected. Then, the third car frame 13A on which the cap C is mounted is lifted by rope transmission by a lift driving device installed in the third hoistway 13A, as shown in FIGS. 17H and 17I. The two car frames 12B are lowered to receive the next cap C again. And the cap (C) mounted on the third car frame (13A) is continuously vertical through the lifting dedicated lifting path 11 and the lowering dedicated lifting path 12 of the elevating passage portion 10 by the horizontal movement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circulated. At the same time, the cap C moving from the second car frame 12B to the third car frame 13A is connected to the upper power supply device 60 of the second car frame 12B and the third car frame 13A. Will continue to receive power even while moving. 16A and 16B, the current collectors 63 and 63A are integrally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s shown in FIG. 16A on the top surface of the cap C. FIG. The electrode 63B of the current collectors 63 and 63A is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plate in the guide duct 61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ar frame 12B, as shown in FIG. 16B. Contact 61A. In this state, when the cap C starts to move from the second car frame 12B to the third car frame 13A, the electrodes 63B of the current collectors 63 and 63A are also supplied with a power supply plate 61A. Slide along and move.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17D, 17E, 17F, and 17G, the current collectors 63 and 63A of the cap C are continuously formed by the second car frame 12B and the third car frame 13A. The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ap (C)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duct 61 of.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캡 자주식 수평 이동 순환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통로부(100)는 상승전용승강로(110) 및 하강전용승강로(120) 사이를 연결하는 상.하부측 수평이동통로(130)(130A)의 거리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통로(130)(130A) 내부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가이드레일(140)이 설치되고, 각 승강로(111)(112)(113)(114)(115)(116) 상의 카프레임(111A)(112A)(113A)(114A)(115A)(116A)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수평이동통로(130)(130A)의 가이드레일(140) 사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연결레일(32) 및 이의 구동수단(33)을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이동통로(130)(130A) 상에 다수의 캡(C)이 대기할 수 있으므로 운송 효율이 매우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캡(C)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전원공급장치(60)을 통해 공급되며, 통신라인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60)에 통신용 플레이트를 매설하고, 이를 위한 전극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캡 수평 이동과정을 설명하면 도 22a 내지 도 22j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Figure 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p self-propelled horizontal mobile circulation syste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lifting passa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dicated lifting lane 110 and a dedicated lifting ramp (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movement passages 130 and 130A connecting between the 120 is formed long. In addition, a separate guide rail 14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moving passages 130 and 130A, and as shown in FIG. 20, each of the elevating paths 111, 112, 113, 114, 115, and 116.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guide rail 31 and the guide rail 140 of the horizontal moving passages 130 and 130A installed on the car frames 111A, 112A, 113A, 114A, 115A, and 116A on the frame. The connection rail 32 and its driving means 33 are installed as in one embodiment. In this case, a plurality of caps (C) can be waiting on the horizontal moving passages (130, 130A), so that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is very high.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cap (C) side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device 60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line also embeds a communication plate in the power supply device 60, the electrode for this It is possible by providing separately. Referring to the cap horizontal movemen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shown in Figs. 22a to 22j and 23.

우선,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승강로(113)의 최상단까지 캡(C)이 탑재된 제3카프레임(113A)이 도달하면, 도 22c와 같이 카프레임지지장치(20)의 지지대(22)(23)가 펼쳐지고, 상기 제3카프레임(113A)은 상기 지지대(22)(23) 상에 안착된다. 그런 다음 연결레일 구동수단(33)의 솔레노이드(34)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솔레노이드(34)가 작동되면, 선단부에 연결레일(32)이 일체로 구비된 플런저(34B)가 전진하면서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카프레임(113A)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1)과 상부측 수평이동통로(130) 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0) 사이의 단절된 부분을 이어 상호 연결시킨다. 그리고 다시 캡(C)의 측벽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5A)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5A)의 구동력으로 상기 캡(C)의 구동휠(35)이 도 22e 내지 도 2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가이드휠(36)과 함께 카프레임(111)(112)(113)(114)(115)(116)의 가이드레일(31) 및 연결레일(32)과 수평이동통로(130)의 가이드레일(31)을 따라 구름접촉운동을 하면서 캡(C)을 상기 수평이동통로(13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캡(C)이 수평이동통로(130) 측으로 모두 이동된 후에는 도 22i 및 도 22j와 같이 빈 제3카프레임(113A)은 다음 캡(C)을 전달받기 위해 하강하고, 수평이동통로(130) 측의 캡(C)은 상기 수평이동통로(130)의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며, 카프레임(111A)(112A)(113A)(114A)(115A)(116A) 간의 수평이동 및 상기에서와 같은 수평이동으로 승강통로부(100)를 연속 반복적으로 수직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0은 수평이동통로(130)(130A)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150)으로서, 수평이동통로(130)(130A)의 천정부에 가이드덕트(151)가 설치되고, 캡(C)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덕트(151)를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는 집전자(152)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통로(130)(130A)가 유지보수를 위한 대기통로로써 사용할 수 있고, 이의 캡 수평이동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건물간 또는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운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빌딩A(160)와 빌딩B(161) 사이에 지상연결통로(162) 및 지하연결통로(163)가 형성되어 서로 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하연결통로(163)는 대중교통수단(165)과 수직연결통로(164)를 통해 연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대중교통수단(165)을 이용한 승객이 빌딩A(160)로 가고자 한다면, 우선 수직연결통로(164) 측의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하여 원하는 빌딩 및 그 해당층의 버튼을 눌러 동작명령을 하게 되고, 이의 명령으로 수직연결통로(164) 상의 카(1)는 수직 상승하여 지하연결통로(163)에 도달한다. 또한 지하연결통로(163)에 도달한 카(1)의 캡(C)은 캡수평이동장치(30)에 의해서 다시 빌딩A(160) 측의 가이드레일(140) 상으로 이동되고, 상기 캡(C)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빌딩A(160)의 승강통로부(100)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빌딩A(160)의 승강통로부(100)에 도달한 캡(C)은 캡수평이동장치(30)에 의해 다시 상기 승강통로부(100)의 제1승강로(111) 상에 구비된 제1카프레임(111A)(112A)(113A)(114A)(115A)(116A) 측으로 수평이동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순환에 의해서 빌딩A(160)의 원하는 층으로 도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S. 22A and 22B, when the third car frame 113A on which the cap C is mounted reaches the top of the third hoistway 113, the car frame support apparatus 20 as shown in FIG. 22C. The supports 22, 23 of the unfolded, the third car frame 113A is seated on the supports 22, 23. The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olenoid 34 of the connection rail driving means 33 and the solenoid 34 is operated, the plunger 34B having the connection rail 32 integral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is advanced in FIG. 22D. As shown, the disconnected portion between the guide rail 31 installed on the third car frame 113A and the guide rail 140 installed on the upper horizontal moving passage 130 is interconnected. Then, whil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35A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cap C again, the driving wheel 35 of the cap C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35A, as shown in FIGS. 22E to 22H. As shown below, the guide rail 31 and the connecting rail 32 of the car frames 111, 112, 113, 114, 115, and 116 together with the lower side guide wheel 36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130 are provided. After moving the cap (C) to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130 while performing the rolling contact movement along the guide rail 31 of Figure 22i after the cap (C) is moved to both the horizontal movement passage 130 And the empty third car frame 113A is lowered to receive the next cap (C), as shown in Figure 22j, the cap (C) of the horizontal movement passage 130 side of the guide rail of the horizontal movement passage 130 ( 140 continues to move along, and continuously moving the elevating passage section 100 in the horizontal movemen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car frame (111A) 112A (113A) 114A (115A) 116A as described above. Vertical circulation. On the other hand,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130, 130A, as shown in the power supply device 150, the guide duct 151 in the ceiling of the horizontal movement passage (130, 130A) Is installed, the upper end of the cap (C) is provided with a current collector 152 that is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duct 151 is integrally provid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horizontal passage passage 130, 130A as a standby passage for maintenance, as shown in Figure 21, and the cap horizontal movement process thereof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4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linkage between adjacent buildings or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which is the ground connection passage 162 and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between Building A (160) and Building B (161) 163 is formed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163 may be configured to be linked through the public transport means 165 and the vertical connection passage (164). That is, if the passenger us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65 wants to go to the building A 160, first board the elevator car (1) on the vertical connection passage 164, press the button of the desired building and its floor, the operation command In this order, the car 1 on the vertical connection passage 164 rises vertically to reach the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163. In addition, the cap C of the car 1 reaching the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163 is moved by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30 onto the guide rail 140 on the building A 160 side, and the cap ( C) moves to the lifting passage part 100 of the building A 160 along the guide rail 140. The cap C, which has reached the lifting passage part 100 of the building A 160, is again provided by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30 on the first lifting path 111 of the lifting passage part 100. After moving horizontally toward the first car frames 111A, 112A, 113A, 114A, 115A, and 116A, it is possible to reach the desired floor of the building A 160 by the above-described circulation.

이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그대로 적용하면서도 적어도 한 방향에서는 승객의 승하차없이 하강하여 캡을 탑재하고,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단일 승강로보다 운행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성과 설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규모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길이를 설계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운송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로마다 가감속이 있고, 수평이동 구간에서 잠시 정지 및 서행함에 따라 승강 높이에 따른 기압차에 적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리적인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existing rope-type elevator as it is, at least in one direction without the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the cap mounted, ascending or descending i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s and operating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single hoistway There is an excellent advantag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elevator and the ease of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an elevator hoist length of an appropriate size, which has the effect of constructing a more economical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re is a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n each of the hoistway, and by stopping and slowing for a while in the horizontal movement sec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adapt to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levating height, but also to solve the physiological discomfort.

Claims (12)

캡이 탑재되는 카프레임 및 상기 카프레임을 로프 전동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갖는 다수의 승강로를 중첩시켜 상기 캡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통로부와; 상기 승강통로부의 각 승강로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로 상의 각 카프레임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카프레임 지지장치와; 상기 카프레임 상의 캡을 인접한 승강로 상의 카프레임 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캡수평이동장치와; 상기 캡의 위치를 위치를 감지하는 캡로케이션장치와; 상기 카프레임 및 캡수평이동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An elevating passage portion configured to overlap a plurality of elevating paths having a car frame on which a cap is mounted and an elevating driving device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car frame by rope transmission; A car frame support device installed between each hoistway of the hoistway part to support a lower side of each carframe on the hoistway; A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ap on the car frame to the side of the car frame on an adjacent hoistway; A cap location device for detecting a location of the cap; A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r frame and the cap horizontal moving device and allowing communication to be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승강로 또는 카프레임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N-2개 임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Th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 has N-2 when the number of hoists or car frames is 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통로부는 다수의 승강로를 연이어 통하도록 중첩시켜 상승전용승강로와 하강전용승강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승전용승강로와 하강전용승강로 사이의 상.하부측에는 수평이동통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passage portion overlaps a plurality of elevating passages in succession to form an ascent-only elevated and a descending ascension, and form a horizontal movement passag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between the ascent-only elevated and descending only. Trans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프레임지지장치는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흡인시키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와; 힌지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를 펼침상태로 동작시키고,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지지대를 상시 접힘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와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카프레임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ar frame support device comprises: a solenoid which sucks the plunger due to a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repositions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A pair of support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A link member interconnecting the plunger and the support of the solenoid so as to operate the support in an extended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and to maintain the support in a normally folded state when the solenoid is not operated; Transport system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support each consisting of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of the car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스트레인 게이지임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5. A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nsing means is a strain gau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수평이동장치는 각각의 카프레임 측면부에 동일 높이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레일 및 이의 구동수단과; 상기 연결레일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캡의 양측면부에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접촉운동을 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의 하부측 캡의 측면부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휠과 함께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접촉운동을 하면서 가이드레일에 대한 구동휠의 구름접촉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cap moving device is a guide rail which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ame height in each side of the car frame; A connecting rail and a driving means thereof connecting the guide rails of the car frame to each other; A driving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p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rails to drive shaft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s to perform rolling contact motion along the guide rails of the car frame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s; The guide wheel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side cap of the driving wheel and guides the rolling contact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relative to the guide rail while rolling contact movement along the guide rail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 One transportation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일 구동수단은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전진시키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로서,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 연결레일을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The solenoid of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rail driving means is a solenoid for advancing the plunger due to a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for repositioning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Trans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어 구동휠 및 가이드휠의 구름운동을 저지시키는 휠고정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Th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wheel fixing device installed on the guide rail to prevent rolling motion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휠고정장치는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흡인하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카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하부측에 각각 위치되는 휠스토퍼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휠 및 가이드휠을 간섭하여 고정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와 휠스토퍼를 연결 및 지지하는 스토퍼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9] The wheel fixing apparatus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olenoid which sucks the plunger due to the magnetic field change by the power supply and replaces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Wheel stoppers respectively position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rail of the car frame; And a stopper support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lunger and the wheel stopper of the solenoi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driving wheel and the guide wheel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로케이션장치는 전원공급에 의한 자계변화로 플런저를 전진시키고,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원위치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캡의 밑면부에 수개 형성된 장착홈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플런저의 가압으로 동작되는 접점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ap location device comprises: a solenoid for advancing the plunger by a magnetic field change by power supply and for repositioning the plunger by an internal spring; A transport system comprising a contact switch mounted in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p and operated by pressurization of the plunger by the solenoid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카프레임의 상부측에 직각되게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카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된 수개의 전원공급 플레이트가 구비된 가이드덕트와; 캡의 상단부 전.후방측에 간격을 두고 일체로 설치되고, 캡측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된 전극을 상시 가이드덕트 내부의 전원공급플레이트에 슬라이드되게 접촉시킨 집전자와; 상기 집전자의 전극을 상기 전원공급플레이트에 지속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덕트 상의 집전자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device is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side of the car frame, respectively, the guide duct ha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plates connected to the car power supply line therein; A current collector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ap, and which has an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p side power supply line so as to slide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plate in the guide duct at all times;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electrode of the current collecto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plate; And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urrent collector on the guide duct.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통로는 거리가 긴 구간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캡수평이동장치의 가이드레일 및 거리에 상응하는 또다른 가이드레일과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송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or 6, wherein the horizontal passage is formed of a long distance, the inside of which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and a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and the distance of the cap horizontal transfer device Trans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80050184A 1998-11-23 1998-11-23 Transfer system KR100312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184A KR100312770B1 (en) 1998-11-23 1998-11-23 Transf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184A KR100312770B1 (en) 1998-11-23 1998-11-23 Transf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344A true KR20000033344A (en) 2000-06-15
KR100312770B1 KR100312770B1 (en) 2002-05-09

Family

ID=1955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184A KR100312770B1 (en) 1998-11-23 1998-11-23 Transf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77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770B1 (en)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91848A (en) Method for building elevator and elevator
US8636115B2 (en) Hosting machine supporting frame for jump lifts of elevators
CN103402901A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CN103339052A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9950901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adjusting the elevator arrangement
KR101235674B1 (en) Inclined elevator
EP2417047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CN102448866A (en) Method for install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JP5737427B2 (en) Elevator system
CN210795435U (en) Synchronous construction elevator
CN114829288A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KR100312770B1 (en) Transfer system
KR20010096838A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winch of a lower part driving elevator with machine roomless
CN201284171Y (en) Scissor fork type hydraulic elevator lifting mechanism
KR100312769B1 (en) Transfer system
CN113428759A (en) Intelligent toe guard for elevator ca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retracted and extended
JP2505628B2 (en) Double deck elevator
JP4637603B2 (en) Multi car elevator
JP2004352411A (en) Elevator device
KR102445143B1 (en) Ropeless elevator system
JP2006188310A (en) Elevator device
CN217972156U (en) Traction type construction elevator
AU2007221937B2 (en) Elevator system
CN218754400U (en) Household platform elevator
KR200199478Y1 (en) Specially devised building structure of traction unit for the pit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