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105A -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105A
KR20000033105A KR1019980049788A KR19980049788A KR20000033105A KR 20000033105 A KR20000033105 A KR 20000033105A KR 1019980049788 A KR1019980049788 A KR 1019980049788A KR 19980049788 A KR19980049788 A KR 19980049788A KR 20000033105 A KR20000033105 A KR 20000033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alloy
brown tube
composition
color b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3105A/ko
Publication of KR2000003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3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 또는 모니터등에서 패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구조체의 지지역할을 하는 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칼라 브라운관의 동작시 외부 진동이 브라운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 또는 탄소 또는 티타늄이 포함되는 철-망간계의 조성물을 소정함량으로 포함한 제진합금으로 이루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진합금을 용융하여 균질화 처리 후 압연하고 열처리한 후 급냉시켜 성형하여 러그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조된 러그는 외부로 부터의 진동전달을 차단하여 섀도우마스크에서의 하울링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브라운관 또는 모니터등에서 패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지지역할을 하는 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운관의 동작시 외부 진동이 브라운관 내부로 전달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스크의 하울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브라운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이 화면 전체로 편향되어 일정한 속도로 진행하면서 형광면을 타격함으로서 원하는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되며,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은 전자를 방사하는 음극과, 전자를 가는 빔으로 만들어 빠른 속도로 가속하는 동시에 형광면 상에 집속하기 위한 여러개의 원통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도 1 에 제시된 장치를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칼라브라운관의 한 예로서, 설명한다.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내측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1)과, 패널(1)의 후단에 프릿글라스로 융착되어 브라운관의 내부진공을 이루는 펀넬(2)과, 펀넬(2)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편향요크(9)와, 펀넬(2)의 네크부(10)내에 봉입되어 전자빔(11)을 발사하는 전자총(8)과, 패널(1)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핀(6)과 스프링(5)에 의해 결합되는 프레임(4)과, 프레임(4)에 의해 지지되며 색선별 역할을 하는 원형의 가는 구멍이 무수히 형성된 섀도우마스크(3)와, 프레임(4)에 결합되어 전자빔(11)이 외부자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지자계를 차폐하는 인너쉴드(7)와, 패널(1)의 인장응력을 해소하도록 측면을 둘러싸고 있는 보강밴드(12)와, 보강밴드(12)에 용접되어 캐비넷에 음극선관을 결합고정시키는 러그(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칼라브라운관은 전자총(8)에 영상신호를 입력하면 전자총의 음극으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며 방출된 전자는 전자총의 각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패널(1) 쪽으로 가속 및 집속과정을 거치면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전자는 패널(1)의 네크부(10)에 장착된 편향요크(9)의 자계에 의하여 전자의 진행경로가 조정되며 조정된 전자빔(11)은 편향요크에 의하여 패널의 전체면에 주사되는데, 편향된 전자빔은 패널의 내측프레임(4)에 결합된 섀도우마스크(3)의 슬롯을 통과하면서 색선별이 이루어지고 선별된 전자빔은 패널(1) 내측면의 형광막에 충돌하여 발광시킴으로써 영상신호를 재현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추세로 스피커를 모니터에 부착한 일체형 컴퓨터가 요구되고 있으며 TV역시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대형화와 고출력 스피커를 채용하여 음향측면의 품질을 많이 강조하고 있다. 특히 섬세한 화면 구성을 위하여 섀도우마스크(3)의 구멍 수가 많아지고 구멍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위하여 섀도우마스크의 두께가 줄어들어야 되는데, 이에 따른 강성의 약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피커의 음압이 브라운관에 전달되면 섀도우마스크에 진동을 유발하여 화면떨림(하울링;Howling)현상이 나타나고 이는 화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좀더 자세히 진동이 전달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브라운관 동작시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브라운관 내부에 있는 스터드핀(6)을 통하여 마스크 스프링(5)을 거쳐서 프레임(4)에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섀도우마스크(3)로 전달되어 섀도우마스크에 진동을 일으키고, 그 결과 화면의 불안정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스피커의 출력 주파수가 섀도우마스크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할 경우 섀도우마스크에서 공진이 발생될 경우는 더욱더 화면 떨림 현상이 심각해 지게된다. 따라서, 고출력과 함께 고음질의 스피커 일체형 모니터, TV개발에 있어서 상기의 하울링에 대한 문제는 반드시 극복하여야 하는 과제가 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같이 섀도우마스크에서 발생되는 하울링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섀도우마스크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물에 기구적, 재질적으로 보완을 실시하고 있는데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일 예로, 일본특허공개 평1-117245에서는 프레임 또는 스프링에 복수개의 용접점을 설치하고 섀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를 마스크프레임에 접합하는데 있어서의 배치를 단변부와 장변부를 다르게 설계하여 진동전달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일본특허공개 평1-159940에서는 음극선관의 패널 외부에 설치되는 보강밴드의 네 코너부에 러그(LUG)를 부착하여 캐비넷에 고정시킬 때 러그를 금속과 점탄성 고분자의 복합체로 구성하여 캐비넷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음극선관 내부로 진동이 전달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러그는 열에 약한 성질을 갖는 점탄성 고분자가 혼합되어 이루어짐으로, 브라운관의 제조공정중 밴드 부착후 코팅/열처리 공정시 고분자 물질이 타서 그을음이 발생하거나 러그 형상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정상적인 진동저감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제조공정중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러그의 조성물질을 제진합금으로 이룸으로서, 캐비넷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러그를 통해 내부구조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마스크에서의 하울링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브라운관의 일부 절개 개략도.
도 2는 러그가 용접된 보강밴드의 사시도.
도 3은 시간에 따른 스트레인의 변화를 비교한 것으로서,
(가)는 제1실시예 평가에 의한 진폭도.
(나)는 제2비교예 평가에 의한 진폭도.
도 4는 실험에 의한 열처리후의 마르텐사이트상이 나타난 조직사진으로서,
(가)는 제1실시예(ε=59%)
(나)는 제2실시예(ε=52%)
(다)는 제1비교예(ε=3%)
(라)는 제2비교예(ε=17%)
도 5는 진동감쇄능 시험을 위한 장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진동 감쇄능 비교도.
도 7은 섀도우마스크의 하울링 상태에 따른 평가 기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패널 2 : 펀넬
3 : 섀도우마스크 4 : 프레임
5 : 마스크 스프링 6 : 스터드핀
7 : 인너쉴드 8 : 전자총
9 : 편향요크 10 : 네크부
11 : 전자빔 12 : 보강밴드
13 : 러그 20 : 시편
21 : 베이스 22 : 프레임
23 : 관성바 24 : 포텐셔메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을 조성물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러그의 소재는 제진성능을 갖는 철-망간(Fe-Mn)계 제진합금을 사용하여 브라운관 내부로 전달되는 외부의 진동을 감쇄시킴으로 섀도우마스크에서의 진동으로 인한 화면의 떨림,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게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조성물로는 철-망간 이원계 합금에서 망간의 함량은 15중량% 내지 30중량% 정도로 한다. 15중량% 이하이거나 30중량% 이상이 되면 진동 감쇄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 따른 조성물로는 철-망간-탄소(C)계 또는 철-망간-티타늄(Ti)계 또는 철-망간-구리(Cu)계 또는 철-망간-실리콘(Si)계 제진합금을 사용하게 되며, 이들 합금에 사용되는 망간의 함량 역시 15중량% 내지 30중량% 정도로 한다.
바람직 하기로, 상기 철-망간-탄소계에서 탄소(C)의 함량을 0.3중량% 이하로 첨가하게 되는데, 탄소의 함량이 0.3% 이상이 되면 오스테 나이트 조직이 80중량% 이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제진효과가 저하된다.
바람직 하기로, 상기 철-망간-티타늄계에서는 티타늄(Ti)을 2.0중량%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며, 티타늄 양이 0∼1.5%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쇄능이 우수해지지만 2.0중량% 이상이 되면 감쇄능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면서 탄화티타늄(TiC)이 생기고 기계적 강도가 강해져 가공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철-망간-구리계에서는 구리(Cu)를 1.0중량% 미만으로 첨가한다. 만일 구리 함량이 1.0중량% 이상이 되면 연신율이 증가하며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감소하여 제진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철-망간-실리콘계에서는 실리콘(Si)을 8중량% 미만으로 첨가한다. 8% 이상이 될 경우는 취성이 강해져 깨어지기 쉽게되고 제진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러그의 두께는 0.1mm 내지 4mm의 것을 사용한다. 0.1mm보다 얇을 경우는 러그가 브라운관의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수 가 있으며, 4mm 이상이 될 경우는 제품을 가공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성능을 갖는 러그를 보강밴드의 네 코너부에 모두 용접하여 부착하거나 적어도 1개 이상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에 의해 러그가 제진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철-망간계 또는 그 이상의 조성이 첨가된 합금의 미세조직을 살펴보면 γ상(오스테나이트상)과 ε상(마르텐사이트상)이 함께 형성되어질 때 제진성능을 발휘한다. 즉, 외부로 부터의 진동이 재료에 전달될 경우 γ상과 ε상의 계면에서의 이동에 의하여 감쇄가 일어나 제진성능이 나타난다.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전체부피에서 20%이상 80% 미만일 경우 진동감쇄 효과가 크며, 특히 20% 내지 40% 정도에서 진동 감쇄효과는 더욱 우수해진다.
제진금속을 고온에서 열처리 하면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생겨나는데 이것이 고온에서 서냉될 경우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열처리 후 냉각속도가 느릴 경우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해버려 제진특성을 나타내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진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는 마르텐 사이트 조직이 필요하며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냉각하였을 때 생기게 하기 위하여는 고온에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만든 후 급냉시키면 오스테나이트 조직과 마르텐 사이트 조직이 혼합된 금속조직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진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열처리에 따라서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변하지만 급하게 가열되었다가 빠르게 냉각될 경우는 형상기억효과에 의하여 냉각되어도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게된다. 특히 브라운관 제조공정중 밴드체결 공정에서 순간적으로 보강밴드가 500℃ 이상으로 가열되었다가 냉각될 경우 철-망간계 제진합금으로 된 러그의 경우는 마르텐사이트조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진성능을 갖게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제진성능을 갖는 러그가 캐비넷으로부터 내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마스크에서의 하울링발생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러그의 제조방법 및 조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실험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종래기술과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진합금 강판 및 러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진공용해로에 철과 망간, 그외의 조성물을 넣고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용융물을 약 1000℃에서 2시간 유지시켜 균질화 처리한 후 900℃에서 압연을 하고 나서 700∼1200℃에서 1시간 정도 열처리 한 후 얼음물 또는 찬물에 냉각시키면, 급냉됨으로 인하여 조직이 균일하게 변하지 않고 침상형 모양을 갖는 마르텐사이트가 존재하는 제진합금 강판을 제조한다. 그리고 이것을 금형에 올려놓고 성형하여 제진합금의 러그(13)를 제조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진공용해로에 철과 망간, 그외의 조성물을 넣고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용융물을 성형물에 부어넣어 주조후 금냉처리하여 침상형 모양을 갖는 마르텐사이트가 존재하는 제진합금 러그(13)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러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전해 알루미늄도금 또는 아연도금을 하여 보강밴드의 코너부에 용접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나서 보강밴드를 400℃이상으로 가열하여 밴드를 팽창시킨 후 제조된 브라운관을 넣어 패널 둘레가 밴드로 체결되어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한 제진성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철-(17중량%)망간을 사용하고 탄소 함량이 0.1중량%인 제진합금을 주조방법으로 성형하여 두께 2mm의 제진합금을 제조하고 이것을 무전해도금법으로 알루미늄도금하여 밴드에 용접한 후 브라운관에 결합시켜 완성하였다.
<제2실시예> 철-(29중량%)망간-(5중량%)실리콘 합금의 용융물을 두께 3mm로 압연 후 급냉시킨 다음 성형하여 러그를 만들고 이것을 무전해 도금법으로 알루미늄도금하여 밴드에 용접한 후 브라운관에 결합시켜 완성하였다.
<제1비교예> 탄소함량이 2중량%이고 두께 2.5mm되는 철판을 성형하여 러그를 만들고 이것을 무전해 도금법으로 알루미늄도금하여 밴드에 용접한 후 브라운관에 결합시켜 완성하였다.
<제2비교예> 철-(29중량%)망간-(5중량%)실리콘 합금의 용융물을 두께 3mm로 압연 서냉하여 강판을 만든 후 성형하여 러그를 만들고 이것을 무전해 도금법으로 알루미늄도금하여 밴드에 용접한 후 브라운관에 결합시켜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와 <제1,2비교예>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에 따른 러그의 스트레인 변화를 도 3 에 나타내었다.
즉, <제1실시예>(가)에서 보면 철-망간계 제진합금의 경우 주어진 스트레인의 감쇄가 단시간내에 일어나지만, <제2비교예>(나)와 같은 탄소강철판이나 서냉처리된 제진합금의 경우는 시간이 흘러도 스트레인 즉, 진동의 감쇄가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원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제1,2실시예> 및 <제1,2비교예>의 조직상태와 오스테나이트조직의 부피분율을 평가하여 도 4 에 나타내었다.
오스테나이트(γ) 조직의 부피분율은 X-선회절 분석하여 {111}조직을 갖는 오스테나이트상과 {1010}결정면을 갖는 마르텐사이트(ε) 조직의 격자상수와 비부피를 계산하여 구한다. 도 4 로부터 평가하였을 때 급냉하여 제조된 제진합금의 경우(가)(나)는 침상형 모양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관찰되지만 서냉된 제진합금의 경우(다)(라)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거의 없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진동 감쇄능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포텐셔메터(POTENTIOMETER)로 감지하여 측정된 스트레인의 진폭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1]로부터 계산한 것이다.
[수학식 1]
An: n번째 진폭 , An+1: n+1번째 진폭
진동감쇄능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21)와 프레임(22), 관성바(23), 포텐셔메터(24)로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러그 시편(20)의 진동감쇄능을 평가할 수 있다.
이때 포플-페르츠(FOPLE-PERTZ)형 비틀림 진자시험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시편(20)을 자유진동 시켰을 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동의 진폭이 점차 감소해 가는 것을 포텐셔메터(24)로 감지하여 증폭기를 거쳐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된 시간대 진폭변화 곡선으로부터 스트레인에 따른 진동감쇄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 에 나타내었다.
도 6 으로 부터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존재하는 철-망간계 제진합금의 경우 진동 감쇄능은 매우 우수하지만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20% 미만인 제진합금과 탄소강판의 경우는 진동감쇄능이 마르텐사이트조직이 20% 이상인 본 발명 <제1,2실시예>의 경우는 <제1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브라운관에서 하울링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브라운관 모니터 또는 TV옆면에 스피커를 부착하여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소음을 일으킬 때 화면의 흔들림을 평가한 것이다. 입력신호의 주파수는 주요 가청 주파수인 100∼1000Hz 범위에서 주파수를 스위핑(sweeping)하여 입력한다.
하울링은 주로 마스크의 공진 주파수 범위인 200∼500Hz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때의 화면 떨림의 정도를 도 7 과 같이 기준을 정하고 평가 시의 화면떨림을 몇 개의 수준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마르텐사이트(ε)조직이 20%이상인 본 발명의 <실시예>인 경우는 300Hz에서 A급, 400Hz에서 B급, 500Hz에서 B급 수준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비교예>인 경우는 300Hz에서 C급, 400Hz에서 D급, 500Hz에서 D급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러그는 캐비넷의 진동이 브라운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섀도우마스크에서의 하울링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의한 러그는 패널 외측 면에 결합되어 캐비넷으로 부터 내부구조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진동으로 인한 섀도우마스크에서의 하울링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브라운관구조체를 캐비넷에 결합시켜주기 위하여 패널 외측면의 보강밴드상에 구성되는 러그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철-망간계의 조성물이 소정함량으로 포함된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러그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러그의 조성물은 구리 또는 탄소 또는 티타늄 또는 실리콘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 하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러그의 조성물은 망간의 함량이 15중량%∼3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탄소의 함량은 0.3중량% 이하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구리의 함량은 1.0중량% 이하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티타늄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으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러그의 두께는 1mm∼4mm로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러그는 보강밴드의 코너부에 모두 용접되거나 적어도 일부위 이상에 용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의 조성물.
  9. 브라운관구조체를 캐비넷에 결합시켜주기 위하여 패널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러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실리콘 또는 탄소 또는 티타늄이 포함되는 철-망간계 합금을 용융하여 균질화 처리 후 압연하고 열처리한 후 급냉시켜 성형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합금의 열처리 공정은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전체부피에서 20∼80% 범위내에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합금의 용해는 진공 용해로에서 하고, 합금원료를 로에 투입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용융물을 약 1000℃에서 2시간 유지시켜 균질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합금원료를 진공용해하고 균질화 처리후 압연을 900℃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합금을 압연후 열처리를 700∼1200℃에서 1시간동안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합금의 냉각은 얼음물 또는 찬물에 급냉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5. 브라운관구조체를 캐비넷에 결합시켜주기 위하여 패널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러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실리콘 또는 탄소 또는 티타늄이 포함되는 철-망간계 합금을 용융하여 균질화 처리 후 금형에 용융물을 부어 주조하고 냉각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합금의 용해는 진공 용해로에서 하고, 합금원료를 로에 투입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용융물을 약 1000℃에서 2시간 유지시켜 균질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합금의 냉각은 얼음물 또는 찬물에 급냉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제조방법.
KR1019980049788A 1998-11-19 1998-11-19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00033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88A KR20000033105A (ko) 1998-11-19 1998-11-19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88A KR20000033105A (ko) 1998-11-19 1998-11-19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105A true KR20000033105A (ko) 2000-06-15

Family

ID=1955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788A KR20000033105A (ko) 1998-11-19 1998-11-19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310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488A (ko) * 1988-04-20 1990-11-13 원본미기재 Fe-Mn-Al-C기재 합금 및 그 처리 방법
KR900016487A (ko) * 1988-04-20 1990-11-13 원본미기재 감쇠능이 높은 이상계 Fe-Mn-Al-C기재 합금
KR920004601A (ko) * 1990-08-27 1992-03-27 최종술 Fe-Mn계 진동감쇠 합금강과 그 제조방법
KR950011633A (ko) * 1993-10-22 1995-05-15 최종술 Fe-Mn계 진동 감쇠 합금강과 그 제조 방법
KR960034450A (ko) * 1995-03-09 1996-10-22 이성범 탄화물 형성원소가 첨가된 Fe-Mn계 진동감쇠 합금강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488A (ko) * 1988-04-20 1990-11-13 원본미기재 Fe-Mn-Al-C기재 합금 및 그 처리 방법
KR900016487A (ko) * 1988-04-20 1990-11-13 원본미기재 감쇠능이 높은 이상계 Fe-Mn-Al-C기재 합금
KR920004601A (ko) * 1990-08-27 1992-03-27 최종술 Fe-Mn계 진동감쇠 합금강과 그 제조방법
KR950011633A (ko) * 1993-10-22 1995-05-15 최종술 Fe-Mn계 진동 감쇠 합금강과 그 제조 방법
KR960034450A (ko) * 1995-03-09 1996-10-22 이성범 탄화물 형성원소가 첨가된 Fe-Mn계 진동감쇠 합금강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0054B1 (en) Masking device for a color cathode-ray display tube with a flat screen, of the type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a tensioned shadowmask, and tensioned shadowmask
KR20000033105A (ko) 칼라브라운관용 러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3150831B2 (ja) 高ヤング率低熱膨張Fe−Ni合金
JPS63259054A (ja) シヤドウマスク
CN1153842C (zh) 挤压成型全平掩模用的铁-镍-钴合金、使用该合金的全平掩模和彩色显像管
JP3874591B2 (ja) ブリッジ付きテンション方式陰極線管の色選別電極及び陰極線管
JPH0987808A (ja) 電子銃部品用Fe−Ni合金並びに電子銃プレス打ち抜き部品
JP2002038239A (ja) 磁気歪制御型合金板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ブラウン管用部品並びに磁気歪制御型合金板の製造方法
US6489714B2 (en) Color selecting apparatus for cathode-ray tube
KR860000937B1 (ko) 컬러 수상관
JP2902004B2 (ja) シャドウ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88285B1 (ko) 세미텐션마스크용 저열팽창Fe-Ni계 합금, 이를 이용한세미텐션마스크 및 상기 세미텐션마스크를 사용하는컬러수상관
JP2681606B2 (ja) 加工性及び形状凍結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金属板
US5849420A (en) Punched electron gun part of a Fe-Cr-Ni alloy
JP4221451B2 (ja) シャドウマスク用合金及びシャドウマスク用素材
JP3467020B2 (ja) プレス成形型フラットマスク用Fe−Ni系合金並びにそれを用いるフラットマスクおよびカラーブラウン管
JPH01276542A (ja) シャドウマスク
KR100244231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00014065A (ko) 칼라음극선관용 마스크스프링의 제작방법
JP2781336B2 (ja) 黒化処理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系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04638A (ja) 低膨張非磁性合金および電子管の管内部品
JPH0359975B2 (ko)
JPS59173244A (ja) 電子管の管内部品材料
KR100310187B1 (ko) 전자총 부품용 철-니켈 합금의 제조방법
KR100252945B1 (ko) 칼라음극선관용자기차폐체(innershield)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