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065A -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065A
KR20000033065A KR1019980049731A KR19980049731A KR20000033065A KR 20000033065 A KR20000033065 A KR 20000033065A KR 1019980049731 A KR1019980049731 A KR 1019980049731A KR 19980049731 A KR19980049731 A KR 19980049731A KR 20000033065 A KR20000033065 A KR 20000033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menu
window
blo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3090B1 (ko
Inventor
장현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0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TV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그림 메뉴에 삽입되는 그림 항목들을 원하는 그림으로 갱신 가능한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디지탈 텔레비젼에 저장된 그림 항목들을 포함하는 그림 메뉴 화면들내 있는 그림 항목들의 그림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그림, 즉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신호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그림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A/V 기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탈 텔레비젼(TV)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그림 메뉴를 서비스하는 데 적합한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상당히 양호한 영상 및 음향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탈 방송(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 디지탈 방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들에서는 디지탈 방송을 시험 실시하고 있거나 또는 조만간의 시험 실시 또는 시행을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탈 방송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탈 TV의 보급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 디지탈 방송은 우수한 품질의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는 장점 이외에도 부가 디지탈 서비스 데이터 전송 및 그래픽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획기적인 개선을 큰 장점으로 들 수 있다.
즉, 디지탈 TV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디지탈 TV를 메뉴 제어하는 기법을 통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이를 위하여 디지탈 TV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필요로하는 각종 메뉴 화면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디지탈 TV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때 모니터상에 제공되는 메뉴 화면으로서는 문자들로만 구성된 문자 메뉴 화면과 로고 등의 그림 항목을 포함하는 그림 메뉴 화면이 있는 데, 여기에서 본 발명은 그림 메뉴 화면의 서비스에 관련된다. 이때, 그림 메뉴 화면상에 포함되는 그림 항목들은 디지탈 TV의 제작시에 기저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그림 항목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그림 메뉴에서의 그림 항목들이 제작시점에서 제작사에 의해 변경 불가능하도록 기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그림 항목을 이용하여 그림 메뉴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했었다.
따라서, 변경이 불가능한 그림 항목들로 된 그림 메뉴를 서비스하는 종래 방법은 자신이 선호하는 형태로 그림 메뉴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실정이다.
즉, 그림 메뉴내의 그림 항목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들로 변경 가능하도록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확실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지탈 TV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그림 메뉴에 삽입되는 그림 항목들을 원하는 그림으로 갱신 가능한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메뉴 데이터 및 그림 메뉴 데이터를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저장된 상기 그림 메뉴를 갱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메뉴 갱신 요구신호가 인가될 때, 갱신하고자하는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을 선택하기 위한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이 선택되면, 선택된 그림 항목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발생하여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모니터상에서 윈도우 위치가 이동할 때 그에 상응하는 윈도우 위치 이동신호를 발생하는 윈도우 발생 수단;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중인 윈도우의 위치 정보를 그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탐색하여 그에 상응하는 윈도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탐색 수단; 및 모니터상에서 갱신용 그림이 선택될 때, 상기 검출된 윈도우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 대상 그림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위치의 그림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인출하며, 상기 선택된 그림 항목의 그림을 상기 인출된 그림 데이터로 갱신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메뉴 데이터 및 그림 메뉴 데이터를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저장된 상기 그림 메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청모드의 실행중에 메뉴 갱신 요구신호가 인가될 때, 그에 응답하여 갱신하고자하는 그림 메뉴명 항목 및 그림 항목명 항목을 갖는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의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 상기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이 선택되면, 상기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오프시키고 선택된 그림 항목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발생하여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며, 조작에 따른 윈도우 위치 조작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모니터상에서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중인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그 움직임에 따라 연속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윈도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가 위치하는 비디오 신호 영역의 그림이 선택될 때, 상기 검출된 윈도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 대상 그림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상기 결정된 위치에 있는 그림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선택된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의 그림을 상기 인출된 그림 데이터로 갱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그림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a은 본 발명에 따라 그림 메뉴를 갱신할 때 제공되는 갱신 메뉴 입력 화면을, 도 3b는 갱신하고자하는 메뉴 그림의 지정을 위해 모니터상에 제공되는 윈도우의 일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MPEG 디코딩 블록 104 : 프레임 메모리
106 : 비디오 엔코딩 블록 108 : 제어 블록
110 : 메뉴 발생 블록 112 : 메모리 블록
114 : 윈도우 발생 블록 116 : 영상 합성 블록
118 : 위치 탐색 블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문자 메뉴 화면이 아닌 그림 항목들을 포함하는 그림 메뉴 화면내 있는 그림 항목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그림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실현한다는 것으로, 임의의 그림 항목으로 갱신하고자하는 그림들은 방송 채널의 튜닝을 통해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신호에서 선택된다. 즉, 사용자들은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그림이 있을 때 해당 그림을 갱신용 그림 항목으로 선택하여 임의의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으로 갱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써, MPEG 디코딩 블록(102), 프레임 메모리(104), 비디오 엔코딩 블록(106), 제어 블록(108), 메뉴 발생 블록(110), 메모리 블록(112), 윈도우 발생 블록(114), 영상 합성 블록(116) 및 위치 탐색 블록(118)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MPEG 디코딩 블록(102)에서는 도시 생략된 튜너 및 복조 블록을 통해 제공되는 선택 방송 채널(지상파 방송 채널, 케이블 방송 채널 또는 위성 방송 채널)의 압축 부호화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 즉 MPEG 알고리즘에 따라 소정의 비트 레이트로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부호화 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며, 여기에서 복원되는 선택 채널의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엔코딩 블록(106)으로 제공된다. 이때, MPEG 디코딩 블록(102)은 프레임 메모리(104)를 구비하는 데, 이러한 프레임 메모리(104)에는 복원을 위한 입력 프레임 데이터와 복원된 입력 프레임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비디오 엔코딩 블록(106)에서는 상기한 MPEG 디코딩 블록(104)에서 제공되는 선택된 방송 채널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NTSC 또는 PAL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 다음 라인 L11을 통해 출력측의 영상 합성 블록(116)으로 제공한다.
다음에, 제어 블록(108)은, 예를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디지탈 TV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시에 그에 상응하는 메뉴 발생을 제어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그림 메뉴내의 그림 항목들을 갱신하고자 할 때 윈도우의 발생을 제어하고, 모니터상에 현재 디스플레이중인 영상에서 사용자가 갱신 대상 그림이 선택할 때 이를 인식하여 선택된 그림을 해당 그림 항목의 그림 데이터로 갱신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 블록(108)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중인 영상에서 갱신 대상 그림을 선택하면, 라인 L19를 통해 선택된 그림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인출하고 이 인출된 그림 데이터를 라인 L20을 통해 메모리 블록(112)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으로 갱신한다.
한편, 메뉴 발생 블록(110)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화면 서비스)시에, 라인 L12를 통해 메뉴 생성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메모리 블록(112)을 탐색하여 대응하는 메뉴 데이터를 인출하며, 그래픽 처리를 통해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구성된 메뉴 화면 데이터를 NTSC 또는 PAL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라인 L13을 통해 영상 합성 블록(116)으로 전달한다.
이때, 메모리 블록(112)에는 다수의 메뉴 데이터, 즉 문자 메뉴 데이터 및 그림 메뉴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 여기에 저장된 그림 메뉴 데이터들내 그림 항목 데이터들은 라인 L20을 통해 제어 블록(108)으로부터 제공되는 그림 데이터들로 갱신될 수 있다.
다음에, 윈도우 발생 블록(114)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사각 형상의 기설정된 다수개의 윈도우 데이터가 저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갱신 모드시에 라인 L14를 통해 제어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윈도우 발생 제어신호(즉, 윈도우 결정신호를 포함하는 윈도우 발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다수의 윈도우 데이터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라인 L16을 통해 영상 합성 블록(116)으로 제공한다.
또한, 윈도우 발생 블록(114)에서는, 영상 화면상에 윈도우가 디스플레이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윈도우 위치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여 라인 L15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 이동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선택된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데이터를 발생하여 라인 L16을 통해 영상 합성 블록(116)으로 제공한다.
한편, 영상 합성 블록(116)에서는, 시청 모드시에 라인 L11을 통해 제공되는 선택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라인 L17을 통해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라인 L11 상의 방송 채널 비디오 신호와 라인 L13 상의 메뉴 화면 데이터(예를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은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 등)를 합성하여 얻은 혼합 비디오 신호를 라인 L17을 통해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합성 블록(11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갱신 모드(즉,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을 갱신하는 모드)시에, 라인 L11 상의 방송 채널 비디오 신호와 라인 L16 상의 윈도우 윈도우 데이터 또는 윈도우 위치 이동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은 윈도우 혼합 비디오 신호를 라인 L17을 통해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의 모니터상에는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메뉴 화면 또는 윈도우 데이터가 합성된 혼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다른한편, 라인 L17 상의 비디오 신호(즉, 윈도우 혼합 비디오 신호)는 위치 탐색 블록(118)으로 제공되는 데, 위치 탐색 블록(118)에서는 비디오 신호에 합성된 윈도우의 위치를 탐색하고, 그 탐색 결과로써 얻어지는 윈도우 위치 정보(즉, 윈도우의 좌상측 및 우하측 좌표값 정보)를 라인 L18을 통해 제어 블록(118)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 블록(108)에서는 도시 생략된 조작수단으로부터 갱신 대상 그림에 대한 선택신호가 제공될 때 라인 L18 상의 윈도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 대상 그림의 위치를 결정한 다음, 선택된 그림 항목에 대한 데이터 갱신 동작을 수행, 즉 라인 L19를 통해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결정된 위치에 있는 그림 데이터를 인출하고, 이 인출된 그림 데이터를 라인 L20을 통해 메모리 블록(112)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 데이터로 갱신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TV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를 이용하여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그림으로 갱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그림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블록(108)에서는 디지탈 TV가 시청 모드를 실행중일 때(단계 202), 그림 메뉴내 그림을 갱신하기 위한 갱신 요구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20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그림 메뉴 갱신 요구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8)에서는 라인 L12 상에 갱신 메뉴 입력 화면의 생성을 위한 메뉴 생성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메뉴 발생 블록(110)으로 제공한다.
다음에, 메뉴 발생 블록(110)에서는 메뉴 생성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블록(112)으로부터 인출한 갱신 메뉴 데이터에 의거해 갱신 메뉴 입력 화면을 구성하고, 이 구성된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라인 L13을 통해 영상 합성 블록(116)으로 전달하며, 또한 영상 합성 블록(116)에서는 라인 L11 상의 방송 채널 비디오 신호와 라인 L13 상의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은 혼합 비디오 신호를 라인 L17을 통해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의 모니터상에는, 일예로써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 영역(300)의 소정 위치에 갱신 메뉴 입력 화면(310)이 합성된 혼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206).
여기에서, 갱신 메뉴 입력 화면은 메뉴명 항목, 항목명 항목, NO 항목 및 OK 항목을 포함하는 데, 메뉴명 항목은 그림을 갱신하고자하는 그림 메뉴명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항목명 항목은 선택된 그램 메뉴내 그림 항목명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NO 항목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현재 진행중인 메뉴 갱신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것이고, OK 항목은 메뉴명과 항목명을 입력한 후에 입력 완료를 알리기 위해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계(208)에서는 갱신하고자하는 그림 메뉴명과 항목명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즉 갱신 메뉴 입력 화면상의 OK 항목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8)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에 의거하여 윈도우 크기를 결정한 다음, 그 결정신호와 함께 윈도우 발생 제어신호를 라인 L14 상에 발생한다.
다음에, 윈도우 발생 블록(114)에서는 라인 L14 상의 윈도우 결정신호에 의거하여 다수의 윈도우중 하나를 선택하여 라인 L16 상에 제공하고, 영상 합성 블록(116)에서는 윈도우 혼합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라인 L17을 통해 디스플레이측 및 위치 탐색 블록(118)으로 제공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측의 모니터상에는, 일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송 채널 비디오 신호 영역(300)에 윈도우(320)가 합성된 형태의 혼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210). 이때,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사용자가 윈도우 위치를 이동시킬 때 그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위치 이동 조작신호가 라인 L15를 통해 윈도우 발생 블록(114)으로 제공된다.
이때, 위치 탐색 블록(118)에서는 비디오 신호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의 위치 정보(즉, 좌표값 정보)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윈도우 위치 정보를 라인 L18을 통해 제어 블록(108)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통해 모니터상에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 블록(108)은 조작수단으로부터 갱신용 그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212),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그림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라인 L18 상의 윈도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 대상 그림의 위치를 결정한 다음(단계 214), 라인 L19를 통해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결정된 위치에 있는 그림 데이터를 인출하고(단계 216), 이 인출된 그림 데이터를 라인 L20을 통해 메모리 블록(112)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 데이터를 방송 채널 비디오에서 선택한 임의의 그림으로 갱신한다(단계 218).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통해 메모리 블록(112)에 저장된 임의의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 비디오 신호내의 임의의 그림으로 갱신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에 사용되는 그림을 시청중인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에서 임의 선택한 임의의 그림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탈 텔레지젼에서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메뉴 데이터 및 그림 메뉴 데이터를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저장된 상기 그림 메뉴를 갱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메뉴 갱신 요구신호가 인가될 때, 갱신하고자하는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을 선택하기 위한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이 선택되면, 선택된 그림 항목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발생하여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모니터상에서 윈도우 위치가 이동할 때 그에 상응하는 윈도우 위치 이동신호를 발생하는 윈도우 발생 수단;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중인 윈도우의 위치 정보를 그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탐색하여 그에 상응하는 윈도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탐색 수단; 및
    모니터상에서 갱신용 그림이 선택될 때, 상기 검출된 윈도우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 대상 그림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위치의 그림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인출하며, 상기 선택된 그림 항목의 그림을 상기 인출된 그림 데이터로 갱신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발생 수단은, 상기 다수의 그림 메뉴내 각 그림 항목들의 크기에 각각 대응 가능한 기설정된 다수의 윈도우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윈도우중 상기 선택된 그림 항목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결정하여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탐색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중인 윈도우의 좌상측 및 우하측 좌표값을 상기 윈도우 위치 정보로써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장치.
  4.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메뉴 데이터 및 그림 메뉴 데이터를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저장된 상기 그림 메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청모드의 실행중에 메뉴 갱신 요구신호가 인가될 때, 그에 응답하여 갱신하고자하는 그림 메뉴명 항목 및 그림 항목명 항목을 갖는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의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
    상기 그림 메뉴명 및 그림 항목명이 선택되면, 상기 갱신 메뉴 입력 화면 데이터를 오프시키고 선택된 그림 항목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발생하여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며, 조작에 따른 윈도우 위치 조작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모니터상에서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중인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그 움직임에 따라 연속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윈도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가 위치하는 비디오 신호 영역의 그림이 선택될 때, 상기 검출된 윈도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 대상 그림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상기 결정된 위치에 있는 그림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선택된 그림 메뉴내 그림 항목의 그림을 상기 인출된 그림 데이터로 갱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갱신 방법.
KR1019980049731A 1998-11-19 1998-11-19 디지탈텔레비젼에서의메뉴갱신장치및방법 KR100303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31A KR100303090B1 (ko) 1998-11-19 1998-11-19 디지탈텔레비젼에서의메뉴갱신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31A KR100303090B1 (ko) 1998-11-19 1998-11-19 디지탈텔레비젼에서의메뉴갱신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065A true KR20000033065A (ko) 2000-06-15
KR100303090B1 KR100303090B1 (ko) 2001-09-24

Family

ID=1955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731A KR100303090B1 (ko) 1998-11-19 1998-11-19 디지탈텔레비젼에서의메뉴갱신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22B1 (ko) * 2001-04-1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메뉴 설정 방법 및 장치
US8402491B2 (en) 2007-04-03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TV program
US9467747B2 (en) 2007-04-03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multimedia content
CN108810581A (zh) * 2017-07-12 2018-11-13 北京视联动力国际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软件菜单的更新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610A (ko) * 1996-05-22 1997-12-12 배순훈 대화형 catv에서의 커서지정에 의한 메뉴선택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22B1 (ko) * 2001-04-1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메뉴 설정 방법 및 장치
US8402491B2 (en) 2007-04-03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TV program
US9467747B2 (en) 2007-04-03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multimedia content
CN108810581A (zh) * 2017-07-12 2018-11-13 北京视联动力国际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软件菜单的更新方法和装置
CN108810581B (zh) * 2017-07-12 2020-09-08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软件菜单的更新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3090B1 (ko) 200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14470A (ja) 放送システムの番組ガイドを生成及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64831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JP2007195221A (ja) 電子番組ガイドの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4175369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0700946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22892A (ko) 피아이피를 이용한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방법
KR100303090B1 (ko) 디지탈텔레비젼에서의메뉴갱신장치및방법
KR101265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US200802950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program and menu
JP417858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30067953A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249451A (ja) メニュー表示装置
KR10064192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채널 탐색 제어방법
JPH0732216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KR100285596B1 (ko)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283582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방법
JPH07284036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階層表示方法
KR10099177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이름 설정장치 및 그 방법
EP1919195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1867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index of received teletext pages
KR100248745B1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메뉴 화면 구동 방법
KR100579624B1 (ko) 영상 재생 시스템의 채널 선택 방법
KR1014902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JP2009177706A (ja) 放送受信装置
KR19990026850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안내 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