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500A -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500A
KR20000030500A KR1020000010813A KR20000010813A KR20000030500A KR 20000030500 A KR20000030500 A KR 20000030500A KR 1020000010813 A KR1020000010813 A KR 1020000010813A KR 20000010813 A KR20000010813 A KR 20000010813A KR 20000030500 A KR20000030500 A KR 2000003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ing
manually
recep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면구
Original Assignee
강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면구 filed Critical 강면구
Priority to KR102000001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500A/ko
Publication of KR2000003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이동전화기(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원천봉쇄하여 교통사고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고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데 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칫번째 방법으로는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이 있다. 속도 또는 진동을 자동으로 감지(감응)하는 센서[속도자동감지(감응)센서, 진동자동감지(감응)센서]를 이동전화기(단말기) 내부에 장착하여 운전중일때 자동차의 일정속도 및 일정진동을 자동으로 감지(감응)하여 센서에 감지(감응)된 속도와 진동이 센서에 셋팅(입력)된 기준값 이상이면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으로 차단되어 운전중일때는 통화가 안되게 한다. 이동전화기(단말기)의 표시부 LCD 화면에는 DRI라고 표시되어 DRI 모드로 설정 되었음을 표시 안내해 준다.
어느 발신자가 운정중인 수신자의 이동전화기(단말기)에 발신을 하였을때 이동전화교환국에서 "운전중"이라는 안내메세지 내보내고 음성, 문자, 전화전호를 남기라고 최종 안내메세지를 내보낸다. 운전이 종료되면 이동전화기(단말기)는 일정시간후에 현재사용되고 있는 일반 이동전화기(단말기)와 동일하게 수신 또는 발신 자유롭고 운전중에 이동전화기(단말기)에 수신된 메세지(음성, 문자, 전화번호)가 표시부 LCD 화면에 표시되고 벨이나 진동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다시한번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자에 알려준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수동으로 수발신을 차단(설정,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입력조작부의 조작키(버튼)인 DRI가 추가된 단말기 신규제작과 DRI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 제작이 선행 되어야 한다. 방법으로는 이동전화기(단말기)의 DRI 조작키(버튼)를 1번 누르면 LCD 화면에 DRI라고 표시되고 이동전화기(단말기)는 수신 또는 발신이 안된다. 다시한번 DRI 조작키(버튼)을 누르면 LCD 화면에서 DRI가 없어지고 일정시간후에 현재사용되고 있는 일반 이동전화기(단말기)와 같이 수신 또는 발신 자유롭고 운전중에 이동전화기(단말기)에 수신된 메세지(음성, 문자, 전화번호)가 표시부 LCD 화면에 표시되고 벨이나 진동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다시한번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자에 알려준다.

Description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Device which manually or automatically regulate incoming and outgoing calls of celluar phone.}
본 발명은 현재 인간이 사용중인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응용 및 복합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자가 운전중 속도 또는 진동을 자동으로 감지(감응)하는 센서[속도자동감지(감응)센서, 진동자동감지(감응)센서]를 이동전화기(단말기) 내부 장착하여 일정속도가 감지(감응)되거나 일정진동이 감지(감응)되면 자동으로 수신 또는 발신이 안되게 하는 장치
현재 이동전화기(단말기) 운전중이나 병원이나 비행기 탑승중에나 수신 또는 발신이 되는 지역이면 사용(통화)이 가능하다. 특히 전세계 국가의 사망사고 원인중 1위가 교통사고라고 한다. 그중 교통사고의 분석통계자료에 의하면 1위가 운전중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이라고 한다. 현재 각국가의 사회적 문제가 되어 국내에서도 운전중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금지안을 국가기관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본 발명은 운전중 또는 어느 특별한 제한장소에서의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교통사고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그외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전화기(단말기) 안테나와 고주파증폭기 사이에 속도자동감지(감응)센서와 진동자동감지(감응)센서를 내장(설치)하여 운전중일때는 수신 또는 발신을 차단하는 장치
키패드(입력조작부)의 조작키(버튼)인 DRI가 추가된 단말기 신규제작과 DRI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
도1은 이동전화기(단말기)의 내부 블럭도 일부
수신 또는 발신을 차단할 수 있는 센서를 안테나(3)와 고주파증폭기(4)사이에 장착(설치)한 도면의 일부
(1)은 속도자동감지(감응)센서, (2)는 진동자동감지(감응)센서,
(3)은 안테나, (4)는 고주파증폭기, (5)는 송신주파수 합성회로
(6)은 수신주파수 합성회로
도2는 일반 이동전화기(단말기) 평면도 일부
(1)은 DRI 설정시의 LCD 화면에 표기된 상태
(2)는 입력조작부 DRI 조작키(버튼)
DRI : Driver 또는 Driving의 준말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제조회사는 많다, 그러나 내부구조 및 사용된 기기들은 비슷하다. 도1과 같이 안테나(3)과 고주파증폭기(4) 사이에 속도자동감지(감응)센서(1)와 진동자동감지(감응)센서(2)를 내장 설치(장착)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운전중인 운전자의 이동전화기(단말기)는 수신 또는 발신이 안된다.
운전중 이동전화기(단말기) 사용으로인한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가 현저히 줄어 들것이고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을 찾아 안전운행을 할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교통사고 발생율이 줄어들어 국가의 오명을 지울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이동전화기(단말기) 안테나와 고주파증폭기 사이에 속도자동감지(감응)센서와 진동자동감지(감응)센서를 내장(설치)하여 운전중일때는 수신 또는 발신을 차단하는 장치
  2. 키패드(입력조작부)의 조작키(버튼)인 DRI가 추가된 단말기 신규제작과 DRI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
KR1020000010813A 2000-03-03 2000-03-03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KR20000030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813A KR20000030500A (ko) 2000-03-03 2000-03-03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813A KR20000030500A (ko) 2000-03-03 2000-03-03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500A true KR20000030500A (ko) 2000-06-05

Family

ID=1965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813A KR20000030500A (ko) 2000-03-03 2000-03-03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50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695A (ko) * 2000-09-06 2002-03-13 윤종용 차량의 고속 이동중 휴대폰의 통화 제어방법
KR20020059031A (ko) * 2000-12-30 2002-07-12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터치 링톤 차단방법
KR20030024310A (ko) * 2001-09-17 2003-03-26 신현섭 휴대전화 통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KR20030063621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제어방법
KR20040036810A (ko) *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운전중 휴대폰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0439224B1 (ko) * 2002-07-02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WO2008151196A1 (en) * 2007-06-04 2008-12-11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877490B1 (ko) * 2006-11-03 2009-01-12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KR101037676B1 (ko) * 2009-01-06 2011-05-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통신 서비스 활성 또는 비활성 결정 방법
KR101037674B1 (ko) * 2004-01-06 2011-06-0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통신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활성 및/또는 비활성 결정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695A (ko) * 2000-09-06 2002-03-13 윤종용 차량의 고속 이동중 휴대폰의 통화 제어방법
KR20020059031A (ko) * 2000-12-30 2002-07-12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터치 링톤 차단방법
KR20030024310A (ko) * 2001-09-17 2003-03-26 신현섭 휴대전화 통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KR20030063621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제어방법
KR100439224B1 (ko) * 2002-07-02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KR20040036810A (ko) *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운전중 휴대폰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037674B1 (ko) * 2004-01-06 2011-06-0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통신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활성 및/또는 비활성 결정 시스템
KR100877490B1 (ko) * 2006-11-03 2009-01-12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WO2008151196A1 (en) * 2007-06-04 2008-12-11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8306551B2 (en) 2007-06-04 2012-11-06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8559934B2 (en) 2007-06-04 2013-10-15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037676B1 (ko) * 2009-01-06 2011-05-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통신 서비스 활성 또는 비활성 결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3333B1 (en) Modifica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operation in vehicles
JP3989843B2 (ja) 移動中の自動車内の無線電話の使用を制限するための自動車コンピュータ制御システム
CN101027922A (zh) 无线通信终端的免提提醒
KR20000030500A (ko) 이동전화기(단말기)의 수신 또는 발신을 자동 또는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JP2000165952A (ja) 携帯移動電話機及びその使用規制方法
US6473031B1 (en) Position privacy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29913A (ko)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사용 중 전화 수신 방법
KR20000002250A (ko) 휴대폰에서의 잠김기능 설정 및 회수요청 메세지 표시방법
KR200193132Y1 (ko) 운전자의 주행중 휴대폰 사용 방지 장치
KR20000042944A (ko) 휴대폰에서 수신제한방법
JPH04351127A (ja) 無線電話装置
JPH05175878A (ja) プレストーク通話制御装置
GB2408174A (en) External control of operation modes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900002584A (ko) 무선 회선 제어 방법
JP3033744B1 (ja) 携帯端末のダミー基地局及びこれを用いた通話制限システムとその通話制限方法
KR1007769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JP3384960B2 (ja) 赤外線通信装置
JPH0290736A (ja) 個人追跡方式
JP2785377B2 (ja) 自動車電話装置
JP2842033B2 (ja) 無線電話方式
CN105306724A (zh) 移动通讯系统及其控制方法
KR19990059599A (ko) 통신신호의에러체크와재전송방법
JP2987800B2 (ja) 無線電話装置
KR20020039368A (ko)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춘 이동 전자 기기
KR20020019695A (ko) 차량의 고속 이동중 휴대폰의 통화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