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137A -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 Google Patents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137A
KR20000029137A KR1019990044971A KR19990044971A KR20000029137A KR 20000029137 A KR20000029137 A KR 20000029137A KR 1019990044971 A KR1019990044971 A KR 1019990044971A KR 19990044971 A KR19990044971 A KR 19990044971A KR 20000029137 A KR20000029137 A KR 2000002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incident
refractive surface
reference axis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38596B1 (en
Inventor
이이다세이지
우에하라쯔카사
카와노켄지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95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21944A/en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2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1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59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bstract

PURPOSE: A CCD(Charge Coupled Device) is provided to exactly decide a position of a reference axis of a light incident side by using a convex/concave structure, to perform a back focus controlling form capable of reducing a cost for miniaturizing an apparatus and costs of components. CONSTITUTION: A CCD(Charge Coupled Device) has an incident refractive side, an emission refractive side, and reflective sides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ide and the emission refractive side. A luminous flux is incident on an inner part of an optical element on the incident refractive side, is reflective on the reflective sides several times, and emits from the emission refractive side. A convex/concave structure is formed in a cylinder shape by standardizing a reference axis of the luminous flux which is incident on around the incident refractive side. The convex/concave structure has a vertical plane on the reference axis. A side part of the convex/concave structure is formed o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reference axis. The reflective sides includes a reflective side bending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refractive side into 90 degrees.

Description

광학소자, 광학소자의 유지구조 및 촬상장치{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입사굴절면, 출사굴절면 및 내면반사면을 가진 광학소자, 광학소자용 유지구조와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element having an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 exit refractive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reflecting surface, a holding structure for the optical element, and an imaging device.

전자스틸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촬상은 광학계에 의해 촬상소자(이후, 예로서 대표하여 CCD라고 함)상에 결상된 피사체상을 CCD가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행해진다.In an electronic still camera or a video camera, imaging is performed by converting an image of a subject formed on an imag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CD by way of example) by an optical system into an electrical signal.

광학계에 의한 최선의 결상점의 전후에서 실용상 충분히 선명한 상이 얻어지는 범위를 초점심도라고 한다. 디포커싱이나 부분디포커싱없이 촬상을 행하기 위해서는 CCD면을 그 초점심도내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오토포커스기구를 구비한 광학계 및 촬상계에서는 초점을 검출해서 항상 CCD면이 초점심도내에 있도록 렌즈군의 위치조정을 행하고 있다. 한편, 오토포커스기구를 가지지 않는 광학계 및 촬상계에서는, 광학계에 대한 CCD면의 거리를 조정하는 백포커스(back-focus)조정이 필요하게 된다.The depth at which a sufficiently clear image is practically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best imaging point by the optical system is called the depth of focus. In order to perform imaging without defocusing or partial defocusing, it is necessary to position the CCD surface within its depth of focus. In an optical system and an imaging system equipped with an autofocus mechanism, the lens group is adjusted so that the focus is detected and the CCD surface is always within the depth of focus. On the other hand, in an optical system and an imaging system that do not have an autofocus mechanism, a back-focus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CC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system is required.

백포커스조정에는 예를 들면, 조립시에 치공구를 사용해서 조정하는 방법이나 CCD유지부재에 조정기구를 합체해서 조립후에 백포커스를 조정하는 방법등이 행해진다.For example, the back focus adjustment may be performed by using a tool at the time of assembly, or by adjusting the back focus after assembly by incorporating an adjustment mechanism in the CCD holding member.

이상의 백포커스조정방법중 전자는 조정후에 CCD를 접착 등에 의해 완전히 고정하기 때문에 교환이나 재사용할 수 없고, 조정공정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In the above-described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since the former completely fixes the CCD by adhesion or the like after adjustment, it cannot be replaced or reused, and the adjustment process takes a long time.

한편, 전술한 백포커스조정방법중 후자의 일예를 도 9A, 도 9B에 표시한다. 도 9A는 일반적인 단초점렌즈와 촬상계를 포함한 면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A에 있어서, CCD는 단면으로 표시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one example of the latter of the above-described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is shown in Figs. 9A and 9B.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a plane including a general single focal lens and an imaging system. In Fig. 9A, the CCD is not shown in cross section.

도 9B는 도 9A에 있어서, 2점쇄선부를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CCD백포커스조정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있어서, (101)은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군이고, (102)는 렌즈군(101)을 유지 및 차광하는 렌즈통이고, (103)은 수정 로우-패스(low-pass)필터와 적외커팅필터로 이루어진 광학보정판이고, (104)는 CCD이고, (104a)는 CCD의 촬상면이고, (104b)는 촬상면(104a)의 코너부이고, (105)는 CCD(104)를 유지하는 금속제의 CCD유지판이고, (106)은 CCD(104)의 단자를 납땜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플렉시블케이블(108) 등에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CCD기판이고, (107)은 CCD유지판(105)과 CCD기판(106)을 절연하는 절연부재이고, (109)는 CCD유지판(105)을 렌즈통(102)에 대해서 백포커스 및 기울기를 조정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이스판이고, (109a)는 베이스판(109)을 렌즈통(102)에 위치규제하는 위치결정홀이고, (109b)는 베이스판(109)을 렌즈통에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홀이다. (110)은 백포커스를 조정하는 백포커스이송나사이고, (111) 및 (112)는 CCD유지판(105)을 베이스판(109)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및 부세나사이고, (113)은 CCD유지판 (105)의 x축 및 y축둘레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나사이다.FIG. 9B is a view of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arrow direction in FIG. 9A, and is a plan view of the CCD back focus adjustment mechanism. 9A and 9B,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lens group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102 denotes a lens barrel for holding and shielding the lens group 101, and 103 denotes a crystal low-pass. pass) filter and infrared cutting filter, an optical correction plate, 104 is a CCD, 104a is an imaging surface of the CCD, 104b is a corner portion of the imaging surface 104a, and 105 is a CCD 104 Is a CCD holding plate made of metal for holding a film, 106 is a CCD board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terminals of the CCD 104 with solder, etc.,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flexible cable 108, etc., and 107 is a CCD holding plate. An insulating member for insulating the 105 and the CCD substrate 106, 109 is a base plate for holding the CCD holding plate 105 with adjustable back focus an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ens barrel 102, and 109a. Denotes a positioning hole for positioning the base plate 109 in the lens barrel 102, and 109b is a screw hole for screwing the base plate 109 into the lens barrel.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back focus screw for adjusting the back focus, reference numerals 111 and 112 denote springs and bias screws for biasing the CCD holding plate 105 toward the base plate 109, and reference numeral 113 indicates a CCD. It is an inclination adjustment screw which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x- and y-axis circumference of the holding plate 105.

백포커스이송나사(110)는 베이스판(109)의 나사부와 맞물려있고, 선단은 CCD유지판(105)에 접촉되어 있다. 도 9A에 표시한 예에서는 CCD촬상면(104a)의 코너부(104b)에 대응하는 CCD유지판(105)의 이면의 개소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CCD(104)는 CCD유지판(105)에 지그에 의해 위치를 맞춘 후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CCD유지판(105)은 백포커스이송나사(110)에 의해 광학계로부터의 거리가 변화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백포커스이송나사(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CCD유지판(105)은 렌즈군(101)을 향해서 이동하여 백포커스가 감소된다. 반대로, 백포커스이송나사(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CCD유지판(105)은 렌즈군(101)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백포커스를 증가시킨다.The back focus screw 110 is engaged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ase plate 109, and the tip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CCD holding plate 105.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A, the posi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CCD holding plate 105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104b of the CCD imaging surface 104a is brought into contact. The CCD 104 is fixed to the CCD holding plate 105 by adhesion after being positioned by a jig. The CCD holding plate 105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optical system is changed by the back focus transfer screw 110. That is, when the back focus transfer screw 1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CD holding plate 105 moves toward the lens group 101 to reduce the back focus. On the contrary, when the back focus screw 1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CCD holding plate 105 moves away from the lens group 101 to increase the back focus.

또한, CCD유지판(105)의 기울기는 부세나사(112)와 2개의 기울기조정나사(113)에 의해서 조정된다. 부세나사(112)는 CCD유지판(105)의 나사홀과 맞물려있고, 베이스판(109)에 대해서는 베이스판(109)의 평면방향으로 위치규제되어 있을 뿐 축방향으로는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부세나사(112)와 베이판(109)사이에는 부세나사(112)의 헤드부를 이용해서 스프링(111)이 압축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스프링(111)의 반발력에 의해서 부세나사(112)에 대해서 렌즈군(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력이 부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CCD유지판(115)에는 백포커스이송나사(110)의 선단을 지지점으로 하는 회전모멘트가 작용하지만, 2개의 기울기조정나사(113)에 의해 CCD유지판(105)의 기울기를 제한한다. 즉, 기울기조정나사(113)는 CCD유지판(105)의 나사홀과 맞물려 있으나 베이스판(109)에 대해서는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기울기조정나사(113)의 헤드부가 베이스판(109)과 접촉하는 개소에서, CCD유지판(105)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CCD유지판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해 기울기조정나사(113)가 당겨진다. 이때에, CCD결상면(104a)의 코너부(104b)를 통하는 CCD촬상면(104a)의 긴변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x축, 짧은변에 평행한 축을 y축이라고 하면, 기울기조정나사(113)는 x축상과 y축에 배치되어 있고, 기울기조정나사(113)의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x축둘레 혹은 y축둘레에서 CCD유지판(105)을 회전시킨다. 상기의 방식으로 백포커스이송나사(110)와 기울기조정나사(113)를 배치함으로써 x축둘레 또는 y축둘레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정을 행하도록 한다.Incidentally, the inclination of the CCD holding plate 105 is adjusted by the biasing screw 112 and the two inclination adjusting screws 113. The biasing screw 112 is engaged with the screw hole of the CCD holding plate 105, and the base screw 109 can be freely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09. The spring 111 is hel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biasing screw 112 and the bay plate 109 by using the head of the biasing screw 112, and the spring 111 is pushed against the biasing screw 112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111. A negative force is add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ens group 101. As a result, the rotation moment having the front end of the back focus screw 110 acts on the CCD holding plate 115, but the tilt of the CCD holding plate 105 is limited by the two tilt adjusting screws 113. . That is, the inclination adjustment screw 113 is engaged with the screw hole of the CCD holding plate 105, but the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inclination adjustment screw 113 is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109 because the base plate 109 is free to move. , The tilt adjusting screw 113 is pulled by the moment acting on the CCD holding plate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CCD holding plate 105. At this time, when the axis parallel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CD imaging surface 104a through the corner portion 104b of the CCD imaging surface 104a is referred to as the x axis and the axis parallel to the short side is referred to as the y axis, the inclination adjustment screw 113 is Arranged on the x-axis and the y-axis, the CCD holding plate 105 is rotated around the x-axis or the y-axis by rotating one of the inclination adjustment screws 113. By arranging the back focusing screw 110 and the tilt adjusting screw 113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djustment is easily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x-axis or the y-axis.

이상의 조작을 평가용 차트를 촬영한 CCD(104)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하면서 행함으로써 CCD(104)의 백포커스 및 기울기조정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백포커스조정방법에 있어서, 백포커스조정을 행할 때, CCD유지판(104)의 지지점은 그 위치를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백포커스조정후에 항상 기울기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고 백포커스조정을 기울기조정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없다.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monitoring the video signal from the CCD 104 in which the evaluation chart is photographed to adjust the back focus and tilt of the CCD 104.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when performing the back focus adjustment, the support point of the CCD holding plate 104 changes its pos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lways perform tilt adjustment after the back focus adjustment, and the back focus adjustment cannot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tilt adjustment.

또한, 도 9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렌즈군(101)은 외주를 이용해서 광축에 수직한 방향을 렌즈통내주에 위치결정시키는 동시에, 렌즈굴절면은 렌즈통안쪽의 단차에 접촉시켜서 광축방향을 위치결정시킨 후, 접착이나 설정링 등에 의해서 렌즈통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학계에서는 복수의 렌즈의 위치 및 렌즈군과 CCD의 위치를 정밀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렌즈 각각의 정밀도와 렌즈통의 정밀도를 높임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A, the lens group 101 uses the outer periphery to posi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o the lens barrel inner periphery, and the lens refractive surface contacts the step inside the lens barrel to positi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fter that, it is fixed to the lens barrel by adhesion, a set ring, or the like. In such an optical system,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alig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positions of the lens group and the CCD. This can be realized by increasing the precision of each lens and the precision of the lens barrel.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광학유닛은 복수의 단일렌즈가 렌즈통에 유지되어 형성되고, 광학유닛은 카메라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렌즈통은 복수의 복잡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고정밀도의 조립정밀도가 필요하다. 또한, 도장이나 알루미늄양극산화 등과 같은 표면처리는 렌즈통의 부품에 필요하고 결국 고가의 부품으로 되었다. 또한, 광학유닛전체의 사이즈는 단일렌즈보다 상당히 커졌다.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optical unit is formed by holding a plurality of single lenses in the lens barrel, and the optical unit is fixed to the camera body. The lens barre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licated parts, and high precision assembly precision is required. In addition, surface treatments such as painting and aluminum anodization are necessary for the parts of the lens barrel and eventually become expensive parts. In addition, the size of the entire optical unit is considerably larger than that of a single lens.

최근, 비디오카메라나 전자스틸카메라의 보급에 따라서, 한층 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된다. 또한, 정보산업기반이 정비됨에 따라서 휴대통신 단말기에도 화상정보기능의 부가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하여 장치의 구성요소의 1개인 광학계에서도 소형화의 연구개발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5,825,560호와 1996년 2월 26일자로 출원한 미국특허출원 제 08/606,8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투명체의 표면에 2개의 굴절면과 복수의 반사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광속이 1개의 굴절면으로부터 투명체의 내부로 입사하고, 복수의 반사면에서 반사를 반복해서 다른 굴절면으로부터 반사하도록 구성된 광학소자가 고안되어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spread of video cameras and electronic still cameras, further miniaturization of devices is required. In addition, as the foundation of the information industry has been established, the addition of image information functions is required to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Further, in order to realize these demands, miniaturized research and development is carried out even in an optical system that i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pparatus. For example, as disclosed in US Patent No. 5,825,560 and US Patent Application No. 08 / 606,825, filed February 26, 1996, two refractive surfaces and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dy, An optical element has been devised so that a light beam enters the inside of a transparent body from one refraction surface, and the reflection is repeatedly reflected from another refraction surface on a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이 광학소자는 다수회의 결상을 반복해서 물체상을 전달해서 구성을 함으로써 각면의 광선유효경을 작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렌즈에 비해서 광학소자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종래와 같은 렌즈통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광학소자의 비용과 부품의 갯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The optical element can keep the light effective diameter of each surface small by repeating the formation of a plurality of times and transferring the object image, thus making it possible to miniaturize the optical element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lens.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ens barrel is not required, the cost of the optical element,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size can be reduced.

그래서, 광학소자는 촬상장치에서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렌즈에 있어서 각각의 렌즈의 정밀도와 렌즈통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실현된다. 그러나, 본 광학계는 렌즈통을 제거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능력을 그 하나의 이점으로 하므로, 종래와는 다른 위치결정방법이 필요하다.Thus, the optical element must b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in the imaging device. This is realized by improving the accuracy of each lens and the accuracy of the lens barrel in the conventional lens as mentioned above. However, since the present optical system has one advantage of its ability to realiz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by removing the lens barrel, a positioning method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s required.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반사면을 일체로 형성한 광학소자를 사용해서 촬상장치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언급한 종래의 백포커스조정기구의 사용이 장치의 소형화나 저코스트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이 본 광학소자의 특징의 이점이나 소형화와 저코스트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광학계에 적절한 백포커스조정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However, if the imaging device is constructed using optical el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are integr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conventional back focus adjustment mechanism mentioned above causes a problem of miniaturization and low cost of the device. . Since this problem reduces the advantages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optical element, or the possibility of miniaturization and low co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suitable for such an optical system.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반사면을 일체로 가진 광학소자를 사용해서 촬상장치를 구성하면, 카메라본체에 유지부재를 유지하는 종래의 렌즈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지부재에 의해 광학소자를 유지하고 종래의 구성의 사용이 장치의 사이즈와 부품의 개수, 비용 등을 증가시키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차광이나 방진을 위하여 렌즈통으로 광학계전체를 덮는 종래의 광학계의 구성의 사용은 마찬가지로 장치의 코스트와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imaging device is configured using an optical element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element is held by the holding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ens barrel holding the holding member in the camera body. Another problem arises that the use of the configuration increases the size of the device, the number of parts, the cos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use of the conventional optical system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tical system is covered with the lens barrel for light shielding or dust protection also causes another problem of increasing the cost and size of the apparatus.

광학소자를 사용한 촬상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광학소자로의 입사광량을 규제하는 광학다이어프램수단이 필요하다. 광학다이어프램수단으로서는 일반적으로 각종 직경의 홀을 가진 다이어프램블레이드가 수동이나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는 소위 터렛시스템이 사용되거나, 2매이상의 다이어프램블레이드에 의해 이루어진 간극에서 애퍼추어가 형성되고, 에퍼추어의 사이즈가 구동수단에 의해 다이어프램블레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되는 소위 IG-미터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수단이 본 광학소자에 사용될 때, 다이어프램블레이드가 유지부재에 의해서 유지되고, 다이어프램블레이드를 포함한 유지부재가 광학소자의 입사면에 배치되면, 유지장치의 두께에 의한 촬상장치의 두께증가에 기인해서, 박형화를 실현하는 본 광학계의 이점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using optical elements, optical diaphragm means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to the optical elements is required. As an optical diaphragm means, a so-called turret system in which a diaphragm blade having holes of various diameters is generally rotated by manual or driving means is used, or an aperture is formed in a gap formed by two or more diaphragm blades, and the size of the aperture A so-called IG-meter system is used, in which is changed by moving the diaphragm blade by the drive means. When such a diaphragm means is used in the present optical element, if the diaphragm blade is held by the holding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including the diaphragm blade is disposed on the incident surface of the optical element, the thickness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is caused by the thickness of the holding apparatus. Thu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advantage of the present optical system for realizing thinning is impaired.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광학소자를 유지하고, 광학다이어프램수단을 배치하는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다.As mention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 suitable method of holding such optical elements and arranging optical diaphragm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의 광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tical path of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를 표시하는 사시도3A, 3B, and 3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optical e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소자유지부와 스페이서를 표시한 사시도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tical element holding portion and a spac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광학소자유지부에 인접한 부품을 표시하는 단면도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nent adjacent to an optical element holding portion of the imaging devi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광학다이이프램부를 분해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diaphragm portion of the imaging device is disassembl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백포커스(back-focus)조정부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focus adjustment unit of the imaging devi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백포커스조정부를 표시하는 평면도8A and 8B are plan views showing the back focus adjustment unit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와 도 9B는 종래의 촬상장치에 있어서 광학계를 표시하는 단면도9A and 9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optical system in a conventional imaging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광학소자 1a: 가장자리부1: optical element 1a: edge portion

2: 상부케이스 2a: CCD유지벽2: upper case 2a: CCD holding wall

2b: 리브 2c: 평면부2b: rib 2c: flat part

2d: 광학소자유지부 3: 하부케이스2d: optical element holding part 3: lower case

4: 스페이서 7: CCD4: spacer 7: CCD

13: 압압자 15: 조정부13: indenter 15: adjuster

20: 메인기판 30: 유지부20: main board 30: holding part

32: 다이어프램블레이드 51: 캠베이스32: diaphragm blade 51: cam base

52: 조정캠52: Rowing Cam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입사굴절면, 출사굴절면 및 상기 입사굴절면과 출사굴절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내면반사면을 광학소자에 상기 입사굴절면의 기준면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한 광학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n optical element formed with a structure for making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the exit refractive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inner surface reflecting surface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exit refractive surface to rotate around the reference plane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to the optical element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입사굴절면, 출사굴절면 및 상기 입사굴절면과 출사굴절면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배면반사면을 가진 광학소자와, 입사굴절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 이동에 따라서 그 애퍼추어 직경을 변화시키도록 배치된 다이어프램부재를 구비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element having an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 exit refractive surface and a plurality of back reflecting surfaces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exit refractive surfac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whose aperture diame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t is to provide an imaging device having a diaphragm member arranged to be changed.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구성은 첨부도면과 연관해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 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rrang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로서 제공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설명의 편의상 전자스틸카메라는 후술하는 카메라의 하부케이스(3)를 절단해서 표시하고 있다.1 is a plan view of an electronic still camera provided as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1, the electronic still camera cuts and displays the lower case 3 of the camera to be described later.

도 1에서 (1)은 투명체의 표면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과 2개의 굴절면으로 이루어지고, 1개의 굴절면으로부터 투명체의 내부로 광속이 입사하고 복수의 반사면상태에서 반사를 반복해서 다른 굴절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학소자이고, (1a)는 출사부근처에 형성된 혀(舌)형상의 돌출부로서 형성된 가장자리부이고, (2)는 외장부재 또는 베이스로서 제공하는 상부케이스이고, (3)은 상부케이스(2)와 합체해서 카메라본체를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이다. (2a)는 차광뿐만 아니라 광학보정판과 CCD를 유지하는 CCD유지벽이고, (2d)는 도 1의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U형상의 광학소자유지벽이고, (2e)는 유지벽(2d)의 내부의 3개 지점에 설치된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진 리브이다. CCD유지벽(2a), 광학소자유지벽(2d) 및 리브(2e)는 상부케이스(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유지벽(2a)의 일부가 설명의 편의상 절단되어 도시된다. (2m)은 도 1의 지면에 수직한 CCD유지벽(2a)이고, 후술하는 베이스판(9)이 고정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and two refracting surfaces formed integrally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dy, and a light beam is incident from the one refracting surface into the interior of the transparent body, and the reflection is repeatedly repeated in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 states. (1a) is an edge portion formed as a tongue-shaped protrusion formed near the exit portion, (2) is an upper case serving as an exterior member or base, and (3) is an upper portion It is a lower case integrating with the case 2 to form a camera body. (2a) is a CCD holding wall for holding not only the light shielding but also the optical compensating plate and the CCD, (2d) is a U-shaped optical element holding wall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Fig. 1, and (2e) is a holding wall 2d. It is a rib having a roughly semicircular cross section installed at three points inside the stiffness. The CCD holding wall 2a, the optical element holding wall 2d and the rib 2e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ase 2. In FIG. 1, a part of the holding wall 2a is shown cut o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2m is a CCD holding wall 2a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Fig. 1, and the base plate 9 described later is fixed.

(4),(5),(6)은 각각 스페이서, 광학소자(1)를 유지하기위한 홀더와 유지스프링이고,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홀더(5)의 일부는 설명의 편의상 절단되어 도시된다. 이들 광학소자(1)를 유지하는 부위를 유지부(30)라고 한다.(4), (5) and (6) are a holder and a holding spring for holding the spacer, the optical element 1, respectively,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addition, in FIG. 1, a part of the holder 5 is shown cut o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te | part which hold | maintains these optical elements 1 is called the holding part 30. FIG.

(7)은 촬상소자로서 제공하는 CCD이고, (8)은 광학보정판이고, (9)는 접합 등에 의해서 거기에 CCD(7)를 고정하는 베이스판이고, (10)은 납땜 등에 의해 거기에 CCD(7)의 단자를 고착하는 CCD기판이고, (11)은 CCD기판(10)과 후술하는 메인기판(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랙시블케이블이다.(7) is a CCD provided as an imaging element, (8) is an optical compensating plate, (9) is a base plate which fixes the CCD 7 there by bonding or the like, and (10) is a CCD therein by soldering or the like. A CCD substrate for fixing the terminals of (7), and (11) is a flexible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CD substrate 10 and the main substrate 20 described later.

(12)는 후술하는 광학소자(1)의 오목굴절면(S8)과 CCD유지벽(2a)사이의 차광용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차광고무이고, (13)은 구속수단이나 압압부재로서 제공하는 조정압압자이다. 조정압압자(13)는 스프링(14)(도 8A참조)에 의해 도 1의 아랫쪽에서 윗쪽을 향해서 압압되어 있고, 도 1의 아랫쪽에서 윗쪽으로 광학소자(1)의 가장자리부(1a)를 압압한다. 가장자리부(1a)와 접촉되는 압압자(13)의 선단은 구면형상으로 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ring-shaped car advertisement made of an elastic body such as light shielding rubber between the concave refractive surface S8 of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CCD holding wall 2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ovided as an adjuster indenter. The adjusting indenter 13 is presse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FIG. 1 by the spring 14 (refer FIG. 8A), and presses the edge 1a of the optical element 1 from the bottom of FIG. do. The tip of the presser 13 in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1a has a spherical shape.

또한, 스프링(14)은 조정압압자(13)에 의해 규제된 한쪽단부와 베이스판(9)에 의해 규제된 다른 단부로 압축되어 있다. (15)는 구속수단이나 다른 압압부재로서 제공하는 조정캠(52)(도 7참조)을 유지하는 백포커스조정부이고, 이후에 설명한다. 조정압압자 (13)는 조정캠(52)으로 끼워서 광학소자(1)의 가장자리부(1a)를 유지한다.Moreover, the spring 14 is compressed by the one end part regulated by the adjustment presser 13 and the other end part regulated by the base plate 9. 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back focus adjustment unit for holding an adjustment cam 52 (see Fig. 7) provided as a restraining means or another pressing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djusting indenter 13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cam 52 to hold the edge 1a of the optical element 1.

백포커스조정부(15)는 조정압압자(13)의 압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부케이스(2)상에 유지되어 있다. 백포커스조정부(15)의 이동에 따라서, 가장자리부(1a)에 대한 끼워맞춤위치가 이동하여 광학소자(1)는 백포커스조정을 행하도록 회전된다. (16)은 전지(27)를 탈착하기 위한 전지실 덮개이다.The back focus adjustment unit 15 is held on the upper case 2 so as to be movable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adjusting indenter 13. As the back focus adjustment unit 15 moves, the fit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edge portion 1a moves so that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ed to perform the back focus adjustment. Numeral 16 denotes a battery chamber cov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ttery 27.

(20)은 카메라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메인기판이고, (21)은 각종촬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2)와 촬영을 지시하는 릴리즈버튼(23)의 압하를 검지하는 스위치(24)를 적재하고 있는 조작패널기판이고, (25)는 메인기판(20)에 조작패널기판(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케이블이고, (26)은 광학식뷰파인더이고, (27)은 전원으로서 전지이고, (28)은 전원단자이고, (29)는 영상신호를 외부의 모니터 등의 기구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이다.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main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camera, and 21 denotes a display unit 22 for displaying various shooting information and a switch 24 for detecting the reduction of the release button 23 for instructing shooting. An operation panel substrate, 25 is a flexible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peration panel substrate 21 to the main substrate 20, 26 is an optical viewfinder, 27 is a battery as a power source, Denoted at 28 is a power supply terminal, and denoted at 29 is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to an external monitor or the like.

또, 광학식뷰파인더(26) 대신에 액정모니터 등의 화상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Instead of the optical viewfinder 26,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monitor can be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1)를 사용한 광학계의 광로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path of an optical system using the optical eleme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소자(1)는 초점거리 f=28㎜(35㎜, 은염사진환산), F2.0의 F-넘버의 실제적인 파라미터설정을 가진 고정초점을 가지지만 다음의 설명에서는 그러한 설정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cal element 1 has a fixed focus with a focal length f = 28 mm (35 mm, silver dye conversion) and actual parameter setting of an F-number of F2.0. It is not limited to such sett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광학계는 이 광학계를 구성하는 표면이 통상의 광축을 가지지 않는 편심광학계이다. 그러므로, 이 광학계의 각종 요소의 구성을 기술하기 위하여 광학계에 "기준축"을 설정한다.The optical syst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centric optical system in which the surface constituting the optical system does not have a normal optical axis. Therefore, the "reference axis" is set in the optical system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elements of the optical system.

우선, 기준축의 정의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는 물체면에서 화상면으로 전진하는 기준인 기준파장의 광선의 광도가 그 광학축에서 "기준축"으로 정의된다. 기준으로서 광선은 상기 정의만으로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기준축광선"은 통상 이하의 2개의 원칙중 하나에 따라서 설정된다.First, the definition of the reference axis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the luminosity of light of a reference wavelength, which is the reference for advancing from the object plane to the image plane, is defined as the "reference axis" in its optical axis. Since the light ray as a reference is not determined only by the above definition, the "reference luminous ray" is usually set according to one of the following two principles.

(1) 광학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칭성을 가진 축이 존재하고, 수차(收差)의 보정이 우수한 대칭성으로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대칭성을 가진 축을 통과하는 광선을 기준축광선으로 설정한다.(1) When an axis having at least partly symmetry exists in the optical system and the aberration correction can be performed with excellent symmetry, the ray passing through the axis having the symmetry is set as the reference axis.

(2) 광학계에 일반적으로 광학계에 대칭축이 존재하지 않을때, 혹은 부분적으로 대칭축이 존재하더라도 수차(收差)의 보정이 우수한 대칭성으로 행해질 수 없는 경우에는, 물체면의 중심(피촬영, 피관찰범위의 중심)으로부터 나와서 광학계의 지정된 면의 순으로 광학계를 통과하고, 광학계내의 다이어프램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는 광학계내의 다이어프램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선, 또는 광학계내의 다이어프램의 중심을 통과해서 최종화상면의 중심에 도달하는 광선을 기준축광선으로 설정하고, 이 기준축광선의 광로를 기준축으로 한다.(2) When the optical system generally does not have an axis of symmetry, or even when there is a partial axis of symmetry, the aberration correction cannot be performed with excellent symmetry. From the center of the range and through the optical system in the order of the specified plane of the optical system, through the center of the diaphragm in the optical system, or through the center of the diaphragm in the optical system, or through the center of the diaphragm in the optical system, The light ray reaching the center is set as the reference axis, and the optical path of the reference axis is the reference axis.

상기의 방식으로 정의된 기준축은 통상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광학계의 각각의 면에는 각면과 기준축광선과의 교점을 각면의 기준점으로하고, 각면의 물체쪽의 기준축광선을 입사기준축으로하고, 각면의 화상쪽의 기준축광선을 출사기준축으로 한다. 또한, 기준축은 방향(배향성)을 가지는 동시에, 기준축의 방향은 기준축광선이 결상시에 진행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입사쪽과 출사쪽에 각각, 입사기준축방향과 출사기준축방향이 존재한다. 그래서, 기준축은 설정된 각면의 순번으로 반사의 굴절의 법칙에 따라서 그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최종적으로 화상면의 중심에 도달한다. 또한,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광학소자의 경우에 있어서, 광학소자의 물체쪽에 가장 근접한 면으로 입사하는 기준축광선을 입사기준축으로 하고, 광학소자의 화상쪽에 가장근접한 면에서 출사하는 기준축광선을 출사기준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입사기준축이나 출사기준축의 방향의 정의는 면의 경우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된다.The reference axis defined in this way usually has a curved shape. Here, each surface of the optical system has the intersection point of each surface and the reference axis as the reference point of each surface, the reference axis of the object side of each surface as the incident reference axis, and the reference axis of the image side of each surface as the emission reference axis. do. In addition, the reference axis has a direction (orientation), while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axis is a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axis ray travels during imaging. Therefore, the incident reference axis direction and the emission reference axis direction exist o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respectively. Thus, the reference axis finally reaches the center of the image plane while changing its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refraction of reflection in the order of each set plane. Also, in the case of an optical elem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nes, the reference axis ray that is incident on the plane closest to the object side of the optical element is used as the incident reference axis, and the reference axis ray that is emitted from the plane nearest to the image side of the optical element is used. The reference axis is the emission standard. In this case, the definition of the direction of the incident reference axis or the emission reference axis is in the same manner as mentioned above for the pl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소자(1)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의 광선유효경의 중심점을 통과하고, 최종결상면의 중심에 도달하는 광선(기준축광선)의 광로는 후술하는 각 굴절면이나 각 반사면에 의해, 광선이 굴절, 반사하는 기준축(31)으로 설정된다. 도 2에 있어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기준축을 포함한 평면은 지면에 평행하게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의 광학소자의 면(S2)은 도 2의 지면과 45°의 각도로 배치된 반사면이고 기준축은 면(S2)에서 도 2의 지면과 수직하게 윗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면(S1)에서 면(S2)까지의 기준축의 일부는 (31a)로 표시되고, 면(S3)에서 면(S8)까지의 기준축은 (31b)로 표시된다.In the optical elemen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beam (referenc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light beam effective diameter of the diaphragm and reaching the center of the final imaging plane is each of the refractive surfaces and the reflective surfaces described later. This sets the reference axis 31 to which the light rays are refracted and reflected. In Fig. 2,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the plane including the reference axis is displayed parallel to the ground. However, the actual surface S2 of the optical element is a reflecting surface dispos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ground of FIG. 2 and the reference axis is bent upward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FIG. 2 in the surface S2. A part of the reference axis from the plane S1 to the plane S2 is represented by 31a, and the reference axis from the plane S3 to the plane S8 is represented by 31b.

도 2에 있어서, (32)는 물체쪽(광속입사쪽)에 광학소자(1)에 인접하게 배치된 광학다이어프램이고, (8)은 양쪽에서 각각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복굴절을 일으키는 로우패스필터(8b)와 중앙부에 배치된 적외커팅필터(8a)로 구성되어 있는 광학보정판이다. (33)은 물체로부터 나온 광을 표시한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n optical diaphragm disposed adjacent to the optical element 1 on the object side (beam incidence side), and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low pass filter that causes birefringenc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on both sides. 8b) and an infrared cutting filter 8a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Reference numeral 33 denotes light emitted from the object.

광학소자는 물체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볼록굴절면(S1), 평면미러(S2), 오목미러(S3), 볼록미러(S4), 오목미러(S5), 볼록미러(S6), 오목미러(S7), 오목굴절면(S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면(S1)과 (S8)은 구면이고, 면(S3∼S7)은 적절한 광학성을 얻기 위해 자유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optical element is sequentially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planar mirror (S2), concave mirror (S3), convex mirror (S4), concave mirror (S5), convex mirror (S6), concave mirror (S7) It is comprised by the concave refractive surface S8.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s S1 and S8 are spherical surfaces, and the surfaces S3 to S7 are composed of free curved surfaces in order to obtain appropriate optical properties.

물체로부터의 광은 입사광량이 광학다이어프램(32)에 의해서 규제된 후에 광학소자(1)의 볼록굴절면으로 입사한다. 다음에 볼록굴절면(S1)으로 입사한 물체광은 평면미러(S2)에 의해서 반사되어 직각으로 굴곡되어 오목미러(S3)에 도달한다. 오목미러(S3)에 의해 반사된 물체광은 볼록굴절면(S1)의 파워에 의해 중간결상면(N1)상에 물체의 1차상을 형성한다. 초기단계에서 광학소자(1)내에 물체상을 결상하는 구성에 의해서 광학다이어프램(32)보다 화상쪽에 근사하게 배치된 표면상에 광선유효경의 증대를 억제시킨다. 중간결상면(N1)상에 1차상으로서 결상된 물체광은 볼록미러(S4), 오목미러(S5), 볼록미러(S6) 및 오목미러(S7)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반사되고, 다음에 오목굴절면(S8)에 의해서 굴절되고 각각의 반사미러와 굴절면의 파워의 영향을 받아서, 촬상소자의 면상에 물체의 상을 형성한다. 그래서, 광학소자(1)는 입사 및 출사위치에서 굴절과 곡률을 가진 복수의 반사미러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소망의 광학성능과 전체로서 포지티브파워를 가진 렌즈유닛으로서의 기능을 얻는다.Light from the object enters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of the optical element 1 after the incident light amount is regulated by the optical diaphragm 32. Next, the object light incident on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is reflected by the planar mirror S2 and bent at a right angle to reach the concave mirror S3. The object light reflected by the concave mirror S3 forms the primary image of the object on the intermediate imaging surface N1 by the power of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an image of an object in the optical element 1 in the initial stage suppresses the increase of the light effective diameter on the surface disposed closer to the image side than the optical diaphragm 32. The object light formed as a primary image on the intermediate imaging surface N1 is repeatedly reflected by the convex mirror S4, the concave mirror S5, the convex mirror S6 and the concave mirror S7, and then the concave refractive surface Refracted by S8 and affected by the power of each of the reflection mirrors and the refraction surface, an image of an objec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mage pickup device. Thus, the optical element 1 acquires a function as a lens unit having a desired optical performance and positive power as a whole while repeating reflection in a plurality of reflection mirrors having refraction and curvature at the entrance and exit positions.

다음에, 도 3A, 도 3B, 도 3C는 실시예에서의 광학소자(1)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도 3A, 3B, 3C에서 1점쇄선은 각 반사면상의 유효광선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광학소자(1)는 볼록굴절면(S1)에서의 광입사방향과 오목반사면(S8)에서의 광출사방향사이에 직각을 형성하는 45°기울기의 반사면(S2)을 가진다. 광학소자(1)는 성형가공에 의해서 형성되고, 광학소자의 내부에 수지나 글라스가 충전되어 있고, 광로를 형성한다. 광학소자(1)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1a)를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1a)는 기준축(31b)을 포함한 면에 평행한 평면부(1a1) 및 평면부(1a3)와 기준축(31b)을 포함한 평면에 수직한 평면부(1a2)를 가진다. 평면부(1a1),(1a2),(1a3)는 광학소자(1)의 면형상을 측정하는 홀딩지그(도시생략)에 고정할때에 기준면으로서 제공된다. 면형상의 측정은 예를 들면, 양산가공시에 면형상의 가공정밀도를 검사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또한, 광학소자(1)는 볼록굴절면(S1)에 인접한 가장자리부(1b)로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1b)는 기준축(31b)을 포함한 평면에 평행한 평면부(1b1)와 기준축(31b)를 포함한 평면에 수직한 평면부(1b2)를 가진다. 평면부(1b1),(1b2)는 면형상의 측정을 위한 홀딩지그(도시생략)에 고정시에 기준면으로서 사용된다.3A, 3B, and 3C show perspective views of the optical element 1 in the embodiment. In Figs. 3A, 3B and 3C, the dashed-dotted lines indicate the effective ray regions on each reflecting surface. As mentioned above, the optical element 1 forms a reflecting surface S2 of 45 ° inclination which forms a right angle between the light incident direction at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and the light exit direction at the concave reflective surface S8. Have The optical element 1 is formed by molding, and resin or glass is filled in the optical element to form an optical path. The optical element 1 is formed with the edge 1a as mentioned above. The edge portion 1a has a plane portion 1a1 parallel to the plane including the reference axis 31b and a plane portion 1a2 perpendicular to the plane including the plane portion 1a3 and the reference axis 31b. The planar portions 1a1, 1a2, 1a3 are provided as reference planes when fixed to holding jig (not shown) for measuring the surface shape of the optical element 1. Surface shape measurement is performed, for example,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ing precision of surface shape at the time of mass production processing. In addition, the optical element 1 is formed of the edge portion 1b adjacent to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The edge part 1b has the planar part 1b1 parallel to the plane containing the reference axis 31b, and the planar part 1b2 perpendicular to the plane containing the reference axis 31b. The planar portions 1b1 and 1b2 are used as reference planes when fixed to holding jig (not shown) for the measurement of the surface shape.

광학소자(1)의 볼록굴절면(S1)은 광학소자(1)의 외형보다 일단계 오목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면(S1)의 주변은 기준축(31a)을 기준축(31a)에 평행한 원통벽(1c)을 형성하고, 오목한 구조나 볼록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광학소자(1)는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가장자리부(1d)로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1d)는 기준축(31b)을 포함한 평면에 평행한 평면부(1d1)와 기준축(31b)을 포함한 평면에 수직한 평면부(1d2)를 가진다.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of the optical element 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ncave by one step from the outer shape of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periphery of the surface S1 is parallel to the reference axis 31 a with the reference axis 31 a. One cylindrical wall 1c is formed, and a concave structure or a convex structure is formed. In addition, the optical element 1 is formed of an edge portion 1d used for holding. The edge portion 1d has a plane portion 1d1 parallel to the plane including the reference axis 31b and a plane portion 1d2 perpendicular to the plane including the reference axis 31b.

볼록굴절면(S1) 및 오목굴절면(S8)의 표면은 광투과성을 증가시키는 높은 투과막처리나 표면에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방지막처리가 되어있다. 또한, 표면(S2) 내지 표면(S7)은 고반사율을 얻기 위하여 Al(알루미늄)이나 Ag(은)등의 박막이 증착처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Ag는 Al보다 높은 반사율을 가지지만, Ag는 Al보다 더 고가이므로 각각의 경우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막의 선택은 사용된 CCD의 강도, 광학소자를 구성하는 반사면의 수, 광학소자재료의 투과율 등으로부터 반사면의 반사율을 결정하고 고스트를 고려해서 행해진다.The surfaces of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and the concave refractive surface S8 are subjected to a high transmissive film treatment for increasing light transmittance or an antireflection film treatment for preventing reflection on the surface.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high reflectance, the surface S2-surface S7 are formed with the thin film of Al (aluminum), Ag (silver), etc. by vapor deposition process. Ag has a higher reflectance than Al, but since Ag is more expensive than Al, selec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case. For example, the film i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ghost and determining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ing surface from the intensity of the CCD used, the number of reflecting surfaces constituting the optical element, the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element material, and the like.

광학소자(1)를 형성하는 각각의 반사면은 반사막피복처리가 되어 있지만, 반사막의 영역은 각면의 유효광선영역보다 약간 큰 범위(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경험적으로 0.5㎜로 되어 있다.)로 한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것은 어떤경우에 유효영역내에 반사에 의해 생성된 미소의 난반사광이 다시 유효영역으로 입사하여 결국 화상에 플레어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효영역이외에서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Each reflecting surface forming the optical element 1 is subjected to a reflecting film coating process, but the reflecting film area is slightly larger than the effective light region of each surface (for example, empirically 0.5 mm in this embodiment). It is important to limit to, which in some cases causes diffuse diffused light generated by reflection in the effective area to enter the effective area again, resulting in flare in the image. In order to minimize this effect, it is important to suppress reflection outside the effective area.

다음에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holding the optical ele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4A는 압력하에서, 광학소자(1)를 유지하는 스페이서(4)의 사시도를 표시하고, 도 4B는 스페이서(4)의 압력하에서 유지되는 광학소자(1)의 사시도를 표시한다.First, FIG. 4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acer 4 holding the optical element 1 under pressure, and FIG. 4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tical element 1 held under pressure of the spacer 4.

도 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급한 평면부(1d1)와 2개의 3각형상리브(1e)는 광학소자(1)의 반사면(S2)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3각형상의 리브(1e)의 평면부(1e1)와 평면부(1d1)는 기준축(31b)을 포함한 평면에 평행하다. 평면부(1d1)와 3각형상리브(1e)는 반사면(S2)의 유효광선영역(2점쇄선으로 표시함)에서 가능한 멀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반사면(S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채용되고, 이런 변형은 광학소자(1)가 스페이서(4)에 의한 압력하에서 유지되면서 3각형상리브(1e)와 평면부(1d1)에 적용된 힘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the above-mentioned flat portion 1d1 and two triangular ribs 1e are formed around the reflecting surface S2 of the optical element 1. The planar portion 1e1 and the planar portion 1d1 of the triangular rib 1e are parallel to the plane including the reference axis 31b. The planar portion 1d1 and the triangular rib 1e are arrang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effective light reg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of the reflecting surface S2. This configuration is employ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reflecting surface S2, and this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triangular ribs 1e and the planar portion 1d1 while the optical element 1 is maintained under pressure by the spacer 4. Can be generated by an applied force.

도 4A는 광학소자(1)와 접촉하는 스페이서(4)의 형상을 표시한다. 도 4A는 광학소자(1)의 쪽에서 본 스페이서(4)의 도면이다. (4a)는 광학소자(1)의 리브(1c)의 평면부(1e1)와 접촉하는 평면부이고, (4b)는 광학소자(1)의 가장자리부(1d)의 평면부(1d1)와 접촉하는 평면부이고, (4c)는 평면부(4a),(4b)에 수직한 리브이다. 스페이서(4)는 광학소자(1)를 가압해서 상기 4개의 평면부(4a),(4b)를 개재하여 스프링(6)의 반발력에 의해서 광학소자(1)를 상부케이스(2)와 접촉시킨다.4A shows the shape of the spacer 4 in contact with the optical element 1. 4A is a view of the spacer 4 as seen from the optical element 1 side. 4a is a planar portion which contacts the planar portion 1e1 of the rib 1c of the optical element 1, and 4b is a contact with the planar portion 1d1 of the edge portion 1d of the optical element 1 4c is a rib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planar parts 4a and 4b. The spacer 4 presses the optical element 1 to bring the optical element 1 into contact with the upper case 2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6 via the four planar portions 4a and 4b. .

다음에, 상기 언급한 스페이서(4)를 사용하는 광학소자(1)를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holding the optical element 1 using the above-mentioned spacer 4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의 광학소자유지부(30)에 인접한 부분을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오른쪽에서 볼때 도 1에 표시된 2점쇄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adjacent to the optical element holding portion 30 of the camera in this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dashed-dotted line shown in FIG. 1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of FIG. 1.

상부 케이스(2)에는 물체로부터 광을 도입하는 개구부(2i)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는 돌출구조나 오목구조로서 원통형리브(2b)를 가진다. 리브(2b)의 원통형상은 기준축(31a)과 대칭이다. 광학소자(1)의 벽(1c)은 상부케이스(2)에 대해서 광학소자(1)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상부케이스(2)의 리브(2b)의 외부주변과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최소폭의 평면부(2c)(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약 0.7㎜)는 리브(2b)와 대칭으로 리브(2b)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광학소자(1)는 이후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평면부(2c)상에 상부케이스(2)와 압착되어 있다. 접촉면이 최소폭의 평면부로서 되는 이유는 광학소자(1)가 이후에 설명되는 백포커스조정시에 접촉면상의 미소각만큼 회전되므로 광학소자(1)의 스무드한 회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면부의 평활도를 용이하게 얻기위해서이다.The upper case 2 is formed with an opening 2i for introducing light from the object. In addition, the upper case 2 has a cylindrical rib 2b as a protruding structure or a concave structure.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rib 2b is symmetrical with the reference axis 31a. The wall 1c of the optical element 1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b 2b of the upper case 2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2. . Also, the planar portion 2c of the smallest width (particularly about 0.7 mm in this embodiment) is arranged around the rib 2b symmetrically with the rib 2b, and the optical element 1 is It is crimped | bonded with the upper case 2 on the flat part 2c. The reason why the contact surface becomes the flat portion with the smallest width is that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ed by a small angle on the contact surface during the back focus adjustment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moothness of the planar portion is achieved to achieve smooth rota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To get it easily.

상부케이스(2)와 끼워 맞춤된 광학소자(1)는 도 5의 왼쪽에서부터 스페이서(4)를 개재해서 유지스프링(6)에 의해 상부케이스(2)에 가압되어 유지된다. 유지스프링(6)은 상부케이스(2)에 나사끼워맞춤된 홀더(5)에 의해서 가압되어 특정가압력을 작용한다.The optical element 1 fitted with the upper case 2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case 2 by the retaining spring 6 from the left side of FIG. 5 via the spacer 4. The retaining spring 6 is pressurized by a holder 5 screwed onto the upper case 2 to exert a specific pressing force.

스페이서(4)가 표시된 바와 같이 유지스프링(6)에 의해서만 광학소자(1)에 대항해서 가압되므로, 스페이서(4)의 위치의 규제는 기준축(31b)을 포함한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요구된다. 그래서, 도 1의 지면에 수직한 U형상의 광학소자유지벽(2d)은 반원횡단면을 가진 리브(2e)에 의한 3개방향으로 스페이서(4)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부케이스(2)상에 배치되고, 벽(2d)의 내부에 3개의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도 1참조). 한편 도 5에서 수직방향인 스페이서(4)의 리브(21c)의 이동은 광학소자(1)의 평면부(1d2)에 의해서 규제된다. 따라서, 스페이서(4)의 이동은 전부 4개의 방향으로 규제된다.Since the spacer 4 is pressed against the optical element 1 only by the retaining spring 6 as indicated, regul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pacer 4 is requir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ne including the reference axis 31b. Thus, the U-shaped optical element holding wall 2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FIG. 1 is placed on the upper case 2 which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pacer 4 in three directions by the rib 2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t is arrange | positioned, and is arrange | positioned at three points inside the wall 2d (refer FIG. 1). Meanwhile, the movement of the rib 21c of the spacer 4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5 is regulated by the planar portion 1d2 of the optical element 1.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spacer 4 is regulated in all four directions.

이후 언급되는 백포커스조정에 있어서, 광학소자(1)는 기준축(31a)둘레에서 미소각도만큼 회전되지만, 광학소자(1)의 평면부와 스페이서(4)의 평면부는 항상 서로 고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3개의 반원리브(2e)와 스페이서(4) 사이의 미소간격(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로 약 0.2㎜)을 형성해서 달성되어, 광학소자(1)를 따라서 미소각도만큼 스페이서(4)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스페이서(4)를 광학소자(1)와 항상 고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back focus adjustment mentioned later,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ed by a small angle around the reference axis 31a, but the plane por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plane portion of the spacer 4 should always be fixed to each other. This configuration is achieved by forming a small gap (specifically, about 0.2 mm in total in this embodiment) between the three semi-circle ribs 2e and the spacer 4, so that the spacer ( Rotate 4). For this reason, the spacer 4 can be always kept in the fixed state with the optical element 1.

상기 언급한 압력하에서 유지된 광학소자(1)에 의하면, 기준축(31a)의 방향으로 광학소자(1)를 확실히 유지하는 동시에, 광학소자(1)는 백포커스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기준축(31a)둘레를 스무드하게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tical element 1 maintained under the above-mentioned pressure, while the optical element 1 is reliably held i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axis 31a, the optical element 1 has a reference axis in order to allow back focus adjustment. 31a) It can rotate the circumference smoothly.

이제, 여기서는 카메라에 광학소자(1)와 CCD(7)의 장착시에 필요한 위치정밀도에 대해서 설명한다.Now, the positional accuracy required for mounting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CCD 7 in the camera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CCD(7)는 일반적으로 전자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것이고, 1/4인치에 410,000화소로 되어 있으나 다음의 설명에서는 이 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The CCD 7 of this embodiment is generally used for electronic cameras and the like, and is 410,000 pixels per quarter inch,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광학계의 초점심도는 일반적으로 Fδ로 표시되고, 여기서, F는 렌즈의 다이어프램해방시의 밝기를 표시하는 F넘버이고, δ는 허용착란원 직경이다.The depth of focus of the optical system is generally denoted by Fδ, where F is an F number indicating the brightness at the time of diaphragm release of the lens, and δ is the permissible confusion circle diamet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F=2.0, 경험적으로 δ=약 0.010㎜이므로, 초점심도는 다음과 같다.In this embodiment, since F = 2.0 and empirically δ = about 0.010 mm, the depth of focus is as follows.

Fδ=0.020㎜Fδ = 0.020mm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 있어서, 광학소자(1)와 CCD(7) 양자는 상부케이스(2)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스(2)상의 광학소자(1)의 유지부가 기준으로 설정되면, 광학소자(1)와 CCD촬상면의 기준축(31b)방향의 위치관계에는 설계치에 대해서 이하와 같은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im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CCD 7 are arranged in the upper case 2. Therefore, if the holding part of the optical element 1 on the upper case 2 is set as a reference, the following error may occur with respect to the design value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reference axis 31b direction of the CCD image plane. There is this.

(1) 광학소자(1)의 유지기준(기준축(31a))에 대한 광학소자(1)의 초점면의 위치의 오차.(1) Error in the position of the focal plane of the optical element 1 with respect to the holding reference (reference axis 31a) of the optical element 1.

이 오차는 광학소자(1)의 부품가공정밀도에 기인하는 오차이고, 약 ±0.005㎜이다.This error is an error due to the process density of the components of the optical element 1, and is about ± 0.005 mm.

(2) 상부케이스(2)에 설치된 광학소자(1)의 유지기준(개구부(2i)의 중심)에 대한 상부케이스(2)의 CCD고정기준면(면(2m))의 위치의 오차.(2) Error in the position of the CCD fixed reference plane (surface 2m) of the upper case 2 with respect to the holding criterion (center of the opening portion 2i) of the optical element 1 provided in the upper case 2.

이 오차는 상부케이스(2)의 부품가공정밀도에 기인하는 오차이고, 약±0.030㎜이다.This error is an error due to the process density of the parts of the upper case 2, and is about ± 0.030 mm.

(3) 베이스판(9)에 대한 CCD의 접착위치의 오차.(3) Errors in the adhesion position of the CC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9.

이 오차는 베이스판(9)에 CCD를 접착할 때 조립정밀도에 기인하는 오차이고, 약 ±0.005㎜이다.This error is an error due to the assembly precision when the CCD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9, and is about ± 0.005 mm.

(4) CCD패키지의 고정기준면(본 실시예에서는 CCD의 뒷면)에 대한 CCD촬상면의 위치의 오차.(4) Error in the position of the CCD imaging plane relative to the fixed reference plane of the CCD package (back side of the CCD in this embodiment).

이 오차는 CCD의 부품정밀도에 기인한 오차이고, 약 ±0.020㎜This error is due to the accuracy of the parts of the CCD and is approximately ± 0.020 mm.

이상 (1)∼(4)의 오차를 2승평균해서 총합적인 오차를 구비하면, 약 ±0.037㎜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소자(1)의 초점심도가 약 ±0.020㎜이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백포커스조정없이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 초점맞춤을 얻는 것이 실패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게 된다. 상기 언급한 전체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오차(1)∼(4)를 감소시키고 상부케이스(2) 및/또는 광학소자(1)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거나 CCD의 부품정밀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부품가격이 상당한 증가가 예상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다수의 경우에, 부품의 고정밀도에 대한 요구는 양품율을 낮추어서 불량품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환경보호 및 자원보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비용을 개선하고, 환경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카메라조립스텝동안 백포커스조정을 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기 설명은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특정 파라미터를 가진 광학소자에만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error of the above (1) to (4) is squared and the total error is provided, it becomes about ± 0.037 mm. Since the depth of focus of the optical element 1 in this embodiment is about +/- 0.020 mm, as mentioned above, the possibility of failing to obtain focus when the assembly is performed without the back focus adjustment becomes considerably large. In order to reduce the above-mentioned overall err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spective errors (1) to (4) and to improve the machining precision of the upper case 2 and / or the optical element 1 or to improve the component precision of the CCD. There is a need. However, this is not desirable as the parts price i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addition, in many cases, the demand for high precision of parts lowers yield and increases defective products. This is undesirable from the standpoi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 conservation.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make the back focus adjustment during the camera assembly step to improve the cost and protect the environment and resources. Of course,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optical element having the specific parameters mentioned in this embodiment.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광학다이어프램을 설명한다. (32)는 차광성을 가진 두께 약 0.1 또는 0.2㎜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블레이드이다.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크고 작은 개구부(32a)가 다이어프램블레이드(32)의 필름면에 형성되어 있다. (41)은 다이어프램블레이드(32)를 수동으로 절환하는 레버이고, 레버(41)에는 다이어프램블레이드(32)가 용착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부케이스(2)의 홈(2f)을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레버(41)는 홈(2f)과 화장판(42)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다. 화장판(42)은 아크릴재료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면접착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서 상부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화장판(42)은 레버(41)의 손잡이(41a)가 통과하는 홈(42a)을 가져서, 사용자가 화장판(42)의 외부에서 레버(41)를 동작시킬 수 있다.Next, the optical diaphrag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Reference numeral 32 is a diaphragm blade composed of a film having a light shielding property of about 0.1 or 0.2 mm in thickness. As shown in FIG. 6, two large and small openings 32a are formed in the film surface of the diaphragm blade 32. Reference numeral 41 is a lever for manually switching the diaphragm blade 32, and the diaphragm blade 32 is fixed to the lever 41 by welding. The lever 41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groove 2f of the upper case 2 is sandwiched between the groove 2f and the decorative plate 42. The decorative plate 42 is made of acrylic material or the like, and is fixed to the upper case 2 by double-sided adhesive tape or adhesive. The decorative plate 42 has a groove 42a through which the handle 41a of the lever 41 passes,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lever 41 from the outside of the decorative plate 42.

돌기(2g)를 가진 압압판(2h)은 그 사이에 움직임을 제거하기 위해 화장판(42)에 대항해서 레버(41)를 가압하는 홈(2f)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돌기(2g)가 레버(41)의 뒷쪽(도시생략)에 2개의 오목부중 하나에 끼워맞춤될때,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이들 2개의 오목부는 다이어프램블레이드(32)의 2개의 개구부(32a)중 하나가 상부케이스(2)상의 입사광개구부(2i)와 일치할 때 클릭감을 발생시키도록 위치결정된다. 화장판은 아크릴수지 등의 투명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광학소자(1)의 보호나 장치의 방진의 역할을 가진다.The pressing plate 2h having the projections 2g is provided in the groove 2f for pressing the lever 41 against the makeup plate 42 to remove the movement therebetween, while the projections 2g are the levers. When fitted to one of the two recesses on the back (not shown) of 41, a feeling of click is generated. These two recesses are positioned to generate a feeling of click when one of the two openings 32a of the diaphragm blade 32 coincides with the incident light opening 2i on the upper case 2. The decorative plate is made of a transparent member such as acrylic resin, and has a role of protecting the optical element 1 and dustproofing of the device.

또한, 화장판(42)의 부분(42b)은 투명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이 부분(42b)을 통과하고, 이 부분(42b)둘레의 화장판의 다른부분은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기구를 외부로부터 은폐하기 위해 도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rt 42b of the makeup plate 42 is transparent so that light from a subject passes through this part 42b, and the other part of the makeup board around this part 42b has a diaphragm mechanism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It is painted to conceal it.

즉, 화장판(42)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도입하기 위한 부분(42b)만 투명한 인레이를 가진 불투명부재로 이루어 질수 있고, 또는 화장판(42)은 2색성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makeup plate 42 may be made of an opaque member having only a transparent inlay for introducing light from the subject, or the makeup plate 42 may be formed by two-color molding.

레버의 압압방법이나 클릭감의 발생방법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이어프램의 개구의 수는 2개이고 한정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의 다점 절환 대신에 다이어프램의 애퍼추어는 측광수단과 연동해서 구동력을 사용하는 다이어프램블레이드를 이동시켜서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pressing method of the lever and the generating method of the click feeling are not limited to those used in this embodiment. Further, the number of openings in the diaphragm is two and not limited, but can be increased as necessary. In addition, instead of the multi-point switching of the diaphragm, the aperture of the diaphragm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moving the diaphragm blade using the driving force in association with the light metering means.

그래서, 카메라는 상부케이스(2)의 벽두께내에 다이어프램블레이드가 장착되므로, 얇게 될 수 있다.Thus, since the diaphragm blade is mounted in the wall thickness of the upper case 2, the camera can be made thinner.

본 실시예의 광학소자는 유효영역에만 반사막처리가 되어 있고, 다른 영역에는 이 처리가 되어 있지 않고, 투명한 소재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환경하에서 실내등 정도의 조명이면, 광학소자(1)는 외부광이 상기 언급한 투명부분을 통과해서, 광학소자(1)의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화상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특성을 가진다.The optical element of this embodiment is subjected to the reflective film treatment only in the effective region, and the other region is not subjected to this treatment,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is exposed on the surface. In spite of such a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illumination of the interior light in a normal environment, the optical element 1 is affected even if the external light passes through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portion a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optical element 1. It has the property of not receiving it.

그리고, 광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학소자(1)와 광학보정판(8)사이에 설치된 차광고무 등에 의해서 차단되면,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에 의해 달성된 차광효과는 실제사용에 충분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광학계의 렌즈통을 제거함으로써 부품의 갯수와 코스트를 감소시키고, 가공조립비용도 절감하고,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광학소자(1)의 광로는 광학소자(1)의 내부를 통과하므로, 방진대책은 볼록굴절면(S1)과 오목굴절면(S8)에만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기능은 차광고무(12)와 화장판(42)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종래의 렌즈통에서 요구된 엄격한 방진대책이 불필요함으로써 부품코스트와 조립코스트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립후의 조정공정에서 주변을 어둡게 하거나 하부케이스(3)를 조립할 필요가 없어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nd, when the light is blocked by a vehicle advertisement provided between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optical compensator 8 as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hielding effect achieved by the upper case 2 and the lower case 3 is actually Enough to use This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number and cost of parts, reduce the cost of assembly and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by eliminating the lens barrel of the conventional optical system. In addition, since the optical path of the optical element 1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optical element 1, anti-vibration measures are necessary only for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and the concave refractive surface S8. Such a function is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by the car advertising machine 12 and the decorative plate 42. By such a configuration, the strict anti-vibration measures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lens barrel are unnecessary, thereby achieving a reduction in component cost and assembly cost.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darken the periphery or assemble the lower case 3 in the adjustment process after assembly, so that adjustment can be facilitated.

또한, 수지성형의 성형형을 이용해서 상부케이스(2)상에 광학소자유지벽(2a) 및 리브(2b)등의 광학소자유지구조, CCD유지벽(2d)등을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은 부품의 갯수를 삭감하고, 광학소자(1)와 CCD(7)의 위치정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such as an optical element holding wall 2a and a rib 2b, an CCD holding wall 2d, and the lik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case 2 using a resin molding mold. This reduces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increases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CCD 7.

또한, 다른 효과는 상부케이스(2)의 동일면상에 광학소자(1)와 CCD(7)를 유지하는 구성때문에 한 방향에서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Another effect is to facilitate assembly in one direction due to the configuration of holding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CCD 7 on the same surface of the upper case 2.

다음에, 백포커스조정부(15)는 도 7에 표시된 백포커스조정부(15)의 분해사시도를 참고해서 설명된다.Next, the back focus adjustment section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focus adjustment section 15 shown in FIG.

백포커스조정부(15)는 조정캠(52)을 유지하고 있는 캠베이스(51)가 상부케이스(2)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구성된다.The back focus adjustment unit 15 is configured such that a cam base 51 holding the adjustment cam 52 is movable on the upper case 2.

캠베이스(51)에는 2개의 연장된 원형홀(51a)이 형성되어 이 연장된 원형홀의 장축이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캠베이스(51)를 고정하는 스텝나사(53)는 상기 연장된 원형홀(51a)의 폭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 스텝을 가져서 스텝나사(53)와 연장된 원형홀(51a)사이에 거의 움직임이 없도록 한다. 굴곡된 와셔(54), 와셔(55), 캠베이스(51)를 개재해서 상부케이스(3)에 형성된 탭홀(2j)에 스텝나사(53)를 고정함으로써, 굴곡된 와셔(54)의 반발력이 발생하여 상부케이스(2)에 대해서 캠베이스(51)를 압압한다. 이 때에, 각 스텝나사의 스텝길이는 스텝나사(53)가 완전히 체결될 때 굴곡된 와셔를 평탄하게 하지 않고서 굴곡된 와셔(54)를 완전히 둘러싸기 위해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캠베이스(51)가 상부케이스(2)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캠베이스(51)가 연장된 원형홀(5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Two extended circular holes 51a are formed in the cam base 51, and the long axis of this extended circular hole is located in parallel. The step screw 53 for fixing the cam base 51 has a step having a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longated circular hole 51a to move substantially between the step screw 53 and the elongated circular hole 51a. Do not have this. By fixing the step screw 53 to the tab hole 2j formed in the upper case 3 via the bent washer 54, the washer 55 and the cam base 51, the repulsive force of the bent washer 54 is increased. And presses the cam base 51 against the upper case 2. At this time, the step length of each step screw is set so as to completely surround the bent washer 54 without flattening the bent washer when the step screw 53 is fully engaged. 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cam base 51 from being completely fixed to the upper case 2 so that the cam base 51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ded circular hole 51a.

조정캠(52)은 조정캠(52)의 회전중심으로서 축(52a)과, 이 축과 대칭이고 각각 다른 반경을 가진 2개의 캠면(52b),(52c) 및 U형상의 아암(52d)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캠베이스(51)는 조정캠(52)에 피벗가능하게 유지하는 2개의 연장아암(51b)을 가진다. 각각의 아암(51b)은 조정캠(52)의 축(52a)이 접촉하는 절입부(51c)를 가진다. 조정캠(52)의 축(52a)이 절입부(51c)와 접촉하게 된 후, 축(52a)은 판스프링(56)에 의해서 압압되어 축(52a)이 절입부(51c)의 평면과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조정캠(52)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킨다. 판스프링(56)은 캠베이스(51)와 조정캠(52)을 일체로 함으로써, 조립시에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판스프링(56)은 이 판스프링(56)이 캠베이스(51)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캠베이스(51)와 걸어맞춤하는 상승태브(56a)를 가진다.The adjusting cam 52 is composed of an axis 52a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cam 52, and two cam faces 52b, 52c and U-shaped arms 52d, which are symmetrical to the axis and have different radii. consist of. On the other hand, the cam base 51 has two extension arms 51b which pivotally hold the adjustment cam 52. Each arm 51b has a cutout 51c to which the shaft 52a of the adjusting cam 52 contacts. After the shaft 52a of the adjustment cam 5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tout 51c, the shaft 52a is pressed by the leaf spring 56 so that the shaft 52a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ane of the cutout 51c. By doing so,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adjustment cam 52 is improved. The leaf spring 56 integrates the cam base 51 and the adjustment cam 52 to facilitate handling during assembly. The leaf spring 56 has a lifting tab 56a that engages with the cam base 51 to prevent the leaf spring 56 from falling off the cam base 51.

다음에 도 8A와 도 8B를 참조해서 백포커스조정부(15)를 이용하여 광학소자(1)의 백포커조정방법을 설명한다.Next, the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of the optical element 1 using the back focus adjustment part 15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8A and 8B.

우선, 도 8A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거리의 촬영시에 백포커스조정방법을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8A, the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 general distance is demonstrated.

조정캠(5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정캠(52)을 도 8A에 표시한 위치로 보낸다. 이때에 광학소자(1)의 가장자리부(1a)는 도 8A의 하부에서 압압조정자(13)에 의해 밀려서 조정캠(52)의 캠면(52b)과 압접하게 된다. 캠베이스(51)는 U형상의 절취부(51d)를 가지고 원형상의 오목부(2k)는 절취부(51d)에 대해서 상부케이스(2)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조정은 도 7에 표시된 조정공구(57)를 이용해서 행하고, 이 공구는 3개의 부품, 즉 핸들(57a), 작용축(57b), 피벗축(57c)으로 이루어져 있다. 핸들(57a)은 작용축(57b)과 대칭이고, 작용축(57b)과 피벗축(57c)은 서로 약간 편심져 있다. 피벗축(57c)이 상부케이스(2)의 오목부(2k)로 삽입된 후에, 조정공구(57)가 회전하여, 작용축(57b)을 절취부(51d)의 에지와 접촉하게 하여, 캠베이스(51)는, 도 8A의 상부나 하부를 향해서 이동한다.The adjustment cam 52 rotates clockwise to send the adjustment cam 52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8A. At this time, the edge portion 1a of the optical element 1 is pushed by the pressure adjuster 13 at the lower portion of FIG. 8A to be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cam surface 52b of the adjustment cam 52. The cam base 51 has a U-shaped cutout 51d and a circular recess 2k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upper case 2 with respect to the cutout 51d. Here, adjustment is performed using the adjustment tool 57 shown in FIG. 7, and this tool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a handle 57a, the working shaft 57b, and the pivot shaft 57c. The handle 57a is symmetrical with the working axis 57b, and the working axis 57b and the pivot axis 57c are slightly eccentric with each other. After the pivot shaft 57c is inserted into the recess 2k of the upper case 2, the adjustment tool 57 rotates to bring the working shaft 57b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cutout 51d, and the cam The base 51 moves toward the top or the bottom of FIG. 8A.

이후에, 광학소자(1)는 조정캠(52)의 반원형캠면(52b)과 압압조정자(13)의 선단의 구형상면사이에 끼워진 가장자리부(1a)에 의해 유지되어, 광학소자(1)가 회전하고, 가장자리부(1a)가 미소각도 경사지더라도 접촉점이 변경되어 광학소자(1)를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가장자리부(1a)를 끼워서 광학소자(1)를 유지하는 구성은 반사면이나 굴곡면의 형상의 변형 등을 최소로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광학소자(1)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가장자리부(1a)가 이 가장자리부(1a)의 기울기를 록킹하지 않고서 백포커스조정부(15)에서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서만 끼워지므로, 광학소자(1)는 광학소자유지부(30)에서 광학소자(1)에 작용하는 유지력과 광학소자(1)의 형상에 관계없이, 백포커스조정부(15)의 끼워맞춤력에 기인해서 광학소자(1)를 굴곡시키는 작용을 하는 모멘트를 받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광학소자(1)의 광학성능에 역효과를 부여하지 않는다.Thereafter, the optical element 1 is held by the edge portion 1a sandwiched between the semi-circular cam surface 52b of the adjustment cam 52 and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tip of the pressure adjuster 13, whereby the optical element 1 is Even if the edge 1a is inclined at a small angle, the contact point is changed so as to securely hold the optical element 1. Moreover, the structure which hold | maintains the optical element 1 by inserting the edge part 1a is effective in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shape of a reflective surface, a curved surface, etc. to the minimum. In addition, since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ably held and the edge portion 1a is fitted only by the pressure of the spring in the back focus adjusting portion 15 without locking the inclination of the edge portion 1a, the optical element 1 The optical element 1 is caused by the fitting force of the back focus adjustment unit 15 regardless of the holding force acting on the optical element 1 in the optical element holding unit 30 and the shape of the optical element 1. It does not receive the moment of bending. This configuration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optical element 1.

상기 조정작업은 CCD(7)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하면서 실행되어 백포커스조정은 선명한 초점을 얻는 지점을 찾아서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에 캠베이스(51)를 가압하는 힘이 상당히 크게 되므로, 캠베이스(51)는 장치의 운송이나 진동에 의해서 조정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더 미소한 조정은 조정공구(57)의 작용축(57b)과 피벗축(57c) 사이에 대칭성을 작게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The adjustment operation is executed while monitor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CCD 7, so that the back focus adjustment can be performed by finding a point where a clear focus is obtained. Here, since the force for pressing the cam base 51 to the upper case 2 becomes considerably large, the cam base 51 does not move from the position adjusted by the transportation or vibration of the device. Needless to say, finer adjustment can be made possible by making the symmetry small between the working axis 57b and the pivot axis 57c of the adjusting tool 5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학소자는 일반적으로 반사를 다수회 반복하는 일단부에서 광입사면을 가진 일연의 연속적인 반사면을 가지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광학소자가 그런 형상을 가지므로, 광학소자의 회전중심은 가능한 광출사면에서 먼 위치, 즉 광입사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백포커스조정시에 광학소자의 회전각도가 최소로 되고, 촬상소자의 촬상면에 대한 화상면의 기울기량이 최소로 억제된다. 또한, 가장자리부(1a)가 오목굴절면(S 8)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백포커스조정부(15)와 끼워져서 광학소자(1)는 그 양단에서 확실하게 유지되고, 광학소자유지부(30)에 의해서 유지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 generally has a continuous reflection surface having a light incidence surface at one end repeating the reflection many times, and thus tends to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e optical element has such a shap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ptical ele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as distant as possible from the light exit plane, i.e.,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ght exit plane,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optical device is minimized during the back focus adjustment. The amount of inclination of the image plane with respect to the imaging plane of is minimized. In addition, the edge portion 1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cave refractive surface S 8 and fitted with the back focus adjustment portion 15 so that the optical element 1 is reliably hel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optical element holding portion 30 is provided. Maintained by

또한, 볼록굴절면(S1)의 기준축(31a)은, 광학소자(1)의 회전중심으로서 선택되어, 볼록굴절면(S1)의 위치는 광학소자(1)가 회전되더라도 변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볼록굴절면(S1)과 다이어프램(32) 또는 개구부(2i)사이의 위치편차에 기인해서 흐려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학다이어프램의 애퍼추어의 위치 또는 개구부(2i)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기준축(31a)과 대칭인 원형벽(1c)은 성형을 사용하여 광학소자의 볼록굴절면(S1)둘레에 형성되고 상부케이스(2)의 리브(2b)는 원형벽(1a)에 끼워맞춤되어 간단한 구성과 정확한 회전특성을 가진 유지기구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axis 31a of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is selected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position of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ed. 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blur due to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and the diaphragm 32 or the opening 2i, whereby the position of the aperture of the optical diaphragm or the position of the opening 2i needs to be changed. There is no. Further, the circular wall 1c symmetrical with the reference axis 31a is formed around th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of the optical element by molding, and the rib 2b of the upper case 2 is fitted to the circular wall 1a. It can be customized to obtain a holding mechanism with simple configuration and accurate rotational characteristics.

다음에, 도 8B를 참조해서 근접촬영시(마이크로촬영)에 백포커스조정방법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8B, the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will be described at the time of close-up photography (micro-photographing).

본 실시예에서 광학소자(1)는 피사체가 수십㎝에 있는 근접촬영시(이후 마이크로촬영시라고함)에는 초점위치가 일반촬영시에 비하여 광학소자(1)로부터 멀어지는(디포커스하는)광학특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광학소자(1)에서는 그 디포커스량이 약 0.16㎜이다. 따라서, CCD(7)를 항상 초점깊이내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광학소자(1)와 CCD(7)사이의 거리는 일반촬영시와 마이크로촬영시 사이에서 절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촬영의 경우에, 광학소자(1)는 하부케이스(3)에 형성된 절환레버(도시생략)를 조작함으로써 이동된다. 절환레버는 조정캠(52)의 U형상아암(52d)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절환레버를 조작하면, 조정캠(52)은 회전축(52a)둘레를 회전하도록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ptical element 1 exhibits an optical characteristic in which the focus position is farther away from the optical element 1 (defocused) than in normal photographing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t a distance of several ten centime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crophotographing). Have In the optical element 1 of this embodiment, the defocus amount is about 0.16 mm. Therefore, in order to always position the CCD 7 within the depth of focus, the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CCD 7 is switched between normal shooting and micro shoot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case of microphotographing, the optical element 1 is moved by manipulating a switching lever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case 3. The switching lever is engaged with the U-shaped arm 52d of the adjusting cam 52. When operating the switching lever, the adjustment cam 52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52a.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조정캠(52)은 2개의 영역, 즉 캠면(52b)과 캠면(52c)로 분리된다. 캠면(52b)와 캠면(52c)의 반경을 R(b), R(c)로 각각 표시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 반경 R(b)와 반경R(c)사이의 차이 △r은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As mentioned above, the adjusting cam 52 is divided into two regions, namely, the cam surface 52b and the cam surface 52c. In the case where the radii of the cam face 52b and the cam face 52c are represented by R (b) and R (c),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difference Δr between the radius R (b) and the radius R (c) is as follows. Are set together.

△r=R(b)-R(c)Δr = R (b) -R (c)

0.21㎜ 0.21 mm

이런 설정은 상기 언급한 약 0.16㎜의 디포커스량이 기준축(31b)의 값이라는 사실에 기인하여, 캠면(52b)이나 캠면(52c)과 광학소자(1)의 가장자리부(1a)사이의 접촉점에서의 조정량은 광학소자(1)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해서 증가될 필요가 있다.This setting is due to the fact that the defocusing amount of about 0.16 mm mentioned above is the value of the reference axis 31b, and thus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cam surface 52b or the cam surface 52c and the edge portion 1a of the optical element 1. The amount of adjustment in E needs to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광학소자(1)의 위치는 도 8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촬영의 경우에 캠면(52b)에 의해서 규제되고, 도8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촬영의 경우에 캠면(52c)에 의해서 규제됨으로서 근거리에서 원거리까지의 넓은 범위의 거리에서 피사체에 대한 디포커스없이 우수한 촬영을 하도록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posi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is regulated by the cam surface 52b in the case of normal shooting as shown in Fig. 8A, and in the cam surface 52c in the case of micro-photographing as shown in Fig. 8B. Regulated by the camera ensures excellent shooting without defocusing the subject over a wide range of distances from near to fa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캠은 2개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2개이상의 직경은 다단조정을 허용하기 위한 캠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면이 연속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임의의 거리에서 피사체에 최적의 초점맞춤을 행하도록 하는 수동초점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 is formed with two diameters, but two or more diameters are formed in the cam for allowing multistage adjustment. In addition, if the cam surface is formed in a continuous curve, manual focusing can be realized so that the subject can be optimally focused at an arbitrary distance.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초점조정은 피사체에 대한 거리에 대하여 복수의 캠을 사용해서 행하지만, 이런 구성은 다른 목적, 예를 들면 온도변화에 기인한 초점면의 초점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cusing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cams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but this configuration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for example, focusing of the focusing surface due to temperature change. .

또한, 압압부재가 현존의 초점맞춤 알고리즘과 연관해서 구동원에 의해서 이동되면, 자동초점맞춤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member is moved by the drive source in association with the existing focusing algorithm, automatic focusing can be obtained.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백포커스조정을 행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광학소자(1)를 유지하는 구성은 백포커스만 조정할 수 있고, 종래의 복잡한 조정기구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 조정공정의 대폭적인 간략화, 부품코스트의 절감 등의 효과를 얻는다.As mentioned abov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ably held to perform the back focus adjustment can only adjust the back focus, and the conventional complicated adjustment mechanism becomes unnecessary, thereby miniaturizing the device and adjusting the adjustment process. Significant simplification, reduced parts cost, etc.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소자(1)는 그 중심으로서, 입사굴절면(볼록굴절면(S1))의 기준축과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준축(31a)에 수직한 평면부를 가진 볼록 또는 오목한 구조인 벽(1c)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볼록 또는 오목구조의 위치를 형성하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볼록 또는 오목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촬상장치에 대한, 광입사면의 기준축(31a)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cal element 1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a circular shape with a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convex refractive surface S1) and i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axis 31a. It is formed of the wall 1c which has a convex or concave structure. Such a configuration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axis 31a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imaging device by forming the position of the convex or concave structure and using the convex or concave structure to determine the position.

또한, 돌출부(가장자리부(1a))가 광학소자(1)의 출사굴절면(오목굴절면(S8))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부(벽(10))와 돌출부(가장자리부(1a))를 사용하는 광학소자(1)를 고정함으로써 긴스팬에서 광학소자(1)의 위치결정을 행해서 그 형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edge portion 1a) is formed adjacent to the exit refractive surface (concave refractive surface S8) of the optical element 1, the fitting portion (wall 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edge portion 1a) are formed. By fixing the optical element 1 using), the optical element 1 can be positioned in a long span to improve the accuracy of its shape.

또한, 광학소자(1)를 고정하는 베이스와 광학소자(1)를 가진 촬상장치에 있어서, 이 베이스는 광학소자(1)의 볼록 또는 오목구조(벽(1c))와 걸어맞춤하는 오목 또는 볼록구조(리브(2b))를 가질뿐 아니라 광학소자(1)의 돌출부(가장자리부(1a))를 구속하는 구속수단(압압자(13), 조정캠(52))을 가지고 광학소자(1)를 오목구조 또는 볼록구조와 돌출부에서 베이스상에 고정하도록 하여, 매개 부품을 개재하지 않고서 광학소자(1)를 직접 베이스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광학소자(1)를 베이스에 대해서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Further, in an imaging device having a base for fixing the optical element 1 and an optical element 1, the base is a concave or convex which engages with the convex or concave structure of the optical element 1 (wall 1c). The optical element 1 has not only a structure (rib 2b) but also restraining means (indenter 13, adjusting cam 52) for restraining the protrusion (edge portion 1a) of the optical element 1. Is fixed on the base in the concave or convex structure and the protrusion, and the optical element 1 can be positioned on the base directly without intervening components, so that the optical element 1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ase. .

또한, 광학소자(1)의 화상면을 촬상소자(CCD(7))의 촬상면에 대해서 근접 및 이간가능하도록 베이스에 대해서 광학소자(1)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구성은 백포커스조정을 위한 복잡한 조정기구를 제거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 부품이나 공정의 코스트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백포커스조정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ably held relative to the base such that the image plane of the optical element 1 is proximate to and separated from the image plane of the imaging element CCD 7 is complicated for back focus adjustment. By eliminating the adjustment mechanism, it is possible to realize a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that can achieve miniaturization of the apparatus and cost reduction of parts and processes.

또한, 광학소자(1)의 회전중심이 입사굴절면의 기준축(31a)과 동일하게 되므로, 광학소자(1)가 회전할 때 광학소자(1)의 기울기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준축(31a)이 하나의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광학다이어프램이나 베이스의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axis 31a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the occurrence of the tilt of the optical element 1 is minimized when the optical element 1 rotates, and the reference axis 31a Is maintained in one position,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pening of the optical diaphragm or the base.

또한, 광학소자(1)가 대략 광학소자(1)의 회전중심에서 회전축방향으로의 압압하에서 유지되므로, 광학소자(1)는 확실하고 안정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optical element 1 is held under pressure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ptical element 1, the optical element 1 can be maintained rotatably in a stable and stable state.

또한, 광학소자(1)의 혀형상의 돌출부(가장자리부(1a))가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원형상 또는 구형상의 압압부재(압압자(13)와 조정캠(52))사이에 끼워지고 서로 접근방향으로 부세되므로, 광학소자(1)가 회전되고, 돌출부가 미소각도정도 기울어 지더라도, 광학소자(1)는 압압부재와 돌출부 사이의 접촉점의 변위에 기인해서 항상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광학소자(1)를 직접 끼우지 않고서 끼워서 돌출부를 유지하는 구성은 굴절면이나 반사면에 끼워맞춤력을 작용하는 변형과 같은 영향을 최소로 억제하도록 한다.Further, the tongue-shaped protrusions (edge portions 1a) of the optical element 1 are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circular or spherical pressing members (pressor 13 and adjustment cam 5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mutually. Because of the bias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even if the optical element 1 is rotated and the projection is inclined by a small angle, the optical element 1 is always reliably maintained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projection.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jecting portion is held by inserting the optical element 1 without directly inserting it in such a manner as to minimize the effects such as deformation exerting a fitting force on the refractive surface or the reflective surface is minimized.

또한, 압압부재(압압자(13)와 조정캠(52))는 대략 하나의 지점에만 돌출부를 끼워맞춤하므로, 광학소자(1)를 굴곡하는 모멘트가 대략 회전중심에서의 압압력과 돌출부상의 끼워맞춤력에 의해서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광학소자(1)의 광학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Further, the pressing member (pressor 13 and adjusting cam 52) fits the projection only at about one point, so that the moment of bending the optical element 1 is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projection on the projection. It does not affect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optical element 1 because it does not occur by the fitting force.

또한, 캠베이스(51)가 압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동시에 임의의 지점에서 정지되고 고정되므로, 백포커스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m base 51 is movable in the pressing direction and stopped and fixed at an arbitrary point, the back focus adjustment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압압부재중 하나는 복수의 캠면(52b),(52c)를 가진 캠부재(조정캠(52))이므로, 피사체까지의 거리 등, 촬영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초점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항상 조첨맞춤한 촬영을 행할 수 있다.Further, one of the pressing members is a cam member (adjustment cam 52) having a plurality of cam surfaces 52b and 52c, so that the focusing distance is always adjusted by changing th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change of shooting conditions such as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 can photograph.

또한, 외장부재(상부케이스(2))는 광학소자(1)와 촬상소자(CCD(7))를 직접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복잡한 구조를 가진 종래의 렌즈통은 불필요하고,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 저코스트화가 가능하여, 본 실시예에서 광학소자의 이점을 사용한 촬상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ior member (upper case 2) is configured to directly hold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imaging element (CCD 7), a conventional lens barrel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is unnecessary, and the device is made smaller and thinn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o realize the imaging device using the advantages of the optical element in this embodiment.

또한,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베이스가 외장부재(2)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촬상장치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holding the optical element is constituted by the exterior member 2, the thickness of the imaging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광학소자(1)와 촬상소자(7)를 위한 유지구조가 동일한 외장부재(2)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사이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olding structures for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image pickup element 7 are formed on the same exterior member 2, the positional accuracy therebetween can be improved.

또한 광학소자(1)와 촬상소자(7)가 외장부재(2)의 동일면에 있으므로, 조립공정에서 한방향으로의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조립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tical element 1 and the imaging element 7 are on the same side of the exterior member 2, the assembly process can be facilitated by allowing the assembly in one direction in the assembly process.

또한, 차광대책은 최소의 필요부품만을 요구하여, 조립도중의 조정공정에서 주변을 어둡게하거나 일시적으로 외장을 조립하는 반조립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조정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ding countermeasure can facilitate the adjustment process by requiring only a minimum of necessary part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emi-assembly to dim the surroundings or temporarily assemble the exterior during the adjustment process during assembly.

또한, 촬상장치는 광학소자(1)로 입사하는 광량을 규제하는 광학 다이어프램블레이드(32)가 형성되고, 광학다이어프램블레이드(32)를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외장부재(2)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박형화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ing device has an optical diaphragm blade 32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optical element 1, and a hold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optical diaphragm blade 3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rior member 2, thereby making it thin. Can be.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볼록 및 오목구조를 사용해서 위치결정함으로써 촬상장치에 대해서 광입사면의 기준축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ing using the convex and concave structures makes i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imaging device.

또한, 광학소자가 촬상소자의 촬상면에 대해서 광학소자의 화상면을 근접 또는 이간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므로, 장치의 소형화와 부품과 공정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백포커스조정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tical element is rotatably held so as to be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the image plane of the optical element with respect to the image plane of the imaging ele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back focus adjustment method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and reduce the cost of parts and processes.

또한, 외장부재가 광학소자와 촬상소자를 직접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 저코스트화가 가능함으로써 광학소자의 이점을 사용한 촬상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ior member directly holds the optical element and the image pickup device, the device can be miniaturized, thinned, and low cost, thereby realizing an image pickup device using the advantages of the optical device.

Claims (31)

입사굴절면과, 출사굴절면과, 상기 입사굴절면과 상기 출사굴절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고, 광속이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상기 광학소자의 내부로 입사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에서 복수회 반사하고, 상기 출사굴절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학소자에 있어서,An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 exit refractive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exit refractive surface, wherein a light flux enters the interior of the optical element from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is reflected a plurality of times on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the optical element emitted from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상기 입사굴절면의 근처에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원호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오목구조 또는 볼록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And a concave structure or a convex structure formed in an arc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centering on a reference axis of the light beam incident near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구조 또는 오목구조는 상기 기준축에 수직한 평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structure or the concave structure has a flat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ax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구조 또는 오목구조의 측부는 상기 기준축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portions of the convex structure or the concave structure are formed horizontally on the reference ax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상기 입사굴절면의 기준축을 90°굴곡시킨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include a reflecting surface obtained by bending a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by 90 degre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굴절면의 기준축은 상기 입사굴절면의 기준축에 직교하도록 편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eference axis of the exiting refraction surface is polariz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refraction surfa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굴절면의 근처에 출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원통형상의 볼록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cylindrical convex structure is formed around a reference axis of the light beam emitted near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투명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자유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optical device is formed of a transparent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s a free curved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굴절면에 입사한 광속은 상기 입사굴절면의 파워 및 상기 복수의 반사면중 적어도 하나의 파워에 의해 상기 광학소자내에서 상의 일시결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2.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beam incident o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forms a temporary image in the optical element by the power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굴절면에 입사한 광속은 상기 입사굴절면의 파워 및 상기 복수의 반사면중 적어도 하나의 파워에 의해 상기 광학소자내에서 상의 일시결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8.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light beam incident o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forms an image temporarily in the optical element by the power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굴절면의 근처 및 상기 출사굴절면의 근처에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rojections used for positioning are formed near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near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굴절면의 근처에 위치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used for positioning is formed near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입사굴절면과, 출사굴절면과, 상기 입사굴절면과 상기 출사굴절면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고, 광속이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상기 광학소자의 내부로 입사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에서 복수회 반사하고, 상기 출사굴절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유지구조에 있어서,Having an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 exiting refractive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exiting refractive surface, the light flux enters the interior of the optical element from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reflects a plurality of times on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the holding structure for holding the optical element emitted from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광학소자를 회전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유지구조.And a supporting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optical element about a reference axis of the light beam incident on the incident refraction surface. 입사굴절면과, 출사굴절면과, 상기 입사굴절면과 상기 출사굴절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고, 광속이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상기 광학소자의 내부로 입사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에서 복수회반사하고, 상기 출사굴절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유지구조에 있어서,Having an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 exiting refractive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exiting refractive surface, the light flux enters the interior of the optical element from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reflects multiple times on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the holding structure for holding the optical element emitted from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광학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유지구조.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optical element so a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exiting refraction surface to change the position of formation of the light beam.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에는, 상기 입사굴절면 근처에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해서 원호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원호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부분과 접촉하며, 상기 광학소자를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회전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구조.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n arc-shaped or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reference axis of the light beam incident near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arc-shaped o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optical element is rotatable adjustable about the reference axi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위치는 조정부재의 조정조작에 의해 변화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구조.14.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optical element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support member,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changed by an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there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exit refractive surface to move the light beam. A ho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image positi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부가 캠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구조.The h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contact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n contact with the optical element is formed in a cam surface shape. 입사굴절면과, 출사굴절면과, 상기 입사굴절면과 상기 출사굴절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고, 광속이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상기 광학소자의 내부로 입사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에서 복수회반사하고 상기 출사굴절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학소자와;Having an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 exiting refractive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exiting refractive surface, the light flux enters the interior of the optical element from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reflects multiple times on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An optical element exiting from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입사굴절면의 광속입사쪽에 형성된 다이어프램장치와;A diaphragm device formed at a light beam incident side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of the optical element;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출사굴절면의 광속출사쪽에 형성된 촬상소자와;An imaging device formed on the light beam exit side of the exit refractive surface of the optical device; 상기 광학소자, 상기 다이어프램장치 및 상기 촬상소자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있어서,An imaging device comprising a case in which the optical element, the diaphragm device, and the imaging device are incorporated, 상기 다이어프램장치의 애퍼추어개구량이 다이어프램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And an aperture opening of the diaphragm device is changed by movement of the diaphragm member.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출사굴절면의 기준축은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입사굴절면의 기준축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편광되어 있고,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입사굴절면의 상기 기준축의 방향에 관해서 상기 광학소자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18. The optical axis of claim 17, wherein the reference axis of the exiting refraction surface of the optical element is polariz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refraction surface of the optical element, and the imaging device is adapted to the op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refraction surface. And an image pickup device disposed in the case so as not to overlap with an elemen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상기 광학소자를 회전조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18.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rotatably supporting the optical element about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light beam at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광학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18.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optical element so a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exiting refraction surface to change an image forming position of the light beam.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에는, 상기 입사굴절면 근처에,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해서 원호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원호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광학소자를 입사하는 광속의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회전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20.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n arc-shaped or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light beam, and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arc-shaped o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optical element is rotatable adjustable about the reference axis of the light beam incident thereon.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위치는 조정부재의 조정조작에 의해서 변화되고, 이에 의해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21.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optical element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support member,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changed by an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there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exit refractive surface to move the light beam. And an imaging position is changed.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18.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said diaphragm member is supported to be movable by said cas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상기 광학소자를 회전조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19.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that supports the optical element in a rotatable manner on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light beam o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광학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19.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optical element so a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exiting refraction surface to change an image forming position of the light beam.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입사굴절면의 위치 및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에서 각각의 지지부재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18.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optical element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and supported by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at the position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position of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입사굴절면과, 출사굴절면과, 상기 입사굴절면과 상기 출사굴절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고, 광속이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상기 광학소자의 내부로 입사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에서 복수회 반사하고 상기 출사굴절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학소자와;Having an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 exit refractive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ormed betwee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the exit refractive surface, the light flux enters the interior of the optical element from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and reflects a plurality of times on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An optical element exiting from the exit refractive surface;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입사굴절면의 광속입사쪽에 형성된 다이어프램장치와;A diaphragm device formed at a light beam incident side of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of the optical element;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출사굴절면의 광속출사쪽에 형성된 촬상소자와;An imaging device formed on the light beam exit side of the exit refractive surface of the optical device; 상기 광학소자, 상기 다이어프램장치 및 상기 촬상소자를 내장하는 케이스와;A case containing the optical element, the diaphragm device, and the image pickup device;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광학소자를 지지하는 지기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And a holding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optical element so a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exiting refraction surface so as to change the image forming position of the luminous flux.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입사굴절면에서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광학소자를 회전조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28.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support member rotatably supporting the optical element about a reference axis of the light beam incident on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광학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28.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said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said optical element so as to be movable so that the position of said exit refractive surface can change the image formation position of a light beam.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에는 상기 입사굴절면 근처에, 입사하는 광속의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원호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원호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부분과 접촉하여, 입사하는 광속의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해서 상기 광학소자를 회전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29.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28, wherein an arc-shaped or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in the optical element near the incident refractive surface with respect to a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light beam, and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arc-shaped or cylindrical portion, And the optical element is rotatable around the reference axis of the incident light beam.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위치는 조정부재의 조정조작에 의해서 변화하고, 이에 의해 상기 출사굴절면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광속의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30. The optical element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optical element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support member,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changed by an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there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exit refractive surface to move the light beam. And an imaging position is changed.
KR1019990044971A 1998-10-16 1999-10-16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10033859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95262 1998-10-16
JP10295262A JP2000121944A (en) 1998-10-16 1998-10-16 Optical device, optical device holding method and image pickup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137A true KR20000029137A (en) 2000-05-25
KR100338596B1 KR100338596B1 (en) 2002-05-27

Family

ID=1781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971A KR100338596B1 (en) 1998-10-16 1999-10-16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5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812B1 (en) * 2002-12-27 2007-08-29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Illumination apparatus, illumination method for an imag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an imag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812B1 (en) * 2002-12-27 2007-08-29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Illumination apparatus, illumination method for an imag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an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8596B1 (en) 200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4018C (en) Digital camera system
US6515807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lens barrel
CN111308643B (en) Camera module, periscope type camera modul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W202011068A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1630580A1 (en) Imaging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imaging device assembling method
WO2005003835A1 (en) Imaging devic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image device producing method
US6362921B1 (en)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H0581882B2 (en)
JP5884057B2 (en) Lens barrel
EP1642167A1 (en) Digital camera system
JP5093036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EP2053440B1 (en) Imaging apparatus
KR100338596B1 (en) Optical element, holding structure for optical ele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20220100051A1 (en) Optical assembly driv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616884B2 (en) Viewfinder for single lens reflex camera
US20100177410A1 (en) Projection lens unit
KR20230011048A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20010979A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CN111885292A (en) Camera shoo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7404597U (en)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2000121944A (en) Optical device, optical device holding method and image pickup device
JP2007279152A (en) Lens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optical axis adjusting method for lens device
JP2018077381A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JP2001027704A (en) Prism optical system
JP4505052B2 (en) Prism adjus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