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7316A - Boiler for firewood - Google Patents

Boiler for firew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7316A
KR20000027316A KR1019980045223A KR19980045223A KR20000027316A KR 20000027316 A KR20000027316 A KR 20000027316A KR 1019980045223 A KR1019980045223 A KR 1019980045223A KR 19980045223 A KR19980045223 A KR 19980045223A KR 20000027316 A KR20000027316 A KR 2000002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ust collecting
firearm
chamber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9485B1 (en
Inventor
임헌학
Original Assignee
임헌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학 filed Critical 임헌학
Priority to KR10-1998-004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485B1/en
Publication of KR2000002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3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4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Abstract

PURPOSE: A boiler for firewood is provided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and not to generate the soot by burning completely not only every kind firewood but also the garbage. CONSTITUTION: A boiler for firewood comprises: a container(12) to keep temporarily the heated water; a combustor(30) to be equipped in a container(12) and to burn every kind firewood or the garbage; a guide means of heat of hire(60) to be equipped in a container(12) and connected with a combustor(30), and to circulate and discharge heat of hire to the outside of a container(12); a supply pipe of the heated water(56) to supply the heated water from a container(12) to a heating location; an inflow pipe of the heated water(52) to inflow the heated water from a heated location to a container(12); a supply pipe of warm water(58) to supply the water heated to the wanted temperature in a container(12) to the spending location of warm water; a controller to be equipped on the outside of a container(12) and to control the whole working; an air blower(31) to be equipp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a container(12) and to circulate air forcibly into a combustor(30).

Description

나무 보일러Wood boiler

본 발명은 나무 보일러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각종 나무 뿐만아니라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 등을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운전중에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그을음이나 물생김이 없으며 열효율이 높은 나무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boiler, and in particular, can be used as a fuel as well as various wood as well as garbage from the home, there is little smoke during operation, there is no soot or water, and a high heat efficiency wood boiler.

일반적으로,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는 나무 보일러에 비해서 열효율이 높고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에너지, 특히 기름이나 가스의 초기 공급비용이 증가하고 경제사정이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의 경제성에 문제가 있으며, 특히 경제적인 사정이 여의치 못한 농촌이나 산간 벽지 등에서는 그 설치 및 운용이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In general, oil boilers or gas boilers are more thermally efficient and easier to use than wood boilers. However, in recent years, since the initial supply cost of energy, in particular oil or gas, has increased and economic conditions have become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in the economics of oil boilers or gas boilers, especially in rural or mountain wallpaper where economic conditions are insignificant. Installation and operation is more difficult.

따라서, 최근에는 나무 보일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나무 보일러는 다른 형태의 에너지 보다 가격이 싼 나무를 연료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비교적 작은 규모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설치비가 적게 든다. 이러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는 나무 보일러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Therefore, interest in wood boilers has recently increased. Wood boilers are economical because they use wood as a fuel, which is cheaper than other forms of energy, and are less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install because they are used on a relatively small scale.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wood boilers having these advantages.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단일 연소실 및 연도가 내장되고 연소실 주변에 수조를 마련한 나무 보일러 등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나무 보일러에 있어서는 연료로 쓰이는 각종 나무의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연기나 그을음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연소실 및 연도에서 결로나 물생김 현상이 발생하며, 단일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킴과 동시에 이때 발생하는 연소열을 난방에 이용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좋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As part of such efforts, wooden boiler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a single combustion chamber and flue are built and a water tank is installed around the combustion chamber.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wood boiler, the combustion of various woods used as fuel is not completed, and a lot of smoke and soot are generated. In addition, condensation or water formation occurs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flue, and at the same time the fuel is burned in a single combustion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of combustion is generated for heat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나무 뿐만아니라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까지 연료로서 사용하여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며, 그을음이나 물생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열효율이 높은 경제성 있는 나무 보일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ly burned by using not only various wood but also garbage from the home as a fuel, soot or water phenomena does not occur It is to provide an economical wood boiler with high therm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od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wood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의 우측면도,3 is a right side view of a wood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1의 선 Ⅳ-Ⅳ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and

도 4b는 도 1의 선 Ⅴ-Ⅴ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1.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나무 보일러 12 : 콘테이너10: wood boiler 12: container

25 : 제 1 집진날 26 : 제 1 집진 레버25: first dust collection day 26: the first dust collection lever

26c : 제 1 집진판 26d : 제 2 집진구26c: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d: second dust collecting hole

28 : 제 2 집진 레버 28a : 제 2 집진판28: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28a: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30 : 연소실 31 : 송풍기30 combustion chamber 31 blower

38 : 제 1 화기 안내관 40 : 컨트롤 박스38: first firearm guide 40: control box

42 : 기름통 43 : 자동 점화장치42: oil sump 43: automatic ignition

44 : 자동 점화구 46 : 수동 점화구44: auto ignition bulb 46: manual ignition bulb

52 : 난방수 유입관 54 : 직수관52: heating water inlet pipe 54: direct water pipe

56 : 난방수 공급관 58 : 온수 공급관56: heating water supply pipe 58: hot water supply pipe

60 : 화기 안내실 61 : 제 1 집진구60: firearms guidance room 61: the first dust collector

62 : 회전판 63 : 제 2 집진날62: rotating plate 63: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64 : 화기 안내판 66 : 제 2 화기 안내관64: firearms guide 66: second firearms guide

70 : 화기 배출실 72 : 제 3 화기 안내관70: firearm discharge chamber 72: third firearms guide

74 : 집진망 76 : 제 3 집진구74: dust collecting network 76: third dust collection port

80 : 온수 순환관80: hot water circulation pi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데워질 물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공간을 한정하는 콘테이너;A container defining a space for temporarily holding water to be heated;

상기 콘테이너 내에 배치되며, 각종 나무 또는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연료로서 수용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A combustion chamber disposed in the container and configured to receive and burn garbage from various trees or homes as fuel;

상기 연소실과 연통하도록 상기 콘테이너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소실 내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화기를 상기 콘테이너 내에서 순환시킨후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화기 안내수단;A firearm guide means disposed in the contain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and configured to circulate the fi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container and to discharge the firearm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의 내부로부터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콘테이너 내에 일시적으로 보유되면서 상기 화기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데워진 난방수를 난방 장소로 공급하기 위한 난방수 공급관;A heating water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supplying heating water temporarily held in the container and warmed to a desired temperature by the firearm;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부터 상기 콘테이너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난방 장소로부터 귀환하는 물을 상기 콘테이너 내로 도입하기 위한 난방수 유입관;A heating water inlet pipe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introducing water returning from the heating place into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 내로 직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킨후 원하는 온도로 데워진 직수를 상기 콘테이너 외부의 온수 소비장소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수단; 및Hot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ntainer and circulating the hot water to supply hot water to a hot water consumption place outside the container; And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나무 보일러를 제공한다.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provides a wood boiler includ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상기 나무 보일러는, 상기 콘테이너의 바닥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 내로 강제 통풍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한다.The wood boiler further includes a blower installed outside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provide forced ventilatio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무 보일러에서는, 연소실 내에서 각종 나무 뿐만아니라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완전히 연소시키며, 이때 나오는 연소열을 효과적으로 난방에 이용한다.In the wood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various trees but also garbage from the home are used as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completely burn the fuel, and the heat of combustion coming out is effectively used for heatin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ooden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의 우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wooden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wooden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ght side view of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10)는 난방수를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물탱크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통형 콘테이너(12) 및 원통형 콘테이너(12)를 지지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14)과 다리(16)를 포함한다. 다리(16) 사이에는 송풍기(31) 및 재 수거함(18)이 배치된다.1 to 3, the wooden boiler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cylindrical container 12 and a cylindrical container 12 which perform a function of a water tank for temporarily holding heating water. And a support plate 14 and a leg 16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Between the legs 16 a blower 31 and a recycling bin 18 are arranged.

콘테이너(12)의 상부면 상에는 원형의 연소실 커버(20)가 설치된다. 연소실 커버(20)는 콘테이너(12) 내에 수직하게 설치된 원형 연소실(30)(도 4a 참조)을 필요에 따라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힌지(22)에 의해서 콘테이너(12)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다. 또한, 콘테이너(12)의 상부면 상에는 배기구(24), 제 1 집진 레버(26),제 2 집진 레버(28) 및 오버 플로 파이프(ovwrflow pipe)(27)가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오버 플로 파이프(27)는 콘테이너(12) 내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물의 토출관이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2, a circular combustion chamber cover 20 is provided. The combustion chamber cover 20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12 by a hinge 22 so as to open and close a circular combustion chamber 30 (see FIG. 4A) installed vertically in the container 12 as needed. In addition, an exhaust port 24, a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a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28, and an overflow pipe 27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2 to protrude upward. The overflow pipe 27 is a discharge pipe of wat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12.

콘테이너(12)의 전면에는 온도계(29), 컨트롤 박스(40) 및 기름통(42)이 배치된다. 온도계(29)는 컨트롤 박스(40)에 내장된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온도 감지신호를 전달 받아서, 콘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난방될 물의 온도를 가시적으로 나타낸다. 컨트롤 박스(40)는 나무 보일러(1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 설정 스위치, 작동 스위치, 퓨즈 등이 배치된다. 한편, 기름통(42)의 상부에는 기름 주입구(41b)가 형성된다. 기름통(42) 내로 기름을 공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름 주입구(41b)는 제 1 마개(41a)에 의해서 폐쇄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container 12, the thermometer 29, the control box 40 and the oil barrel 42 is disposed. The thermometer 29 receives a temperature sensing signal from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built in the control box 40 and visually represent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2 to be heated. The control box 40 i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ood boiler 10, the temperature setting switch, the operation switch, the fuse is disposed. On the other hand, the oil injection port 41b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il barrel 42. Except for supplying oil into the sump 42, the oil inlet 41b is closed by the first cap 41a.

기름통(42)의 아래에는 자동 점화구(44)와 수동 점화구(46)가 형성된다. 자동 점화구(44) 내에는 자동 점화장치(43)가 배치된다. 자동 점화장치(43)에는 기름통(42)으로부터 연장된 기름 공급관(45)이 연결된다. 자동 점화장치(43)는 소비자가 나무 보일러(1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컨트롤 박스(40)를 조작하면, 컨트롤 박스(40)로부터 작동 신호를 인가 받아서 연소실(30)(도 4a 참조) 내에 있는 각종 나무 또는 가정용 쓰레기 등의 연료를 자동 점화시킨다.Under the sump 42, an automatic ignition port 44 and a manual ignition port 46 are formed. An auto ignition device 43 is disposed in the auto ignition port 44. The oil supply pipe 45 extending from the oil container 42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43. When the consumer operates the control box 40 to operate the wood boiler 10,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43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box 40 and the various types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see FIG. 4A). Automatically ignites fuel such as wood or household waste.

수동 점화구(46)는 평상시에 제 2 마개(47)에 의해서 폐쇄된다. 수동 점화구(46)는 자동 점화장치(43)가 작동하지 않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연소실(30) 내에 있는 각종 나무 또는 가정용 쓰레기 등의 연료를 수동으로 점화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소비자가 제 2 마개(47)를 열고 종이나 나무 등에 불을 붙여서 수동 점화구(46) 내로 들이밀어서 연소실(30) 내의 연료에 직접 불을 붙일 수 있게 한다.The manual ignition port 46 is normally closed by the second plug 47. The manual ignition port 46 is installed in case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43 does not operate, and allows the consumer to manually ignite fuel such as various wood or household waste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 That is, the consumer opens the second stopper 47 and lights a piece of paper or wood to ignite the manual ignition port 46 so as to directly ignite the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콘테이너(12)의 우측면 하부에는 드레인(50)이 설치된다. 드레인(50)은 콘테이너(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것으로, 콘테이너(12)의 내부를 청소할 때 콘테이너(12) 내에 채워져 있던 물을 빼내는데 이용된다. 드레인(50)의 위쪽에는 난방수 유입관(52)과 직수관(54)이 설치된다. 난방수 유입관(52)은 난방 장소로부터 콘테이너(12) 내부로 귀환하는 난방수의 통로가 된다. 이를 위해서, 난방수 유입관(52)은 난방 장소와 유체 연결되며, 난방수 유입관(52)의 중간에는 순환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순환 펌프는 전동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구동되어 난방장소로부터 난방수를 빼내어 난방수의 압력을 높여서 나무 보일러(10) 쪽으로 순환시킨다.A drain 50 is provided below the right side of the container 12. The drain 50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2 and is used to drain out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12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2.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52 and the direct water pipe 54 are installed above the drain 50. The heating water inflow pipe 52 serves as a passage for the heating water returned from the heating place to the container 12. To this end,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52 is fluidly connected to the heating place, and a circulation pump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52. The circulation pump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not shown) to draw the heating water from the heating place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heating water and circulate it toward the wood boiler 10.

직수관(54)은 수도 등과 같은 나무 보일러(10) 외부의 물 공급원(water source)으로부터 연장되어 나무 보일러(10) 내부로 들어가며, 콘테이너(12) 내로 직수(fresh water)를 제공한다. 직수관(54)을 통해서 공급되는 직수는 콘테이너(12) 내에 채워지게 된다.The direct pipe 54 extends from a water source outside the wood boiler 10 such as tap water, enters the wood boiler 10, and provides fresh water into the container 12.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54 is filled in the container 12.

콘테이너(12)의 우측면 상부에는 난방수 공급관(56)과 온수 공급관(58)이 설치된다. 난방수 공급관(56)은 나무 보일러(10)의 내부에서 덮혀진 난방수를 난방 장소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콘테이너(12)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온수 공급관(58)은 직수관(54)을 통해서 콘테이너(12) 내로 도입되어 나무 보일러(10)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덮혀진 온수를 가정의 온수 전용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The heating water supply pipe 56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58 are insta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ontainer 12. The heating water supply pipe 56 is for recycling the heating water covered in the inside of the wood boiler 10 to the heating place, and extends from the container 12 to the outside. The hot water supply pipe 58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2 through the direct water pipe 54 to supply hot water covered while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wood boiler 10 to the hot water pipe in the home.

도 4a는 도 1의 선 Ⅳ-Ⅳ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선 Ⅴ-Ⅴ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1.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콘테이너(12)는 데워질 물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공간(S)을 한정하며, 이 공간(S)에는 난방수 유입관(52)을 통해서 난방 장소로부터 들어오는 물이 일정 높이까지 채워지게 된다. 콘테이너(12) 내에는 연소실(30), 화기 안내실(60) 및 화기 배출실(70)이 수직하게 설치된다. 화기 안내실(60) 주위에는 온수 순환관(80)이 배치되는데, 온수 순환관(80)은 콘테이너(12)의 일측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직수관(54)과 콘테이너(12)의 일측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온수 공급관(58) 사이에서 연장된다. 즉, 온수 순환관(80)의 일단부는 직수관(54)에 연결되고, 온수 순환관(80)의 타단부는 온수 공급관(58)에 연결된다. 따라서, 온수 순환관(80)은 직수관(54) 및 온수 공급관(58)과 일체로서 형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A, the container 12 defines a space S for temporarily holding water to be heated, and the space S enters water from a heating place through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52. This will fill up to a certain height. In the container 12, a combustion chamber 30, a fire guide chamber 60, and a fire discharge chamber 70 are vertically installe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80 is disposed around the fire guide chamber 60,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80 penetrates the water pipe 54 installed through on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2 and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12. It extends between the hot water supply pipes 58 are installed. That is, one end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80 is connected to the water straight pipe 54, and the other end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80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58. Therefor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8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rect water pipe 54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58.

연소실(30)은 각종 나무 또는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 등의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다. 연소실(30)의 하부에서는 콘테이너(12)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자동 점화구(44)와 수동 점화구(46)가 연소실(30)의 벽(32) 하부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자동 점화구(44)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동 점화장치(43)와 2개의 광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광센서는 자동 점화장치(43)의 선단부에 구비된 점화 코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점화되는 불꽃의 세기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컨트롤 박스(40)로 전달한다.The combustion chamber 3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burn fuel such as garbage from various trees or homes, and is made of stainless steel. In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 auto ignition hole 44 and the manual ignition hole 46 form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12 exten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wall 32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 auto ignition port 44 is provided with an auto ignition device 43 and two light sensors (not shown) as mentioned above. The optical sensor detects the intensity of the spark ignited by an ignition coil (not shown) provided at the tip of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43,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box 40.

또한, 연소실(30)의 외측 방사상 하부에는 송풍로(34)가 설치된다. 송풍로(34)는 연소실(30)의 벽(32)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송풍구(36)와 연통하며, 연소실(30)의 아래쪽에서 콘테이너(12)의 바닥 외부에 설치되는 송풍기(31)로부터 발생하는 바람의 이동로가 된다.In addition, a blower 34 is provided at an outer radial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 blower 34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blowers 36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32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nd is provided outside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2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It becomes the movement path of the wind from).

연소실(30)의 하부와 화기 안내실(60)의 하부 사이에는 제 1 화기 안내관(38)이 연장된다. 제 1 화기 안내관(38)은 연소실(30) 내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화기를 화기 안내실(6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화기 안내관(38)에는 제 1 화기 안내관(38)을 지나는 화기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39)가 배치된다. 광센서(39)에 의해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콘테이너(12)의 전면에 설치된 컨트롤 박스(40)로 전달된다.The first firearm guide tube 38 extends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earm guidance chamber 60. The first firearm guide tube 38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firearm generated as the fuel i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to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The first firearm guide tube 38 is arranged with an optical sensor 39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firearm passing through the first firearm guide tube 38.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light sensor 39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x 40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container 12.

한편, 화기 안내실(60) 내에는 일체로 형성된 제 1 집진 레버(26)와 직사각형 판상의 회전판(62)이 설치된다. 회전판(62)의 상부와 하부에는 반원형의 화기 안내판(64)이 회전판(62)의 양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화기 안내판(64)은 제 1 화기 안내관(38)을 통해서 연소실(30)로부터 화기 안내실(60)내로 도입되어 화기 안내실(60)을 통해서 상승하는 화기를 화기 안내실(60)의 중심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로 퍼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화기 안내판(64)은 화기의 퍼짐을 돕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이 움푹들어간 형상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e guide chamber 60, the 1st dust collecting lever 26 integrally formed and the rotating plate 62 of rectangular shape are provided. Semicircular firearm guide plates 64 ar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tating plate 62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plate 62. The firearm guide plate 64 is introduced into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from the combustion chamber 30 through the first firearm guide tube 38 and rises through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at both centers at the center of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It is to spread with. Preferably, the firearm guide plate 64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recessed to help spread the firearm.

회전판(62)의 상부면 상에는 제 1 집진 레버(26)의 상부(26a)가 용접되고, 회전판(62)의 바닥면 상에는 제 1 집진 레버(26)의 하부(26b)가 용접된다. 제 1 집진 레버(26)의 상부(26a)의 자유단부는 콘테이너(12)의 상부를 지나서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집진 레버(26)의 하부(26b)의 자유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제 1 집진판(26c)이 부착된다. 제 1 집진판(26c)에는 반원형상의 제 2 집진구(26d)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 2 집진구(26d)는 화기 안내실(60)의 바닥을 관통하여 형성된 반원형상의 제 1 집진구(6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The upper portion 26a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is wel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62, and the lower portion 26b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is wel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62. The free end of the upper portion 26a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is exposed to the outside beyo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2. A disk-shaped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is attached to the free end of the lower portion 26b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A semicircular second dust collecting port 26d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The second dust collector 26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ular first dust collector 61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제 1 집진판(26c)의 하부면 상에는 제 1 집진날(25)이 하방향으로 돌출하여 부착된다. 제 1 집진날(25)은 화기 안내실(6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제 1 집진 레버(26)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화기 안내실(60)의 바닥면 상에 쌓여있는 먼지나 재등을 제 1 집진구(61) 쪽으로 쓸어서 배출시킨다. 그 결과, 먼지나 재등은 제 1 집진구(61)를 통과하여 재 수거함(18) 내로 투입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the first dust collecting blades 25 protrude downward and are attached. When the 1st dust collecting blade 25 rotates the 1st dust collecting lever 26 to clean the inside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the 1st dust collecting blade 25 collects the dust and the ash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etc. Sweep to the dust collector 61 to discharge. As a result, dust, ash, and the like pass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ing port 61 and are introduced into the re-collection 18.

한편, 제 1 집진판(26c) 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 1 집진판(26c) 근처의 화기 안내실(60)의 내부면 상에는 제 2 집진날(63)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제 2 집진날(63)은 제 1 집진 레버(26)의 제 1 집진날(25)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제 2 집진날(63)은 화기 안내실(6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제 1 집진 레버(26)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제 1 집진판(26c)의 상부면 상에 쌓여있는 먼지나 재등을 제 1 집진판(26c)의 제 2 집진구(26d) 쪽으로 쓸어서 배출시킨다. 그 결과, 먼지나 재등은 일체로 형성된 제 1 집진 레버(26)와 제 1 집진판(26c)의 회전에 의해서 수직하게 정렬되는 제 2 집진구(26d)와 제 1 집진구(61)를 차례로 통과하여 재 수거함(18) 내로 투입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near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the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63 protrudes radially inward. The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63 has a siz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blade 25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When the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63 rotates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to clean the inside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the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63 removes dust or ash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1 It sweeps toward the 2nd dust collector 26d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26c, and is discharged. As a result, dust or ash passes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ng hole 26d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hole 61 which are vertically align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formed integrally. Into the re-collection 18.

도 4b를 참조하면, 화기 안내실(60)의 상부와 화기 배출실(70)의 상부 사이에는 제 2 화기 안내관(66)이 연장된다. 제 2 화기 안내관(66)은 화기 안내실(60)을 통과한 화기를 화기 배출실(70) 내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기 배출실(70) 내에는 제 3 화기 안내관(72)이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3 화기 안내관(72)의 하부에는 집진망(74)이 설치된다. 집진망(74)은 화기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 3 화기 안내관(72)의 상부는 배기구(24)와 연통한다.Referring to FIG. 4B, a second firearm guide tube 66 extends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arm discharge chamber 70. The second firearm guide tube 66 guides the firear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into the firearm discharge chamber 70. The third firearm guide tube 72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firearm discharge chamber 70. The dust collecting network 74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3rd fire guide pipe 72. The dust collecting network 74 is installed to extend downwa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earm.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fire guide tube 72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port 24.

또한, 화기 배출실(70) 내에는 제 2 집진 레버(28)가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2 집진 레버(28)의 상부는 콘테이너(12)의 상부를 지나서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집진 레버(26)의 하부에는 원판 형상의 제 2 집진판(28a)이 부착된다. 제 2 집진판(28a)은 제 2 집진 레버(28)의 수직 운동에 따라서 화기 배출실(70)의 바닥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3 집진구(76)를 개폐시킨다. 즉, 화기 배출실(7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제 2 집진 레버(28)를 위로 들어올리면 제 2 집진판(28a)이 들어 올려지고, 그 결과 화기 배출실(70)의 바닥면 상에 쌓인 먼지나 재 등이 제 3 집진구(76)를 통해서 아래로 배출되어 재 수거함(18) 내로 투입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28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28 is exposed to the outside past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12. A disk-shaped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8a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8a opens and closes the third dust collecting hole 76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28. That is, when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28 is lifted up to clean the inside of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8a is lifted up, and as a result,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8a is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Dust or ash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hird dust collecting hole 76 and is introduced into the re-collection 18.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나무 보일러(10)의 작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ood boiler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소비자가 연소실(30) 내에 각종 나무 또는 가정용 쓰레기 등의 연료를 장입한 상태에서 나무 보일러(1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컨트롤 박스(40)를 조작하여 자동 점화장치(43)를 작동시키면, 자동 점화장치(43)의 점화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예열된다. 이때, 자동 점화장치(43)와 기름통(42) 사이에 연장된 기름 공급관(45)을 통해서 기름통(42)으로부터 자동 점화장치(43)의 점화 코일로 일정량의 기름이 공급된다. 그 결과, 점화 코일은 연소실(30) 내에 장입된 연료쪽으로 불꽃을 발사하게 된다.First, when the consumer operates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43 by operating the control box 40 to operate the wood boiler 10 in a state where fuel such as various wood or household waste is charg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An ignition coil (not shown) of the ignition device 43 is preheated. At this time, a certain amount of oil is supplied from the sump 42 to the ignition coil of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43 through the oil supply pipe 45 extending between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43 and the sump 42. As a result, the ignition coil fires a spark toward the fuel charg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그러면, 연소실(30)의 연료가 연소되기 시작한다. 이때, 콘테이너(12)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31)가 작동하여 송풍로(34)와 송풍구(36)를 통해서 연소실(30) 내로 바람을 불어넣어 연료의 연소를 지원한다. 그 결과, 연료는 완전하게 연소된다. 연소실(30)에서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화기는 연소실(30)과 화기 안내실(60) 사이에 연장된 제 1 화기 안내관(38)을 통해서 화기 안내실(60)로 도입된다. 화기 안내실(60)로 도입된 화기는 화기 안내실(60)의 내측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한다. 이때, 화기는 화기 안내실 내부의 주변부로 화기를 유도하도록 설치된 화기 안내판(64)에 의해서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 나간다.Then, the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starts to burn. At this time, the blower 31 installed in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2 is operated to blow ai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through the blower 34 and the blower 36 to support combustion of fuel. As a result, the fuel burns out completely. The fi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introduced into the fire guide chamber 60 through a first fire guide tube 38 extending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30 and the fire guide chamber 60. The firearms introduced into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flow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firearm guide chamber 60 to the top. At this time, the firearm is spread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by the fire guide plate 64 installed to guide the firearm to the periphery of the inside of the firearm guide room.

이렇게 퍼져나간 화기는 화기 안내실(60)의 외부 주변부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80)을 효과적으로 데우고, 화기 안내실(60)과 화기 배출실(70) 사이에 연장된 제 2 화기 안내관(66)을 통해서 화기 배출실(70) 내로 도입된다. 화기 배출실(70) 내로 도입된 화기는 제 3 화기 안내관(72)의 하부에 설치된 집진망(74)을 통해서 제 3 화기 안내관(72) 안으로 안내된후, 제 3 화기 안내관(72)과 배기구(2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The spreading fire effectively heats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80 install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e guide room 60, and extends the second fire guide pipe 66 extending between the fire guide room 60 and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It is introduced into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through. The firearm introduced into the firearm discharge chamber 70 is guided into the third firearm guide tube 72 through the dust collecting network 74 installed under the third firearm guide tube 72, and then the third firearm guide tube 72. And through the exhaust port 24 to the outside.

이와같이 나무 보일러(10)가 작동하는 경우에, 연소실(30), 화기 안내실(60)과 화기 배출실(70) 주위에 채워진 난방수가 일정한 온도까지 데워진후 난방수 공급관(56)을 통해서 난방 장소로 보내진다. 또한, 화기 안내실(60) 주위에 배치된 온수 순환관(80)을 지나면서 데워진 온수는 온수 공급관(58)을 통해서 온수 소비장소로 제공된다.When the wood boiler 10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water filled around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 fire guidance chamber 60, and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is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then heated to the heating place through the heating water supply pipe 56. Is sent. In addition, hot wate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80 disposed around the fire guide chamber 60 is provided to the hot water consumption place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58.

한편, 화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재 등은 화기 안내실(60)과 화기 배출실(70)의 내부 바닥에 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화기 안내실(60)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화기 안내실(60)을 지나서 콘테이너(12)의 상부 외부로 노출된 제 1 집진 레버(26)의 자유단부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 1 집진 레버(26)의 하부에 부착된 제 1 집진판(26c)이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제 1 집진판(26c)에 형성된 제 2 집진구(26d)와 화기 안내실(60)의 바닥에 형성된 제 1 집진구(61)를 통해서 먼지나 재 등이 배출된다. 이때, 제 1 집진판(26c)의 제 1 집진날(25)이 화기 안내실(60)의 바닥면 상에 쌓인 먼지나 재 등을 쓸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화기 안내실(60)의 바닥이 깨끗하게 청소된다.On the other hand, dust or ash contained in the fire can be accumula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and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In this case, to clean the fire guide chamber 60, the free end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2 past the fire guide chamber 60 is rotated. Th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26 is rotated, and as a result, the second dust collecting hole 26d and the bottom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formed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are rotated. Dust, ash, etc. are discharged | emitted through the 1st dust collector 61 formed in the inside.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dust collecting blade 25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moves while sweeping dust or ash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e collecting chamber 60, the bottom of the fire collecting chamber 60 is cleaned cleanly. .

또한, 화기 안내실(60)의 내측면 상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 2 집진날(63)이 회전중인 제 1 집진판(26c)의 상부면상을 쓸어주기 때문에, 제 1 집진판(26c)의 상부면 상에 쌓인 먼지나 재가 제 1 집진판(26c)의 회전에 의해서 서로 수직하게 정렬된 제 2 집진구(26d)와 제 1 집진구(61)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먼지나 재 등은 콘테이너(12)의 다리(16) 사이에 위치한 재 수거함(18) 내로 투입되어 수거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63 formed by projecting radially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 guide chamber 60 sweep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which is rot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The dust and ash accumulated on the top pass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ng port 26d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ort 61 which are vertically aligned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6c. The dust or ash discharged in this way is put into the collection box 18 located between the legs 16 of the container 12 and collected.

한편, 화기 배출실(70)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화기 배출실(70)을 지나서 콘테이너(12)의 상부 외부로 노출된 제 2 집진 레버(28)의 자유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화기 배출실(70)의 바닥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3 집진구(76)를 막고있던 제 2 집진판(28a)이 들어올려져서 제 3 집진구(76)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 결과, 화기 배출실(70)의 바닥에 쌓여있던 먼지나 재 등은 제 3 집진구(76)를 통해서 낙하하여 재 수거함(18) 내로 투입 수거된다. 그 결과, 화기 배출실(70)의 바닥이 깨끗하게 청소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ean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the free end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28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2 past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is lifted upward. The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8a blocking the third dust collecting hole 76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is lifted to open the third dust collecting hole 76. As a result, dust or ash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falls through the third dust collecting hole 76 and is collected and put into the re-collection 18. As a result, the bottom of the fire discharge chamber 70 is cleaned clean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무 보일러(10)에서는, 각종 나무 뿐만아니라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 등의 연료를 연소실(30) 내에서 완전하게 연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전중에 연기나 그을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물생김이 없다. 또한, 연소시에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열효율이 높고 난방효과가 우수하다. 게다가, 연료비가 적게들고 설치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ood boil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not only various trees but also fuel such as garbage from home can be completely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smoke and soot are almost generated during operation. There is no watering. In addition, since it has an internal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use the hea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the thermal efficiency is high and the heating effect is excellent. In addition, fuel costs are low and installation is eas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1)

데워질 물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공간을 한정하는 콘테이너;A container defining a space for temporarily holding water to be heated; 상기 콘테이너 내에 배치되며, 각종 나무 또는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연료로서 수용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A combustion chamber disposed in the container and configured to receive and burn garbage from various trees or homes as fuel; 상기 연소실과 연통하도록 상기 콘테이너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소실 내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화기를 상기 콘테이너 내에서 순환시킨후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화기 안내수단;A firearm guide means disposed in the contain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and configured to circulate the fi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container and to discharge the firearm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의 내부로부터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콘테이너 내에 일시적으로 보유되면서 상기 화기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데워진 난방수를 난방 장소로 공급하기 위한 난방수 공급관;A heating water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supplying heating water temporarily held in the container and warmed to a desired temperature by the firearm;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부터 상기 콘테이너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난방 장소로부터 귀환하는 물을 상기 콘테이너 내로 도입하기 위한 난방수 유입관;A heating water inlet pipe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introducing water returning from the heating place into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 내로 직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킨후 원하는 온도로 데워진 직수를 상기 콘테이너 외부의 온수 소비장소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수단; 및Hot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ntainer and circulating the hot water to supply hot water to a hot water consumption place outside the container; And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나무 보일러.Wood boil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clud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 보일러는, 상기 콘테이너의 바닥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 내로 강제 통풍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The wood bo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od boiler further comprises a blower installed outside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provide forced ventilatio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외측 방사상 하부에는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송풍로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로에 인접한 상기 연소실의 벽 하부에는 다수의 송풍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The wood boil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blower path communicating with the blower is provided at an outer radial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plurality of blowers penetrate through a lower part of a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djacent to the blo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상기 연소실과 연통하도록 상기 콘테이너의 하부와 상기 연소실의 벽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수동 점화구와 자동 점화구;A manual ignition port and an automatic ignition port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low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 연소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힌지에 의해서 상기 콘테이너의 상기 상부에 장착된 원형의 연소실 커버;A circular combustion chamber cover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y a hinge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 화기를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콘테이너의 상기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구;An exhaust port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to discharge the firearm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의 상기 상부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콘테이너 내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오버 플로 파이프;An overflow pipe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configured to adjust an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의 상기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콘테이너의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에 상기 콘테이너 내에 잔류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A drain install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and discharging water remaining in the container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의 전면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콘테이너 내에 수용되는 물의 온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온도계; 및A thermometer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thermometer for visually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상기 콘테이너의 전면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연소실 내에서 상기 연료를 연소시킬 때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되는 기름을 저장하는 기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And a sump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tainer, the sump storing oil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when the fuel is 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점화구 내에는 점화 코일을 내장한 자동 점화장치 및 상기 점화 코일의 점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자동 점화장치와 상기 기름통 사이에는 기름 공급관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automatic ignition device having an ignition coil and at least one first optical sensor for sensing an ignition temperature of the ignition coil are installed in the automatic ignition port, and between the automatic ignition device and the oil container. The woo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il supply pipe is exten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 안내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guide means, 상기 연소실과 연통하도록 상기 콘테이너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직사각형 판상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회전판의 양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반원형의 화기 안내판, 상기 회전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동하는 제 1 집진수단을 구비하는 화기 안내실;Disposed vertically in the contain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a semi-circular fire guide plat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rotary plate at a top and bottom of the rectangular plate,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ry plat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ry plate. A firearm guidance room having a first dust collecting means; 상기 화기 안내실과 연통하도록 상기 콘테이너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직립한 제 3 화기 안내관, 상기 제 3 화기 안내관의 하부에 설치된 집진망 및 상기 제 3 화기 안내관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집진수단을 구비하는 화기 배출실;A third firearm guide tube vertically disposed in the contain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earm guide chamber, a dust collecting network installed under the third firearm guide tube, and a second dust collector disposed vertically outside the third firearm guide tube; A firearm discharge chamber having means; 상기 연소실의 하부와 상기 화기 안내실의 하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화기를 상기 화기 안내실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화기 안내관; 및A first firearm guide tube extending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earm guide chamber, for guiding the firearm generated as the fuel i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firearm guide chamber; And 상기 화기 안내실의 상부와 상기 화기 배출실의 상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화기 안내실로부터 상기 화기 배출실로 화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화기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And a second firearm guide tube extending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firearm guide chamb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earm discharge chamber and for guiding the firearm from the firearm guide chamber to the firearm discharge chamb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 안내실의 바닥에는 반원 형상의 제 1 집진구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화기 안내판은 가운데 부분이 움푹들어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집진 수단은 상기 회전판과 일체로 형성된 제 1 집진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집진 레버의 상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 상에 용접되고, 상기 제 1 집진 레버의 상기 상부의 자유단부는 상기 콘테이너의 상기 상부를 지나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1 집진 레버의 하부는 상기 회전판의 바닥면 상에 용접되며, 상기 제 1 집진 레버의 상기 하부의 자유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제 1 집진판 및 상기 제 1 집진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집진날이 부착되고, 상기 제 1 집진판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제 1 집진판 근처의 상기 화기 안내실의 내부면 상에는 제 2 집진날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The semi-circular first dust collecting port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fire guide chamber, wherein the fire guide plate has a recessed shape in the middle thereof,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means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ng plate. A first dust collecting lever,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is wel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fre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pas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is wel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free en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protrudes downward from a disk-shaped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 first dust collecting blade is attached,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 guide chamber near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Woo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which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inward spir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진판에는 상기 제 1 집진구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제 2 집진구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집진날은 상기 화기 안내실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집진 레버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화기 안내실의 바닥면 상에 쌓여있는 재나 먼지를 상기 제 1 집진구 쪽으로 쓸어서 배출시키며, 상기 제 2 집진날은 상기 제 1 집진 레버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회전중인 상기 제 1 집진판의 상부면 상에 쌓여있는 먼지나 재를 상기 제 2 집진구 쪽으로 쓸어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The dust collector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has a second dust collecting hole having a siz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hole,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blade is configured to clean the interior of the fire guide chamber. In the case of rota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the ash or dust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e guide chamber is discharged by sweeping toward the first dust collecting por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blade rotates the first dust collecting lever, The woo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and ash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first dust collecting plate sweeps toward the second dust collecting outle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망은 상기 화기 안내실로부터 공급되는 화기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하기 위하여 아랫쪽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화기 배출실의 바닥에는 원형의 제 3 집진구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집진수단은 상기 화기 배출실 내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집진 레버 및 상기 제 2 집진 레버의 하부에 부착된 원형의 제 2 집진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집진 레버의 상부는 상기 콘테이너의 상기 상부를 지나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2 집진판은 상기 제 2 집진 레버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 3 집진구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ust collecting network is formed in the lower sid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earm supplied from the fire guide chamber, the bottom of the fire discharge chamber is formed through the circular third dust collecting port, The second dust collecting means includes a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disposed vertically in the fire discharge chamber and a circular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is disposed in the container. The wood boiler is exposed to the outside past the upper portio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opens and closes the third dust collecting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le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기 안내관에는 상기 제 1 화기 안내관을 지나는 화기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광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8. The wood boil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firearm guide tube is provided with a second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firearm passing through the first firearm guide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t water supply means, 상기 콘테이너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콘테이너 내로 상기 직수를 공급하기 위한 직수관;A direct pipe for supplying the direct water into the container from a water supply outside the container; 상기 콘테이너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직수관과 연결되며, 상기 직수를 데우기 위해서 상기 콘테이너 내에서 상기 화기 안내실 주위에 배치된 온수 순환관; 및A hot water circulation pipe disposed in the container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rect pip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disposed around the fire guide chamber in the container to warm the direct water; And 상기 온수 순환관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콘테이너 내부를 순환하면서 데워진 온수를 온수 소비장소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보일러.And a ho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nd configured to supply hot water heated while circulating inside the container to a hot water consumption place.
KR10-1998-0045223A 1998-10-28 1998-10-28 Wood boiler KR100369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223A KR100369485B1 (en) 1998-10-28 1998-10-28 Wood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223A KR100369485B1 (en) 1998-10-28 1998-10-28 Wood boi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316A true KR20000027316A (en) 2000-05-15
KR100369485B1 KR100369485B1 (en) 2003-03-17

Family

ID=1955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223A KR100369485B1 (en) 1998-10-28 1998-10-28 Wood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48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038A (en) * 2002-12-10 2003-02-06 송승호 Multi-purpose boiler with waste heat recovery
KR100725210B1 (en) * 2005-10-31 2007-06-11 임헌학 Firewood boiler
KR102037674B1 (en) * 2018-04-30 2019-10-30 이정열 Oilstove heating water and solar heat fomentation roo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933A (en) * 1979-11-08 1981-10-06 Hutterian Society Of Brothers Furnace
US4389980A (en) * 1980-01-22 1983-06-28 Dumont Industries Boiler for use with charges of wood fuel
KR0151669B1 (en) * 1995-11-16 1998-10-01 최진민 Method for incinerating wastes by a boiler and combustion de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038A (en) * 2002-12-10 2003-02-06 송승호 Multi-purpose boiler with waste heat recovery
KR100725210B1 (en) * 2005-10-31 2007-06-11 임헌학 Firewood boiler
KR102037674B1 (en) * 2018-04-30 2019-10-30 이정열 Oilstove heating water and solar heat fomentation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9485B1 (en)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689B1 (en) Pellet boiler
KR100679316B1 (en) A firewood boiler
KR101077600B1 (en) Boiler
CN202973232U (en) Stove wall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utilizing smoke gas waste heat
US5924390A (en) Water heater with co-located flue inlet and outlet
KR100369485B1 (en) Wood boiler
KR200225845Y1 (en) Hot Water Boiler for Wood
KR200267167Y1 (en) oil combined firewood boiler structure
KR101541535B1 (en) Wood combustor for heating
KR101148696B1 (en) Wood-pellet boiler
KR200386233Y1 (en) 2 step-heating type lumber boiler
KR200448758Y1 (en) A waste heat exchanger for dust collection
KR100799196B1 (en) Boiler for solid fuel
WO2002079693A1 (en) Burner for pellets
KR100926653B1 (en) Solid Fuel Boiler
KR19990066144A (en) Home heating
KR19980077128A (en) Smokeless Hot Water Boiler with Waste Oil
KR19980019156U (en) Incinerator combined boiler
KR200466626Y1 (en)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KR10123834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fuel of liquid fuel burner
KR101268347B1 (en) Burning control device for firewood boiler
KR200465794Y1 (en)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CN211502881U (en) Firewood furnace with inclined flue capable of descending smoke
KR200163270Y1 (en) Hot water boiler use firewood as fuel
RU121041U1 (en) HEATING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