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729A -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 Google Patents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729A
KR20000026729A KR1019980044390A KR19980044390A KR20000026729A KR 20000026729 A KR20000026729 A KR 20000026729A KR 1019980044390 A KR1019980044390 A KR 1019980044390A KR 19980044390 A KR19980044390 A KR 19980044390A KR 20000026729 A KR20000026729 A KR 2000002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s
boiler
water
cond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7376B1 (ko
Inventor
김기원
김영모
Original Assignee
김철병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병,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김철병
Priority to KR101998004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3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Landscapes

  • Air Supply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에 연통의 내부에 복수의 격리벽을 구비하여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는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에 관한 것으로서, 연소부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파이프와, 제 1파이프의 단부에 엘보우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연결된 제 2파이프와, 제 2파이프의 중간에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평행하게 고정된 급기파이프로 이루어진 가스보일러의 연도에 있어서, 제 3파이프(310)에 삽입된 제 4파이프(320)의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격리벽(330,332)이 설치되어 응축수가 보일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본 발명은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일러에 연통의 내부에 복수의 격리벽을 구비하여 수평이 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응축수가 보일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공간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일의 능률을 올리도록 하는 것을 공기조화장치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인위적인 수단을 공기조화장치라한다. 이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온도를 높이는 난방장치가 있으며, 난방장치는 기름 보일러와, 가스 보일러 및 온풍기로 구분된다. 기름 보일러와 가스 보일러는 유류와 가스가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유체를 가열하고, 이 가열된 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높임과 동시에 온수를 사용하게 된다. 가스 보일러는 비콘덴싱 형식과 콘덴싱 형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로 비콘덴싱 형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 가스 보일러(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내에 설치되어 있는 연소부(120)와, 연소부(120)에 근접되어 있는 주열교환기(130) 및 온수공급부(140), 그리고 컨트롤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연소부(120)는 전자밸브(122)에 의해 미도시한 가스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그 단부에 다수의 버너(124a)를 구비한 매니폴더(124)가 고정되어 있다. 이 버너(124a)의 양측에 초기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점화트랜스(127)와, 점화된 후 화염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127a)가 설치되어 있다. 매니폴더(124)의 하부에 점화 및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29)가 설치되어 있다.
주열교환기(130)는 펌프(132)에 의해 가압된 물이 압력에 의해 파이프 내로 이송되는 가운데 버너(124a)로부터 발생된 열과 열교환되도록 한 것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126)가 권취되어 있고, 이 파이프(126) 사이에 다수의 흡열판(126a)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다. 파이프(126)의 일측에는 수온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는 과열방지센서(128)와 온도감지센서(128a)가 설치되어 있다.
온수공급부(140)는 주열교환기(130)를 거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진 물을 저장하고, 이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난방, 또는 온수로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급수저장탱크(142)와, 급수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보충수 밸브(144)와, 이 보충수 밸브(144)를 거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146)로 구성된다. 보충수 밸브(144) 이전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밸브(145)를 통해 온수열교환기(147)로 급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여과기(146)를 통과한 난방 환수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온수열교환기(147)내로 공급된 급수와 난방 환수는 재 가열된 상태에서 삼방밸브(148)에 의해 온수와 난방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삼방밸브(148)는 그 작동 상태에 따라 주열교환기를 통과해 나온 가열된 온수를 난방으로 공급하기도 하고, 온수열교환기(147)을 통과시켜 온수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수와 난방의 콘트롤은 콘트롤(150)과 룸콘(151)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미도시한 콘덴싱 보일러는 열교환기를 헌혈흡수부와 잠열흡수부로 구분되도록 설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잠열흡수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기후드로 모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콘덴싱 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예시한 가스 보일러(2)는 송풍기(10)와 버너(12)가 연소기(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연소기(4)의 상부에는 송풍기(10)의 작동에 따라 흡기덕트(6)를 통해 흡입된 급기와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너(12) 아래에는 차례대로, 현열부 열교환기(14)와 잠열부 열교환기(16)가 배치되어 있다. 현열부 열교환기(14)는 버너에서 발생된 현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난방수를 가열하게 되며, 잠열부 열교환기(16)는 배기가스와의 열접촉시에 발생되는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시킨다.
잠열부 열교환기(16)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덕트(20)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며,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기후드(18)에 모아진 다음 외부로 배출된다. 보일러의 좌측 하부에는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2)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펌프(22)가 작동되면, 실내의 난방을 마친 난방수는 라인(L1)을 통해서 난방수 여과기(24)로 유입하게 된다. 난방수 여과기(24)에서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게 되며, 여과된 난방수는 상부의 기수 분리기(26)로 보내진다. 기수 분리기(26)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의 에어벤트를 통해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난방수 여과기(24)와 기수 분리기(26)사이에는 난방수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막기 위한 과압방지밸브(32)가 설치되어 있어, 난방수의 일부를 팽창탱크(48)로 보내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기수 분리기(24)를 통과한 난방수는 순환펌프(22)의 작동으로 라인(L2)을 통해서 잠열부 열교환기(16)로 공급된 다음,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라인(L3)으로 배출된다. 라인(L3)을 통해 배출된 난방수는 3웨이 밸브(28)의 작동에 따라 실내로 공급된다.
보일러의 중간 하부에는 난방수의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얻는 열교환기가 도시되어 있다. 온수흐름스위치(36)의 작동에 따라 라인(L6)을 통해 유입된 냉수는 온수 열교환기(34)를 지나는 과정에서 가열된 다음, 라인(L7)을 통해서 배출된다.
보일러의 우측 하부에는 가스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밸브(44)의 작동에 따라 라인(L8)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라인(L9)을 통해서 연소기(4)상부의 노즐(8)로 공급된다. 이때, 가스의 공급량은 공기비례제어 전자밸브(46)의 작동에 따라 가변됨으로써 외기의 변화에 따른 공급량을 보상하게 된다. 이렇게 공급된 가스는 점화 트랜스(42) 및 점화봉을 통해 전달되는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연소과정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실내온도 조절기(38)의 입력신호를 받는 컨트롤러(40)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보일러(100)에 설치되어 있는 연도(200)는 연소부(120)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파이프(210)와, 제 1파이프(210)의 단부에 엘보우(220)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연결된 제 2파이프(230)와, 제 2파이프(230)의 중간에 고정된 급기파이프(24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급기파이프(240)는 제 2파이프(230)의 중간 부위에서 설치되어, 벽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 2파이프(230)의 외측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직경이 큰 파이프를 사용한다. 급기파이프(240)의 일단에는 급기고정구(242)를 구비하여 보일러(100)의 급기측에 플렉시블한 파이프(250)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급기파이프(240)와 제 2파이프(230) 단부에는 다수의 구멍(244,232)이 형성되어 연소부(120)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고, 외기 온도를 높여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스보일러의 설치시 비콘덴싱 형식은 벽에 보일러를 고정한 후 이웃한 측벽(260)에 구멍(262)을 형성하고, 이 구멍(262)에 연소부(120)에 연결된 연도(200)를 외측(바깥쪽)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설치한다. 콘덴싱 형식은 연소부(120)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설치한다.
그러나, 콘덴싱 보일러에 연도를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됨으로써, 배기되는 가스와 대기가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주위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에 연통의 내부에 복수의 격리벽을 구비하여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여 응축수가 보일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콘덴싱 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통부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제 3파이프 320;제 4파이프
330,332;격리벽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소부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파이프와, 제 1파이프의 단부에 엘보우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연결된 제 2파이프와, 제 2파이프의 중간에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평행하게 고정된 급기파이프로 이루어진 가스보일러의 연도에 있어서, 제 2파이프에 삽입된 제 1파이프의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격리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을 제공함에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가스보일러 연통부의 종단면도로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종래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보일러(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내에 설치되어 있는 연소부(120)와, 연소부(120)에 근접되어 있는 주열교환기(130) 및 온수공급부(140), 그리고 컨트롤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연소부(120)는 전자밸브(122)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 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단부에 분젠버너(124a)를 구비한 매니폴더(124)가 고정되어 있다. 버너(124a)의 양측에 초기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점화트랜스(127)와, 점화된 후 화염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127a)가 설치되어 있다. 매니폴더(124)의 하부에 점화 및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29)가 설치되어 있다.
주열교환기(130)는 펌프(132)에 의해 물이 파이프 내로 이송되는 가운데 분젠버너(124a)로부터 발생된 열과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한 것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126)가 권취되어 있고, 파이프(126)사이에 다수의 흡열판(126a)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다. 파이프(126)의 일측에는 수온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는 과열방지센서(128)와 온도감지센서(128a)가 설치되어 있다.
온수공급부(140)는 급수저장탱크(142)와, 급수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보충수 밸브(144)와, 보충수 밸브(144)를 거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146)로 구성된다. 보충수 밸브(144) 이전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흐름 스위치(145)를 통해 온수열교환기(147)로 급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여과기(146)를 통과한 난방 환수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온수열교환기(147)내로 공급된 급수와 난방 환수는 재가열된 상태에서 삼방밸브(148)에 의해 온수와 난방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삼방밸브(148)는 그 작동 상태에 따라 급수저장탱크(142)내에 채워져 있는 온수를 난방으로 공급하기도 하고, 직접 온수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일러(100)에 설치되어 있는 연도(200)는 연소부(120)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파이프(210)와, 제 1파이프(210)의 단부에 엘보우(220)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연결된 제 2파이프(230)와, 제 2파이프(230)의 중간에 고정된 급기파이프(2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열교환 이후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연소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파이프(210)와 연결되어 있는 제 2파이프(230)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급기파이프(240)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외기가 송풍기(129)를 통해 연소에 쓰이게 된다.
이와 같이, 연도 설치 과정에서 그 기울기가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연소후 배출되는 가스와 대기와의 접촉으로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가 바깥측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에서 제 3파이프(310)에 삽입된 제 4파이프(320)의 내부로 소정 높이를 갖는 격리벽(330,332)을 설치하였다.
여기에서, 격리벽(330,332)은 반원형 플레이트를 제 4파이프(320)의 내측에 직각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이 격리벽(330,332)의 상단은 제 4파이프(320)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 3파이프(310)는 측벽(260)에 형성된 구멍(262)에 평행하거나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스보일러에 설치되는 연도는 측벽(260)에 대해 수직이거나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그 연도의 설치작업은 마무리된다. 이후, 연소후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응측수는 제 4파이프(320)의 내측면을 따라 바깥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일측에 설치된 격리벽(330,332)에 외부로 누출이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여기에 고인 응축수는 역으로 흘러 보일러 내부로 유입된다.
그 결과,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에 설치되는 연도의 내측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격리벽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연소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위 미관을 청결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연소부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파이프와, 제 1파이프의 단부에 엘보우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연결된 제 2파이프와, 제 2파이프의 중간에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평행하게 고정된 급기파이프로 이루어진 가스보일러의 연도에 있어서, 제 3파이프(10)에 삽입된 제 4파이프(320)의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격리벽(330, 3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벽(330,332)은 높이가 다른 하나 이상의 반원형 플레이트로 구비되고, 격리벽(330,332)상부와 제 4파이프(320)의 내측면 사이로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
KR1019980044390A 1998-10-22 1998-10-22 콘덴싱가스보일러용연도 KR10029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390A KR100297376B1 (ko) 1998-10-22 1998-10-22 콘덴싱가스보일러용연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390A KR100297376B1 (ko) 1998-10-22 1998-10-22 콘덴싱가스보일러용연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729A true KR20000026729A (ko) 2000-05-15
KR100297376B1 KR100297376B1 (ko) 2001-09-29

Family

ID=1955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390A KR100297376B1 (ko) 1998-10-22 1998-10-22 콘덴싱가스보일러용연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4684A (zh) * 2021-02-01 2021-06-11 周培菊 一种冷凝式燃气锅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61B1 (ko) 2020-06-29 2020-11-03 유시하 콘덴싱보일러용 흡기파이프의 하단부에 방수부가 설치된 2중연도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4684A (zh) * 2021-02-01 2021-06-11 周培菊 一种冷凝式燃气锅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7376B1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3438A (ko) 콘덴싱 보일러
KR100279831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KR20000026729A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KR100392597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20000026730A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통
KR100437192B1 (ko) 급탕장치
KR200202937Y1 (ko) 다중경로를 갖는 열교환기
KR200204761Y1 (ko)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KR10047986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소기 연도구조
KR100361149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받이 수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04293Y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
KR200201623Y1 (ko) 복합금속재질을 갖는 열교환기
KR100406132B1 (ko) 상향 연소식 콘덴싱 가스보일러
KR200200272Y1 (ko) 병렬 구조의 온수 열교환기를 구비한 가스 보일러
KR200204759Y1 (ko)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KR200200271Y1 (ko)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희석장치
KR200326523Y1 (ko) 보일러의 공기량 조절댐퍼
KR200204760Y1 (ko)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KR20000008506U (ko) 복합금속재질을 갖는 열교환기
KR200202902Y1 (ko) 보일러의 연통부 연결구조
KR200200273Y1 (ko) 보일러의 응축수 발생방지장치
KR100392595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9990064387A (ko) 기름 열매체형 보일러
KR100406133B1 (ko) 상향 연소식 콘덴싱 가스보일러
KR100409155B1 (ko) 샹향 연소식 콘덴싱 가스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