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760Y1 -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760Y1
KR200204760Y1 KR2020000017820U KR20000017820U KR200204760Y1 KR 200204760 Y1 KR200204760 Y1 KR 200204760Y1 KR 2020000017820 U KR2020000017820 U KR 2020000017820U KR 20000017820 U KR20000017820 U KR 20000017820U KR 200204760 Y1 KR200204760 Y1 KR 200204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water
pipe
la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범
오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보일러
Priority to KR2020000017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6Means for removing condensate from th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의 구조에서 헌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를 격벽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격벽을 통과하는 물이동파이프를 연결하여서 형성한 후, 수관의 외부를 통과한 열기가 하부로 통과하여 잠열수관을 거쳐서 잠열을 공급한 후, 상부를 거쳐서 배기덕트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하부커버에 모아주아서 배출하므로 전체적인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열효율을 증대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하고 효과적인 고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Heat Exchanger Increasing The Heat Efficiency}
본 고안은 난방장치의 열교환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교환기의 구조에서 헌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를 격벽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격벽을 통과하는 물이동파이프를 연결하여서 형성한 후, 상기 물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 배플을 형성하여서 헌열수관을 통하여 통과한 열기가 하부로 통과하여 잠열수관을 거쳐서 잠열을 공급한 후 상부를 거쳐서 배기덕트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하부커버에 모아주어서 배출하므로 전체적인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열효율을 증대하도록 하는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보일러는 제어방식이나 밀폐상태에 따라 여러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원에 따라 콘덴싱과 비콘덴싱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콘덴싱 방식은 버너에 의해 연소된 열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난방수를 가열하는 헌열부 열교환기와 함께, 헌열부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잠열부 열교환기를 지니고 있으며, 비콘덴싱 방식은 헌열부 열교환기만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콘덴싱 방식(밀폐식이라 고도 칭함)의 가스 보일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에 예시한 가스 보일러(2)는 외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하여 항상 일정량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비례제어 방식으로, 송풍기(10)와 버너(12)가 연소기(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연소기(4)의 상부에는 송풍기(10)의 작동에 따라 흡기덕트(6)를 통해 흡입된 급기와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너(12) 아래에는 차례대로, 헌열부 열교환기(14)와 잠열부 열교환기(16)가 배치되어 있다. 헌열부 열교환기(14)는 버너에서 발생된 현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난방수를 가열하게 되며, 잠열부 열교환기(16)는 배기가스와의 열접촉시 발생되는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시킨다.
그리고, 잠열부 열교환기(16)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덕트(20)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며,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기후드(18)에 모아진 다음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보일러의 좌측 하부에는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2)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펌프(22)가 작동되면, 실내의 난방을 마친 난방수는 라인(L1)을 통해서 난방수 여과기(24)로 유입하게 된다. 난방수 여과기(24)에서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게 되며, 여과된 난방수는 상부의 기수 분리기(26)로 보내진다. 기수 분리기(26)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의 에어벤트를 통해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난방수 여과기(24)와 기수 분리기(26)사이에는 난방수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막기 위한 과압방지밸브(32)가 설치되어 있어, 난방수의 일부를 팽창탱크(48)로 보내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기수 분리기(24)를 통과한 난방수는 순환펌프(22)의 작동으로 라인(L2)을 통해서 잠열부 열교환기(16)로 공급된 다음,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라인(L3)으로 배출된다. 라인(L3)을 통해 배출된 난방수는 삼방밸브(28)의 작동에 따라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보일러의 중간 하부에는 난방수의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얻는 열교환기가 도시되어 있다. 온수흐름스위치(36)의 작동에 따라 라인(L6)을 통해 유입된 냉수는 온수 열교환기(34)를 지나는 과정에서 가열된 다음, 라인(L7)을 통해서 배출된다.
또한, 보일러의 우측 하부에는 가스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밸브(44)의 작동에 따라 라인(L8)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라인(L9)을 통해서 연소기(4)상부의 노즐(8)로 공급된다. 이때, 가스의 공급량은 공기비례제어 전자밸브(46)의 작동에 따라 가변됨으로써 외기의 변화에 따른 공급량을 보상하게 된다. 이렇게 공급된 가스는 점화 트랜스(42) 및 점화봉을 통해 전달되는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연소과정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실내온도 조절기(38)의 입력신호를 받는 콘트롤러(40)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헌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는 별도의 개체로 제작한 후에 조립 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열교환면적의 확보가 충분하지 못하고 별도의 구조를 제작하여 조립하여 사용하므로 제작성 및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주열교환기의 하측 방향이나 일측면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구조의 배기덕트를 구성하여 배기가스를 유도한 후, 별도의 하부의 배수장치를 통하여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배기덕트 및 배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간을 충분하게 활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난방장치의 구성이 커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덕트의 공간에 열교환기를 배치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열교환기의 구조에서 헌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를 격벽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격벽을 통과하는 물이동파이프를 연결하여서 형성한 후, 상기 물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 배플을 형성하여서 헌열수관을 통하여 통과한 열기가 하부로 통과하여 잠열수관을 거쳐서 잠열을 공급한 후 상부를 거쳐서 배기덕트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하부커버에 모아주어서 배출하므로 전체적인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열효율을 증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헌열부와 잠열부를 갖는 콘덴싱타입 난방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열효율 높인 열교환기를 갖는 난방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연소기 52 : 흡기덕트
54 : 가스버너 56 : 점화플러그
60 : 헌열부 열교환기 61 : 헌열수관
62 : 물이동파이프 64 : 물유입구
66 : 배플 70 : 분리용 격벽
72 : 잠열수관 80 : 잠열부
90 : 하부커버 92 : 배출구
이러한 목적은,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된 가스를 점화트랜스로 작동하여 점화플러그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의 열을 발생하여 파이프로 이동하는 물을 데워주는 헌열부 열교환기와, 상기 헌열부 열교환기에서 데워진 열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배기가스로 재차 파이프로 이동하는 물에 잠열을 응축시키도록 하는 잠열부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헌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의 헌열수관 및 잠열수관을 격벽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물이동파이프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설치하며, 상기 물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 배플을 다수 형성한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열효율 높인 열교환기를 갖는 난방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효울을 높인 열교환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은,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된 가스를 점화트랜스(42)로 작동하여 점화플러그(56)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가스버너(54)와; 상기 가스버너(54)의 열을 발생하여 파이프로 이동하는 물을 데워주는 헌열부 열교환기(60)와, 상기 헌열부 열교환기(60)에서 데워진 열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배기가스로 재차 파이프로 이동하는 물에 잠열을 응축시키도록 하는 잠열부 열교환기(80)로 이루어진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헌열부 열교환기(60)와 잠열부 열교환기(80)의 헌열수관(61) 및 잠열수관(72)을 수직으로 격벽(70)을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격벽(70)에 물이동파이프(62)를 수평으로 관통하여서 설치하며, 상기 물이동파이프(62)의 외주면에 배플(66)을 다수 형성하여서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물이동파이프(62)의 외측에는 외측커버(74)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커버(74)의 하측에는 고정나사(92)로 고정되어 응축된 물방울이 모여진 응축수(95)를 배출구(92)로 배출하는 하부커버(90)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70)은 상기 연소기(50)의 흡기덕트(52)의 일측면부로 수직방향으로 하부로 연장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장치의 연소기(50)를 작동하여 가스관을 통하여 가스를 공급하고, 점화플러그를 작동하여 가스를 점화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송풍기(10)의 팬으로 공기를 송풍하여서 가스버너(12)의 불꽃이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서 열기를 발생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물유입관(72)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물이동파이프(62)를 통하여 유입되면, 격벽(70)으로 분리된 부분 중에서 헌열부 열교환기(60)인 헌열수관(61)에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물은 배플(66)을 통하여 급속하게 헌열을 공급받아서 급속하게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소기(50)의 헌열수관(66)을 통하여 이동한 배기가스는 하부커버(80)에서 부딪쳐서 180도 방향을 전환하여서 상기 잠열부 열교한기(80)의 부분에 설치된 물이동파이프(62)로 재차 이동하면서 잠열을 이동하는 물에 공급하여 응축(Condensing)을 하게 된다.
상기 잠열부 열교환기(80)의 잠열수관(72)을 통하여 이동되는 배기가스는 배기덕트(8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이동파이프(62)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이동하면서 발생된 물방울이 상기 하부커버(80)에서 응축수(95)로 수집되어서 배출구(9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를 사용하게 되면. 열교환기의 구조에서 헌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를 격벽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격벽을 통과하는 물이동파이프를 연결하여서 형성한 후, 상기 물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 배플을 형성하여서 헌열수관을 통하여 통과한 열기가 하부로 통과하여 잠열수관을 거쳐서 잠열을 공급한 후 상부를 거쳐서 배기덕트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하부커버에 모아 주어서 배출하므로 전체적인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열효율을 증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된 가스를 점화트랜스로 작동하여 점화플러그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의 열을 발생하여 파이프로 이동하는 물을 데워주는 헌열부 열교환기와, 상기 헌열부 열교환기에서 데워진 열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배기가스로 재차 파이프로 이동하는 물에 잠열을 응축시키도록 하는 잠열부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헌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의 헌열수관 및 잠열수관을 격벽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물이동파이프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물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 배플을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동파이프의 외측에는 외측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커버의 하측에는 고정나사로 고정되어 응축된 물방울을 받아서 배출구로 배출하는 하부커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KR2020000017820U 2000-06-22 2000-06-22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KR200204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20U KR200204760Y1 (ko) 2000-06-22 2000-06-22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20U KR200204760Y1 (ko) 2000-06-22 2000-06-22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760Y1 true KR200204760Y1 (ko) 2000-12-01

Family

ID=1966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820U KR200204760Y1 (ko) 2000-06-22 2000-06-22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7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3438A (ko) 콘덴싱 보일러
CN105793653B (zh) 用于供暖锅炉的换热器
KR100392597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200204760Y1 (ko)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KR200204761Y1 (ko)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GB2218787A (en) Steam boilers
KR200204759Y1 (ko) 열효율을 높인 열교환기
KR200202937Y1 (ko) 다중경로를 갖는 열교환기
KR100279831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KR100297376B1 (ko) 콘덴싱가스보일러용연도
KR100392596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200204293Y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
KR100392595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200200271Y1 (ko)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희석장치
KR10047986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소기 연도구조
KR100406133B1 (ko) 상향 연소식 콘덴싱 가스보일러
KR100406132B1 (ko) 상향 연소식 콘덴싱 가스보일러
KR200201623Y1 (ko) 복합금속재질을 갖는 열교환기
KR100409155B1 (ko) 샹향 연소식 콘덴싱 가스보일러
KR20000008504U (ko) 현열부 및 잠열부 일체형 열교환기
GB2183016A (en) Flue gas treatment
JPH024363Y2 (ko)
KR20000008523U (ko)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
KR20020013274A (ko) 사이클론 배기 장치를 갖는 콘덴싱 가스 난방기
KR20000008506U (ko) 복합금속재질을 갖는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