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978A - 유량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24978A KR20000024978A KR1019980041830A KR19980041830A KR20000024978A KR 20000024978 A KR20000024978 A KR 20000024978A KR 1019980041830 A KR1019980041830 A KR 1019980041830A KR 19980041830 A KR19980041830 A KR 19980041830A KR 20000024978 A KR20000024978 A KR 200000249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gear
- spool
- outlet
- flow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 및 배출구와 통하는 안내 공간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안내 공간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배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스풀과, 상기 안내 공간의 상부에 수납되어 스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소정 부위에 구비된 가이드수단에 결합되어 그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직하방으로 승하강되면서 스풀을 승강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열팽창액 및 격막 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액냉매의 압력 강하 및 유량 조절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내구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에 적용되는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팽창액 및 격막 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액냉매의 압력 강하 및 유량 조절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내구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한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은 기본적으로 증발기(evaporator), 압축기(compressor), 응축기(condenser) 및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등으로 구성되어 냉매의 증발, 압축, 응축 및 팽창 작용을 거치면서 주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증발기 내부의 액화 냉매는 증발함으로써 기화하게 되는 바, 이 때 냉매액은 냉각관 주위에 있는 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증발잠열을 빼앗아 그 자신이 계속 증발해 간다. 열을 빼앗긴 공기는 냉각되어 온도가 내려가고, 그 공기는 자연 대류 또는 송풍팬에 의해 고내의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한다. 상기 증발기 내부에는 팽창 밸브로부터 공급된 냉매액과 증발한 냉매 증기가 공존하고 있으며, 액체에서 증기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이 상태 변화를 하는 동안은 증발 압력과 증발 온도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성립한다.
상기한 증발기에서 기화한 냉매 증기는 압축기에 흡입된다. 이 작용은 증발기 내부의 냉매 압력을 낮게 유지함으로써 낮은 온도의 상태 하에서도 액냉매가 왕성하게 증발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압축기에 흡입된 냉매 증기는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고, 압력이 높아짐으로써 상온의 냉각수나 냉각 공기로 냉각시켜도 용이하게 액화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후, 압축기를 나온 압축 가스는 응축기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 액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응축 작용의 경우도 증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냉매가 증기와 액이 공존하고 있는 상태이며, 기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동안, 응축 압력과 응축 온도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성립한다.
상기 응축기 의해 액화된 냉매를 증발기에 보내기 전에 미리 증발하기 쉬운 상태까지 압력을 낮추는 작용을 팽창이라고 하며, 그 팽창 작용을 하는 팽창 밸브는 감압 작용을 하는 동시에 냉매액의 유량 제어를 수행한다. 즉, 증발기 내부에서 증발하는 냉매량은 소정의 증발 온도(증발 압력)하에서 고내에서 제거하여야 할 열량에 따라 결정하게 되는데, 이것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과부족이 없도록 필요한 냉매량을 증발기에 공급하고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다시 정리하면, 팽창 밸브는 고온 고압의 액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하여 저온 저압의 상태로 단열 팽창시키고, 동시에 증발기의 부하에 따라 적정한 냉매 공급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유량 조절 밸브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팽창 밸브는 조작 방식 및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알려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구동력이 크고, 미세 구동이 가능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 열공압 방식 유량 조절 밸브가 알려지고 있는 바, 그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캡(cap)(1)과, 양측에 팽창액 주입구(2)가 형성된 세라믹 재질의 발열체 밑판(3)과, 중간부에 Ta-Al 발열전극(4)이 구비되어 발열체 밑판(3)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는 Al 전극(5)과, 상기 Al 전극(5)의 상면 외주연부에 스페이서(spacer)(6)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예를 들어, Cu 재질로 형성된 격막(7)과, 상기 Al 전극(5)의 상면과 스페이서(6)의 하면 사이 및 스페이서(6)의 상면과 격막(7)의 하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접착층(필러;filler'라고도 함)(8)(9)과, 상기 Al 전극(5)과 격막(7)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는 열팽창액(10)과, 상기 발열체 밑판(3)의 하면에 고정되어 팽창액 주입구(2)를 폐쇄시키는 봉합용 밑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전원선을 보인 것이다.
상기 캡(1)은 내부에 액냉매가 통과하는 소정의 공간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양측에 액냉매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b) 및 배출을 위한 배출구(1c)가 공간부(1a)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열공압 방식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발열체 밑판(3)의 상면에 Ta-Al 발열전극(4)이 구비된 Al 전극(5)을 고정하고, 그 Al 전극(5)의 상면에 하부 접합층(8), 스페이서(6), 상부 접합층(9) 및 격막(7)을 순차적으로 접합 고정하여, Al 전극(5)과 스페이서(6), 그리고 격막(7)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후, 상기 발열체 밑판(3)의 하측으로부터 팽창액 주입구(2)를 통해 열팽창액(10)을 주입하고, 상기 발열체 밑판(3)의 하면에 봉합용 밑판(11)을 부착 고정하여 팽창액 주입구(2)를 밀봉시킨 다음, 그 봉합용 밑판(11)을 캡(1)의 저면에 부착 고정하고, Al 전극(5)의 전원선(12)을 캡(1)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 때, 상기 격막(7)의 중심부가 캡(1)에 형성된 배출구(1c)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에 있어서는, 캡(1)의 유입구(1b)를 통해 액냉매 유입되어,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a)를 통과한 후, 배출구(1c)를 통해 증발기 측으로 배출되는 바, 액냉매의 유량을 조절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캡(1)의 외부로 인출된 전원선(12)을 통해 Al 전극(5)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Al 전극(5)의 Ta-Al 발열전극(4)이 열을 발산하게 되며, 따라서 Al 전극(5)과, 스페이서(6) 및 격막(7)의 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충진되어 있는 열팽창액(10)이 팽창하게 되며, 그 열팽창액(10)의 열팽창 작용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막(7)의 중간부가 캡(1)의 배출구(1c)를 향하여 부풀어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1c)로 배출되는 액냉매의 양을 규제하여 유체의 전체적인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열공압 방식 유량 조절 밸브에 있어서는, Ta-Al 발열전극(4)에 열을 가하여 열팽창액(10)을 팽창시켜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써 열팽창액(10)의 누설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한 실링(sealing)이 용이하지 못하며, 상기 열팽창액(10)의 반복되는 팽창 및 수축에 따른 격막(7)의 내구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유량 조절 밸브의 동작에 따른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전체적인 수명 단축 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열팽창액 및 격막 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압력 강하 및 유량 조절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팽창액 및 격막 등의 사용을 배제하고 메커니컬 방식을 채용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열팽창액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열팽창액이 팽창하여 격막이 부풀어오른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하는 기어 가이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밸브 하우징 21,22 ; 유입구 및 배출구
23 ; 안내 공간 24,25 ; 연결부
26,27 ; 연결관 30 ; 스풀
31 ; 안내홈 32,42 ; 탄성부재
33 ; 벨로우즈 40 ; 승하강부재
41 ; 안내공 43 ; 나사공
51 ; 플랜지 53 ; 가이드 포스트
54 ; 하부 베이스 62 ; 스텝 모터
63 ; 회전축 64 ; 태양기어
65 ; 인터널 기어 66 ; 기어 캐리어
68 ; 유성기어 69 ; 기어봉
70 ; 기어 가이드 71 ; 링부
72 ; 고정부 73 ; 단턱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 및 배출구와 통하는 안내 공간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안내 공간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배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스풀과, 상기 안내 공간의 상부에 수납되어 스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소정 부위에 구비된 가이드수단에 결합되어 그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직하방으로 승하강되면서 스풀을 승강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하고,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만나는 안내홈을 형성하여, 스풀의 높이에 따라 유입구 및 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의 양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와 통하는 연결부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별도의 연결관을 각각 삽입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밸브 하우징의 하단부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수개소에 고정되고 승하강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개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가이드 포스트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으로 탄력지지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하부 베이스에 고정되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동력을 감속하여 승하강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속수단은 동력원에 연결되는 태양기어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면 내부에 형성되는 인터널 기어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면 중간부에 나사 결합되는 기어 캐리어와, 상기 기어 캐리어에 수개소에 고정된 축핀에 의해 결합됨과 아울러 내외측이 태양기어 및 인터널 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개의 유성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속수단은 기어 캐리어의 하면에 고정되어 캐리어 및 유성기어의 들뜸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량 조절 밸브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하는 기어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는, 양측에 유입구(21) 및 배출구(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21) 및 배출구(22)와 통하는 안내 공간(23)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20)과, 상기 밸브 하우징(20)의 안내 공간(23)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입구(21) 및 배출구(2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스풀(spool)(30)과, 상기 안내 공간(23)의 내부에 수납되어 스풀(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밸브 하우징(20)의 소정 부위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에 결합되어 그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직상하방으로 승하강되면서 스풀(30)을 승강시키는 승하강부재(40)와, 상기 승하강부재(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20)은 양측에 연결부(24)(25)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연결부(24)(25)의 내측단부에 안내 공간(23)과 통하는 유입구(21) 및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21) 및 배출구(22)는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하우징(2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 공간(23)을 따라 승하강되는 스풀(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구(21) 및 배출구(22)와 만나는 소정의 깊이로 안내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풀(30)의 높이에 따라 안내홈(31)이 유입구(21) 및 배출구(22)의 개방 정도를 임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22)는 유체가 배출되는 경로(orifice)이며, 구멍의 형상은 원형, 타원, 사각 또는 삼각형 등,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4)(25)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24)(25)의 내부에는 별도의 연결관(26)(27)을 삽입하고, 용접(welding) 작업으로 연결관(26)(27)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면중 28 및 29는 연결관(26)(27)의 고정을 위한 용접 부위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 연결관(26)(27)의 고정 방법은 용접 작업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딩(bonding)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탄지수단은 압축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탄성부재(32)는 안내 공간(23)의 상부에 장착되어, 그의 상단부는 안내 공간(23)의 상면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스풀(3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시일 성능이 우수하고, Y축 방향으로 신축성이 양호한 벨로우즈(bellows)(33)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벨로우즈(33)는 스풀(30)의 하단부를 감싸고 있다.
상기 벨로우즈(33)를 밸브 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밸브 하우징(20)의 상부에서는 고압이 작용하지만 하부에서는 고압이 미치지 않으므로 에폭시 본드(epoxy bond)로 접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밸브 하우징(20)의 하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고정되는 플랜지(51)와, 상기 플랜지(51)의 수개소에 각각 고정 나사(52)로 고정되는 수개의 가이드 포스트(53)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53)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베이스(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53)의 하단부에 나사부(53a)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 베이스(54)의 상면에 복수개의 나사 체결홈(54a)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54)에 가이드 포스트(53)를 나사 체결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포스트(53)의 고정 방식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고정수단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승하강부재(40)는 외주연부에 복수개의 안내공(4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 포스트(53)를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부재(40)와 하부 베이스(54)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2)가 개재되어 승하강부재(40)를 항시 상방향으로 탄력지지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42)는 가이드 포스트(53)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2)는 승하강부재(4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후술하는 스텝 모터(62)의 힘이 부족할 경우에도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밸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클 경우에는 탄성부재(42)의 스프링력을 크게 하여 밸브의 하중을 감소시키며, 압력이 작을 경우에는 스프링력을 작게 하여 스텝 모터(62)에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즉, 스텝 모터(62)의 토크가 작을지라도 탄성부재(42)에 의해 밸브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큰 압력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하부 베이스(54)의 하면에 수개의 고정 나사(61)로 고정되는 스텝 모터(step motor)(62)와, 상기 스텝 모터(62)의 동력을 승하강부재(40)로 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감속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속수단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스텝 모터(62)의 회전축(63)에 고정되는 태양기어(64)와, 상기 하부 베이스(52)의 상면 내부에 형성되는 인터널 기어(internal gear)(65)와, 상기 승하강부재(40)의 하면 중간부에 나사 결합되는 기어 캐리어(66)와, 상기 기어 캐리어(66)의 하면에 축핀(67)에 의해 결합됨과 아울러 내외측이 태양기어(64) 및 인터널 기어(65)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개의 유성기어(6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텝 모터(62)는 주어지는 스텝에 따라 정확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정확한 유량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중앙부에는 나사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 캐리어(66)의 상면 중앙부에는 기어봉(6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승하강부재(40)에 기어 캐리어(6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 캐리어(66)가 회전하게 되면, 승하강부재(40)가 가이드 포스트(53)의 안내를 받으며 승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유성기어(68)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3개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4개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유성기어(68)를 사용함에 따라 스텝 모터(62)의 토크를 대비하여 큰 힘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유성기어(68)를 2단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기어열의 속도비 증가로 스텝 모터(62)의 대비 더 큰 힘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량의 정밀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어 캐리어(66)의 하면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기어 가이드(70)가 복수개의 고정 나사(74)로 체결 고정되어 기어 캐리어(66) 및 유성기어(68)의 들뜸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어 가이드(69)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상의 링부(71)에 복수개, 예를 들어, 3개소의 고정부(72)가 세워진 형상이며, 상기 링부(71)에는 하부 베이스(54)에 걸리는 단턱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스풀(30)이 상승하여 밸브 하우징(20)의 배출구(22)를 거의 막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액냉매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액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신호를 인가하면, 스텝 모터(62)의 구동으로 회전축(61)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 회전력이 감속수단을 지나면서 감속되어 승하강부재(4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텝 모터(62)의 회전축(61)이 회전됨에 따라 그 회전축(61)에 고정된 태양기어(64)가 회전되며, 그 태양기어(64)가 회전됨에 따라서 그 태양기어(64)에 맞물린 유성기어(68)가 하부 베이스(54)의 인터널 기어(65)가 맞물려 태양기어(64)를 중심으로 공전되고, 이에 따라 유성기어(68)가 지지된 기어 캐리어(66)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어 캐리어(66)가 회전하게 되면, 그 기어 캐리어(66)는 승하강부재(40)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하강부재(40)가 가이드 포스트(53)의 안내를 받으며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20)의 안내 공간(23) 상부에 장착된 탄성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스풀(30)이 소정의 길이만큼 하강하여 배출구(22)의 개방 정도를 크게 함으로써 유입구(21)를 통해 흡입된 많은 양의 액냉매가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반대로, 액냉매의 흐름량을 적게 할 경우에는 스텝 모터(62)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기어 캐리어(66)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고, 다시 승하강부재(40)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스풀(30)이 배출구(22)를 막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양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 및 배출구와 통하는 안내 공간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안내 공간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배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스풀과, 상기 안내 공간의 상부에 수납되어 스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소정 부위에 구비된 가이드수단에 결합되어 그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직하방으로 승하강되면서 스풀을 승강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열팽창액 및 격막 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액냉매의 압력 강하 및 유량 조절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내구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 양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 및 배출구와 통하는 안내 공간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상기 밸브 하우징의 안내 공간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배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스풀과,상기 안내 공간의 상부에 수납되어 스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지수단과,상기 밸브 하우징의 소정 부위에 구비된 가이드수단에 결합되어 그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며 직하방으로 승하강되면서 스풀을 승강시키는 승하강부재와,상기 승하강부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만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스풀의 높이에 따라 유입구 및 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양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와 통하는 연결부가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별도의 연결관이 각각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밸브 하우징의 하단부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수개소에 고정되고 승하강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개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가이드 포스트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으로 탄력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하부 베이스에 고정되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동력을 감속하여 승하강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수단은 동력원에 연결되는 태양기어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면 내부에 형성되는 인터널 기어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면 중간부에 나사 결합되는 기어 캐리어와, 상기 기어 캐리어에 수개소에 고정된 축핀에 의해 결합됨과 아울러 내외측이 태양기어 및 인터널 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수개의 유성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수단은 기어 캐리어의 하면에 고정되어 캐리어 및 유성기어의 들뜸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1830A KR100280182B1 (ko) | 1998-10-07 | 1998-10-07 | 유량 조절 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1830A KR100280182B1 (ko) | 1998-10-07 | 1998-10-07 | 유량 조절 밸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4978A true KR20000024978A (ko) | 2000-05-06 |
KR100280182B1 KR100280182B1 (ko) | 2002-05-09 |
Family
ID=1955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1830A KR100280182B1 (ko) | 1998-10-07 | 1998-10-07 | 유량 조절 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018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9178B1 (ko) | 2006-01-25 | 2007-06-15 | 주식회사 하이스텐 | 유성기어가 설치된 볼밸브 |
KR100852238B1 (ko) * | 2005-09-09 | 2008-08-13 |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 전동 액추에이터 |
KR101264774B1 (ko) * | 2011-04-22 | 2013-06-05 | (주)폴리텍 | 밸브의 안전 개폐장치 |
FR3030151A1 (fr) * | 2014-12-11 | 2016-06-17 | Valeo Systemes Thermiques | Actionneur a encombrement reduit, ayant un axe traversant |
CN112483681A (zh) * | 2020-12-14 | 2021-03-12 | 安徽省华晟塑胶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电池冷却系统多回路长寿命水阀结构 |
-
1998
- 1998-10-07 KR KR1019980041830A patent/KR1002801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2238B1 (ko) * | 2005-09-09 | 2008-08-13 |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 전동 액추에이터 |
KR100729178B1 (ko) | 2006-01-25 | 2007-06-15 | 주식회사 하이스텐 | 유성기어가 설치된 볼밸브 |
KR101264774B1 (ko) * | 2011-04-22 | 2013-06-05 | (주)폴리텍 | 밸브의 안전 개폐장치 |
FR3030151A1 (fr) * | 2014-12-11 | 2016-06-17 | Valeo Systemes Thermiques | Actionneur a encombrement reduit, ayant un axe traversant |
CN112483681A (zh) * | 2020-12-14 | 2021-03-12 | 安徽省华晟塑胶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电池冷却系统多回路长寿命水阀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80182B1 (ko) | 200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30005B1 (ko) | 스텝 모터를 이용한 유량 조절 밸브 | |
KR100330004B1 (ko) | 디씨 모터를 이용한 유량 조절 밸브 | |
KR20020006445A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0280182B1 (ko) | 유량 조절 밸브 | |
CN1272906A (zh) | 多级容量控制涡旋压缩机 | |
KR19990075617A (ko) | 유량 조절 밸브 | |
US6038866A (en) | Cryogenic refriger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0330003B1 (ko) | 스텝 모터를 이용한 유량 조절 밸브 | |
JP2011080536A (ja) | エジェクタ装置 | |
KR100330008B1 (ko) | 유량조절밸브 | |
KR100325802B1 (ko) | 유량 조절 밸브 | |
KR100330007B1 (ko) | 유량조절밸브 | |
JP2622960B2 (ja) | スクロール圧縮機の液冷媒噴射装置 | |
KR100330006B1 (ko) | 하이브리드형 유량 조절 밸브 | |
KR100260924B1 (ko) | 유량 조절 밸브 | |
KR19990053434A (ko) | 유량 조절 밸브 | |
KR100257821B1 (ko) | 유량 조절 밸브 | |
KR19990053439A (ko) | 유량 조절 밸브 | |
KR200269406Y1 (ko) | 유량 조절 밸브 | |
JP3729684B2 (ja) | 極低温冷凍機 | |
KR19990075614A (ko) | 유량 조절 밸브 | |
JPS5922313Y2 (ja) | インジエクション冷却装置を具備した冷凍サイクル | |
KR100325801B1 (ko) | 유량 조절 밸브 | |
KR19990053437A (ko) | 유량 조절 밸브 | |
CN2463211Y (zh) | 汽车空调内充式h型热力膨胀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