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948A -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948A
KR20000024948A KR1019980041756A KR19980041756A KR20000024948A KR 20000024948 A KR20000024948 A KR 20000024948A KR 1019980041756 A KR1019980041756 A KR 1019980041756A KR 19980041756 A KR19980041756 A KR 19980041756A KR 20000024948 A KR20000024948 A KR 2000002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formation terminal
signal
portable information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167B1 (ko
Inventor
신현국
고병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16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통신 포트와 호환되게 마련되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및/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1광소자가 설치된 제1광모듈과, 외부기기의 통신 포트와 호환되게 마련되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및/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광소자가 설치된 제2광모듈을 포함하여,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채용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을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게 되므로,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EMI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는 손으로 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형 컴퓨터의 일종으로 전자수첩처럼 개인의 정보관리나 일정관리 기능을 가지며, 또한 컴퓨터와의 정보교류, 팩시밀리 송신 등 무선통신 기능도 수행하는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이다.
이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패킷라디오나 셀룰러 패킷데이터와 같은 글로벌 무선통신망을 이용하거나 모뎀을 사용해서 팩스 데이터 및 전자우편정보를 사용자가 어디에 있든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원하는 상대방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전자펜으로 액정화면에 글씨를 쓰면 시스템이 이를 인식하여 액정화면 상에 표시하므로 컴퓨터에 대한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데이터통신 등을 위해 외부기기 예컨대, 무선데이터 통신 모뎀 등과 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신포트는 다수의 금속핀 또는 금속 패턴으로 된 전기적 커넥터에 의해 외부기기의 통신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하게 된다.
그런데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통신포트는 커넥터의 금속핀 또는 금속패턴과 서로 연결될 때에 커넥터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전기적인 접속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와이어를 통해 전기신호를 전송하므로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어려우며 EMI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광을 이용하여 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EMI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휴대용 정보 단말기 3,7...통신포트
5...외부기기 10,30...제1 및 제2광모듈
11,31...제1 및 제2광소자 20...광케이블
115,137...멀티플렉서 117,135...디멀티플렉서
140...결합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통신 포트와 호환되게 마련되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및/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1광소자가 설치된 제1광모듈과; 외부기기의 통신 포트와 호환되게 마련되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및/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광소자가 설치된 제2광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게 제1 및 제2광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또는 제2광소자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를 전송하는 광케이블;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또는 외부기기에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가 상호 대향되며 근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장치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는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 표면광 레이저와 광검출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는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 발광다이오드와 광검출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은 상호 대응되게 병렬신호를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와 직렬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디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가 직렬신호로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장치는 제1 및 제2광모듈(10)(30)과, 그 양단이 제1 및 제2광모듈(10)(30)에 결합되는 광케이블(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광모듈(10)은 적어도 1개의 제1광소자(11)와, 상기 제1광소자(11)가 설치되는 제1홀더(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광소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제1광모듈(10)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1)의 통신포트(3)와 호환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제1광소자(11)는 상기 통신포트(3)의 타입에 맞게 어레이로 배치되며, 상기 제1홀더(12)와 리드(13)의 형상 및 배치는 상기 통신포트(3)의 타입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12)를 통신포트(3)에 삽입함에 의해 상기 제1광모듈(10)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1)가 양방향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제1광소자(11)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1)로부터의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발광소자 및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복수 채널의 신호를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제1광소자(11)는 상기 채널에 대응되게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어레이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로는 반도체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광모듈(30)은 상기 제1광모듈(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1개의 제2광소자(31)와, 상기 제2광소자(31)가 설치되는 제2홀더(32)를 포함하며, 외부기기(5)의 통신포트(7)와 호환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2광소자(31)는 제1광소자(11)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일측이 발광소자이면 이에 대응되는 타측에는 수광소자가 배치된다.
상기 광케이블(20)은 상기 제1 및 제2홀더(12)(32)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어댑터(21)(23)와,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어댑터(21)(23)에 의해 지지되는 광섬유(2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홀더(12)(32)와 어댑터(21)(23)는 상호 결합시 상기 광소자(11)(31)와 광섬유(25)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도록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련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의 통신포트(3)(7)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 사이의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정보 단말기(1)로부터의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광모듈(10)의 신호 변환부(14)에서 전류신호로 변환된다. 이 전류신호의 구동에 따라 제1광소자(11)에서 광신호가 출사된다. 이 출사된 신호는 상기 광섬유(25)를 통해 전송되고, 이 전송된 광신호는 외부기기(5)의 통신포트(7)에 설치되는 제2광모듈(30)의 제2광소자(31)에서 전류신호로 검출되고, 신호 변환부(34)에서 본래의 신호로 바뀌어 외부기기(5)에 입력된다. 또한, 외부기기(5)로부터 휴대용 정보 단말기(1)쪽으로의 신호 전송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 사이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외부 접속 장치가 일방향 통신만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채용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 사이의 신호 전송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므로,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EMI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10)(30) 즉, 상기 제1 및 제2홀더(12)(32)를 각각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에 삽입된 채로 유지시키고 상기 기기들(1)(5) 사이에 통신이 필요한 경우 상기 광케이블(20)을 상기 기기들(1)(5) 사이에 연결하여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통신포트(3)(7)와 홀더(12)(32) 사이의 접속 불량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12)(32)에 설치된 광소자(11)(31)와 어댑터(21)(23)에 지지된 광섬유(25)의 광커플링에 의해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통신포트(3)(7)에 종래의 전기적인 커넥터를 자주 삽입함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인 접속불량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의 통신포트(3)(7)가 기존의 전기적인 커넥터와 호환가능한 경우에 대해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통신포트(3)(7)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10)(30)로 대체되고, 종래의 전기적인 커넥터 대신에 상기 광케이블(20)을 채용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1)의 통신 포트(3)와 호환되게 마련된 제1광모듈(10)과, 외부기기(5)의 통신 포트(7)와 호환되게 마련된 제2광모듈(30)과,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10)(30)이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과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상 동일 부재를 나타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결합장치(140)는 상기 제1광모듈(10)의 제1광소자(11)와 상기 제2광모듈(30)의 제2광소자(31)가 상호 대향되고 근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1) 및/또는 외부기기(5)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결합장치(140)가 상기 외부기기(5)에 마련된 설치홈(141)과, 상기 설치홈(141)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11)(31)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턱부(143)로 이루어진 예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1)를 상기 설치홈(141)에 삽입 결합함에 의해 제1 및 제2광소자(11)(31)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모듈(10)이 설치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1)의 부분이 상기 설치홈(141)에 삽입되며, 상기 제2광모듈(30)은 상기 설치홈(141)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11)(31)는 발광소자로 표면광 레이저(surface emitting laser)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면광 레이저를 구비하는 경우, 이 표면광 레이저의 방사각을 작기 때문에 이로부터 출사된 광이 대응하는 수광소자에서 검출될 수 있어서, 별도의 집속수단 없이도 인접된 수광소자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접속 장치에서 휴대용 정보 단말기(1)와 외부기기(5) 사이의 통신은 자유공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1)의 통신포트(3)와 호환되게 마련된 제1광모듈(10)과, 외부기기(5)의 통신포트(7)와 호환되게 마련된 제2광모듈(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과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상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10)(30) 각각은 광소자(11)(31)로 1개의 발광소자와 1개의 수광소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10)(30)을 각 기기(1)(5)에 설치하고, 이 광모듈들(10)(30)을 소정 거리내에서 적절히 배치함에 의해 두 기기(1)(5) 사이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광모듈(10)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1)로부터의 병렬신호를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115) 및 상기 외부기기(5)측에서 입력되는 직렬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휴대용 정보 단말기(1)로 입력하는 디멀티플렉서(117)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광모듈(30)은 상기 제1광모듈(10)에 대응되게 상기 외부기기(5)로부터의 병렬신호를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137) 및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1)측에서 입력되는 직렬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5)로 입력하는 디멀티플렉서(135)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채용하면 두 기기를 적절히 배치함에 의해 상기 기기들(1)(5) 사이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단방향 통신을 위한 외부 접속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기기(1)(5) 중 일측에는 광소자로 발광소자를 다른측에는 광소자로 수광소자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를 채용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을 광신호를 이용하여 하게 되므로,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EMI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기들의 통신포트가 종래의 전기적인 커넥터의 금속핀 또는 금속패턴과 서로 연결될 때에 커넥터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접속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6)

  1.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통신 포트와 호환되게 마련되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및/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1광소자가 설치된 제1광모듈과;
    외부기기의 통신 포트와 호환되게 마련되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및/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광소자가 설치된 제2광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와 올바르게 위치 정렬되게 제1 및 제2광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또는 제2광소자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를 전송하는 광케이블;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또는 외부기기에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가 상호 대향되며 근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는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 표면광 레이저와 광검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소자는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 발광다이오드와 광검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은 상호 대응되게 병렬신호를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와 직렬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디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외부기기가 직렬신호로 통신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
KR1019980041756A 1998-10-02 1998-10-02 휴대용정보단말기의외부접속장치 KR10034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756A KR100343167B1 (ko) 1998-10-02 1998-10-02 휴대용정보단말기의외부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756A KR100343167B1 (ko) 1998-10-02 1998-10-02 휴대용정보단말기의외부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948A true KR20000024948A (ko) 2000-05-06
KR100343167B1 KR100343167B1 (ko) 2002-08-22

Family

ID=1955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756A KR100343167B1 (ko) 1998-10-02 1998-10-02 휴대용정보단말기의외부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1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074B1 (ko) * 1999-11-01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신호 접속장치
KR101594691B1 (ko) * 2014-09-11 2016-02-17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074B1 (ko) * 1999-11-01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신호 접속장치
KR101594691B1 (ko) * 2014-09-11 2016-02-17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167B1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8395B (zh) 模块化光学设备管壳
US5901263A (en) Hot pluggable module integrated lock/extraction tool
US7137744B2 (en) Fiber optic transceiver module with rigid and flexible circuit boards
CN105431757A (zh) 光电收发器模块和有源光缆
US20060133820A1 (en) Transponder assembly for use with parallel optics modules in fiber optic communications systems
US20050105910A1 (en) Optical transceiver with integrated feedback device
CN102509986B (zh) 主动型光纤缆线与电子装置
CN113097761B (zh) 一种光电连接装置
CN101452097A (zh) 光收发器
KR20000001944A (ko) 컴퓨터와 포트 레프리케이터 결합 구조체
CN112751619A (zh) 一种光电复合光模块
WO2022222342A1 (zh) 一种光模块以及光通信设备
KR100343167B1 (ko) 휴대용정보단말기의외부접속장치
CN219916016U (zh) 光模块
US8636426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system with optical transceive module
CN218350552U (zh) 一种光模块
US6771846B2 (en) Optical interconnect for mezzanine circuit boards
WO2022116619A1 (zh) 一种光模块
CN114500124A (zh) PoE供电设备、PoE供电系统和接口部件
JPH11186968A (ja) 携帯型通信端末装置、通信端末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ならびに光通信ケーブル
CN219499377U (zh) 一种光模块
CN217469945U (zh) 一种光电传输装置
CN218103162U (zh) 基于pcie x4数据传输的背板系统
CN217135500U (zh) 光模块
CN217133429U (zh) 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