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942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942A
KR20000022942A KR1019990037778A KR19990037778A KR20000022942A KR 20000022942 A KR20000022942 A KR 20000022942A KR 1019990037778 A KR1019990037778 A KR 1019990037778A KR 19990037778 A KR19990037778 A KR 19990037778A KR 20000022942 A KR20000022942 A KR 2000002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video
video signal
aspec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키히토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2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8/00Television
    • Y10S348/913Letterbox, e.g. display 16:9 aspect ratio image on 4:3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상신호와 다른 애스펙트비를 갖는 화면에 영상을 왜곡시키지 않고, 유효화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다.
입력한 영상신호에서 신호처리수단(10)에 의해 수평주기의 전영상정보를 시간축방향으로 압축하여, 표시수단에 대응한 새로운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또, 동기신호 생성수단(20)에 의해 입력신호에서 분리한 동기신호(HD, VD)에서 신호처리수단(1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영상신호에 대응한 동기신호(HD", VD")를 생성한다. 수직편향회로(30), 수평편향회로(40) 및 CRT(50)로 이루는 표시수단에서는, HD", VD"를 기준으로서, 전자빔주사가 제어되고, 시간축방향으로 압축된 영상신호가 CRT(50)에 표시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circuit}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이 영상신호에 대응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하여, 특히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유효화면의 애스펙트비와는 다른 애스펙트비의 영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텔레비전신호 등의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CRT나 액정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신호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유효화면의 애스펙트비(종횡비)와, 입력한 영상신호의 애스펙트비가 다를 경우에, 표시되는 영상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애스펙트비가 9:16의 유효화면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애스펙트비가 3:4의 영상신호를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영상신호로서 입력하는 애스펙트비가 3:4의 오리지널영상이다. 이 오리지널영상은 중심이 큰 원과, 이 원의 원주에 접하는 4개의 작은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애스펙트비가 9:16의 유효화면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도 1의 애스펙트비가 3:4의 오리지널영상을 표시한 일례이다. 도 2a는 횡방향을 모두 표시하고, 종횡방향은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영상신호의 3:4의 비율을 유지한 표시이다. 이 경우에는, 상하의 영상이 약 25% 부족하다. 또, 도 2b는 종방향을 모두 표시하고, 횡방향은 유효화면의 비율에 맞도록 잡아늘린 표시이다. 이 경우에는, 영상은 왜곡하고 전체적으로 세로로 찌그러진, 즉, 가로로 넓혀진 것같이 보인다. 또, 도 2c는 종방향을 모두 표시하고,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오리지널영상의 3:4의 비율을 유지한 표시이다. 이 경우에는 화면의 좌우가 크게 비우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다.
또, 도 2c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애스펙트비가 9:16의 유효화면을 가지는 영상표시장치에 3:4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로 오리지널영상을 표시시킬 경우에는, 수평편향전류의 진폭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바, 이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평편향전류의 링깅에 기인하여 좌우단의 영상정보를 바르게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트레이스 개시직후에는 수평편향전류에 수평편향코일의 인덕턴스와 선간용량 등의 공진에 의해 생기는 링깅성분에 의한 파형의 흔들림이 생기고, 전자빔의 주사속도에 지속이 생기고, 좌우단의 영상이 왜곡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스펙트비가 9:16의 유효화면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에 3:4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오리지널영상을 표시시킬 경우에는, 영상의 좌우단에 대응하는 부분의 영상신호에 블랭킹을 걸어서, 왜곡된 부분의 영상이 보이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좌우단의 영상정보가 빠지게 되고, 수평기간의 전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또,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의 일부만을 왜곡시키고, 영상의 전체, 혹은 거의 모두를 표시하는 영상모드를 갖는 영상표시장치도 있다. 도 3은 이와같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 도 1의 영상을 표시한 다른 예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는, 화면에서 제일 중요한 정보가 표시되는 중앙부근의 진원율을 거의 1로 가깝게하여 영상의 왜곡을 억제하고, 양단에 됨에 따라서 서서히 가로로 신장되어 가도록 하고 있다. 도 3a는 이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서, 종방향을 모두 표시한 것이다. 도 3b는 이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서, 양단의 가로로 신장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종방향의 오버스캔을 크게하여 표시한 것이다. 어느 경우도, 영상의 애스펙트는, 화면의 대략 부분에서 부정확한 것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영상을 왜곡하지 않고 표시하고자 하면, 영상의 애스펙트를 유지한 채로 애스펙트비가 다른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으면 안되고, 영상의 중요한 부분이 부족되거나 또는 유효화면의 일부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화면에 맞춰서 영상을 모두 표시하면, 영상의 애스펙트비를 일부 혹은 전체로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고, 화면전체 혹은 일부가 왜곡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이 라스터의 리니어리티를 변경할 경우, 영상의 크기나 좌우핀 왜곡도 변하기 때문에, 라스터의 재조정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룩된 것이며, 표시하는 영상을 왜곡시키지 않고, 유효화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영상신호로서 입력하는 애스펙트비가 3:4의 오리지널영상이다.
도 2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 도 1의 영상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3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 도 1의 영상을 표시한 다른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신호처리수단 및 동기신호 생성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 및 그것에 대응한 수평편향 전류파형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 및 그것에 대응한 수직편향 전류파형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에서 도 1의 영상을 표시한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에서 도 1의 영상을 표시한 다른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신호처리수단 11. 제 1PLL회로
12. 제 2PLL회로 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A/D변환회로)
14. 메모리 15. 디지털/아날로그변환회로(D/A변환회로)
16. 증폭회로 20. 동기신호 생성수단
21. 지연회로 30. 수직편향회로
40. 수평편향회로 50. CRT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에서 수평주기의 전영상정보를 시간축방향으로 압축한 압축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입력신호에서 분리한 동기신호로부터 상기 압축영상신호와의 위상관계를 일정하게 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동기신호에 맞춰서 상기 압축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영상표시장치는, 입력한 영상신호에서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수평주기의 전영상정보를 시간축방향으로 압축하여, 디스플레이에 대응한 새로운 압축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동기신호 생성수단에 의해 입력신호로부터 분리한 동기신호에서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압축영상신호에 대응한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표시수단에서는, 이 동기신호 생성수단이 생성한 새로운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전자빔주사가 제어되고, 생성된 새로운 압축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영상표시장치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10)과,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D)와 수직동기신호(VD)로 새로운 동기신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수단(20)과, 동기신호 생성수단(20)이 생성한 새로운 수직동기신호(VD")에 의거하여 수직편향전류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회로(30)와,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에 의거하여 수평편향전류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회로(40)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즉 표시수단인 CRT(50)로 구성된다. 이 영상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fh=15.734kHz, fv=60Hz의 NTSC신호를 입력한다. 단, fh는 수평주파수, fv는 수직주파수이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NTSC신호의 휘도신호와 동기신호에 대해서만 고려한다.
신호처리수단(10)은, 입력한 영상신호를 수평주기의 전영상정보에 대해서 시간축방향으로 압축하고, 이 압축한 영상신호를 CRT(50)의 캐소드에 출력한다. 동기신호 생성수단(20)은, 입력영상(HD)신호에서 도시하지 않은 동기신호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VD)와를 입력하고, 이들의 동기신호(HD, VD)에서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와 수직동기신호(VD")를 생성한다. 이들의 새로운 동기신호(HD", VD")는 신호처리수단(10)이 출력하는 영상신호와 편향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되도록 생성된다. 예를 들면, 압축된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이 수평방향에 관하여 표시수단의 거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편향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바와 같은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와 수직동기신호(VD")가 생성된다. 수직편향회로(30)에는, 새로운 수직동기신호(VD")가 공급되어, 수직편향회로(30)와 수직편향코일(VDY)에서, 새로운 수직동기신호(VD")에 의거한 수직편향전류가 생성된다. 또, 수평편향회로(40)에는,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가 공급되고, 수평동기회로(40)와 수평편향코일(HDY)에서,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에 의거한 수평편향전류가 생성된다. CRT(50)는 캐소드에 공급된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전자빔을 방출하고, 관면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에, 상술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력신호는 예를 들면, NTSC신호이며, 3:4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영상신호와 수평동기신호(HD) 및 수직동기신호(VD)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영상신호는 신호처리수단(10)에 공급되는 동시에 동기분리회로(도시생략)에 공급되고, 이 동기분리회로(도시생략)에 의해 입력영상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HD)와 수직동기신호(VD)가 취출되어서, 동기신호 생성수단(20)에 공급된다. 이 동기신호 생성수단(20)에 있어서는, 신호처리수단(1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위상관계를 갖는 새로운 동기신호(VD", HD")가 생성된다.
동기신호생성수단(2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수직동기신호(VD")는 수직편향회로(30)에,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는 수평편향회로(40)에 공급된다. 수직편향회로(30)와 수직편향코일(VDY)에, 이 공급된 수직동기신호(VD")에 의거한 수직편향전류가 생성된다. 또, 수평편향회로(40)와 수평편향코일(HDY)에서, 공급된 수평동기신호(HD")에 의거한 수평편향전류가 생성된다. 이 수직편향코일(VDY)과 수평편향코일(HDY)에 의해 발생되는 편향자계에 의해, 전자빔의 주사가 제어된다. CRT(50)는 캐소드에 공급된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전자빔을 방출하여 관면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하여 수평편향회로(40)와 수평편향코일(HDY)에 의해 수평방향의 라인주사가 행해진다. 또, 동일하게 수직편향회로(30)와 수직편향코일(VDY)에 의해 수직방향의 필드주사가 행해진다.
다음에, 신호처리수단(10) 및 동기신호 생성수단(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신호처리수단 및 동기신호 생성수단의 블록도이다.
신호처리수단(10)은, NTSC신호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D) 및 수직동기신호(VD)를 입력하고, 이들의 동기신호를 기준으로서 제 1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신호 생성수단인 제 1PLL회로(11)와, 제 1클럭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제 2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신호 생성수단인 제 2PLL회로(12)와를 갖추고 있고, 영상신호처리를 위한 기본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또한, 신호생성수단(10)은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제 1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입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이하, A/D변환회로라고 함)(13)와, A/D변환회로(13)에 의해 디지털변환된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인 메모리(14)와, 제 2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메모리(14)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독출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회로(이하, D/A변환회로라고 함)(15)와, 이 아날로그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동기신호 생성수단(20)은, 도 5에 도시되는 지연회로(21)에 대응하고 있다.
제 1PLL(11)에는,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D) 및 수직동기신호(VD)가 공급된다. 제 1PLL(11)은 공급되는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모리(14)에의 기입에 이용되는 소정의 주파수의 제 1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이 제 1클럭신호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평동기신호(HD)에 동기한 수평주파수(fh)의 858배에서 910배의 주파수로 한다. 제 2PLL(12)은 제 1PLL(11)이 생성하는 클럭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이 제 2클럭신호는 메모리(14)로부터의 독출에 이용된다. A/D변환회로(13)는, 제 1PLL(11)에서 생성되는 제 1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입력신호를 예를 들면 8비트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메모리(14)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기록한다. 메모리(14)에는, 2라인분의 영상신호가 기록가능하다. 메모리(14)에 기입된 영상신호는 제 2PLL(12)이 생성하는 제 2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독출된다. D/A변환회로(15)는 독출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회로(16)에 공급한다. 증폭회로(16)는,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증폭하고, CRT(50)의 캐소드에 공급한다.
지연회로(21)는,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D) 및 수직동기신호(VD)를 입력하고, 신호처리수단(10)이 생성하는 압축된 영상신호와의 위상관계가 일정하게 되는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와 수직동기신호(VD")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압축된 영상신호에 의거한 영상이 수평방향에 관해서 표시수단의 거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편향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와 수직동기신호(VD")가 생성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신호처리수단(10)과 동기신호 처리수단(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이와 같이 변환된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수평방향의 라인주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 및 그것에 대응한 수평편향 전류파형이다. 도 6a는 1수평주기(1H)의 사이에 입력하는 영상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1수평주기(1H)는, 수평블랭킹기간(HBLK)의 시작에서, 다음의 수평블랭킹기간(HBLK)의 시작까지의 기간이다. 수평블랭킹기간(HBLK)은, 예를 들면 페더스털레벨이 되는 수평블랭킹신호가 공급된다. 수평블랭킹기간(HBLK)에 이어서, 유효영상영역의 영상신호가 공급된다. 이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는, 720도트의 화소에 대응하는 신호가 공급되어서 1수평주기가 완결한다.
영상신호를 입력한 신호처리수단(10)은, 제 1PLL(11)에서 생성된 제 1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A/D변환회로(13)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메모리(14)에 기록한다. 메모리(14)에 기입된 영상신호는, 제 2PLL(12)이 생성하는 제 1PLL(11)보다 높은 주파수의 제 2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독출되고, D/A변환회로(15)에 의해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증폭회로(16)에서 증폭되어 CRT(50)의 캐소드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신호처리수단(10)에서는, 매모리(14)에의 기입시에는 제 1PLL(11)이 생성하는 제 1클럭신호를 메모리(14)로부터의 독출시에는 제 2PLL(12)이 생성하는 제 1PLL(11)보다 주파수가 높은 제 2클럭신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신호는 수평주기 중에서 시간축방향으로 압축되게 된다. 도 6b는 메모리(14)에서 독출된 변환후의 출력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수평블랭킹기간(HBLK)에 이어서, 유효영상신호를 독출하기 전에, 일정시간 페더스털레벨(HBLK')을 독출하도록 설정한다. 또, 유효영상신호를 독출한 후, 다음의 수평블랭킹구간이 시작하기까지, 페더스털레벨(HBLK')을 독출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의 제 1PLL(11) 및 제 2PLL(12)가 생성하는 클럭신호의 주파수는, 오리지널의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의 주기와 화면표시용의 시간축방향으로 압축된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의 주기와의 관계에 따라서 설정된다.
또, 지연회로(21)에 의해, 이 시간축방향으로 압축된 영상신호의 위상과 수평편향의 위상과의 사이의 관계가 일정하게 되는 수평동기신호(HD")가 생성된다. 즉, 오리지널의 영상신호는, 신호처리수단(10)에 있어서 메모리(14)에 대한 기입독출처리를 받기 위해서, 신호처리수단(10)은 출력되는 시간축방향으로 압축된 영상신호의 위상은, 오리지널의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의 위상에 비해서 지연되고 있으므로, 이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 오리지널의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서 새로운 동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압축된 영상신호에 의거한 영상이 수평방향에 관하여 표시수단의 거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편향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새로운 수평동기신호(HD")와 수직동기신호(VD")가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 수평편향회로와 수평편향코일에 의해, 적정한 위상에서 라인주파수가 행해진다. 도 6c는 수평주기의 편향전류파형이다. 여기서는 편의상, 수평블랭킹기간(HBLK)과 수평리트레이스시간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를 시간축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영상을 왜곡시키지 않고, 영상신호를 모두 유효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의 러스터사이즈는 일정하므로, 화면왜곡 등 러스터사이즈에 대해서 변동하는 부분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수평방향의 편향전류는,애스펙트비가 9:16의 유효화면의 수평방향의 폭에 대응한 진폭으로 흐르므로, 수평편향전류의 링깅(도 6c의 원형 틀로 둘러싼 부분을 참조)이 생기는 장소는 애스펙트비가 3:4의 유효화면의 외측이므로, 이 링깅이 발생하는 기간에 블랭킹을 걸어도, 애스펙트비가 3:4의 오리지널의 영상신호의 영상정보는 결락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애스펙트비가 3:4의 영상신호는 시간축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는 동시에, 수평편향전류는 애스펙트비가 9:16의 화면의 전폭에 대응하여 흐르므로, 블랭킹에 의해 영상을 숨길 필요가 없어지고, 유효영상신호를 모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변환된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수직방향의 필드주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신호 및 그것에 대응한 수직편향 전류파형이다. 도 7a는 영상신호의 1수직주기(1V)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수직주기(1V)는 수직블랭킹기간(VBLK)의 시작에서, 다음의 수직블랭킹기간(VBLK)의 시작까지의 기간이다. 수직블랭킹기간(VBLK)에 이어서, 480라인분의 유효라인이 배치된다. 지연회로(21)에 의해, 이 영상신호와 수직편향과의 사이의 위상관계가 일정하게 되는 수직동기신호(VD")가 생성되어 있다. 이 수직동기신호(VD")에 따라서, 수직편향회로(30)와 수직편향코일(VDY)에 의해 필드주사가 행해진다. 도 7c는 수직주기의 편향전류파형이다. 480라인의 필드주사를 행한 경우의 수직편향전류가 파선(31a)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수평방향의 블랭킹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애스펙트비를 유지한 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 비해서, 수평방향으로 약 10% 많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에서 도 1의 3:4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영상을 9:16의 애스펙트비의 CRT에 표시한 일례이다.
도 7로 되돌아가서 설명한다. 또한, 영상신호중, 중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은 크기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효화면 상에 400라인을 표시한 경우, CRT의 유효화면(도 7d참조)의 약 90%에 영상이 왜곡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의, 수직편향 전류파형은 도 7c에 실선(31b)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된다. 즉, 표시하고 싶은 영상구간에 대해서, 편향전류의 P-P값을 일정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인 영상표시장치에서 도 1의 3:4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영상을 9:16의 애스펙트비의 CRT의 유효화면 상에 400라인만 표시한 일례이다. 이와 같이 수직방향의 영상의 크기를 주사선의 개수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인보간 등의 신호처리가 필요없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입력영상신호를 NTSC신호로 한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신호포맷의 입력신호로 할 수도 있다. 또, 표시화면의 애스펙트비를 9:16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애스펙트비의 영상표시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처리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 경우, 영상표시장치가 갖져야 할 기능의 처리내용은, 컴퓨터로 독해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기술하여 놓는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컴퓨터에서 실현된다. 컴퓨터로 독해 가능한 기록매체로서는, 자기기록장치나 반도체메모리 등이 있다. 시장을 유통시킬 경우에는,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나 플로피디스크 등의 가반형 기록매체에 프로그램을 격납하여 유통시키든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된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격납하여 놓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실행할 때에는,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장치 등에 프로그램을 격납하여 놓고, 메인메모리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한 영상신호를 수평주기의 전영상정보를 시간축방향으로 압축하고, 디스플레이에 대응한 새로운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에서 분리한 동기신호에서 새로운 압축영상신호에 대응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이 동기신호에 의해 새로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 때문에 영상신호의 애스펙트비와 디스플레이의 애스펙트비가 다른 경우라도, 수평방향의 화소수를 줄이지 않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이때, 표시하는 영상을 왜곡시키지 않고, 디스플레이의 유효화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제 1애스펙트비의 유효화면을 갖는 표시수단에, 상기 제 1애스펙트비의 영상과 상기 제 1애스펙트비보다 작은 비율의 제 2애스펙트비의 영상과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며,
    입력한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수단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에서 분리한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편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에 대응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에서 수평주기의 전영상정보를 시간축방향으로 압축하여 압축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에서 분리한 동기신호에서 상기 압축영상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위상관계를 갖는 새로운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새로운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의 영상의 애스펙트비의 상위에 무관계하게 상기 표시수단의 실질적으로 전폭에 걸쳐서 편향을 행하는 편향수단과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동기신호생성수단이, 상기 압축영상신호에 의거한 영상이 수평방향에 관해서 상기 표시수단의 거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편향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이,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로부터 분리한 동기신호에서 제 1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 1클럭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제 1클럭신호 생성수단의 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회로와,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제 1클럭신호보다 높은 제 2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 2클럭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 2클럭신호를 기준으로서 독출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이, 상기 입력한 영상신호의 유효라인 중의 상하단의 라인이 상기 표시수단의 유효화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필드주사를 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19990037778A 1998-09-10 1999-09-07 영상표시장치 KR20000022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56636A JP2000092409A (ja) 1998-09-10 1998-09-10 映像表示装置
JP98-256636 1998-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942A true KR20000022942A (ko) 2000-04-25

Family

ID=1729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778A KR20000022942A (ko) 1998-09-10 1999-09-07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25778B1 (ko)
EP (1) EP0986254A1 (ko)
JP (1) JP2000092409A (ko)
KR (1) KR20000022942A (ko)
CN (1) CN1179561C (ko)
MY (1) MY124077A (ko)
TW (1) TW453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1552B1 (en) * 2000-01-28 2006-06-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automatic digital convergence
JP4604315B2 (ja) * 2000-06-26 2011-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4613403B2 (ja) * 2000-08-25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3069959A (ja) * 2001-06-14 2003-03-07 Sony Corp 映像信号処理回路、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30189669A1 (en) * 2002-04-05 2003-10-09 Bowser Todd S. Method for off-image data display
US7071996B2 (en) * 2002-07-19 2006-07-04 Sun Microsystems, Inc. Synchronizing video formats with dissimilar timing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US20070201833A1 (en) * 2006-02-17 2007-08-30 Apple Inc. Interface for defining aperture
JP6136114B2 (ja) 2012-05-23 2017-05-3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135A (en) * 1990-06-01 1994-09-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anaging letterbox signals with logos
JPH04124983A (ja) * 1990-09-17 1992-04-24 Pioneer Electr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KR950001562B1 (ko) * 1991-12-28 1995-02-25 주식회사금성사 Tv의 화면 종횡비 변환방법 및 장치
JP2759727B2 (ja) * 1992-04-22 1998-05-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US5351094A (en) * 1993-01-21 1994-09-27 Funai Electric Co., Ltd. Television receiver with scan velocity modulation being adjusted according to aspect ratio
KR960015397B1 (ko) * 1993-03-17 1996-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컷 모드 및 상하절단 모드를 적용한 고화질 티브이신호 변환회로
JPH07250256A (ja) * 1994-03-08 1995-09-26 Sony Corp 映像機器及び映像非線形処理回路
JP3556267B2 (ja) * 1994-04-27 2004-08-18 株式会社東芝 時間軸変換方式
US5719636A (en) * 1994-04-28 1998-02-17 Kabushiki Kaisha Toshiba Letter-box screen detection apparatus
US5506696A (en) * 1994-08-10 1996-04-09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Color image reproduction system having color analysis function performed with a neural network system
JP3318852B2 (ja) * 1994-08-16 2002-08-26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574508A (en) * 1994-11-02 1996-11-12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Vertical panning for interlaced video
US5825427A (en) * 1995-08-22 1998-10-20 Macleod; Kenneth J. Image display system
JP3330812B2 (ja) * 1996-03-22 2002-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6254A1 (en) 2000-03-15
US6525778B1 (en) 2003-02-25
MY124077A (en) 2006-06-30
CN1179561C (zh) 2004-12-08
CN1252673A (zh) 2000-05-10
TW453116B (en) 2001-09-01
JP2000092409A (ja) 200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272B1 (en) Display apparatus
JP312335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00022942A (ko) 영상표시장치
EP1225759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vertical scan velocity modulation and video display method therefor
US5523789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monitor for displaying video images reproduced from normal standard video signals
JPH0713173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オンスクリーン信号発生装置
US6069673A (en) CRT focus correcting method, CRT focus correcting circuit and display unit
US6529176B1 (en) Image display and horizontal speed modulator
KR200158893Y1 (ko) Osd 하프블랭킹에서의 주사선수변환장치
KR0123769B1 (ko) 16 : 9 화면에서의 픽쳐 인 픽쳐 표시회로
JPH0724858Y2 (ja) フリツカ除去装置
KR100247095B1 (ko) 텔레비젼의 영상필드소거에 의한 osd화면 플리커제거장치
JPH11168639A (ja) 映像表示装置
KR940007547B1 (ko) 티브이 2화면 장치
US4929937A (en) Circuit for generating image signal
KR100255242B1 (ko) 줌을 위한 영상신호 디스플레이장치
JP3351804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553433B2 (ko)
JP350071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表示装置
JPH11122562A (ja) 画像補正装置
JPH07236121A (ja) 静止画像再生装置
JPH02222285A (ja) ハイビジョン―ntsc変換装置
JPH02215293A (ja) 高品位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JPS62230267A (ja) 歪み画像補正装置
JPH0955913A (ja)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