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414A - 폐쇄 가능한 커버부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 및 그 플러그-인커넥터에 리드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방법 - Google Patents

폐쇄 가능한 커버부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 및 그 플러그-인커넥터에 리드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414A
KR20000022414A KR1019980710846A KR19980710846A KR20000022414A KR 20000022414 A KR20000022414 A KR 20000022414A KR 1019980710846 A KR1019980710846 A KR 1019980710846A KR 19980710846 A KR19980710846 A KR 19980710846A KR 20000022414 A KR20000022414 A KR 2000002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
connector
lead wire
contac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라이트너
롤란트 비른바움
빌프리트 비츠케
한스-요스트 하이뮐러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0002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의 콘택 챔버는 콘택(30)의 콘택부(31)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된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 및 커버부(13)에 의해 폐쇄 가능하며 콘택(30)의 접속부(32)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을 포함한다. 콘택(30)을 콘택 챔버내로 삽입한 후, 후방 콘택 챔버 영역(32)의 개방시 리드 와이어(40)가 콘택(30)의 접속부(32)에 접속된 다음, 커버부(13)가 폐쇄됨으로써 리드 와이어(40)가 고정된다.

Description

폐쇄 가능한 커버부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 및 그 플러그-인 커넥터에 리드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예컨대 독일 특허 제 33 26 991 C2호 또는 독일 특허 제 35 37 7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지금까지 공지된 플러그-인 커넥터에서는 콘택이 접속된 리드 와이어와 함께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의 상응하는 콘택 챔버내로 삽입된다. 여기서, 콘택은 종종 시이트 펀칭 부품으로 형성된 전기 커넥터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예컨대 소켓 콘택 또는 핀 콘택과 같은 전방 콘택부, 및 리드 와이어의 탈피된 단부가 납땜되거나, 용접되거나 또는 클램핑됨으로써 리드 와이어와 콘택 사이의 전기 접속을 보장하는 후방 접속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에서는 지금까지는 리드 와이어가 제 1 작업 공정에서 까다로운 방식으로 콘택에 접속된 다음, 콘택이 접속된 리드 와이어와 함께 플러그-인 커넥터의 콘택 챔버내로 수동으로 삽입되어야 했다.
본 발명은 리드 와이어에 전기 접속 가능한 접속부 및 콘택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를 가진 하우징을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에 리드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커버부가 개방된, 본 발명에 따른, 장착되지 않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콘택의 삽입시 커버부가 개방된 도 1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3은 콘택에 접속된 리드 와이어를 가진, 도 1 및 도 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4는 커버부가 폐쇄된 도 3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4a는 도 4의 플러그-인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삽입 측면으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의 플러그-인 커넥터를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5는 2열로 구현된, 개별 콘택 및 리드 와이어를 장착한 플러그-인 커넥터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5의 플러그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삽입 측면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평면 코드의 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콘택 및 리드 와이어가 장착될 수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기 리드 와이어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내로 삽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콘택 챔버가 삽입 방향으로 볼 때 전방의, 고정된, 전방 앞면에 하우징 개구를 가진, 콘택의 콘택부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 챔버 영역, 및 커버부에 의해 폐쇄 가능한, 콘택의 접속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을 포함하고,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의 커버부가 제 2 콘택 챔버 영역의 폐쇄시 콘택의 접속부에 접속된 리드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벽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와 지금까지 공지된 플러그-인 커넥터의 중요한 차이점은 콘택 챔버를 전방의 고정된 콘택 챔버 영역, 및 커버부에 의해 폐쇄 가능한, 삽입될 콘택의 접속부가 놓이는 후방 콘택 챔버 영역으로 분할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리드 와이어가 장착되지 않은 콘택을 간단한 방식으로 전방 콘택 챔버 영역내로 삽입한 다음,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의 개방시 리드 와이어를 콘택의 접속부에 접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리드 와이어는 커버부에 의해 고정된다. 부가의 고정은 특히 자동차 용도에 필요한 바와 같은 케이블 세트의 매우 합리적이고 자동화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커버부는 리드 와이어의 인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을 위해, 캐리어에 고정된 리드 와이어, 예컨대 평면 코드 또는 리본 코드가 캐리어의 내부에 리세스를 갖는다. 커버부의 벽 부재가 상기 리세스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은 콘택의 접속부가 플러그-인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는 반대로 상기 후방 콘택 챔버 영역으로부터 돌출될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콘택의 접속부와 리드 와이어 사이의 접속 영역이 콘택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커버부의 폐쇄시 상기 전기 접속점의 효과적인 보호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삽입 방향을 따라 전체 플러그-인 커넥터를 통해 연장된 벽을 갖는다. 상기 벽은 전방 및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의 일부이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커넥터내로 삽입될 콘택의 접속부는 상기 벽상에 놓인다. 전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 상기 벽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콘택 챔버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힌지 부재를 통해 전방 콘택 챔버 영역의 벽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부를 갖는다. 이러한 힌지형으로 폐쇄 가능한 커버부 대신에, 별도의 커버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별도의 커버부는 콘택의 접속부와 리드 와이어 사이의 전기 접속 후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콘택 챔버 영역상에 적합한 방식으로 놓이고, 거기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의 커버부는 커버부의 폐쇄 및 그에 따라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의 폐쇄시 삽입 방향과 반대편에 놓인 제 1 콘택 챔버 영역의 개구를 좁히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전방 콘택 챔버 영역내로 삽입된 콘택이 뒤로 결합됨으로써, 이것이 더 이상 의도치않게 전방 콘택 챔버 영역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부의 상기 돌출부는 전방 콘택 챔버 영역내로 정확히 삽입된 콘택의 2차 안전 수단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의 커버부가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의 폐쇄시 상기 커버부의 벽 부분이 콘택의 접속부에 접속된 케이블 또는 상응하게 접속된 리드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커버부는 바람직하게는 폐쇄된 위치에 록킹되며, 상기 2차 록킹과 더불어 접속된 리드 와이어의 인장 경감 수단으로도 사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또는 리드 와이어에 있는 코딩 부재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의 코딩이 이루어진다.
또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 거기에 제공된 콘택 챔버는 콘택을 일렬로 또는 다수 열로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는 그것의 콘택 챔버가 상이한 콘택의 장착을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콘택 및 리드 와이어를 플러그-인 커넥터에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접속부가 커버부에 의해 폐쇄 가능한, 개방된 후방 챔버 영역내에 놓인, 하우징의 콘택 챔버 영역내로 콘택을 삽입하여 록킹시키는 단계;
- 커버부에 의해 폐쇄 가능한, 개방된 후방 콘택 챔버 영역내로 리드 와이어의 단부를 삽입하여, 개방된 후방 콘택 챔버 영역에서 리드 와이어와 콘택의 접속부 사이의 전기 접속을 일으키는 단계;
- 커버부의 장착에 의해 후방 콘택 챔버 영역을 폐쇄시키는 단계.
콘택의 접속부와 선택된 리드 와이어 사이의 전기 접속은 임의의 방식으로, 예컨대 납땜, 용접, 니벳팅, 클램핑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소켓 콘택 및/또는 핀 콘택의 수용을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힌지를 통해 접힐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커버부가 플러그-인 커넥터에 제공된다. 하우징 형태에 따라 콘택, 즉 파워 콘택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내로 예비 삽입되고 거기에 예비 록킹된다. 커버부(들)의 개방시 콘택의 영역, 즉 콘택의 접속부가 적어도 한 측면으로부터 자유로이 접근될 수 있다. 이렇게 예비 장착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케이블 세트 제조시 매거진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꺼내져서 적합한 핸들링 시스템을 통해 코드 세트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다. 예컨대, 커버부(들)의 개방시 상응하는 코드를 가진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리본 케이블만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내로 삽입되면 된다. 그리고 나서, 전방 콘택 챔버 영역내로 예비 삽입되어 예비 록킹된 콘택이 하나의 작업 공정에서 개방된 후방 콘택 챔버 영역내의 선택된 리드 와이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커버부가 접히며 바람직하게는 록킹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텍터, 및 콘택과 리드 와이어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에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의 제 1 실시예를 플러그-인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하우징(1)은 하우징(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벽(4)을 갖는다. 벽(4)은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 및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을 바닥면으로 제한한다.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은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콘택의 콘택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상기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은 삽입 방향으로 하우징 개구(3)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 개구(3)를 통해 다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핀 콘택이 삽입되어 콘택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은 또한 벽(4)에 대해 마주 놓이게 배치된 부가의 하우징 개구(5)를 갖는다. 하우징 개구(5)는 도 1에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내로 삽입되지 않은,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내로 삽입될 콘택부의 록킹 부재에 대한 록킹 보조 수단으로 사용된다.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의 전체 길이의 약 1/3에 걸쳐 연장된다.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은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편에 놓인 그 측면에 개구(6)를 갖는다. 상기 개구(6)를 통해 콘택이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의 바닥벽(4)에 마주 놓인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의 벽 부분(7)은 개구(6)의 영역에 후술될 L-형 리세스(8)를 갖는다.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은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과는 달리 폐쇄 가능한 커버부(13)를 갖는다. 커버부(13)는 힌지 부재(15)를 통해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의 벽 부분(7)에 일체로 형성된다. 힌지 소자(15)는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의 개구(6)의 높이로 하우징(1)의 벽 부분(7)에 결합된다. 도 1에는 커버부(13)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고 바닥벽(4)에 대해 수직으로 놓인다. 커버부(13)는 횡단면으로 볼 때 L-형 형상을 가지므로, 커버부(13)의 폐쇄시 긴 L-레그는 바닥벽(4)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뻗으며 짧은 L-레그는 상기 벽(4)상에 놓인다. 커버부(13)의 긴 L-레그는 도 1에서 도면 부호 (14)로 표시되고, 짧은 L-레그는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다. 짧은 L-레그의 2개의 마주놓인 가장자리 측면에서 도 6과 관련해서 후술될 벽부분(12')이 돌출한다. 상기 벽 부분(12')은 플러그-인 커넥터내로 삽입된 리드 와이어의 인장 경감을 위해 사용된다.
커버부(12)와 반대편에 놓인 벽 부분(14)의 앞면 단부에서 노우즈형 돌출부(17)가 커버부(13)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7)는 커버부(13)의 폐쇄시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의 벽(7)의 L-형 리세스(8)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13)는 벽 부분(14)에 대해 평행하게 뻗은, 이격된 벽 부분(19)을 포함한다. 상기 벽 부분(19)은 홀딩 보조수단으로 사용되며 부가로 록킹 부재(20)를 포함함으로써,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주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것과 다르지 않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 2에서는 콘택(30)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내로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콘택(30)은 소켓 콘택이며, 그것의 콘택부(31)는 스프링 암 콘택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암 콘택부로서 형성된 콘택(30)의 콘택부(31)가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의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내로 완전히 삽입되고 거기에 록킹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록킹 고정은 도 1과 관련해서 설명된 하우징 개구(5)내로 삽입되는 텅(32)에 의해 보장된다. 콘택(30)의 콘택부(31)는 삽입 방향에 대한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접속부(32)가 콘택의 콘택부(31)에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32)는 본 실시예에서 개방된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내로 돌출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콘택(30)의 접속부(32)는 평면으로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의 바닥 벽(4)상에 놓인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벽(4)은 접속부(32) 보다 현저히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벽(4)이 콘택(30)의 접속부(32) 위로 돌출한다.
도 3에서 리드 와이어(40)는 예컨대 적합한 용접, 납땜, 클램핑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콘택(30)의 접속부(32)에 전기 접속된다. 따라서, 리드 와이어(40)와 접속부(32) 사이의 전기 접속은 커버부(13)가 개방될 때 이루어진다. 콘택(30)은 이미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내로 예비 삽입되고 거기에 예비 록킹된다.
적합한 리드 와이어(40)로는 바람직하게는 리본 케이블, 코드를 가진 가요성 프린트 회로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리드 와이어로서 개별 도체를 접속부(32)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는 커버부(13)의 폐쇄시 플러그-인 커넥터의 완전히 장착된 하우징(1)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은 커버부(13)를 접음으로써 폐쇄된다. 커버부(13)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에 도달시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에 록킹되도록 고정된다. 편의상, 도 4에는 이것이 도시되지 않는다. 커버부(13)의 폐쇄시 커버부(13)의 벽부분(12)이 리드 와이어(14)을 가압하여 이것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리드 와이어(40)의 인장 경감이 이루어진다.
도 4의 단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버부(13)의 노우즈형 돌출부(7)는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의 벽(7)의 리세스(8)내로 삽입된다. 돌출부(17)는 삽입 방향과는 반대편에 놓인 전방 콘택 챔버 영역(10)의 개구(6)가 상기 돌출부(17)에 의해 좁아질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콘택(30)의 콘택부(31)가 뒤로 결합됨으로써, 콘택(30)이 더욱 안전하게 된다.
도 4a 및 4b에는 도4에 단면도로 도시된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의 정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된다.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은 일렬로 나란히 놓인, 4개의 동일한 콘택(30)을 수용하기 위한 4개의 콘택 챔버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이 도 5, 5a 및 5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렬의 플러그-인 커넥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단면도로 도시된 플러그-인 커넥터는 벽(4)에 대해 반사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도 4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 장치에 의해 2열의 콘택 챔버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는 평면 도체로서 형성된 리드 와이어(4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평면 도체는 본 실시예에서 4개의 나란히 뻗은 그리고 적합한 캐리어(41)상에 배치된 금속 스트립 도체(44)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스트립 도체(44)는 삽입 측면쪽으로 좁아진다. 평면 도체의 삽입 측면은 도 6의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 측면으로 평면 도체가 플러그-인 커넥터내로 삽입된다. 캐리어(4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개별 스트립 도체(44)는 예컨대 구리 또는 다른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41)는 그것의 양 가장자리에 예컨대 4각형 리세스(42)를 갖는다. 상기 리세스(42)내로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의 커버부(13)의 노우즈형으로 돌출한 벽부분(12')이 삽입됨으로써 평면 도체의 효과적인 인장 경감이 이루어진다. 평면 도체의 리세스(42)내로 벽 부분(12')의 삽입은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상이한 콘택을 수용하기 위한 상이한 콘택 챔버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 하나의 힌지를 통해 플러그-인 커넥터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커버부 또는 2개의 커버부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커버부(들)가 별도의 커버부로 형성된 다음, 적합한 방식으로 플러그-인 커넥터(1)에 장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Claims (15)

  1. 리드 와이어에 전기 접속 가능한 접속부 및 콘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를 가진 하우징을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콘택 챔버가 삽입 방향으로 볼 때 전방의, 고정된, 전방 앞면에 하우징 개구(3)를 가진, 콘택부(31)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 챔버 영역(10), 및 커버부(13)에 의해 폐쇄 가능한, 콘택(30)의 접속부(32)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을 포함하고,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의 커버부(13)가 제 2 콘택 챔버 영역(11)의 폐쇄시 콘택(30)의 접속부(32)에 접속된 리드 와이어(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벽 부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리드 와이어(40)가 리본 코드 또는 평면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이 삽입 방향과는 반대로 콘택(30)의 접속부(32)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콘택 챔버 영역(10, 11)이 삽입 방향을 따라 전체 하우징(1)을 통해 연장된 공통 벽(4)을 포함하며, 삽입된 콘택(30)의 접속부가 상기 벽(4)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부(13)가 힌지 부재(15)를 통해 제 1 콘택 챔버 영역(10)의 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콘택 챔버 영역(11)의 커버부(13)가 돌출부(17)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7)는 제 2 콘택 챔버 영역(11)의 폐쇄시 삽입 방향과는 반대편에 놓인 제 1 콘택 챔버 영역(10)의 개구(6)를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부(13)가 L-형으로 형성되며, 커버부(13)의 폐쇄시 커버부(13)의 하나 또는 다수의 벽 부분(12, 12')이 콘택(30)의 접속부(32)에 접속된 리드 와이어(40)를 가압하고 및/또는 리드 와이어(40)의 캐리어(41)의 리세스(42)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이 적어도 하나의 코딩 부재(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9.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1)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10.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콘택 챔버가 전방 및 후방 콘택 챔버 영역(10, 11)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 챔버는 서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11.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콘택 챔버가 전방 및 후방 콘택 챔버 영역(10, 11)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 챔버가 서로 다수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12. 제 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가 다수의 콘택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 챔버는 상이한 콘택(3)을 수용하기 위해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13. 리드 와이어의 단부가 콘택의 접속부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콘택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의 콘택 챔버내로 삽입되는 방식의, 플러그-인 커넥터에 리드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접속부(32)가 커버부(13)에 의해 폐쇄 가능한, 개방된 후방 챔버 영역(11)내에 놓인, 하우징(1)의 콘택 챔버 영역(10)내로 콘택(30)을 삽입하여 록킹시키는 단계,
    - 커버부(13)에 의해 폐쇄 가능한, 개방된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내로 리드 와이어(40)의 단부를 삽입하고, 개방된 후방 콘택 챔버 영역내에서 리드 와이어(40)와 콘택(30)의 접속부(32) 사이의 전기 접속을 일으키는 단계,
    - 커버부(13)의 장착에 의해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를 폐쇄시키고 동시에 커버부(13)에 의해 리드 와이어(4)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리드 와이어(40)와 콘택(30)의 접속부(32) 사이의 전기 접속이 납땜, 용접, 니벳팅, 콘택 접착, 크림핑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15.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커버부(13)가 후방 콘택 챔버 영역(11)의 폐쇄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KR1019980710846A 1996-07-01 1997-06-24 폐쇄 가능한 커버부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 및 그 플러그-인커넥터에 리드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방법 KR20000022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6411.1 1996-07-01
DE19626411 1996-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414A true KR20000022414A (ko) 2000-04-25

Family

ID=779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46A KR20000022414A (ko) 1996-07-01 1997-06-24 폐쇄 가능한 커버부를 가진 플러그-인 커넥터 및 그 플러그-인커넥터에 리드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09469A1 (ko)
JP (1) JP2000513485A (ko)
KR (1) KR20000022414A (ko)
WO (1) WO1998000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3834C2 (de) * 1999-07-20 2001-09-06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verbinder mit Kabelzugentlastung
WO2023021490A1 (en) * 2021-08-20 2023-02-23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466A (en) * 1979-11-23 1981-05-26 Amp Incorporated Connector and strain relief for flat transmission cable
EP0147080B1 (en) * 1983-12-27 1990-01-31 Amp Incorporated Ribbon coax cable connector
US4875875A (en) * 1987-09-28 1989-10-24 Brintec Corporation Field terminable modular connector
DE9004383U1 (de) * 1990-04-17 1991-08-29 REMA Lipprandt GmbH & Co. KG, 53175 Bonn Steckverbinder, insbesondere Zwitter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13485A (ja) 2000-10-10
WO1998000887A1 (de) 1998-01-08
EP0909469A1 (de) 199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493A (en) Connecting and engaging fixture for electric connector
US4094564A (en) Multiple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TWI264158B (en) Electrical connector tie bar
US6200162B1 (en) Shielding terminal
US6210223B1 (en) Shielded connector, a set of shielded connector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shielded connector with a shielded cable
JP2903918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5203712A (en) Circuit wiring device
US5005104A (en) Clip-connected terminal conductor assembly
US6004163A (en) Electrical multi-pole plug-and-socket-type connector with associated socket part
JPH06223929A (ja) コネクタ構造
US7037118B2 (en) Access module
JPH0652672B2 (ja) 電気導体用接続端子
JPS61151981A (ja) シールド式の電気コネクタ
US611695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aking contact with at least one flat foil conductor
JPH08190903A (ja) 印刷回路基板用の改良したバッテリーホルダ
KR100334590B1 (ko) 평탄한 가요성 회로를 개별 전기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25443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utomotive lamp
JP4658429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の接続装置の改良
US5415568A (e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such contact
JPS6217824B2 (ko)
KR20050085717A (ko)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KR20020046965A (ko)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5910031A (en) Wire to board connector
US6483035B2 (en) Protecting configuration for flat cables
US20050020131A1 (en) Sealing device for an electrical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