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363A -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363A
KR20000022363A KR1019980710793A KR19980710793A KR20000022363A KR 20000022363 A KR20000022363 A KR 20000022363A KR 1019980710793 A KR1019980710793 A KR 1019980710793A KR 19980710793 A KR19980710793 A KR 19980710793A KR 20000022363 A KR20000022363 A KR 2000002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fibers
fluorine
solvent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다까노
노리히데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세야 히로미치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야 히로미치,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야 히로미치
Publication of KR2000002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3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3Adjustment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ment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의 플라스틱 재료를 용해시키거나 팽윤시킬 수 있는 유기 용제 (4)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광섬유 (1) 및 광섬유 (2)의 서로를 접합시키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
지금까지는, 광섬유의 접합 방법으로서, 고융점을 갖는 재료로서 실리카를 사용한 광섬유에 있어서, 전기 호광 방전에 의해 생성된 매우 높은 온도에 의해 용융된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있다. 하지만, 광섬유 선단(先端)과 같은 매우 작은 부분은 전기 방전을 수행할 때, 조절에 있어서 매우 높은 수준의 기술 및 정밀도가 요구되며, 실리카를 용융 시키기 위해서 큰 전력을 필요로 했다.
다른 한편으로, 아크릴계 플라스틱 광섬유 혹은 불소계 플라스틱 광섬유(예컨대 JP-A-8-5848호 참조)와 같은 플라스틱 광섬유에 있어서, 광섬유 서로를 효율적으로 접합시키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 효율을 증가시키고, 전송 손실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용이하게 플라스틱 광섬유를 접합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섬유간의 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광섬유 및 용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V-홈 및 공극을 가진 광섬유 접합용 보조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광섬유가 보조구상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도 4는 광섬유가 접합 부위의 보강재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4로써 설명한다. 도 1은 접합되어질 광섬유 (1)과 광섬유 (2), 및 용제 (4)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V-홈 (5) 및 공극 (6)을 갖는 광섬유 접합용 보조구 (7)의 평면 개략도이며, 도 2(b)는 보조구 (7)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3은 광섬유 (1) 및 광섬유 (2)를 보조구 (7) 위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4는 접합부 보강재에 광섬유를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광섬유 (1) 및 광섬유 (2)의 선단부의 접합 말단 표면은 완전히 평면인 표면일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면도날에 의해 용이하게 잘라진 거친 상태일 수 있다. 광섬유 (1) 및 광섬유 (2)는 예컨대 광학 실험용 3축 마이크로 포지셔너 장치와 같은 마이크로 포지셔너 장치를 사용하여 서로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 (1) 및 광섬유 (2)의 접촉부 (3)에 용제 (4)가 사용된 경우, 각각의 광섬유의 선단부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접합 말단 표면은 부분적으로 용융되고 혼합된다. 이어서, 용융된 플라스틱 재료가 건조되고 고체화하면 광섬유 (1) 및 광섬유 (2)가 고정된다.
마이크로 포지셔너 장치를 사용하는 대신, 광섬유 (1) 및 광섬유 (2)는 V-홈 (5) 및 공극 (6)을 갖는 광섬유 접합용 보조구 (7)에 위치되어, 광섬유 (1) 및 광섬유 (2)가 접촉하여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 (3)의 과량의 용제가 공극 (6)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조구 (7)의 재질로는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합금 혹은 황동이 바람직하다.
광섬유의 휨 응력에 의해 광섬유들을 서로 접촉시켜 광섬유의 말단을 용제-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합부용 보강재 (1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 (1) 및 광섬유 (2)는 접합부용 보강재 (13)의 양 말단으로부터 삽입되어 광섬유 접촉부 (3)에서 서로 접촉한다. 접합부용 보강재 (13)은 광섬유 고정부 (8) 및 (9)와 광섬유 가이드 (12)를 갖는다. 접합부용 보강재 (13)은 전체로서 형성되거나, 혹은 광섬유 고정부 (8) 및 (9)와 광섬유 가이드 (12)가 미리 형성되고, 이들이 접합하여 접합부용 보강재 (13)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용 보강재 (13)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보조구 (7)과 동일한 재질, 혹은 다양한 합성 수지이다.
광섬유 가이드 (12)는 정렬부 (10) 및 (11), 및 공극 (6)을 갖는다. 정렬부 (10) 및 (11)은 광섬유 (1) 및 광섬유 (2)를 정확하게 가이드하고 일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홈이 제공된다.
휨 응력부 (14) 및 (15)에서, 광섬유가 구부러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있다. 양쪽 말단으로부터 적당한 힘으로 광섬유를 밀어서 휨 응력부 (14) 및 (15)에서 광섬유가 아치형이 된다. 이어서, 광섬유 고정부 (8) 및 (9)에서 광섬유가 고정되며, 원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구부려진 광섬유의 힘에 의해 접촉력은 계속해서 광섬유 접촉부 (3)에 가해진다.
접촉부에서 공극 (6)으로부터 접촉부 (3)에 용제를 가한 경우, 각각의 광섬유의 절단면은 부분적으로 용해되고 혼합된다. 이때, 용해된 양에 상응하는 길이 만큼 광섬유가 짧아지나, 구부려진 광섬유의 응력에 의해 일정한 접촉력이 연속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후, 용해된 수지가 건조되어 고체화되면, 광섬유 (1) 및 광섬유 (2)는 고정된다. 공극 (6)은 용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용제의 건조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고정부 (8) 및 (9)에서 광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및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광섬유 (1) 및 광섬유 (2)를 접합시킨 후, 광섬유는 정렬부 (10) 및 (11)에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으로서, 고정부 (8) 및 (9)에서 광섬유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1) 및 광섬유 (2)는 고정부 (8) 및 (9)에서 고정되거나, 정렬부 (10) 및 (11)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광섬유 (1) 및 광섬유 (2)가 접촉부 (3)에서 접합하지 않고 접촉할 수 있다.
광섬유를 휨 응력부 (14) 및 (15)에서 구부리는 것은, 접합부용 보강재 (13) 및 광섬유 (1) 및 광섬유 (2) 사이의 열에 의해 직선 팽창의 차이를 상쇄하도록 작용한다.
광섬유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750 ㎛이다. 광섬유 가이드 (12)의 광섬유 방향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광섬유 직경의 10 내지 10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배이다. 응력부 (14) 및 (15)의 광섬유 방향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광섬유 직경의 10 내지 5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배이다.
용제 (4)가 사용되었을 때, 광섬유 (1) 및 광섬유 (2)가 너무 가까우면 용제 (4)는 광섬유 (1) 및 광섬유 (2)의 접합 표면에 잘 침투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광섬유 (1) 및 광섬유 (2)는 약간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이다.
다른 방법으로, 용제가 침투하도록 한 다음, 광섬유를 서로 가깝게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건조시에, 플라스틱 재료는 조금 수축하며, 이러한 수축을 감안하여 광섬유를 서로 가깝게 가져올 수 있다.
용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광섬유 (1) 및 광섬유 (2)의 틈에 침투하며, 동시에 너무 많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제의 점도는 광섬유의 플라스틱 재료를 용제에 용해시켜 조절할 수 있다. 용제 용액중 플라스틱 재료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이다.
또한, 용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자연적인 건조뿐만 아니라, 예컨대 전도열, 복사열, 혹은 고주파 유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섬유를 접촉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예컨대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마이크로 포지셔너를 수행하거나, 빛을 전파시키고 그의 양을 측정하면서 마이크로 포지셔너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제는 광섬유의 선단부의 접합 말단 표면용 플라스틱 재료를 용해시키거나 팽윤시킬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불소계 플라스틱 재료의 경우에 있어서, 불소계 유기 용제, 특히 퍼플루오로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 유기 용제는 퍼플루오로알칸, 예컨대 퍼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옥탄 혹은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트리알킬아민, 예컨대 퍼플루오로트리프로필아민 혹은 퍼플루오로트리부틸아민, 퍼플루오로 시클릭에테르, 예컨대 퍼플루오로(2-부틸테트라히드로푸란), 혹은 퍼플루오로 방향족 화합물, 예컨대 퍼플루오로벤젠이 있다.
상이한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광섬유 코드의 스트링과 피복 재료, 혹은 광섬유 스트링의 코어 및 클래드로 구성된 광섬유의 접합시에, 상이한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를 공통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혹은 플라스틱 재료의 종류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는 굴절률 단계형 광섬유 혹은 굴절률 분포형 광섬유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광 전송부가 비-불소계 플라스틱 재료, 혹은 불소계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거나, 비-불소계 플라스틱 재료 및 불소계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 예컨대 비-불소계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코어 및 불소계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클래드의 조합일 수 있다.
불소계 플라스틱 재료로서, 실질적으로 C-H 결합을 갖지 않는 비결정성 불소 함유 중합체가 바람직하며, 실질적으로 C-H 결합을 갖지 않으며, 주쇄에 고리 구조를 갖는 비-결정성 불소 함유 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주쇄에 시클릭 구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불소 함유 지환족 구조, 불소 함유 이미드 고리 구조, 불소 함유 트리아진 고리 구조 혹은 불소 함유 방향족 고리 구조를 갖는 불소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 지환족 구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불소 함유 지방족 에테르 고리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쇄에 시클릭 구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투명도 및 기계적 특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몰 % 이상의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체 단위를 갖는다.
불소 함유 지방족 고리 구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불소 함유 이미드 고리 구조, 불소 함유 트리아진 고리 구조, 혹은 불소 함유 방향족 고리 구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와 비교하여, 중합체 분자가 열 연신 혹은 용융 스피닝(spinning)에 의한 광섬유로의 형성시에도 정렬되지 않으며, 그 결과 빛의 산란이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중합체이다.
불소 함유 지방족 고리 구조를 갖는 바람직한 중합체로는, 불소 함유 시클릭 구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수득 가능한 것, 혹은 두 개 이상의 중합 가능한 2중 결합을 갖는 불소 함유 단량체의 시클릭 중합에 의해 수득 가능한, 주쇄에 불소 함유 지환족 구조를 갖는 중합체가 있다.
불소 함유 지환족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중합 반응에 의해 수득 가능하며, 주쇄에 불소 함유 지환족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예컨대 JP-B-63-18964호에 공지되어 있다. 즉, 주쇄에 불소 함유 지환족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불소 함유 지환족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 예컨대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을 단독 중합하여, 혹은 상기 단량체와, 라디칼 중합 가능한 단량체, 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혹은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를 공중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중합 가능한 2중 결합을 갖는 불소 함유 단량체의 시클릭 중합 반응에 의해 수득 가능하며, 주쇄에 불소 함유 지방족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JP-A-63-238111호 혹은 JP-A-63-238115호에 공지되어 있다. 즉, 주쇄에 불소 함유 지방족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알릴 비닐에테르) 혹은 퍼플루오로(부테닐 비닐에테르)와 같은 단량체의 시클릭 중합 반응에 의해, 혹은 상기 단량체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혹은 퍼플루오로(메틸 비닐에테르)와 같은 라디칼 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수득 가능하다.
또한, 주쇄에 불소 함유 지방족 시클릭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불소 함유 지방족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 예컨대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과 두 개 이상의 중합 가능한 2중 결합을 갖는 불소 함유 단량체, 예컨대 퍼플루오로(알릴 비닐에테르) 혹은 퍼플루오로(부테닐 비닐에테르)와의 공중합에 의해 수득 가능하다.
코어 재료로서 불소계 플라스틱 재료를 함유하는 굴절률 단계형 광섬유는 예를 들어 JP-A-4-189862호에 의해 공지된 것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굴절률 분포형 광섬유로서, 굴절률 차이를 갖는 매트릭스 수지와 확산 물질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며, 확산 물질은 어떠한 특정 방향을 따라 농도 변화도를 갖고 매트릭스 수지안에 분산되어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매트릭스 수지로서 불소 함유 중합체를 함유하며, 확산 물질로서 저분자량 불소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굴절률 분포형 불소계 플라스틱 광섬유가 있으며, 이는 넓은 범위의 전송 영역에서 낮은 전송 손실 및 높은 전송 영역을 갖기 때문이다(JP-A-8-5848 참조).
이러한 경우에, 불소 함유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5,000,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000,000이다. 저분자량 불소계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0이다.
이제,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섬유의 플라스틱 재료를 용해시키거나 팽윤시킬 수 있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용제 접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간의 끝을 접합시키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광섬유는 "광 전송 부위의 일부 이상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광섬유 코드 및 광섬유 스트링(string)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며(하기에 가끔 광섬유라고 약칭한다), 광섬유 코드는 피복재로 피복된 광섬유 스트링을 의미한다. 여기서, 광 전송 부위란 굴절률 단계형(step-index) 광섬유의 경우 코어 부위를 의미하거나, 굴절률 분포형(grade-index) 광섬유의 경우 섬유로부터 나가는 빛의 강도의 섬유 방사상 방향에서 최대 강도의 5 % 이상을 차지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제 접착은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되거나 팽윤된 플라스틱 재료끼리가 접촉되거나 혼합된 후, 플라스틱 재료중의 유기 용제를 증발시켜서 플라스틱 재료가 고체화되어 플라스틱 광섬유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광섬유간의 말단의 용제 접착 방법은, 예를 들어 (1) 광섬유의 말단을 서로 가깝게 붙여 형성한 광섬유 말단 사이의 틈에 용제가 침투하도록 하여 광섬유간의 말단이 용제 접착되도록 하는 방법, (2)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되거나 팽윤된 광섬유를 서로 접촉시켜 광섬유간의 말단이 용제 접착되도록 하는 방법, 혹은 (3) 광섬유의 휨 응력에 의해 광섬유들을 서로 접촉시켜 광섬유간의 말단이 용제 접착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접합 방법은 플라스틱 광섬유의 서로를 용이하게 접합하고, 접합 효율을 증가시키고, 전송 손실의 증가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합 부위에 보강재를 사용하여, 광섬유의 위치 조절이 용이해지며, 광섬유의 접합 표면에 적절한 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부위가 강화될 수 있다.
실시예 1 (합성예)
35 g의 퍼플루오로(부테닐 비닐에테르) (PBVE), 150 g의 탈이온수 및 중합 개시제로서 90 mg의 ((CH3)2CHOCOO)2를 내압 유리로 제조한 내부 용적 200 ml의 오토클레이브에 넣는다. 시스템의 내부를 질소로 세 번 치환하고, 40 ℃에서 22 시간 동안 서스펜션 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결과로, 평균 분자량 약 1.5 x 105을 갖는 중합체(하기에 중합체 A로 약칭) 28 g을 수득한다.
중합체 A의 고유 점도 [η]는 퍼플루오로(2-부틸테트라히드로푸란)(PBTHF)에서 30 ℃에서 0.50 dl/g이다. 중합체 A는 108 ℃의 유리 전이점을 가지며, 실온에서 강하고 투명한 유리질 중합체이다. 또한, 10 % 열분해 온도는 465 ℃이며, 용해도 지수는 5.3 (cal/cm3)1/2이고, 굴절률은 1.34이다.
실시예 2 (실시예)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중합체 A를 PBTHF 용매에 용해시키고, 굴절률 1.52 및 중합체 A와의 용해도 지수의 차가 3.2 (cal/cm3)1/2인 1,3-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벤젠(DBTFB) 12 중량 %를 이에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수득한다. 이 용액을 용매 제거하여 투명한 혼합 중합체(하기에 중합체 B로 약칭함)를 수득한다.
중합체 A를 용융시키고, 이의 중심에 용융된 중합체 B의 액체를 주입하면서 300 ℃에서 용융 스피닝을 수행하여, 중심으로부터 주변으로 갈수록 서서히 굴절률이 낮아지는 굴절률 분포형 광섬유(섬유 직경: 350 ㎛)를 수득한다.
상기 굴절률 분포형 광섬유를 면도칼로 절단하고, 광학 실험용 3축 마이크로 포지셔너 장치를 갖는 V-홈 위에 위치시키고, 중량을 가해 고정시킨다. 이어서, 확대경으로 접합부를 관찰하면서, 절단면이 가까워져서 10 ㎛의 간격이 되도록 마이크로 포지셔너 장치로 위치 설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접합부에서 주사기로 PBTHF를 적가하여 두 광섬유의 사이에 PBTHF가 침투한다. 이를 약 30 분간 방치한 후, V-홈으로부터 떼어내어 광섬유가 접합된 것을 확인한다. 광섬유에 빛을 입사하여 접합 손실을 측정하였으며, 0.26 dB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실시예)
면도칼로 절단한 실시예 2의 광섬유 (1) 및 광섬유 (2)를 도 4의 접합부용 보강재 (13)의 양쪽 말단으로부터 삽입하여 광섬유 접촉부 (3)에서 서로 접촉시킨다. 또한, 양쪽 말단으로부터 적당한 힘으로 광섬유를 밀어서 휨 응력부 (14) 및 (15)가 약간 아치형이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광섬유 고정부 (8) 및 (9)에 접착제를 주입하고, 광섬유 (1) 및 광섬유 (2), 및 접합부용 보강재 (13)을 고정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어서, 접촉부의 공극 (6)으로부터, PBVE의 PBTHF 용액(농도 : 2 중량 %)을 접촉부 (3)에 가하고, 각각의 광섬유 절단면을 부분적으로 용해시키고 혼합한 후, 용해된 수지가 건조하고 고체화되면 광섬유 (1) 및 광섬유 (2)가 고정된다. 광섬유에 빛을 입사하여 접합 손실을 측정하였으며, 0.5 dB로 나타났다.

Claims (9)

  1. 플라스틱 광섬유간의 말단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플라스틱 광섬유의 플라스틱 재료를 용해시키거나 팽윤시킬 수 있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용제 접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광섬유가 불소계 플라스틱 광섬유이고, 유기 용제가 불소계 유기 용제인 접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가 실질적으로 C-H 결합을 갖지 않는 비-결정성 불소 함유 중합체인 접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불소계 유기 용제가 퍼플루오로 유기 용제인 접합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광섬유가 굴절률 분포형(graded-index) 광섬유인 접합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용제 접착이, 광섬유간의 말단을 서로 가까이하여 형성된 광섬유간의 말단 사이의 간격으로 용제를 침투시켜, 광섬유간의 말단을 용제 접착시키는 접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용제 접착이, 유기 용제에 용해되거나 팽윤된 광섬유간의 말단을 접촉시켜 광섬유간의 말단이 용제 접착되는 접합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용제 접착이, 광섬유의 휨 응력에 의해 광섬유가 서로 접촉하여 광섬유간의 말단이 용제 접착되는 접합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유기 용제가 플라스틱 재료를 함유하는 접합 방법.
KR1019980710793A 1997-05-12 1998-05-11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 KR20000022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123097 1997-05-12
JP97-121230 1997-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63A true KR20000022363A (ko) 2000-04-25

Family

ID=1480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793A KR20000022363A (ko) 1997-05-12 1998-05-11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74511A (ko)
EP (1) EP0916975B1 (ko)
JP (1) JP3988957B2 (ko)
KR (1) KR20000022363A (ko)
CA (1) CA2259578A1 (ko)
DE (1) DE69810741T2 (ko)
WO (1) WO1998052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3636A (en) 1994-04-18 1998-07-21 Yasuhiro Koike Graded-refractive-index optical plastic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2001302725A (ja) 2000-04-26 2001-10-31 Asahi Glass Co Ltd 含フッ素ジエ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重合体
TW552435B (en) 2000-06-12 2003-09-11 Asahi Glass Co Ltd Plastic optical fiber
CA2373582A1 (en) 2001-02-28 2002-08-28 Asahi Glass Company, Limited Optical fiber cable
JP2002328251A (ja) * 2001-02-28 2002-11-15 Asahi Glass Co Ltd 樹脂製光ファイバの接合法
US6985666B2 (en) * 2001-02-28 2006-01-10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for coupling plastic optical fibers
SE0102452L (sv) * 2001-07-05 2003-01-06 Core Link Ab Sätt och anordning för skarvning
CN108090299B (zh) * 2017-12-29 2020-12-11 自贡华西能源工业有限公司 一种光热吸热器预应力管束或管屏预起拱形状的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0215A (en) * 1980-08-22 1982-03-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nnection method of optical fiber
FR2564984B1 (fr) * 1984-05-23 1987-12-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connexion de fibres optiques et dispositifs de connexion obtenus selon ce procede
JPH01100504A (ja) * 1987-10-14 1989-04-18 Hitachi Ltd 光フアイバおよびその製造法
US5013495A (en) * 1988-02-05 1991-05-0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ber connectors
US4921323A (en) * 1988-12-22 1990-05-01 Kingston Technologies, L.P. Memory polymer optical fiber splicer and methods
US5226995A (en) * 1991-05-28 1993-07-13 The Rockefeller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plastic optical fibers
JPH07140344A (ja) * 1993-11-19 1995-06-02 Nissei Denki Kk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装置
JP3719733B2 (ja) * 1994-04-18 2005-11-24 小池 康博 屈折率分布型光学樹脂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74511A (en) 2000-06-13
CA2259578A1 (en) 1998-11-19
EP0916975B1 (en) 2003-01-15
EP0916975A1 (en) 1999-05-19
JP3988957B2 (ja) 2007-10-10
DE69810741T2 (de) 2003-10-02
WO1998052079A1 (fr) 1998-11-19
DE69810741D1 (de) 2003-02-20
EP0916975A4 (en) 200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1413C1 (ru) Микрореплицированный оптический модуль
US57087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optical fibers to an optical integrated circuit
JPS58186713A (ja) 光フアイバのスプライス接続方法及び装置
US4610746A (en) Method of optically connecting a light conductor to an electro-optical device
CA2009523A1 (en) Optical switch
US20160077288A1 (en) Self-writable waveguide for fiber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KR920007287B1 (ko) 기억중합체 광섬유 스플라이서 및 방법
US46521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bsolute fiber junction loss
JP2013508789A (ja) 屈折率整合エラストマー固体層を有する光ファイバスイッチおよびその方法
KR20000022363A (ko) 플라스틱 광섬유의 접합 방법
KR20120075484A (ko) 인덱스 매칭 엘라스토머릭 고체층을 포함하는 반복가능한 광학 도파관 상호연결 및 관련된 방법
JP2013508791A (ja) 硬化性の屈折率整合エラストマー固体層を有する光装置を製造する方法
KR20120086318A (ko) 인덱스 매칭 엘라스토머릭 고체층을 포함하는 반복가능한 광학 도파관 상호연결 및 관련된 방법
CA1251032A (en) Apparatus for aligning optical fibers
JP2013508790A (ja) コアおよびクラッドの屈折率整合を提供する屈折率整合エラストマー固体層を有する光ファイバスイッチ、ならびにその方法
EP1835315A1 (en) Waveguide forming methods and waveguides fabricated therefrom
DK461383A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og kontrol af smelte-splejsede samlinger mellem optiske fibre, samt samlinger fremstillet paa denne maade
Zhang Coupling fibers to planar waveguides using a high-temperature epoxy
EP0121988B1 (en) Article for and method of joining optical fibres
Barry et al. Efficient multimode optical fiber-to-waveguide coupling for passive alignment applications in multichip modules
Kobayashi et al. Multiple fiber PC connector with 0.2 dB insertion and 60 dB return losses
Nagano et al. Optical performance of fiber collimators fabricated by direct splicing of angled fiber to lens
Tomaru et al. Application of UV cured epoxy resin to polymeric optical waveguide components
JPH02143221A (ja) 光スイッチ
JP2002031733A (ja) 高分子光導波路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