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913A -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913A
KR20000020913A KR1019980039729A KR19980039729A KR20000020913A KR 20000020913 A KR20000020913 A KR 20000020913A KR 1019980039729 A KR1019980039729 A KR 1019980039729A KR 19980039729 A KR19980039729 A KR 19980039729A KR 20000020913 A KR20000020913 A KR 20000020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veguide
optical
input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4809B1 (ko
Inventor
김현수
한동균
강희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809B1/ko
Priority to CN99119420A priority patent/CN1250283A/zh
Publication of KR2000002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4Broadcast and select arrangements, e.g. with an optical splitter at the input before adding or 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9Multi-stage arrangements, e.g. by cascading multiplexers or de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를 이용하여 구성된 추가/삭제 다중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상기 다중화된 입력광에 새로운 파장의 광을 추가하고 소정 파장의 광을 삭제한 후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1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새로 추가될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추가포트,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된 다중화된 광으로부터 삭제되는 소정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삭제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및 상기 제1 및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에 구비된 복수의 도파로들을 통하여 광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추가포트를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포트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포트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모든 포트를 AWG 다중화기/분할기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4개가 아닌 2개의 다중화기/분할기만을, 그리고 별도의 추가/삭제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가 아닌 1개의 다중화기/분할기만을 사용하여 TADM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본 발명은 여러 개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입력광에 대하여 임의의 파장을 추가하고 삭제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추가/삭제 다중화기(Tunable Add/Drop Multiplexer; TAD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를 이용하여 구성된 TAD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를 사용하는 TADM은 입력포트, 출력포트, 추가포트, 삭제포트 등 총 4개의 포트를 포함하며, 추가포트로 임의의 파장의 입력이 들어오면 스위치에 의하여 경로가 전환된 다음 그 추가입력파장에 대응하는 특정 파장이 삭제포트로 출력된다. 모든 포트를 광도파로격자 다중화기/분할기(Arrayed Waveguide Grating Multiplexer/Demultiplexer)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경우, 각 포트마다 각각 1개의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별도의 추가/삭제(ADD/DROP)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4개의 다중화기/분할기와 하나의 광스위치(Thermo-Optic Switches)를 사용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광도파로격자 다중화기/분할기(First Arrayed Waveguide Grating Multiplexer /Demultiplexer; 이하에서는 AWG1이라 칭함)(11)은 원래의 파장들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제2광도파로격자 다중화기/분할기(AWG2)(12)는 추가하기 위한 파장들이 입력되는 추가포트, 제3광도파로격자 다중화기/분할기(AWG3)(13)은 파장의 추가 및 삭제가 이루어진 후의 최종 파장들이 출력되는 출력포트, 그리고 제4광도파로격자 다중화기/분할기(AWG4)(14)는 삭제된 파장들이 출력되는 삭제포트로 각각 사용된다. 일단의 광스위치(15)는 AWG1(11)과 AWG2(12)를 통하여 분기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포트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포트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AWG1(11)과 AWG2(12)는 하나의 도파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여러 개의 파장들을 각각의 파장에 대응하는 도파로로 분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AWG3(13)과 AWG4(14)는 분기되었던 파장들을 다시 하나의 도파로로 출력될 수 있도록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별도의 추가/삭제 채널을 사용하여 구현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 TADM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2개의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즉 입력포트용 AWG1(21) 및 출력포트용 AWG2(22)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입출력포트 및 추가/삭제 채널 간의 광경로를 스위칭하는 광스위치(23)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여 TADM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삭제포트로서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를 사용할 경우 4개의 다중화기/분할기가, 별도의 추가/삭제채널을 사용할 경우 2개의 다중화기/분할기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TADM에 사용되는 다중화기/분할기들이 공정상의 이유로 그 특성이 조금씩 다름으로 인하여 한 다중화기/분할기에서 다른 다중화기/분할기로 광이 통과하면서 위상오류 및 진폭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럼으로 인하여 TADM 소자의 파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작은 수의 소자를 사용하면서도 파장의 추가/삭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TADM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별도의 추가/삭제 채널을 사용하여 구현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TADM에 사용되는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5는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와 하나의 광스위치를 사용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1개의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와 하나의 광스위치를 사용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는,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입력광에 대하여 임의의 파장을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결과적인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에 있어서,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상기 다중화된 입력광에 새로운 파장의 광을 추가하고 소정 파장의 광을 삭제한 후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1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새로 추가될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추가포트,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된 다중화된 광으로부터 삭제되는 소정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삭제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및 상기 제1 및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에 구비된 복수의 도파로들을 통하여 광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추가포트를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포트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포트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는, 추가되는 파장들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추가채널 및 삭제되는 파장들의 광이 각각 출력되는 삭제채널을 별도로 구비하고,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입력광에 대하여 상기 추가채널을 통하여 입력된 파장을 추가하거나 상기 삭제채널을 통하여 삭제된 파장을 출력하여 그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에 있어서,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상기 추가채널들을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의 광을 추가하고 상기 삭제채널들로 출력되는 파장들의 광을 삭제한 후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및 상기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에 구비된 복수의 도파로들을 통하여 광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입력채널 및 상기 추가채널를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채널들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채널들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TADM에 사용되는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는 제1중심 도파로(31)를 포함하는 제1광도파로열(Optical Waveguide Array)(32), 제1평면 도파로 영역(Free Space Region 또는 Star Coupler)(33), 광도파로열 격자(Arrayed Waveguide Grating)(34), 제2평면 도파로 영역(35) 및 제2중심 도파로(37)를 포함하는 제2광도파로열(37)을 포함한다. 이 때, 제1중심 도파로(31)는 제1광도파로열(32)과 제1평면 도파로 영역(33)간 경계면상의 초점(F1)에 형성된다. 여기서, 초점 F1은 광도파로열 격자(34)로부터 제1평면 광도파로 영역(33)으로 입사되는 광들이 집속되는 위치를 말한다. 제2중심 도파로(37)는 제2평면 광도파로 영역(35)과 제2광도파로열(36)간 경계면상의 초점(F2)에 형성된다. 여기서 초점 F2는 광도파로열 격자(34)로부터 제2평면 광도파로 영역(35)으로 입사되는 광들이 집속되는 위치를 말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중심 도파로(31)로 여러 파장의 광(λj0j7)이 입력되고 제1광도파로열(32)의 다른 도파로들로 서로 다른 파장의 광(λi0i7)이 입력되면, 제2중심 도파로(37)로는 λi0i7파장들이 다중화된 광이 출력되고 제2광도파로열(36)의 다른 도파로들로는 λj0j7의 다중화된 광이 분할되어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와 하나의 광스위치를 사용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입력광에 대하여 임의의 파장을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결과적인 파장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TADM은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로 사용되는 제1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AWG1)(41), 추가포트 및 삭제포트로 사용되는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AWG2)(42) 및 특정 파장의 광 경로를 변경하는 광스위치(43)를 구비한다.
AWG1(41)은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다중화된 입력광에 새로운 파장의 광을 추가하고 소정 파장의 광을 삭제한 후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한다.
AWG2(42)는 새로 추가될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추가포트, 입력포트로 입력된 다중화된 광으로부터 삭제되는 소정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삭제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광스위치(43)는 AWG1, 2(41, 42)에 구비된 복수의 도파로들을 통하여 광 경로를 변경하여, 입력포트 및 추가포트를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포트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포트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한다.
AWG1(41)은 도 3에 도시된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가 사용된다. AWG1(41)은 복수의 파장으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제1중심 도파로 및 복수의 파장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1광도파로열, 그리고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제2중심 도파로 및 특정 파장의 광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2광도파로열을 포함하는데, 제1광도파로열의 제1중심 도파로는 입력포트로 사용되고, 제2광도파로열의 제2중심 도파로는 출력포트로 사용되고, 제1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 및 제2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은 광스위치(43)와 연결되어 특정 파장의 광을 입력 및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AWG2(42)도 도 3에 도시된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가 사용된다. AWG2(42)는 복수의 파장으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제3중심 도파로 및 복수의 파장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3광도파로열, 그리고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제4중심 도파로 및 특정 파장의 광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4광도파로열을 포함하는데, 제3광도파로열의 제3중심 도파로는 추가포트로 사용되고, 제4광도파로열의 제4중심 도파로는 삭제포트로 사용되고, 제3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 및 제4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은 광스위치(43)와 연결되어 특정 파장의 광을 입력 및 출력하는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입력포트로서 사용되는 제1광도파로열의 제1중심 도파로 및 제2광도파로열의 제3중심 도파로에는 출력광으로 인한 간섭이나 리턴 로스를 막기 위한 광 아이솔레이터를 더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TADM의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으로서, 참조번호 51은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로 사용되는 제1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AWG1), 참조번호 52는 추가포트 및 삭제포트로 사용되는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AWG2), 그리고 참조번호 53은 특정 파장의 광 경로를 변경하는 광스위치(43)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1개의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와 하나의 광스위치를 사용한 TAD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추가되는 파장들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추가채널 및 삭제되는 파장들의 광이 각각 출력되는 삭제채널을 별도로 구비한 경우,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입력광에 대하여 추가채널을 통하여 입력된 파장을 추가하거나 삭제채널을 통하여 삭제된 파장을 출력하여, 그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TADM의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TADM은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로 사용되는 제1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AWG)(61) 및 특정 파장의 광 경로를 변경하는 광스위치(62)를 구비한다.
AWG(61)은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추가채널들을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의 광을 추가하고 삭제채널들로 출력되는 파장들의 광을 삭제한 후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출력포트, 그리고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한다.
광스위치(62)는 AWG(61)에 구비된 복수의 도파로들을 통하여 광 경로를 변경하여, 입력채널 및 추가채널를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채널들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채널들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AWG(61)는 도 3에 도시된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가 사용된다. 즉, AWG(61)는 복수의 파장으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제1중심 도파로 및 복수의 파장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1광도파로열, 그리고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제2중심 도파로 및 특정 파장의 광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2광도파로열을 포함하고, 제1광도파로열의 제1중심 도파로는 입력포트로 사용되고, 제2광도파로열의 제2중심 도파로는 출력포트로 사용되고, 제1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 및 제2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은 광스위치(62)와 연결되어 특정 파장의 광을 입력 및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TADM의 구성에 있어서 입출력 전용 도파로를 구비하고 있는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함으로써, 모든 포트를 AWG 다중화기/분할기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4개가 아닌 2개의 다중화기/분할기만을, 그리고 별도의 추가/삭제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가 아닌 1개의 다중화기/분할기만을 사용하여 TADM을 구현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보다 적은 수의 소자를 사용하면서도 종래의 TADM이 수행하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상 나타나는 AWG 소자간 특성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파장 특성 저하를 최소화하여 보다 나은 파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입력광에 대하여 임의의 파장을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결과적인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에 있어서,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상기 다중화된 입력광에 새로운 파장의 광을 추가하고 소정 파장의 광을 삭제한 후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1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새로 추가될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추가포트,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된 다중화된 광으로부터 삭제되는 소정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삭제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및
    상기 제1 및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에 구비된 복수의 도파로들을 통하여 광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추가포트를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포트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포트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는
    제1광도파로열, 상기 제1광도파로열에 연결되는 제1평면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제1평면 도파로 영역에 연결되는 제1광도파로열 격자, 상기 제1광도파로열 격자에 연결되는 제2평면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제2평면 도파로 영역에 연결되는 제2광도파로열을 구비하고,
    상기 제1광도파로열은
    상기 제1광도파로열과 상기 제1평면 도파로 영역간 경계면 상에서 상기 제1광도파로열 격자로부터 상기 제1평면 도파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이 집속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복수의 파장으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하나의 제1중심 도파로, 및 복수의 파장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광도파로열은
    상기 제2광도파로열과 상기 제2평면 도파로 영역간 경계면 상에서 상기 제1광도파로열 격자로부터 상기 제2평면 도파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이 집속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하나의 제2중심 도파로, 및 특정 파장의 광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1광도파로열의 제1중심 도파로는 상기 입력포트로 사용되고, 상기 제2광도파로열의 제2중심 도파로는 상기 출력포트로 사용되고, 상기 제1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 및 상기 제2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은 상기 광스위치와 연결되어 특정 파장의 광을 입력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 도파로에는
    출력광으로 인한 간섭이나 리턴 로스를 막기 위한 광 아이솔레이터를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는
    제3광도파로열, 상기 제3광도파로열에 연결되는 제3평면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제3평면 도파로 영역에 연결되는 제2광도파로열 격자, 상기 제2광도파로열 격자에 연결되는 제4평면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제4평면 도파로 영역에 연결되는 제4광도파로열을 구비하고,
    상기 제3광도파로열은
    상기 제3광도파로열과 상기 제3평면 도파로 영역간 경계면 상에서 상기 제2광도파로열 격자로부터 상기 제3평면 도파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이 집속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복수의 파장으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하나의 제3중심 도파로, 및 복수의 파장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4광도파로열은
    상기 제4광도파로열과 상기 제4평면 도파로 영역간 경계면 상에서 상기 제2광도파로열 격자로부터 상기 제2평면 도파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이 집속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하나의 제4중심 도파로, 및 특정 파장의 광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3광도파로열의 제3중심 도파로는 상기 추가포트로 사용되고, 상기 제4광도파로열의 제4중심 도파로는 상기 삭제포트로 사용되고, 상기 제3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 및 상기 제4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은 상기 광스위치와 연결되어 특정 파장의 광을 입력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중심 도파로에는
    출력광으로 인한 간섭이나 리턴 로스를 막기 위한 광 아이솔레이터를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6. 추가되는 파장들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추가채널 및 삭제되는 파장들의 광이 각각 출력되는 삭제채널을 별도로 구비하고,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입력광에 대하여 상기 추가채널을 통하여 입력된 파장을 추가하거나 상기 삭제채널을 통하여 삭제된 파장을 출력하여 그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에 있어서,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입력포트, 상기 추가채널들을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의 광을 추가하고 상기 삭제채널들로 출력되는 파장들의 광을 삭제한 후 결과적인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출력포트 및 특정 파장의 광들을 각각 입력 또는 출력하는 복수의 도파로들을 구비하는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및
    상기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에 구비된 복수의 도파로들을 통하여 광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입력채널 및 상기 추가채널를 통하여 각각 입력된 파장들 중에서 어떤 파장을 출력채널들로 보내고 어떤 파장을 삭제채널들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는
    제1광도파로열, 상기 제1광도파로열에 연결되는 제1평면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제1평면 도파로 영역에 연결되는 광도파로열 격자, 상기 광도파로열 격자에 연결되는 제2평면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제2평면 도파로 영역에 연결되는 제2광도파로열을 구비하고,
    상기 제1광도파로열은
    상기 제1광도파로열과 상기 평면 도파로 영역간 경계면 상에서 상기 광도파로열 격자로부터 상기 평면 도파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이 집속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복수의 파장으로 다중화된 광이 입력되는 하나의 제1중심 도파로, 및 복수의 파장의 광이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광도파로열은
    상기 제2광도파로열과 상기 평면 도파로 영역간 경계면 상에서 상기 광도파로열 격자로부터 상기 평면 도파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이 집속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복수의 파장들로 다중화된 광을 출력하는 하나의 제2중심 도파로, 및 특정 파장의 광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1광도파로열의 제1중심 도파로는 상기 입력포트로 사용되고, 상기 제2광도파로열의 제2중심 도파로는 상기 출력포트로 사용되고, 상기 제1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입력전용 도파로들 및 상기 제2광도파로열의 복수의 출력전용 도파로들은 상기 광스위치와 연결되어 특정 파장의 광을 입력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 도파로에는
    출력광으로 인한 간섭이나 리턴 로스를 막기 위한 광 아이솔레이터를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추가/삭제 다중화기.
KR1019980039729A 1998-09-24 1998-09-24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KR100274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29A KR100274809B1 (ko) 1998-09-24 1998-09-24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CN99119420A CN1250283A (zh) 1998-09-24 1999-09-22 可调谐增波/减波多路复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29A KR100274809B1 (ko) 1998-09-24 1998-09-24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13A true KR20000020913A (ko) 2000-04-15
KR100274809B1 KR100274809B1 (ko) 2000-12-15

Family

ID=1955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729A KR100274809B1 (ko) 1998-09-24 1998-09-24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74809B1 (ko)
CN (1) CN12502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058B1 (ko) * 2000-04-29 2002-02-09 김춘호 광 신호 추가 및 추출 장치
KR100330411B1 (ko) * 2000-02-07 2002-03-27 윤덕용 하나의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사용하는 파장교대방식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KR100407340B1 (ko) * 2002-02-19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도파로열 격자를 이용한 광통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411B1 (ko) * 2000-02-07 2002-03-27 윤덕용 하나의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사용하는 파장교대방식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KR100323058B1 (ko) * 2000-04-29 2002-02-09 김춘호 광 신호 추가 및 추출 장치
KR100407340B1 (ko) * 2002-02-19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도파로열 격자를 이용한 광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0283A (zh) 2000-04-12
KR100274809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5612A (en) Wavelength sorter and its application to planarized dynamic wavelength routing
US5937117A (en) Optical cross-connect system
US6263127B1 (en) Free-space/arrayed-waveguide router
CA2163059C (en) Tunable add/drop optical filter providing arbitrary channel arrangements
US6345133B1 (en) Functional device based on focusing-concave gratings for multi-wavelength channel manipulation
CN105229945A (zh) 具有集成的信道监测器的波长选择开关
SE9703107L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relaterande till optisk transmission
KR100274804B1 (ko) 양방향 광파장 다중화기/분할기
US6792176B2 (en) Optical switch expanding method, optical switch, and optical crossconnecting apparatus
JPH10164021A (ja) 波長多重通信用光回路及びこれを含む光伝送通信システム
US98543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fiber to a polarization sensitive photonic integrated circuit
US6597841B1 (en) Multi-output arrayed waveguide grating demultiplexer
US6744986B1 (en) Tunable wavelength add/drop multiplexer based on integrated optic devices
KR100274809B1 (ko) 양방향 광파장 분할기를 이용한 추가/삭제 다중화기
KR100442663B1 (ko) 광 회선분배 시스템
US6947628B1 (en) Dynamic wavelength-selective optical add-drop switches
US6754410B1 (en) Integrated wavelength-selective cross connect
US6785442B2 (en) Multi-order optical cross-connect
JPH08227059A (ja) チューナブル光フィルタ
CN1874195B (zh) 基于tff的复用/解复用器roadm
JPWO2004102266A1 (ja) 光スイッチ装置
JP4313644B2 (ja) アレイ導波路型波長合分波器および光波長分割多重伝送装置
JP2658114B2 (ja) 波長変換スイッチ
KR100547780B1 (ko) 순환기와 반사기를 이용한 광 분기/결합기
JPH0846569A (ja) 周波数チャネル選択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