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888A -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888A
KR20000019888A KR1019980038214A KR19980038214A KR20000019888A KR 20000019888 A KR20000019888 A KR 20000019888A KR 1019980038214 A KR1019980038214 A KR 1019980038214A KR 19980038214 A KR19980038214 A KR 19980038214A KR 20000019888 A KR20000019888 A KR 20000019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k4
complex
cell cycle
hcδp16
del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진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3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888A/ko
Publication of KR2000001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C12N15/866Baculoviral v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6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세포에서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에 의하여 CDK4 (cell cycle dependent kinase 4)와 CDK4 저해제인 p16 의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결손형 (truncated) 단백질을 복합체 (CDK4 / HC△P16) 형태로 발현시켜 고순도로 정제하는 방법 및 상기 CDK4 / HC△P16 복합체를 이용하여 CDK4 만을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곤충세포의 파쇄액을 이용하여 니켈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 CDK4 / HC△P16 복합체를 정제하고, 이에 다시 암모늄 설페이트 및 카이오트로픽 반응액 (chaotrophic reagent) 등을 처리하여 CDK4 과 HC△P16 을 분리하고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투석을 수행함으로 CDK4 만을 순수 정제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법으로 고순도의 CDK4 를 대량 생산하면 새로운 항암제 등의 개발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 / 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본 발명은 곤충세포를 이용하여 발현된 CDK4 와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p16 단백질의 복합체 (이하 " CDK4 / HC△P16 복합체 " 라고 약칭함) 및 이로부터 분리한 CDK4 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세포에서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하여 CDK4 와 HC△P16 를 가용성 복합체 형태로 발현시키고 고순도로 정제한 다음 카이오트로픽 반응액을 이용하여 CDK4 만을 고수율로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주기는 세포가 지니고 있는 성분을 똑같이 복사하여 정확하게 분리함으로 동일한 딸세포를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다세포 생물체는 이러한 세포 순환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 과정은 세포가 손상 혹은 사멸되는 경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등생물이 다 성장한 이후에도 정지하지 않는다. 만일 세포주기가 멈추게 되면 며칠 이내로 인간은 죽게 된다.
세포주기 변화를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려는 시도들이 90년대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어 그 변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세포주기 조절 기작은 세포주기 조절인자가 작용하여 세포의 성장, 분화, 발생, 노화, 아폽토시스 (apoptosis) 등을 주로 조절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Elledge, et al., Science, 274: 1664-1671).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은 여러 병리 현상들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으로서,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세포주기 조절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었다 (Pardee, Science, 246: 603-608, 1989). 이들 암세포를 분석한 결과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활성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정상세포와 다르고, 특히 이 중에는 암 병리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전이 과정과도 직접 상관 관계가 있는 예도 보고되었다 (Steeg, et al., Nature medicine, 3: 152-154, 1997). 또한, 변형동물 기술을 이용하여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과량 발현 또는 녹-아웃 (knock-out)을 유도하면 실험동물에 암이 생성되는 것이 보고되어, 직접적으로 비이상적인 세포주기 조절이 암을 유발하는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Serrano, et al., Cell, 85: 27-37, 1996).
세포주기 변화는 여타 모든 생물 현상의 조절과 마찬가지로 포지티브 조절 (positive control) 및 네가티브 조절 (negative control)을 받고 있다. 포유동물 세포에서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대표적인 키나제로는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세포 주기의 중간-G1 기 (mid-G1 phase)에서 활동적인 CDK4 (cell cycle dependent kinase 4)이고, 둘째는 중간-G1 및 S 기에서 활동적인 CDK2 이며, 세째는 G2 및 M 기에서 활동적인 CDC2 이다. 이중 CDK4 와 CDK2 는 G1-S 세포주기 체크 사항 (check point)에 의하여 그 활성이 조절되며, CDC2 는 G2-M 세포주기 체크 사항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organ, Nature, 374: 131-134, 1995). 여러 암세포들에서 CDK4 와 CDK2 의 조절 기작이 비이상성을 나타내고, 실제로 변형동물에서 인위적으로 유도한 이들의 비이상성이 암을 유발하였다 (Wang, et al., Nature, 369: 669-671, 1994).
CDK4 는 분자량이 약 34 kd 으로서 그 자체로는 키나제 활성을 가지지 않으나 중간-G1 기에서 나타나는 D 타입 사이클린과 복합체를 만들어 아미노산 172번 위치가 인산화되면 활성화된 형태로 된다 (Morgan, Nature, 374: 131-134, 1995). 이 키나제의 알려진 생체내 (in vivo) 기질은 종양 억제자 (tumor suppressor)인 Rb 단백질로서 S(T)-P-X-K(R) 서열을 가지는 교감 펩타이드 (consensus peptide)의 S(T)를 인식하여 인산화한다. Rb 는 모두 10개의 인산화 가능 부위를 가지고 있는데, 이중 780번 아미노산이 CDK4 만의 선호 서열 (preferable sequence)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 부위는 여러 CDK 가 인산화할 수 있다. 이러한 효소 활성을 가지는 CDK4 는 CDK4 와 사이클린 D1 (CYC D1)을 배큘로바이러스 (baculovirus)에서 동시 발현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Yoichi, TIBS, 22: 14-17, 1997). CDK4 는 Rb 를 인산화함으로 Rb 의 G1-S 세포주기 진행의 억제작용을 저해하여 G1-S 세포주기 진행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Sherr, Cell, 73: 1059-1065, 1993). 실제로 Rb 단백질이 없는 세포는 CDK4 의 활성을 저해해도 G1-S 세포주기 진행을 막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ucas, et al., Nature, 375: 503-506, 1995). 이는 Rb 가 최소한 CDK4 의 세포내의 성장을 조절하는 과정에 중심적인 다운 스트림 표적 기질 (down stream target substrate)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재 CDK4 의 활성은 사이클린 D 양의 변화에 의한 포지티브 조절과 그것의 천연 억제자 (natural inhibitor) 단백질인 p16, p21, p27, p57 등에 의한 네가티브 조절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Sherr, Cell, 73: 1059-1065, 1993). D 타입의 사이클린은 현재 D1, D2, D3 등 3가지가 밝혀져 있고, 이중 D1 타입이 가장 많이 연구되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이클린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사이클린 D 는 G1 기에 나타나서 CDK4 를 활동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이클린 D 의 전사 조절에 있어서 ras 또는 src 의 활성화에 의한 세포 내의 사이클린 D1 mRNA 의 상향 조절 (up regulation)이 보고된 바 있다. 이 사이클린 D1 양의 증가는 곧 세포 내에서의 CDK4 활성의 증가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현상은 ras 또는 src 가 암유전자 활성을(oncogenic activity)을 나타내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Peeper, et al., Nature, 386: 177-181, 1997).
CDK4 의 천연 억제자 단백질은 다시 2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구체적으로 p16 타입과 p21 타입이다 (Morgan, Nature, 374: 131-134, 1995). p16 타입에는 p15 및 p18 이 속하고 이들은 CDK4 에 직접 결합하여 CDK4 활성을 저해한다. 또한 이들은 모두 안킬린 반복 도메인 (ankylin repeat doma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DK 들중 CDK4 만을 저해하는 것으로 현재 알려져 있다. p21 타입에는 p27 및 p57 이 속하며 이들은 CDK4 외에도 CDK2 와 CDC2 를 저해하는데 CDK 가 사이클린과 복합체를 이룬 형태를 인지함으로 작용한다. p16 타입들 중 p18 및 p15 는 많은 암세포에서 그 유전자가 상실된 것이 관찰되고, 실제로 p16 녹-아웃 (knock-out) 변형동물은 많은 조직에서 암이 생성되므로 p16 기능의 상실이 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는 상기에 기술한 여러 키나제 중에서 CDK4 는 그의 비이상적인 조절이 암의 진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특히 많이 연구, 보고되어 왔다 (Bartkova, et al., Cancer Research, 56: 5475-5483, 1996). 상기의 사실을 미루어 볼 때 CDK4 저해제 등은 항암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보이며, 이미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에서는 항암제로서의 CDK 저해제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지금까지 CDK 저해제로는 주로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이 보고되었으며, 이중 일부는 항암제로서 임상 실험 중에 있으나 아직 CDK4 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화합물은 보고되지 않았다 (Bible, et al., Cancer Research, 56: 4856-4861, 1996).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저해제를 찾기 위하여는 먼저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CDK4 의 분자 구조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고순도의 CDK4 를 대량으로 얻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조절인자와 달리 CDK4 는 물성이 좋지 않아 단독으로 다루는 것이 어려우므로 많은 양의 CDK4 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실제로 CDK4 를 박테리아나 곤충세포에서 발현시켜 보면 대부분 불용성 단백질 형태로 생산되어 이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재구성 (refolding) 등에 어려움이 많으며 그 수율도 낮게 나타난다.
배큘로바이러스 (Baculovirus)는 곤충에만 한정적으로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서 약 80-200 kb 크기의 이중가닥 DNA 가 막대형의 뉴클레오캡시드 외피에 둘러싸여 있는데, 최근에 각종 유용한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발현 벡터로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알팔파 루퍼 (alfalfa looper)로 불리우는 나방모충인 오토그라파 캘리포니카 (Autographa californica)에서 분리한 핵다각체형 바이러스 (NPV)인 AcMNPV 바이러스 또는 봄비스 모리 (Bombix mori)에서 분리한 NPV 인 BmNPV 바이러스가 외래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발현 벡터 또는 발현 시스템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배큘로바이러스가 곤충세포에 감염되는 경우 폴리히드린이라는 단백질이 총단백질 양의 25% 이상에 달할 정도로 발현되므로 배큘로바이러스의 폴리히드린 프로모터를 이용하면 유용한 외래 단백질을 대량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배큘로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곤충세포에서 외래 단백질을 발현시키면 대장균의 발현 시스템과 유사한 정도로 단백질이 대량 생산될 수 있고 대장균이나 효모와는 달리 당의 부가 (glycosylation)와 같은 번역후수식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큘로바이러스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면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천연형과 유사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자들은 CDK4 의 물성 및 발현 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부단히 연구한 결과, 곤충세포에서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하여 CDK4 를 CDK4 특이 저해제인 p16 와 동시에 발현시킴으로써 CDK4 / HP16 단백질을 최초로 순수 정제하여 이미 출원한 바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9338호 참조). 그러나 상기 CDK4 / HP16 복합체는 히스티딘이 표지된 p16 단백질 (HP16)의 카복시 말단이 불안정하여 제한된 트립신 농도에서도 쉽게 절단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HP16 의 카복시 말단은 유동성 (Flexible) 구조일 가능성이 높고 결정화 과정에서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CDK4 저해제인 p16 과 동일한 활성을 가지나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결손형 단백질 (이하 " C△p16 " 이라고 약칭함)을 곤충세포에서 발현시킨 바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19026호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암제의 개발에 유용한 고순도의 CDK4 를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계속 연구한 결과, 곤충세포에서 상기 C△p16 단백질을 CDK4 와 동시 발현 (co-expression)시켜 가용성 CDK4 / HC△p16 복합체를 분리하고 이로부터 카이오트로픽 반응액을 사용하여 CDK4 만을 효과적으로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곤충세포에서 CDK4 와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p16 의 복합체 (CDK4 / HC△P16) 및 이로부터 분리한 CDK4 를 고순도로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CDK4 / HC△P16 복합체 및 CDK4 의 정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CDK4 / HC△P16 복합체 및 CDK4 의 정제 과정을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 (SDS-PAGE)으로 나타낸 것이고,
레인 1 : 전체 세포 용출액 ; 레인 2 : 용출 상등액 ;
레인 3 : Ni-NTA 정제 분획 ; 레인 4 : S-200 젤 정제 분획 ;
레인 5 : Q-세파로스 젤 분획 ; 레인 6 : CDK4 / HP16 표준용액
도 3 은 본 발명의 CDK4 를 CDK4 / HC△P16 복합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SDS-PAGE 로 확인한 것이다.
레인 1 : 순수 정제된 CDK4 / HC△P16 ;
레인 2, 3, 4, 5 : S-200 젤 정제 분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DK4 / HC△P16 복합체가 발현된 곤충세포 파쇄액을 이용하여 니켈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함으로 고순도의 CDK4 / HC△P16 복합체를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든 과정에서 완충용액은 pH 7.0 - 10.0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DK4 / HC△P16 복합체 분획을 암모늄 설페이트로 침전시키고 카이오트로픽 반응액을 이용하여 CDK4 과 C△P16 단백질을 분리한 다음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투석 등을 수행함으로 고순도의 CDK4 를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이오트로픽 반응액으로 바람직하게 우레아 또는 구아니딘 염을 사용하고, 이 때 완충용액은 pH 7.0 - 10.0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암모늄 설페이트는 30 % 농도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CDK4 / HC△P16 복합체 및 이로부터 분리된 CDK4 를 고순도로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18880호 참조)에 따라 CDK4 를 발현하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18880호의 기탁균주 KCTC 0464BP)와 히스티딘이 표지되고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결손형 p16 (C△P16)을 발현하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19026호의 기탁균주 KCTC 0456BP)를 곤충세포에 동시감염시켜 CDK4 / C△p16 복합체를 대량 발현시킨 다음 하기 CDK4 / HC△P16 복합체 및 CDK4 의 정제에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CDK4 / HC△P16 복합체가 발현된 곤충세포의 파쇄액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과정 등을 수행함으로 CDK4 / HC△P16 복합체를 정제한다. 이 때 니켈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한다 (도 1 참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DK4 / HC△P16 단백질이 발현된 곤충세포 sf21 에 완충용액 (20 mM 트리스, pH 8.5, 10 % 글리세롤, 0.1 M NaCl, 1 mM PMSF)을 첨가하여 초음파 분쇄하고 세포 균질액에서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여 완충용액 (20 mM 트리스, pH 8.5, 0.1 M NaCl, 10 % 글리세롤)으로 평형된 니켈 친화 칼럼에 흡착시키고 이미다졸이 첨가된 완충용액으로 단백질을 용출시킨 다음 다시 완충용액 (20 mM 트리스, pH 8.5, 10 % 글리세롤, 0.5 mM DTT, 1 mM EDTA, 0.1 M NaCl)으로 평형시킨 S-200 젤 여과 칼럼으로 단백질을 용출시키고 마지막으로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완충용액으로 Q-세파로스 칼럼으로 CDK4 / HC△P16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상기 각 과정에서 CDK4 / HC△P16 복합체를 포함하는 분획은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 등으로 확인하여 수집하였다 (도 2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은 CDK4 만을 순수하게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CDK4 / HC△P16 복합체 분획을 암모늄 설페이트로 침전시키고 카이오트로픽 반응액 (chaotrophic reagent)을 이용하여 CDK4 와 C△P16 단백질을 분리한 다음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투석 등을 수행함으로 CDK4 를 정제한다. 이 때 카이오트로픽 반응액으로는 우레아 또는 구아니딘 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CDK4 / HC△P16 복합체 용액에 암모늄 설페이트를 적당한 농도로 첨가하고 약간 저은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만 따로 모으고, 이에 구아니딘 염 또는 우레아 등이 포함된 완충용액을 처리하여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평형화시킨 S-200 젤 여과 칼럼 등을 수행하여 CDK4 만을 고순도로 정제한 다음 이로부터 암모늄 설페이트 및 우레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석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곤충세포 sf21 에서 CDK4 와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p16 (C△p16)의 발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18880호의 방법에 따라, CDK4 를 발현하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18880호의 기탁균주 KCTC 0464BP)와 6개의 히스티딘 (Hexa histidine)으로 표지된 C△p16 을 발현하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19026호의 기탁균주 KCTC 0456BP)를 곤충세포 sf21 에 동시감염 (Co-infection)시켜 CDK4 와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p16 복합체 (CDK4 / C△p16 복합체)를 대량 발현하였다.
<실시예 2> CDK4 / HC△P16 복합체의 분리·정제
(단계 1) 세포 파쇄
CDK4 / HC△P16 단백질이 발현된 곤충세포 sf21 에 20 mM 트리스, pH 8.5, 10 % 글리세롤, 0.1 M NaCl, 1 mM PMSF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초음파 분쇄기 (HEAT SYSTEMAS-ULTRASONICS, INC., W225, 미국)로 1분씩 3회 파쇄하고 이로부터 세포 균질액을 얻은 다음 원심분리기 (Beckman J2-21, Rotor JA20, 미국)로 16,000 rpm 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다음 이로부터 상등액만 취하여 다음 과정에 이용하였다.
(단계 2) Ni-NTA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과정
상기 과정에서 얻은 상등액을 다시 20 mM 트리스, pH 8.5, 0.1 M NaCl, 10 % 글리세롤 완충용액으로 미리 평형된 니켈 친화 칼럼 (Qiagen, Ni-NTA superflow,미국)에 주입시켜 흡착시킨 다음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다시 이미다졸이 첨가된 완충용액으로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여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소디움 도데실설페이트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여 CDK4 / HC△P16 복합체를 포함하는 분획만을 모았다.
(단계 3) S-200 젤 크로마토그래피 과정
상기 과정에서 얻은 CDK4 / HC△P16 복합체를 다시 한외여과농축기(Amicon, YM10, 미국)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20 mM 트리스, pH 8.5, 10 % 글리세롤, 0.5 mM DTT, 1 mM EDTA, 0.1 M NaCl 완충용액으로 미리 평형시킨 S-200 젤 여과 칼럼(Pharmacia, 스웨덴)에 주입시킨 다음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여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여 CDK4 / HC△P16 복합체를 포함하는 분획만을 모았다.
(단계 4) Q-세파로스 크로마토그래피 과정
상기 과정에서 얻은 CDK4 / HC△P16 복합체를 상기 완충용액으로 평형시킨 Q-세파로스 칼럼에 주입시킨 다음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다시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완충용액으로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여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여 CDK4 / C△p16 복합체를 포함하는 분획을 수집함으로써 고순도로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실시예 3> CDK4 의 분리·정제
(단계 1) 암모늄 설페이트 처리 과정
상기 과정에서 얻은 CDK4 / HC△P16 복합체 용액에 암모늄 설페이트가 농도 30 % 가 되도록 첨가하여 30분간 저어주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침전물만 따로 모아 다음 단계에 이용하였다.
(단계 2) S-200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과정
상기 과정에서 얻은 침전물에 6 M 구아니딘 염, 20 mM 트리스, pH 8.5, 0.5 mM DTT, 1 mM EDTA, 0.1 M NaCl 완충용액을 넣어 녹이고 미리 상기 완충용액으로 평형시킨 S-200 젤 여과 칼럼 (Pharmacia, 스웨덴)에 주입시킨 다음 상기 완충용액으로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여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여 CDK4 를 포함하는 분획만을 모음으로써 고순도로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었다.
(단계 3) 투석 과정
상기 과정에서 얻은 CDK4 용액으로부터 구아니딘을 제거하기 위하여 20 mM 트리스, pH 8.5, 10 % 글리세롤, 0.5 mM DTT, 1 mM EDTA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2번 투석하였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CDK4 와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결손형 p16 을 크기가 작고 안정한 복합체 (CDK4 / HC△P16) 형태로 고순도로 정제되게 하고, 또한, 이로부터 CDK4 만을 효과적으로 대량 정제할 수 있게 하므로 CDK4 / HC△P16 복합체의 결정구조 분석, CDK4 의 구조와 작용 기작에 대한 연구 및 새로운 항암제 등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CDK4 와 히스티딘이 표지되고 카복시 말단이 절단된 p16 단백질 (C△P16)이 복합체 (CDK4 / HC△P16) 형태로 발현된 곤충세포의 파쇄액으로 니켈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고순도의 CDK4 / HC△P16 복합체의 정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모든 과정에서 pH 7.0 - 10.0 범위인 완충용액을 이용하는 고순도의 CDK4 / HC△P16 복합체의 정제방법.
  3. 제 1항에서 얻은 CDK4 / HC△P16 복합체 분획을 암모늄 설페이트로 침전시키고 카이오트로픽 반응액 (chaotrophic reagent)으로 CDK4 과 C△P16 단백질을 분리한 다음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투석 과정을 수행하는 고순도의 CDK4 의 정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CDK4 의 분리 과정에서 카이오트로픽 반응액으로 우레아 또는 구아니딘 염을 사용하는 고순도의 CDK4 의 정제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모든 과정에서 pH 7.0 - 10.0 범위인 완충용액을 이용하고, 암모늄 설페이트는 30 % 농도 이하로 처리하는 고순도의 CDK4 의 정제방법.
KR1019980038214A 1998-09-16 1998-09-16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KR20000019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214A KR20000019888A (ko) 1998-09-16 1998-09-16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214A KR20000019888A (ko) 1998-09-16 1998-09-16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888A true KR20000019888A (ko) 2000-04-15

Family

ID=1955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214A KR20000019888A (ko) 1998-09-16 1998-09-16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88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9135A1 (en) * 1992-10-16 1994-04-28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yclin complex rearrangement and uses related thereto
WO1997011174A1 (en) * 1995-09-21 1997-03-27 Cyclacel Limited Cyclin depenpent kinase binding compounds
US5714329A (en) * 1995-11-29 1998-02-03 Sequana Theraputics, Inc.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a genetic predisposition to cancer associated with variant CDK4 alle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9135A1 (en) * 1992-10-16 1994-04-28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yclin complex rearrangement and uses related thereto
WO1997011174A1 (en) * 1995-09-21 1997-03-27 Cyclacel Limited Cyclin depenpent kinase binding compounds
US5714329A (en) * 1995-11-29 1998-02-03 Sequana Theraputics, Inc.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a genetic predisposition to cancer associated with variant CDK4 allel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defining the minimal portion of the retinoblastoma protein that serves as an efficient substrate for cdk4 kinase/cyclin D1 complex (1998. 05) *
논문;종양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CDK4-cyclinD 복합체의 촉매적 활성을 저해하는 재조합 인간 조양 억제자인 P16INK4의 과다발현과 분광학적인 특징 (1998. 01) *
논문;폐암의 유전적 치료를 위한 Adenovirus-p16 vector의 제조(1997. 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rrano et al. A new regulatory motif in cell-cycle control causing specific inhibition of cyclin D/CDK4
Boccuni et al. The human L (3) MBT polycomb group protein i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and interacts physically and functionally with TEL (ETV6)
Xiong et al. p21 is a universal inhibitor of cyclin kinases
Whiteheart et al. N-ethylmaleimide-sensitive fusion protein: a trimeric ATPase whose hydrolysis of ATP is required for membrane fusion.
Jin et al. Regulatory role for a novel human thioredoxin peroxidase in NF-κB activation
Chen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WW domain of human yes-associated protein and its polyproline-containing ligands
Riley et al. The retinoblastoma protein: more than a tumor suppressor
Cohen et al. The human thioesterase II protein binds to a site on HIV-1 Nef critical for CD4 down-regulation
US5688665A (en) Isolated nucleic acid molecules encoding the p27 KIP-1 protein
Jost et al. Annexin II contains two types of Ca2+-binding sites
Hensey et al. Identification of discrete structural domains in the retinoblastoma protein. Amino-terminal domain is required for its oligomerization.
Stewart et al. The structure of the Q69L mutant of GDP-Ran shows a major conformational change in the switch II loop that accounts for its failure to bind nuclear transport factor 2 (NTF2)
Wu et al. Crystal structure of a dimerization domain of human Caprin-1: insights into the assembly of an evolutionarily conserved ribonucleoprotein complex consisting of Caprin-1, FMRP and G3BP1
AU2004273686A1 (en) Selective inhibition of NF-kappaB activation by peptides designed to disrupt NEMO oligomerization.
Williams et al. Identification of a novel cyclin-like protein in human tumor cells.
US6071715A (en) Nucleic acids encoding novel proteins which bind to retinoblastoma protein
KR20000019888A (ko)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hc△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cdk4 단백질의 정제방법
Ambaye Noncovalent structure of SENP1 in complex with SUMO2
JP2006515159A (ja) Mk2相互作用タンパク質
US6635450B1 (en) Isolated P27 protein, nucleic acid molecules encoding same, methods of identifying agents acting on same, and uses of said agents
KR20000019889A (ko) 곤충세포를 이용한 cdk4/p16 복합체의 제조방법
RU2337966C2 (ru) Препарат рекомбинантного человеческого сывороточного альбумин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Mahadevan et al. Comparison of calcium-dependent conformational changes in the N-terminal SH2 domains of p85 and GAP defines distinct properties for SH2 domains
Wu et al. Bacterial expression and preliminary crystallographic studies of a 149-residue fragment of human Caprin-1
US6242575B1 (en) Antibodies for detecting p27 prot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