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870A -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870A
KR20000019870A KR1019980038184A KR19980038184A KR20000019870A KR 20000019870 A KR20000019870 A KR 20000019870A KR 1019980038184 A KR1019980038184 A KR 1019980038184A KR 19980038184 A KR19980038184 A KR 19980038184A KR 20000019870 A KR20000019870 A KR 2000001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visually impaired
batter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9511B1 (ko
Inventor
신기철
신봉철
Original Assignee
신봉철
신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봉철, 신기철 filed Critical 신봉철
Priority to KR101998003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5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지팡이 형태를 지니면서 상측으로 캡(11)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상하로 각각의 단자(14)(15)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충전방식의 배터리(16); 상기 캡(11)에 토글기구(13)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누를 때마다 상기 배터리(16) 및 단자(14)(15)를 통한 전원의 온오프를 교번하는 제 1 스위치(12);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내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제 2 스위치(17)의 조작에 따라 송신신호, 음향신호, 음성신호 중 하나를 츨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에 원격신호를 보내 음향으로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별도의 리모콘을 소지할 필요가 없고 긴급사태시 음향이나 음성으로 타인의 도움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본 발명은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remote control stick for blin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에 원격신호를 보내 음향으로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는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진국화 될 수록 장애인이 혼자의 힘으로 원하는 장소에 이동하고 원하는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보조하여 장애인의 사회활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나 설비가 사용된다.
그 중에서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것으로는 도로나 지하철 등의 공공 시설물 상에 설치되는 점자표식이 성형된 보도블록, 교차로 신호등 상에 설치되어 횡단의 가부를 발신음으로 알려주는 경보장치, 건물의 위치 또는 내부배치에 대한 점자표식의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판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은 도로나 건물의 상태에 따라 실제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시각장애인이 그 설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신호를 보내면 음향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하기도 하는데,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는 지팡이 외에 별도의 리모콘을 항상 지니고 다녀야 하는 불편과 분실의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에 원격신호를 보내 음향으로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는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1: 캡
12: 제 1 스위치 13: 토글기구
14, 15: 단자 16: 배터리
17: 제 2 스위치 20: 제어기판
21: 마이콤 22: 송신부
23: 음향출력부 24: 음성출력부
25: 타이머부 26: LED
27: 스피커 ST: 동작단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지팡이 형태를 지니면서 상측으로 캡(11)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상하로 각각의 단자(14)(15)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충전방식의 배터리(16); 상기 캡(11)에 토글기구(13)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누를 때마다 상기 배터리(16) 및 단자(14)(15)를 통한 전원의 온오프를 교번하는 제 1 스위치(12);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내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제 2 스위치(17)의 조작에 따라 송신신호, 음향신호, 음성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판(20)의 제 2 스위치(17)는 송신신호의 출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어기판(20)은 마이콤(21)에서 타이머부(25)에 의한 소정의 시간내에 제 2 스위치(17)의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송신부(22)에서의 송신신호, 음향출력부(23)에서의 음향신호, 음성출력부(24)에서의 음성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17)의 재입력이 있으면 모든 출력을 오프하고 제 2 스위치(17)의 펄스수를 리셋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지팡이 형태를 지니면서 상측으로 캡(11)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체(10)는 지팡이로서의 기능을 지니므로 공간부에 의해 강도가 지나치게 약화되지 않도록 적절한 소재를 사용한다. 캡(11)은 손에 쥐는 감촉을 고려하여 외주면에 적절한 라운딩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본체(10)의 상단에 장착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상하로 각각의 단자(14)(15)를 개재하여 충전방식의 배터리(16)를 장착한다. 하측의 단자(14)는 후술하는 제어기판(20)에 고정하여 함께 장착되도록 하고, 상측의 단자(15)는 압입하거나 볼트를 사용하여 본체(10)의 상단에 고정한다. 하측의 단자(14)는 배터리(16)와 상시 접촉하지만 상측의 단자(15)는 배터리(16)와 약간의 틈새를 유지한다. 배터리(16)는 충전을 위해 탈착이 용이해야 하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누를 때마다 상기 배터리(16) 및 단자(14)(15)를 통한 전원의 온오프를 교번하는 제 1 스위치(12)가 상기 캡(11)에 토글기구(13)를 개재하여 장착된다. 토글기구(13)를 사용함에 따라 제 1 스위치(12)를 한번 누르면 부호 15의 단자가 배터리(16)에 접촉되어 전원이 온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부호 15의 단자가 배터리(16)와 분리되어 전원이 오프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토글기구(13)는 부호 15의 단자에 의한 상방향 탄성력을 받도록 하면 구성을 간략화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토글기구(13)를 사용하면 다른 방식의 스위치보다 시각장애인이 제 1 스위치(12)의 온오프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동을 피할 수 있어 배터리(16)의 사용시간이 늘어난다.
이때 상측의 단자(14)는 고탄성 소재를 사용하여 본체(10)와 약 45°의 경사를 이루는 상태로 성형한 후 본체(10)에 결합하면 캡(11)을 제거하고 배터리(16)를 출입시키기 용이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이 혼자서 배터리(16)를 충전 및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제 2 스위치(17)의 조작에 따라 송신신호, 음향신호, 음성신호 중 하나를 츨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판(20)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내장된다. 제어기판(20)은 제 1 스위치(12) 및 제 2 스위치(17)의 작동시 가압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도시처럼 본체(10) 공간부의 하부면에서 지지한다. 송신신호는 제어기판(20)에서 통해 송출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로서 도로나 건물에 설치되는 장애인 안내장치에 도달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으로 사용된다. 음향신호는 부저음이나 호온음과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신호이고 음성신호는 사람의 목소리로 표현되는 신호인데, 위급한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요청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판(20)의 제 2 스위치(17)는 송신신호의 출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으로 제 2 스위치(17)의 방향을 확인하면서 작동하면 제어기판(20)의 송신신호가 원하는 방향으로 송출되어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어기판(2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LED(26)를 부착하여 송신신호의 출력상태가 표시되도록 하는데, 이는 야간 보행시 등에 다른 사람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외에 송신계통에 대한 고장의 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지닌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판(20)은 마이콤(21), 송신부(22), 음향출력부(23), 음성출력부(24), 타이머부(25), 스피커(27), 제 2 스위치(17) 등으로 구성되고 외부에서 제 1 스위치(12) 및 배터리(16)와 연결된다. 송신신호의 출력을 위한 송신부(22)에는 초음파 유니트나 적외선 유니트를 사용하고, 음향 및 음성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향출력부(23) 및 음성출력부(24)에는 특정 IC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어기판(20)은 마이콤(21)에서 타이머부(25)에 의한 소정의 시간내에 제 2 스위치(17)의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송신부(22)에서의 송신신호, 음향출력부(23)에서의 음향신호, 음성출력부(24)에서의 음성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17)의 재입력이 있으면 모든 출력을 오프하고 제 2 스위치(17)의 펄스수를 리셋하도록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작동을 살펴보면, 시각장애인이 제 1 스위치(12)를 누르는 순간 배터리(16) 전원이 공급되어 마이콤(21)이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시작하고 단계 ST11로 가서 소정의 시간(예컨대 1∼2초) 내에 제 2 스위치(17)의 입력 펄스수를 카운트한다.
단계 ST11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입력펄스가 1개이면, 즉 제 2 스위치(17)를 한번만 누른 경우라면 단계 ST13으로 가서 송신부(22)에 출력한 후 단계 ST18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T14에서 입력펄스가 2개인지 판단한다. 단계 ST14에서 제 2 스위치(17)를 두 번 누른 경우라면 단계 ST15로 가서 음향출력부(23)에 출력한 후 단계 ST15로 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T16에서 입력펄스가 3개인지 판단한다. 단계 ST16에서 제 2 스위치(17)를 세 번 누른 경우라면 단계 ST17로 가서 음성출력부(24)에 출력한 후 단계18로 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T19로 바이패스한다. 그러므로 제 2 스위치(17)를 누르지 않거나 4번 이상 누른 경우 상기 단계 ST16에서 단계 ST19로 바이패스되고 아무런 출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단계 ST18에서 다시 제 2 스위치(17)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no라면 단계 ST12로 가서 전에 수행하던 출력을 계속 유지하지만, yes라면 단계 ST19로 가서 모든 출력을 오프하고 입력펄스수를 리셋한 후 일단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단계 ST12에서 단계 ST17을 반복하는 동안 마이콤(21)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있는 입력펄스수는 변동이 없으며 단계 ST19를 지나면서 제로로 되어 다시 새로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각장애인이 제 1 스위치(12)를 온상태에 두고 제 2 스위치(17)를 2번 누르면 스피커(27)에서 호온음이 발생하는데 그 것을 중단하려면 제 2 스위치(17)를 다시 누르면 된다. 호온음이 중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7)의 입력이 더 이상 없으면 아무런 출력이 없게 된다. 송신신호, 음향출력, 음성출력의 작동 중에 제 1 스위치(12)를 다시 눌러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경우에도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의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에 원격신호를 보내 음향으로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별도의 리모콘을 소지할 필요가 없고 긴급사태시 음향이나 음성으로 타인의 도움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팡이 형태를 지니면서 상측으로 캡(11)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상하로 각각의 단자(14)(15)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충전방식의 배터리(16);
    상기 캡(11)에 토글기구(13)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누를 때마다 상기 배터리(16) 및 단자(14)(15)를 통한 전원의 온오프를 교번하는 제 1 스위치(12);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내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제 2 스위치(17)의 조작에 따라 송신신호, 음향신호, 음성신호 중 하나를 츨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20)의 제 2 스위치(17)는 송신신호의 출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20)은 마이콤(21)에서 타이머부(25)에 의한 소정의 시간내에 제 2 스위치(17)의 펼스수를 카운트하여 송신부(22)에서의 송신신호, 음향출력부(23)에서의 음향신호, 음성출력부(24)에서의 음성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17)의 재입력이 있으면 모든 출력을 오프하고 제 2 스위치(17)의 펄스수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기능을 지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19980038184A 1998-09-16 1998-09-16 리모콘기능을지니는시각장애인용지팡이 KR10028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184A KR100289511B1 (ko) 1998-09-16 1998-09-16 리모콘기능을지니는시각장애인용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184A KR100289511B1 (ko) 1998-09-16 1998-09-16 리모콘기능을지니는시각장애인용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870A true KR20000019870A (ko) 2000-04-15
KR100289511B1 KR100289511B1 (ko) 2001-05-02

Family

ID=1955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184A KR100289511B1 (ko) 1998-09-16 1998-09-16 리모콘기능을지니는시각장애인용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35B1 (ko) * 2007-03-19 2008-01-15 최낙영 시각장애인 보행안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482B1 (ko) 2019-11-14 2021-10-19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033U (ko) * 1987-08-05 1989-02-1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35B1 (ko) * 2007-03-19 2008-01-15 최낙영 시각장애인 보행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9511B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105A (en) Wireless alarm system
US5076260A (en) Sensible body vibration
US6340936B1 (en) Accessible pedestrian signal system
US5045833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lerting deaf persons
US5666331A (en) Alarm clock
US7218220B1 (en) Signaling system
US4380759A (en) Apparatus to alert a deaf person
US20020145522A1 (en) Buddy communicator
ZA20070494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a person
US7173881B1 (en) Silent morning alarm
US6225900B1 (en) Buoyant accessory device for spas
KR100289511B1 (ko) 리모콘기능을지니는시각장애인용지팡이
US5812681A (en) Artificial larynx with frequency control
WO1987006751A1 (en) Audio-tactile pedestrian push button signalling system
US4553138A (en) Fire alarm system
US3713228A (en) Learning aid for the handicapped
KR200274421Y1 (ko) 장애인 및 일반인 겸용 보행신호등 제어장치
KR200410492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자 신호등 안내장치
US5737787A (en) Pillow radio apparatus
JP3621903B2 (ja) 音声発生装置を内装する案内用手すり
KR100384342B1 (ko) 시각 장애인용 안내장치
KR19990078480A (ko)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JPH05168665A (ja) 視覚障害者誘導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補助杖
JP2707897B2 (ja)
KR20010111233A (ko) 청각 장애자용 소리 인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