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721U -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721U
KR20000019721U KR2019990006426U KR19990006426U KR20000019721U KR 20000019721 U KR20000019721 U KR 20000019721U KR 2019990006426 U KR2019990006426 U KR 2019990006426U KR 19990006426 U KR19990006426 U KR 19990006426U KR 20000019721 U KR20000019721 U KR 20000019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urved
flooring
straigh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4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두범
Original Assignee
신두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범 filed Critical 신두범
Priority to KR2019990006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721U/en
Publication of KR20000019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721U/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은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상태로 매입되도록 한쌍의 직선배관홈을 갖는 직선바닥재와;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곡선상태로 매입되도록한 곡선배관홈을 갖는 곡선바닥재와;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 또는 곡선상태로 매입되고 동시에 수개의 온수순환 파이프가 모집 배관되도록한 집합바닥재와; 적당한 두께를 가지며, 소폭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두께의 절반정도 깊이를 갖는 결합홈을 등간격으로 구비한 받침대를 구성시키고, 이 받침대들을 그 결합홈을 이용해 상하측에서 서로 끼워맞춤결합하여 격자상으로 이룬 평탄틀 및; 난방면적에 대하여 적당한 크기를 가지고 몸체가 장방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사변중 이어지는 2변 각각에 대칭하여 암수조의 결합부를 갖추어 걸어맞춤식으로 결합되는 방바닥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평탄틀을 슬래브의 미장층상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상기 격자상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틀의 단위목에 상기 직선바닥재,곡선바닥재,집합바닥재들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하면서 온수순환을 위한 파이프의 배관을 이루게하여, 이들의 바닥재 상면에 방바닥재를 적층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을 얻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a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the prefabricated ondol has a suitable thickness and has a square shape, and has a coupling portion composed of at least one female and female tank on each side, A straight bottom material having a pair of straight pipe grooves so tha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straight state; A curved flooring material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nd having a square shape, each of which has coupling parts composed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s on each quadrangle, and a curved pipe groove having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buried in a curved stat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It has a proper thickness and has a square shape, each of which has a coupling part composed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 on each side,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buried in a straight or curv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and several hot water circulation pipes are recruited at the same time. ; Comprising a pedestal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 constant length of a small length and extending about a half of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of the pedestal with equal intervals, these pedestals to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using the coupling groove A flat frame fitted into a grid by fitting; It has a suitable size with respect to the heating area and the body is made of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includes a flooring material which is coupled to each other by symmetrical coupling to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body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male and female tanks, wherein the flat frame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plastering layer of the slab by using a fixing member, and selectively fitting the linear flooring material, curved flooring material, and assembly flooring material to the unit wood of the lattice-shaped flat frame to form a pipe for hot water circulation. In order to obtain a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the flooring material is laminated on these flooring materials.

Description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본 고안은 일반주택이나 공동주택등의 온돌식 난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돌을 간단한 조립식으로 이루게 하여서 시공성은 물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dol heating of a general house or a multi-unit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which allows construction of the ondol to be prefabricated and shortens construction period as well as construction.

온수를 이용한 온돌은 대략 실내의 바닥에 온수가 순환되는 파이프를 설치하여서 목적하는 난방을 이루게 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축구조물의 슬래브상에 온수 순환을 위한 파이프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유동되지 않게 배치하 고, 이 온수순환 파이프상에 자갈등 충진재를 충진시킨후, 이들 온수순환 파이프와 충진재상으로 시멘트몰탈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후 양생하여서 온돌을 구성시키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온돌에서는 시공은 물론, 보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예를 들어 온수순환파이프의 배관작업과 자갈등을 충진하고 시멘트몰탈의 양생시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으며, 또 온수순환 파이프의 누수발생등 보수작업이 요구될 시 시멘트몰탈로 이루어지는 시멘트몰탈의 방바닥을 제거한후 파이프의 교체 또는 수리등의 보수작업을 이루어야 하므로써, 그 온돌의 보수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것이었다.Ondol using hot water provides a pipe for circulating hot water on the floor of the room to achieve the desired heating. More specifically, the pipes for hot water circulation on the slab of the building structure are arranged so as not to flow at regular intervals, and after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gravel o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nd the filler material phase The cement mortar is coated to a certain thickness and cured to form ondol. In the construction of the ondol thus constructed, it is not easy to install and repair, for example, it takes a lot of time to fill the plumbing work and gravel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nd to cure cement mortar. When the maintenance work is required, it is not easy to repair and maintain the ondol by removing the floor of the cement mortar made of cement mortar and performing repair work such as replacing or repairing the pipe.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온돌의 시공은 물론, 보수및 유지관리 편의를 위한 조립식 온돌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Thus, in recent years, prefabricated ondol has been developed and used not on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ndol, but also for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nvenience.

이러한 조립식 온돌은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조립식 온돌은 대략 온수순환 파이프의 시공을 위한 바닥재와, 이 바닥재의 상하측으로 열전달을 위한 매개재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서 목적하는 온돌을 구성시키고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온수순환 파이프 시공을 위한 바닥재는 난방 전면적에 대하여 소단위면적으로 분할되어 이룬 단위바닥재를 좌우사방으로 연결하여서 조립된 단일체의 바닥재로 구성, 즉 단위바닥재를 인접한 단위바닥재와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조립된 바닥재를 이루게 하고 있다.Such prefabricated ondol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date, and such a prefabricated ondol is formed by stacking a flooring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and a medium for heat transfer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ooring material in order to form a desired ondol. . More specifically, the flooring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composed of a unitary flooring material assembled by connecting the unit flooring formed by dividing the subunit area with respect to the entire heating area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y can be combined to form one assembled floor.

그런데 이러한 온수순환 파이프의 시공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는 여러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그 바닥재의 구성이 복잡하고 결합구조가 안정되지 못하였으며, 또 파이프의 배관을 위해 바닥재는 곡선부재 또는 직선부재들을 갖추어서 목적하는 시공을 이루게 하였으나, 그 배관이 한정적, 즉 분배기측에서는 배관이 집합모습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집합배관에서는 별도의 시공을 이루어야 하는등 다양한 모습으로 설계되는 난방처에 따라서 유효적절한 배관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등 시공이 저조하지 못한 것이었 다.By the way, the prefabricated flooring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he composi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is complicated and the coupling structure is not stable, and the flooring material is provided with curved or straight members for piping of the pipe. Although the intended construction is achieved, the piping is limited, that is, the piping has a collective appearance on the distributor side. In such collective piping, it is not easy to effectively pipe work depending on the heating place design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eparat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was not goo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온돌 시공을 위한 배관바닥재를 직선, 곡선및 집합배관과 분기배관을 위한 집합바닥재를 더 갖추어서 난방시스템의 분배기로부터 각 난방처 전면적으로 완전한 시공을 이룰 수 있도록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the flooring material for the underfloor construction with straight, curved, and aggregated flooring material for branch pipes and branch pipes.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to achieve complete construc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직선 및 곡선바닥재와 집합바닥재 각기의 결합방향을 사방향 그 어느방향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서 다양한 배관을 이루도록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을 제공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to form a variety of piping by allowing the coupling direction of each of the straight and curved floor and the aggregate floor in any four directions.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은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상태로 매입되도록 한쌍의 직선배관홈을 갖는 직선바닥재와;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 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곡선상태로 매입되도록한 곡선배관홈및 이 곡선배관홈의 접선방향으로 직선배관홈을 갖는 곡선바닥재와;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 또는 곡선상태로 매입되고 동시에 수개의 온수순환 파이프가 모집 배관되도록한 집합바닥재와; 적당한 두께를 가지며, 소폭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두께의 절반정도 깊이를 갖는 결합홈을 등간격으로 구비한 받침대를 구성시키고, 상기 받침대들의 결합홈을 이용해 상기 각 받침대들을 상하측에서 서로 교차방향으로 끼워맞춤결합해 상기 받침대들이 격자무늬상으로 짜여진 각 단위셀에 상기 바닥재들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고정되며, 상기 바닥재들의 배치와 그 배치상태의 평면도를 유지토록한 바닥틀; 및 난방 전면적에 대하여 적당한 크기를 가지고 몸체가 장방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사변중 이어지는 2변 각각에 각기 대응하는 암수조의 결합부를 갖추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방바닥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바닥틀을 온돌을 시공할 난방장소의 슬래브상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상기 격자무늬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틀의 단위셀 각각에 상기 직선바닥재 ,곡선바닥재,집합바닥재들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결합하여 온수순환을 위한 파이프의 배관을 위한 바닥재를 이루게하고, 이들의 바닥재 상면에 방바닥재를 적층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a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the prefabricated ondol has a suitable thickness and has a square shape, each of the four sides consisting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 corresponding to each A straight bottom member having a coupling part and having a pair of straight pipe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straight state; Curved pipe groove an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urved pipe groove, each of which has a suitable thickness and consists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 on each side, each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curv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Curved flooring material having a straight pipe groove; It has a proper thickness and has a square shape. Each quadrilater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female tanks, each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straight or curv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and several hot water circulation pipes are recruited at the same time. Assembly flooring; Comprising a pedestal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 constant length is a small length extending to a half interval of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of the pedestal at equal intervals, using the coupling groove of the pedestal each of the pedestal up and down A bottom frame fitted to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by fitting in the cross direction, and the bottoms are fitted into each unit cell in which the pedestals are woven in a lattice pattern, and to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floorings and the top view of the arrangement; And a flooring material having a suitable size with respect to the entire heating area, the body made of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having a coupling part of a male and female tank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body, each of which is fitted in a fitting manner. The bottom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lab of the heating place where the ondol is to be installed by using a fixing member, and the linear floor material, the curved floor material, and the assembly floor material are selectively fitted to each of the unit cells of the lattice-shaped floor frame. By forming a flooring material for the piping of the pipe for hot water circulation, and to provide a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oring material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se flooring materials.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이 시설된 모습을 보여 주는 일례로서, 아파트의1 is an example showing a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ondol, the apartment of

내부구조의 평면도,Floor plan of internal structure,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 extract of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ondol,

도 3은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2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도 5a, 5b, 5c는 본 고안 조립식 온돌에 적용되는 온수배관을 위한 바닥재로5a, 5b, 5c is a flooring material for hot water pipe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ondol

서,book,

도 5a는 곡선바닥재와 직선바닥재를 이용하여 곡선배관을 이루는 예를 보인Figure 5a shows an example of forming a curved pipe using a curved flooring material and a straight flooring material

설명도,Explaining,

도 5b는 곡선바닥재와 직선바닥재를 이용하여 곡선배관을 이루는 또 하나의Figure 5b is another one forming a curved pipe using a curved flooring material and a straight flooring material

예를 보인 설명도,Illustrative diagram showing an example,

도 5c는 곡선바닥재와 직선바닥재를 이용하여 쿼터곡선배관을 이루는 예를 보인 설명도,5C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forming a quarter curve piping using curved floor material and straight floor material;

도 6은 본 고안 조립식 온돌에 적용되는 온수배관을 위한 바닥재에서 온수난6 is a hot water heater in the flooring for hot water pipe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ondol

방시스템의 분배기로 부터 각 난방처 까지 배관을 위해 설치되는 집합바닥재와 직선바닥재를 이용하여 분기배관된 모습을 보여 주는 예시도,Exemplary diagram showing branched pipes using the aggregate flooring material and the linear flooring material installed for piping from the distributor of the room system to each heating place.

도 7a, 7b, 7c, 7d, 7e는 본 고안 조립식온도에 적용되는 패널를 보여주는Figures 7a, 7b, 7c, 7d, 7e shows a panel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시도로서,As a perspective view,

도 7a는 집합바닥재를 보여 주는 사시도,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or assembly,

도 7b는 곡선바닥재를 보여 주는 사시도,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rved flooring,

도 7c는 직선바닥재를 보여 주는 사시도,Figure 7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ight floor,

도 7d는 받침틀을 구성하는 받침대를 보여 주는 사시도,Figure 7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도 7e는 방바닥재를 보여 주는 사시도,7E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or covering,

도 8은 본 고안 온돌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 주는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do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분배기 20 :집합바닥재10: distributor 20: aggregate flooring

30 :직선바닥재 40 :곡선바닥재30: linear floor material 40: curved floor material

60 :바닥틀 70 :단열층60: bottom frame 70: insulation layer

80 :방바닥재80: flooring material

다음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온돌로 시공된 모습을 보여 주는 건축구조물의 내부구조를 보여 주는 평단면도이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structure showing a state constructed with prefabricated ond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개의 주방겸 거실과 3개의 방, 그리고 하나의 욕실로 이루어지는 난방공간 전면적으로 본 고안 온돌이 시공되고 있다.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은 외부에 설치되는 보일러(도시되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난방처로 온수를 급수 또는 환수시키게 하는 분배기(10)에서 부터 각 난방처, 즉 주방을 겸한 거실과 방1, 방2, 및 방3에 까지 온돌이 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온돌시공은 분배기(10)에 근접한 측으로 부터 시작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배기(10)로부터 각 난방처 입구측 까지 온수의 급수를 위한 다수의 온수순환 파이프(12)가 모집되어 배관되게 하는 소단위 면적을 갖는 집합바닥재(2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있고, 각 난방처 입구측에서 각 난방처측으로는 소단위 면적을 갖는 직선바닥재(30)와 소단위 면적을 갖는 곡선바닥재(40)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며 목적하는 배관을 이루게 된다. 이때 온수순환 파이프(12)의 배열은 적어도 2개이상의 모습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겸 거실 또는 방1과 방3에서와 같이 온수순환파이프(12)의 급수측(12a)과 환수측(12b)을 병렬로 배치하여 마치 인벌류트곡선 모양으로 배관을 이룰 수 있고, 또한 방2에서와 같이 급수측(12a)과 환수측(12b)을 분리하여 통상에서와 같이 일방향성 배관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관은 난방처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급,환수측(12a)(12b)을 병렬로 배치시에서는 열교환 효율을 높이어 난방성능을 높이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방향성 배관시 온수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온도차로 인해 난방이 저조해지는 것을 파이프를 병렬로 배치시 인접된 급,환수측에서의 상호 열교환작용으로 온도차이를 줄이어 해결할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ondol is constructed on the entire heating space consisting of one kitchen and living room, three rooms, and one bathroom.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ondol is connected to a boiler (not shown) that is installed outside from the distributor 10 for supplying or returning hot water to a heating place. Ondol is being constructed up to room 3, and such ondol construction is started from the side close to the distributor 10. In detail, a plurality of hot water circulation pipes 12 for supplying hot water from the distributor 10 to the inlet side of each heating unit are continuously installed with the aggregate flooring material 20 having a small unit area for recruiting and piping. On the heating destination inlet side, the linear floor material 30 having a small unit area and the curved floor material 40 having a small unit area are selectively disposed from each heating destination inlet side to form a desired pipe.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2 may have at least two shapes. For example, as in the kitchen and living room or room 1 and room 3, the water supply side 12a and the return side 12b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o form a pipe in the shape of an involute curve. In addition, as in room 2, the water supply side 12a and the return side 12b may be separated to form a unidirectional pipe as usual. Such piping may be appropriately used depending on the heating destination. Furthermore, when the supply and return sides 12a and 12b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heating performance. For example, in the unidirectional piping, the heating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hot water will be reduced 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y mutual heat exchange action in the adjacent feed and return sides when the pipes are arranged in parallel.

또 집합바닥재(20)와 직선바닥재(30) 및 곡선바닥재(40)가 필요치 않는 난방처의 가장자리 잔여공간으로는 보충바닥재(50)를 충진하여 마루리 처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looring of the replenishment floor material 50 is filled with the floor remaining space at the edge of the heating destination where the aggregate floor material 20, the straight floor material 30, and the curved floor material 40 are not required.

도 2에는 직선바닥재(30)와 곡선바닥재(40)가 결합부에 의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 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며, 도 4은 도 2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확대단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ight floor material 30 and the curved floor material 40 are assembled by a coupling part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line BB of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직선 및 곡선바닥재(30)(40)와 집합바닥 재(20)들은 건축구조물의 슬래브(1)의 미장면(2)상에 고정부재(3)들로 고정 설치되는 격자상의 바닥틀(60)의 단위셀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설치 된다. 이러한 바닥틀(60)에 의해 바닥재들은 평면도를 유지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inventive straight and curved flooring materials 30 and 40 and the assembly flooring material 20 are fixed with fixing members 3 on the plastering surface 2 of the slab 1 of the building structure. It is fitted and fitted to the unit cell of the grid-shaped bottom frame 60 to be installed. By this bottom frame 60 the floorings will maintain a top view.

직선바닥재(30)는 대략 난방 전면적에 대하여 소단위적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소정의 너비를 갖는 정사각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한 쌍의 온수순환 파이프(12)가 매입식으로 설치되게 하는 직선상의 배관홈(32)을 구비하고 있다.The straight flooring material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roughly divided into small units with respect to the entire heating area, and has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air of hot water circulation pipes 12 ) Is provided with a straight piping groove (32) to be embedded.

또 직선바닥재(30) 상면에 그 배관홈(3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부에 그 상면으로 부터 다소 내려 앉은 요입부(31)를 구성하고, 이 요입부(31)상에 보강판재(34)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판재(34)는 바닥재상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을 분산하는 등 배관홈(32)내에 설치되는 파이프(12)를 보호한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aight bottom member 30, the concave inlet portion 31 is formed, which is slightly lowered from the upp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pipe groove 32, and the reinforcing plate material 34 is formed on the concave inlet portion 31. Is installed. This reinforcing plate 34 protects the pipe 12 installed in the pipe groove 32, such as to distribute the concentrated load applied to the flooring material.

곡선바닥재(40)는 그 외형상을 상기 직선바닥재(20)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중앙부에 반원호상으로 이루어지는 곡선배관홈(42)과 이 곡선배관홈(42)에 접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선배관홈(44) 및 곡선배관홈(42) 양측 각각에 쿼터곡선배관홈(43)을 구성하고 있고, 이들 각 홈 주위로는 요입부(41)를 구비하여서 보강판재(24)가 설치된다.Curved flooring material 40 is made in the same shape as the straight flooring material 20, the curved pipe groove 42 made of a semi-circular arc in the center and the straight pipe groove dispos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o the curved pipe groove 42 Quarter curve pipe grooves 4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44 and the curved pipe grooves 42, and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4 is provided with recesses 41 around the grooves.

또한 이와 같은 직선바닥재(30)와 곡선바닥재(40)들은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직선바닥재(30)와 곡선바닥재(40) 각각에는 각기 그 몸체의 사변에 암수(36a)(36b),(46a)(46b)로 이루어지는 결합부(36)(46)를 구성하여서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각 바닥부재(30)(40)들의 각기 변에 구비되는 결합부(36)(46)들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각 바닥재 그 어느 변에서도 서로 끼워맞춤결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후에 설명할 집합바닥재(10)와도 암수의 결합을 이루게 될 것이다.In addition, such a straight floor material 30 and the curved floor material 40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t, each of the straight floor material 30 and the curved floor material 40, each of the female and female (36a, 36b) on the quadrilateral of the body, The coupling parts 36 and 46 which consist of 46a and 46b are comprised, and they fit together.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s 36 and 46 provided on the respective sides of each of the bottom members 30 and 40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each side of each floor member may be fitted to each other. And it will be a male and female combination with the aggregate flooring 10 to be described later.

도 4에는 본 고안 직선바닥재(30)와 곡선바닥재(40) 및 바닥틀(60)들이 적층된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straight floor material 30, curved floor material 40 and the bottom frame 60 are stacked.

바닥틀(60)은 도 2에서와 같이 적당한 두께를 가지며, 소폭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두께의 절반정도 깊이를 갖는 결합홈(61)을 등간격으로 구비한 받침대(62)를 구성시키고, 이 받침대들(62)은 그 결합홈(61)을 이용해 상하측에서 교차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춤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보아 격자상으로 짜여진다. 이때 바닥틀(60)을 구성하는 받침대(62)의 폭은 바닥재들의 접합선상에서 각 바닥재측으로 소정 깊이 들어가 있는 너비를 가지고 있다. 즉 암수의 결합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격자상으로 짜여진 바닥틀(60)상에 집합바닥재(20)와 직선바닥재(30), 그리고 곡선바닥재(40)들을 배관 배관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 한다. 이때 격자상으로 짜여진 바닥틀(60)의 각 단위셀에 바닥재들이 긴밀한 삽입식으로 끼워맞춤결합되어 안착된다. 더 상세하게는 각 바닥재들의 저면에 그 바닥재 저면으로 부터 하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삽입부(28)(38)(48)들에 의해 바닥틀(60)의 단위셀로 긴밀히 삽입 안치된다.The base frame 60 has a moderate thickness as shown in FIG. 2, and a pedestal 62 having coupling grooves 61 having a depth of about half of the thicknes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with a small length extending slightly. ), And the pedestals 62 are fitted into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using the coupling grooves 61, and are woven in a lattice shape as a whole.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pedestal 62 constituting the bottom frame 60 has a width that enters a predetermined depth to each floor material on the joining line of the floor materials. That is, it will have a width that can accommodate the male and female joints at the same time. The collective flooring material 20, the linear flooring material 30, and the curved flooring material 40 are selectively disposed on the lattice-shaped floor frame 60 according to the piping design. At this time, the flooring material is fitted into the unit cell of the lattice woven in the lattice form by the close insertion method is seated.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of each floor is inserted into the unit cell of the bottom frame 60 by inserting parts 28, 38, and 48 protruding a certain height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loor.

그리고 이렇게 적층된 바닥재들과 바닥틀(60)은 고정부재(3)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되며, 이러한 조립구조는 바닥재들이 단일체로 이루고, 이러한 단일화는바닥재들의 설치상태가 안정되고 견고하며, 온수순환 파이프의 배관을 위한 평탄도 작업을 간편히 이루고 난방을 위한 온수의순환을 원할히 이루어서 난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And the laminated floorings and the flooring frame 60 is thus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xing member (3), this assembly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floorings in a single body, such unificatio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looring is stable and solid, hot water The flatness work for piping of the circulation pipe is made simple and the circulation of hot water for heating is smoothly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heating properties.

도 5에는 직선바닥재(30) 또는 곡선바닥재(40)들을 이용하여 온수순환 파이프의 배관 모습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5a, 5b, 5c들은 파이프 배관 과정에서 주로 곡선배관 모습의 경우를 보이고 있다. 이와같은 직선,곡선바닥재들은 도 1에서와 같이 난방처, 즉 거실 또는 방에 주로 배치되는 바닥재들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the piping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using the straight floor material 30 or the curved floor material 40, Figures 5a, 5b, 5c shows the case of mainly curved piping in the pipe piping process. Such straight and curved flooring materials are flooring materials mainly disposed in a heating place, that is, a living room or a room, as shown in FIG. 1.

도 6은 집합바닥재(20)를 이용한 온수순환 파이프의 배관 모습 일례를 보여 주는 평면도로서, 집합바닥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는 직선,곡선바닥재와 동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집합바닥재(20)는 대략 파이프를 모집 배관하는, 즉 파이프가 집결되어 있거나 집결된 상태에서 분기되는 분기측에서 배치되어 목적하는 파이프 모집 또는 분기 배관을 이루게 되는 바닥재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배기(10)에서 근접한 간격으로 내려오는 파이프(12)를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받아드릴 수 있는 수조의 배관홈(22)을 가지고 있다. 이 배관홈(22)은 집합바닥재(20) 사변에 각기 구비되며, 이렇게 사변으로 구성되는 배관홈(22)들은 집합바닥재(20)의 중앙부로 집결되어 서로 연결 되는데, 이때 집합바닥재(20)의 중앙부에서는 적당한 위치에 파이프의 곡선배관을 유도 안내하는 수조의 가이드벽(23)을 구비하고 있다.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iping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using the aggregate floor material 20, the aggregate floor material 20 is made of the same type as the straight, curved floor material described above. The collective flooring material 20 is a flooring material which roughly collects pipes, that is, is arranged on the branch side where the pipes are collected or branched to form a desired pipe recruitment or branched pipe. In detail, it has a tubing groove 22 of a tank capable of receiving the pipe 12 descending at close intervals from the distributor 10 with a predetermined depth. The pipe grooves 22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assembly floor material 20, and the piping grooves 22 constituted as such sides ar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assembly floor material 2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enter part, the guide wall 23 of the tank which guides the curved piping of a pipe to a suitable position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배관홈(22)에는 온수순환을 위한 파이프(12)의 급수 및 환수측이 동시에 매입되게 하고 있으며, 배관의 분기측에서 급수및 환수측이 분기되게 하였다.The water supply and return side of the pipe 12 for hot water circulation is simultaneously buried in the pipe groove 22, and the water supply and return side is branched from the branch side of the pipe.

또 이러한 집합바닥재(20)상에는 별도의 덮개(도시하지않음)로 덮게 되는데, 파이프(12)가 지나가지 않는 공간부에는 별도의 간격유지구(도시하지 않음)등을 사용하여 공간부측으로 내려 앉는 현상이 없도록 떠받침이 되게 한다.In addition, it is covered with a separate cover (not shown) on the assembly flooring material 20, and the pipe 12 does not pass through the space portion (not shown), etc. Let it stand up so that there is no phenomenon.

그리고 이렇게 설치되는 집합바닥재(20)와 직선및 곡선바닥재(30)(40) 상면으로는 방바닥재(80)가 설치된다. 이 방바닥재(80)는 난방면적에 대하여 적당한 크기를 갖는 장방형상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방바닥재(80)는 장방형상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바닥재(80)의 사변을 2부분으로 나누어, 즉 연이어지는 2변에 각각에 암수조의 결합부(82)에 의해 턱걸림식으로 걸어맞춤 결합되게 하고 있다.The flooring material 80 is installed on the aggregate flooring material 20 and the straight and curved flooring materials 30 and 40 that are installed in this way. The flooring material 8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n appropriate size with respect to the heating area, and the flooring material 80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a quadrilateral of the flooring material 80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In other words, the engaging portions 82 of the male and female tank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wo successive sides.

또 슬래브(1)의 미장층(2)과 바닥틀(60)의 사이에 단열층(70)을 개재시키고 있다. 이러한 단열층(70)은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열반사효과를 가지게 된다.Moreover, the heat insulation layer 70 is interposed between the plastering layer 2 of the slab 1, and the base frame 60. As shown in FIG. The heat insulation layer 70 prevents heat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and has a heat reflection effect.

한편 집합바닥재(20)와 직선바닥재(30) 및 곡선바닥재(40) 각각의 저면에는 적당한 깊이를 가지고 무수히 배열되는 요홈(8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요홈(84)은 방음작용및 공기단열층을 이루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face of each of the assembly flooring material 20, the linear flooring material 30, and the curved flooring material 40 is provided with the groove | channel 84 innumerably arranged with a suitable depth. These grooves 84 form a sound insulation and air insulation layer.

도 7a, 7b, 7c, 7d, 7e, 는 본 고안 각각의 바닥재 및 바닥틀(60)의 받침대(62)를 보여 주는 사시도로써,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도 이다.Figure 7a, 7b, 7c, 7d, 7e,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edestal 62 of the flooring and the bottom fram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s a reference diagram to help understand the prefabricated ond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는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은 직선바닥재(30)와 곡선바닥재(40) 각각의 상면에 적당한 깊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온수파이프(12)에서 열교환을 이룬 열기를 바닥재들(30)(40)과 방바닥(80)의 사이에서 열기의 흐름을 원할히 이루게 하여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하는 열기유로(90)를 격자무늬상으로 배치하고 있고, 또 방바닥재(80)에 인서트사출방식에 의해 금속심체(86)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금속심체(86)는 방바닥재(80)의 보강효과를 가지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을 선택하여 전도효율을 향상시키고 난방성을 높이는 이점도 있을 것이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ondol,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the hot water pipe 12 is installed with a suitable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straight floor material 30 and the curved floor material 40. Heat flow path 90 is arranged in a grid pattern to improve heat efficiency by smoothing the flow of heat between the floorings 30 and 40 and the floor 80 with heat exchanged in the heat sink). Moreover, the core material 86 is provided in the flooring material 80 by the insert injection method. The metal core 86 has a reinforcing effect of the flooring material 80, and may also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duction efficiency and heating properties by select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이러한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바닥재들의 배관홈(22)(32)(42) 상면으로 설치되는 보강판재(34)들를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This configuration may eliminate the reinforcing plate 34 is instal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pe grooves 22, 32, 42 of each floor as in the above embodiment.

그러면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은 온수순환 파이프의 배관을 위한 집합바닥재와 직선및 곡선바닥재들을 격자상으로 짜여지는 바닥틀의 단위셀에 끼워맞춤결합하여 바닥재들이 하나의 단위체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설치상태가 안정되고 견고한 효과가 있으며, 배관 시공의 평면도 유지가 정확하고, 따라서 난방을 위한 온수의 순환을 원할히 이루어서 난방성능을 향상시킨다.The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fabricated ondol is a stable installation state by fitting the assembly floor and the straight and curved floors for piping of hot water circulation pipe to the unit cell of the floor frame woven in a grid to make the floorings as a unit. There is a solid effect, and the maintenance of the floor plan of the piping construction is accurate, thus smoothly circulating the hot water for heating to improve the heating performance.

또 본 고안 조립식 온돌은 직선바닥재와 곡선바닥재 이외에 집합바닥재를 사용하여 분배기로 부터 각 난방처 까지 완전시공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ondol can be completely constructed from the distributor to each heating place by using the aggregated flooring material in addition to the straight flooring and the curved flooring material.

또한 본 고안은 바닥재들을 사방향 그 어느 방향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서 배관 설계가 용이하며, 난방을 위한 배관에 다양화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esign is easy to design the piping by allowing the flooring to be coupled in any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iversified in the piping for heat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8)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상태로 매입되도록 한쌍의 직선배관홈을 갖는 직선바닥재;A straight bottom member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nd formed in a square shape, each of which has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s on each side, each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pair of straight pipe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straight state;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곡선상태로 매입되도록한 곡선배관홈및 이 곡선배관홈의 접선방향으로 직선배관홈을 갖는 곡선바닥재;It consists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s on each quadrangle with a suitable thickness, and has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a curved pipe groove and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urved pipe groove in which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curved stat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Curved flooring material having a straight pipe groove;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 또는 곡선상태로 매입되고 동시에 수개의 온수순환 파이프가 모집 배관되도록한 집합바닥재;It has a proper thickness and has a square shape. Each quadrilater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female tanks, each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straight or curv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and several hot water circulation pipes are recruited at the same time. Aggregate flooring; 적당한 두께를 가지며, 소폭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두께의 절반정도 깊이를 갖는 결합홈을 등간격으로 구비한 받침대를 구성시키고, 상기 받침대들의 결합홈을 이용해 상기 각 받침대들을 상하측에서 서로 교차방향으로 끼워맞춤결합해 상기 받침대들이 격자무늬상으로 짜여진 각 단위셀에 상기 바닥재들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고정되며, 상기 바닥재들의 배치와 그 배치상태의 평면도를 유지토록한 바닥틀; 및Comprising a pedestal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 constant length is a small length extending to a half interval of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of the pedestal at equal intervals, using the coupling groove of the pedestal each of the pedestal up and down A bottom frame fitted to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by fitting in the cross direction, and the bottoms are fitted into each unit cell in which the pedestals are woven in a lattice pattern, and to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floorings and the top view of the arrangement; And 난방 전면적에 대하여 적당한 크기를 가지고 몸체가 장방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사변중 이어지는 2변 각각에 각기 대응하는 암수조의 결합부를 갖추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방바닥재를 포함하며,The body is made of a rectangular flat plate having an appropriate size with respect to the entire heating area, and includes a flooring material which is fitted with a fitting part of a male and female tank corresponding to each of two consecutive sides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바닥틀은 온돌을 시공할 난방장소의 슬래브상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상기 격자무늬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틀의 단위셀 각각에 상기 직선바닥재,곡선바닥재,집합바닥재들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결합하여 온수순환을 위한 파이프의 배관을 위한 바닥재를 이루게하고, 이들의 바닥재 상면에 방바닥재를 적층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Here, the bottom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lab of the heating pla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ndol using a fixing member, and selectively the linear floor material, curved floor material, aggregate floor material in each of the unit cells of the floor frame made of a grid pattern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characterized in that by fitting to form a flooring for the piping of the pipe for hot water circulation, the flooring material laminated on the flooring of thes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선바닥재 또는 곡선바닥재의 상면에 구성되는 온수순환 파이프의 배관홈 상부에, 그 배관홈의 입구를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요입부를 구성하고, 이 요입부상에 보강판재를 더 갖는 것을 포함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Hot water, comprising a concave inlet on both sides of the pipe groov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aight floor or curved floor material, with the inlet of the pipe groove at the center, and further having a reinforcing plate on the concave part.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the heating system u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닥틀과 슬래브사이에 단열층을 갖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further comprising having a heat insulation layer between the bottom frame and the sla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닥틀과 바닥재들을 고정부재로 고정시킨 것을 포함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including fixing the bottom frame and the flooring material with a fix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선바닥재 또는 곡선바닥재상에 격자무늬상으로 이루어지는 열기유로를 더 갖는 것을 포함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further comprising a hot air flow path made of a lattice pattern on the linear floor material or curved floor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선,곡선및 집합바닥재 각각의 저면에 방음작용및 공기단열층을 이루게하는 무수한 요홈을 더 갖는 것을 포함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further comprising a number of grooves to form a sound insulation and air insulation layer on the bottom of each of the straight line, curved line and aggregate flo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바닥재내에 상기 방바닥재의 강도보강과 전열성이 우수한 다공성의 금속심체를 더 갖는 것을 포함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further comprising a porous metal core having excellent strength reinforcement and heat transfer property of the barrier material in the barrier material.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상태로 매입되도록 한쌍의 직선배관홈을 갖는 직선바닥재;A straight bottom member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nd formed in a square shape, each of which has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s on each side, each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pair of straight pipe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straight state;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곡선상태로 매입되도록한 곡선배관홈및 이 곡선배관홈의 접선방향으로 직선배관홈을 갖는 곡선바닥재;It consists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tanks on each quadrangle with a suitable thickness, and has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a curved pipe groove and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urved pipe groove in which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curved stat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Curved flooring material having a straight pipe groove; 상기 직선바닥재 또는 상기 곡선바닥재 각 상면에 적당한 깊이를 갖고 격자무늬상으로 이루어지는 열기유로;A hot air flow passage having a suitable depth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straight floor material or the curved floor material and having a lattice pattern;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정사각형상으로 이루며, 사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수조로 구성되어 각기 대응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상면에 온수순환 파이프가 직선 또는 곡선상태로 매입되고 동시에 수개의 온수순환 파이프가 모집 배관되도록한 집합바닥재;It has a proper thickness and has a square shape. Each quadrilater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ale and female female tanks, each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is embedded in a straight or curv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and several hot water circulation pipes are recruited at the same time. Aggregate flooring; 적당한 두께를 가지며, 소폭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길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두께의 절반정도 깊이를 갖는 결합홈을 등간격으로 구비한 받침대를 구성시키고, 상기 받침대들의 결합홈을 이용해 상기 각 받침대들을 상하측에서 서로 교차방향으로 끼워맞춤결합해 상기 받침대들이 격자무늬상으로 짜여진 각 단위셀에 상기 바닥재들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고정되며, 상기 바닥재들의 배치와 그 배치상태의 평면도를 유지토록한 바닥틀;Comprising a pedestal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 constant length is a small length extending to a half interval of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ngth of the pedestal at equal intervals, using the coupling groove of the pedestal each of the pedestal up and down A bottom frame fitted to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by fitting in the cross direction, and the bottoms are fitted into each unit cell in which the pedestals are woven in a lattice pattern, and to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floorings and the top view of the arrangement; 난방 전면적에 대하여 적당한 크기를 가지고 몸체가 장방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사변중 이어지는 2변 각각에 각기 대응하는 암수조의 결합부를 갖추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방바닥재; 및A flooring material having a suitable size with respect to the entire heating area, the body made of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having a coupling part of a male and female tank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body, each of which is fitted in a fitting manner; And 상기 방바닥재에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방바닥재의 강도를 보강시키고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게 하는 다공성의 금속심체를 포함하며,It is installed in the insert material by the insert injection method includes a porous metal cor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looring material and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efficiency, 여기서, 상기 바닥틀을 온돌을 시공할 난방장소의 슬래브상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상기 격자무늬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틀의 단위셀 각각에 상기 직선바닥재,곡선바닥재,집합바닥재들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결합하여 온수순환을 위한 파이프의 배관을 위한 바닥재를 이루게하고, 이들의 바닥재 상면에 방바닥재를 적층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Here, the bottom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lab of the heating pla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ndol using a fixing member, and the linear floor material, the curved floor material, and the aggregate floor material are selectively provided to each unit cell of the floor frame having the grid pattern.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characterized in that by fitting to form a flooring for the piping of the pipe for hot water circulation, the flooring material laminated on the flooring of these flooring.
KR2019990006426U 1999-04-19 1999-04-19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KR2000001972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26U KR20000019721U (en) 1999-04-19 1999-04-19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26U KR20000019721U (en) 1999-04-19 1999-04-19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21U true KR20000019721U (en) 2000-11-25

Family

ID=5476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426U KR20000019721U (en) 1999-04-19 1999-04-19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721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21B1 (en) * 2001-06-15 200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A prefabricated heating system using heating elements
KR100438401B1 (en) * 2001-08-14 2004-07-02 김기열 Under-floor heating system panel for boiler
KR100448023B1 (en) * 2002-05-22 2004-09-16 에이비에이 (주) Dry Ondol Panel Method
KR20180137674A (en) * 2017-06-19 2018-12-28 그린한국에너지 주식회사 Module-type Heat Exchang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21B1 (en) * 2001-06-15 200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A prefabricated heating system using heating elements
KR100438401B1 (en) * 2001-08-14 2004-07-02 김기열 Under-floor heating system panel for boiler
KR100448023B1 (en) * 2002-05-22 2004-09-16 에이비에이 (주) Dry Ondol Panel Method
KR20180137674A (en) * 2017-06-19 2018-12-28 그린한국에너지 주식회사 Module-type Heat Exc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826A (en) Heating/cooling systems
US8028742B2 (en) Radiant heating/cooling tubing substrate with in plane bus
US5788152A (en) Floor heating system
US6092587A (en) Heating/cooling systems
CA2733310C (en) Composite building module with a thermal mass radiator
KR100712826B1 (en)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using a flooring board
US9410706B2 (en) Modular heating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to the interior walls of buildings
US8752346B1 (en) Rotable heat transfer tubing retention panels
KR20140037701A (en) Heat transfer panel for heating prefabricated
EP0746727B1 (en) Floor heating system
US20070017656A1 (en) Heating system with heat transmission fluid distributed in finished floor boards
KR20000019721U (en) Prefabricated ondol suitable for a heating system using warm water
JPH09303803A (en) Floor heating device
GB2492146A (en) Composite panel for use in underfloor heating
KR20140063172A (en) Floor heating system
KR200241008Y1 (en) Combining structure for the assembly type of floor heating plate named ON-DOL
KR20020091991A (en) Prefabricated floors for heating a room
EP2803777A1 (en) A formwork for pouring concrete floors or walls
KR200165359Y1 (en) A panel for the under-floor heating system
CN215716898U (en) Assembled ground heat preservation system
CN213626451U (en) Waterproof floor system
KR101315124B1 (en) Heating panel for fabrication
JP2003064860A (en) Floor heating equipment
GB2521604A (en) Insulative panel
IT201800007242A1 (en) SELF-SUPPORTING RADIANT PLATE FOR RAISED FLOORING AND PROCEDURE FOR ITS RE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