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327U -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 Google Patents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327U
KR20000019327U KR2019990005781U KR19990005781U KR20000019327U KR 20000019327 U KR20000019327 U KR 20000019327U KR 2019990005781 U KR2019990005781 U KR 2019990005781U KR 19990005781 U KR19990005781 U KR 19990005781U KR 20000019327 U KR20000019327 U KR 20000019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transfer mechanism
gear
reciprocating
fr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7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열
김병묵
Original Assignee
김병묵
김형열
삼보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묵, 김형열, 삼보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병묵
Priority to KR2019990005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327U/en
Publication of KR20000019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327U/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71General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the loading platform, e.g.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화물자동차를 대상으로 하며 차체의 일부에 왕복형 유압 실린더를 부착시켜 실린더의 왕복 운동에 따라 적재함의 바닥판 위에서 전후로 왕복운동하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전후 왕복운동에 따라 전진 하지만 바닥면이 후퇴할 때에는 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반출판을 만들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바닥면이 전진, 후퇴운동이 반복되고 이에 따라서 반출판은 전진후 그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종래 리프나 컨베이어와 같은 중량의 장치없이 적재된 화물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반출하는 장치이다.It is designed for freight cars, and the reciprocating hydraulic cylinder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vehicle body, and it moves forward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loor and the bottom surface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ylinder. At this time, make the export board to be fixed at the position, and the bottom surfac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t is a device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take out cargo loaded without device.

Description

화물자동차의 화물 하강장치{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의 화물 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거리로 왕복 슬라이드하는 바닥면과 동일하게 운동하는 반출벽을 구비하여 자동차 적재함에 실려있는 화물 예를 들어 비료, 모래, 칩(chip), 폐철분, 기타 고형의 폐기물 등을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화물자동차의 화물 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wering device of a lorry, and more particularly, a cargo loaded in an automobile loading box having a carrying wall that moves in the same manner as a bottom surface reciprocat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fertilizer, sand, chip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ight lowering device of a freight vehicle that can automatically lower chips, waste iron, and other solid wastes.

종래 공사용(자갈, 모래) 및 산업폐기물 등의 적하(積荷)를 자동적으로 반출하기 위해서는 바닥판(하대, 荷臺)에 리프트 장치가 갖추어진 덤프 트럭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 덤프 트럭은 경사진 작업장이나 경사진 도로에서 화물을 하강시키기 위해 적재함을 상승시킬 때 매우 불안정한 자세가 되어 차륜 전체가 기울어져 사고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dump truck equipped with a lift device on a bottom plate (bottom) has been used to automatically carry out drippings for construction (gravel, sand) and industrial waste. There is a drawback that an accident can occur due to an unstable posture when the lift box is raised to lower cargo on a work site or a sloping road and the whole wheel is tilted.

또한 덤프의 리프 장치는 그 자체의 중량이 3톤 이상이 되기 때문에 설계시 이 중량분 만큼의 적재 중량을 적게 설계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고객의 불만이 상존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mping device of the dump itself has a weight of 3 tons or more, it is inevitably designed to have a low load weight by this weight in the design, and customer complaints exist accordingly.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화물 자동차를 대상으로 화물 자동차 바닥판에서 왕복운동하는 바닥면과 동기운동(同期運動)하며, 슬라이드 하는 반출벽을 설치하여 리프트 장치나 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적재된 화물을 자동적으로 반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lift device by synchronously moving with the bottom surface reciprocating in the bottom plate of a freight vehicle, and installing a carrying-out wall for sliding. It also provides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take out loaded cargo without the need for conveyor equipment.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의 일부에 연결된 왕복형 유압 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전후 슬라이딩하는 바닥판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바닥면의 전진 시에는 전진하지만 후퇴시에는 그 장치에서 정지(고정)되도록 하는 반출벽을 설치하여 바닥면을 전진시킨 후에 반출벽을 고정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며,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liding back and forth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reciprocating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a part of itself, and when moving forward the bottom surface is stopped (fixed) in the device when retreating It is accomplished by installing a carry-out wall so as to advance the bottom surface and repeating the operation of fixing the carry-out wall, and configured to lower the cargo loaded in the loading box.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a) 차체일부에 연결한 왕복형 유압 실린더의 왕복운동으로 전후 슬라이딩하는 바닥면으로 형성된 상부 슬라이더부와, b) 바닥면과 운동하는 하부 랙크 바와 벽면에 고정된 상부 랙크 바로 구성된 랙크 바와, c) 하부 랙크 바의 전진 시 하부 랙크 바의 기어와 치합됨과 동시에 하부 랙크 바의 상부를 미끄럼 운동(滑動)하는 걸림편이 취부된 하부 이송 기구부와, 하부 이송 기구부와 연결되어 전진 후 상부 랙크 바의 상부를 미끄러지는 동시에 하부 이송 기구부가 후퇴시 상부 랙크 바의 기어와 접촉되는 걸림편을 취부시킨 상부 이송 기구부와, d) 상기 하부 이송 기구부가 상부 이송 기구부에 연결되어 벽측면에 직교하는 반출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upper slider portion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sliding back and forth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reciprocating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b) the upper rack fixed to the wall and the lower rack bar to move with the bottom surface A rack bar composed of a rack bar, c) a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which is engaged with a gear of the lower rack bar when the lower rack bar moves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a locking piece for sliding the upper part of the lower rack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An upper conveying mechanism part which slides an upper part of the upper rack bar after advancing and attaches a catching piece which contacts the gear of the upper rack bar when the lower conveying mechanism part retreats; d) the lower conveying mechanism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veying mechanism part and is connected to a wall side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ying out wall perpendicular to the.

도 1 은 본 고안의 장착된 화물자동차의 일부를 절개한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mounted lor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이송기구부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ransfer mechanism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설치되는 이송기구부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orward state of the transfer mechanism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이송기구부의 후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reverse state of the transfer mechanism unit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이송기구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transfer mechanism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이 하물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한 평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article vehicle,

도 7 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절환기구부의 확대 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witching mechanism p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 시예를 나타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화물 자동차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 는 본 고안의 이송 기구부의 동작상태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은 본 고안이 적용된 화물 자동차의 일부를 절개한 평단면도 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lor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2 to 5 show an operation state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fer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ncision plan section.

여기서 본 고안은 바닥면이 평단(平但)하게 형성된 화물자동차이며, 그 자체에 덤프 트럭과 같은 리프트 장치 또는 컨베이어 장치 등을 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본 고안의 장치는 바닥면이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상부 슬라이더 기구(10)와, 좌우 측벽면에 연결하여 하부 랙크 바와 상부 랙크 바를 설치 부착하는 랙크 바부(20)와 랙크 바와 치합하여 반출벽을 이송작용하는 하부 이송 기구부(30) 및 상부 이송 기구부(40) 그리고 전후의 절환기구부(切換機構部)(50), 상기 반출벽을 취부시키는 반출벽부(60)으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eight car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and does not need to have a lift device or a conveyor device such as a dump truck on its own, and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surface of which the bottom surface slides back and forth. The rack mechanism 10, the rack bar portion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installs and attaches the lower rack bar and the upper rack bar, and the lower conveyance mechanism portion 30 and the upper conveyance mechanism portion 40 which mesh with the rack bars to convey the carry-out wall. ), And a switching mechanism 50 before and after, and a carrying-out wall 60 for mounting the carrying-out wall.

상기 상부 슬라이드기구부(10)는 화물자동차의 바닥면에 있으며, 그 일부에 왕복형의 유압실린더 등 구동장치를 연결시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하는 바닥면을 갖는 구조이다.The upper slide mechanism 1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rry, and has a bottom surface reciproca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connecting a driving device such as a reciprocating hydraulic cylinder to a part thereof.

예를 들면 도 1 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된 횡형 프레임(13)의 상단부에 로울러(14)를 설치하고, 이 로울러(14) 상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과 연결된 왕복형 유압 실린더(12)의 왕복으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을 반복하는 바닥부재(15)가 갖추어진 구조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roller 14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a horizontal frame 13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 and the reciprocating hydraulic pressur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 is mounted on the roller 14. The bottom member 15 which repeats the slide mo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the reciprocation of the cylinder 12 is equipped.

상기 바닥부재(15)는 바닥면을 하나의 판재로 구성하든지 또는 수개의 판재를 조합시켜 상호의 판재가 시간차를 두고 슬라이드 시키든지 어느쪽 이라도 좋다. 여기에서 전방향이라는 것은 적재물을 하강(짐 내림)시키는 방향을 말하며 적재함의 후측 문짝 방향을 말하며, 역으로 후방향이라는 것은 적재된 화물을 반출(하강)시키는 반대의 방향을 지칭한다.The bottom member 15 may be composed of one plate, or a plurality of plates may be combined to slide each other at different time intervals. Here, the forward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lowering (unloading) the load, and refers to the rear door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and the backward direction refers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carrying out (lowering) the loaded cargo.

또한 유압 실린더(12)의 구동원은 트럭에 배치된 유압장치로 부터 활용하든지 또는 별개의 구동원을 설치하여 사용해도 좋다.In addition, the drive source of the hydraulic cylinder 12 may be utilized from the hydraulic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at a truck, or may install and use a separate drive source.

다음 래크 바(20)는 도 1 과 같이 상기 왕복 슬라이더하는 바닥부재(15)에 직결시켜 지지주(21)에 연결하고, 또한 측벽에 속해서 기어(23)를 부착한 하부 랙크 바(22)를 갖도록 한다.Next, the rack bar 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olumn 21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member 15 for the reciprocating slider as shown in FIG. 1, and further includes a lower rack bar 22 having a gear 23 attached to the side wall. Have it.

하부 랙크 바(22)는 예를 들면 도 5 와 같이 단면이 "ㄷ"자형인 형강판으로 형성하며 그 가운데로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송 로울러(24)를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or example, the lower rack bar 22 may be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cross-section “c” shaped as shown in FIG. 5, and the transfer roller 24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to smoothly move to the center.

하부 랙크 바(22)는 좌우 측벽을 따라서 두개의 하부 랙크 바가 대항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15)와 연동하는 하부 랙크 바(22)와는 별개로 측벽면에 고정시켜 상기 하부 랙크 바(22)와 어느 정도 평행하며 기어(26)를 설치한 상부 랙크 바(25)를 좌우측에 대항하도록 설치한다.The lower rack bar 22 is installed so that the two lower rack bars oppose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n addition, the upper rack bar 25 is fixed to the side wall surface separately from the lower rack bar 22 that interlocks with the bottom member 15 to some extent parallel to the lower rack bar 22 and the gear 26 is installed. Install it to face left and right.

다시 말해 하부 랙크 바(22)는 바닥부재(15)의 왕복 슬라이드에 따라서 운동하지만 상부 랙크 바(25)는 벽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하지 않는 구조이다.In other words, the lower rack bar 22 moves along the reciprocating slide of the bottom member 15, but the upper rack bar 25 is fixed to the wall and does not slide.

하부 이송 기구부(30)와 상부 이송 기구부(40)을 설치하고, 하부 이송 기구부(30)는 도 2 내지 도 4 와 같이 하부 랙크 바(22)와 결합되는 프레임(31)을 형성하도록 하고, 프레임(31)에서 수직으로 지지편(32)을 설치하되, 그 지지편(32)에 축(33)을 개재시켜 축판(34)을 부착함과 동시에 축판(34)을 끼운 걸림판(35)을 배치하며, 걸림판(35) 전후방측 각각에는 걸림편(36),(37)을 축(36a),(37a)에 의해 축착한다.The lower transfer mechanism unit 30 and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unit 40 are installed, and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unit 30 forms a frame 31 coupled to the lower rack bar 22 as shown in FIGS. 2 to 4, and the frame At 31, the support piece 32 is installed vertically, and the support plate 32 is attached to the support piece 32 with the shaft 3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t the same time, the engaging plate 35 having the shaft plate 34 fitted thereto is attached. It arrange | positions, The latching piece 36, 37 is crimped | bonded by the shaft 36a, 37a on each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locking plate 35, respectively.

또한 상기 걸림편(36)과 (37) 사이에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축(36a),(37a)의 외측 위치에 스토퍼(38)(39)가 설치된 구조이다.In addition, a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engaging pieces 36 and 37, and the stoppers 38 and 39 are provided at the outer positions of the shafts 36a and 37a.

즉 전방측 걸림편(36)과 후방측 걸림편(37)은 하부 랙크 바(22)가 전진 또는 후퇴시 어느 한쪽은 정지되나 하부 랙크 바(22)가 그 역방향으로 운동시에는 걸림편이 기어 상부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며 정지가 해지되는 일방향으로만 정지되는 기구이다.That is, either the front side engaging piece 36 and the rear side engaging piece 37 stop at either side when the lower rack bar 22 moves forward or backward, but when the lower rack bar 22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ocking piece moves upward. It is a mechanism that moves while sliding and stops only in one direction when the stop is terminated.

이것은 도6과 같이 좌우 측벽면 각각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절환기구부(50)에 의해 운동한다.This is install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as shown in FIG. 6 and is moved by the switching mechanism unit 50 described later.

또한 상부 이송 기구부(40)는 하부 이송 기구부(30)와 대략 같으며, 상부 랙크 바(25)에 결합하는 프레임(41)을 가지고, 이 프레임(41)으로 부터 수직으로 지지편(42)을 설치함과 아울러 지지편(42)에 축(43)을 장착하고, 축판(44)을 축착시키며, 축판(44) 사이에 걸림판(45)을 끼워 넣어 설치하되, 전후방측에 상부 랙크 바(25)의 기어에 치합되어 멈추도록 전방측 걸림편(46) 및 후방측 걸림편(47)을 축(47a)으로서 설치하고, 이들 양자간에는 스프링으로 인장 설치한다.The upper conveying mechanism part 40 is also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ower conveying mechanism part 30, and has a frame 41 that engages the upper rack bar 25, and vertically supports the support piece 42 from the frame 41. In addition, the shaft 43 is mounted on the support piece 42, the shaft plate 44 is fixed, and the locking plate 45 is sandwiched between the shaft plates 44, and the upper rack bar ( The front locking piece 46 and the rear locking piece 47 are provided as the shaft 47a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ear of 25) and are tensioned with a spring between them.

단 하부 이송 기구부(30)는 하부 랙크 바가 전진할 때 운동하여 전진하며, 하부 랙크 바가 후퇴할 때는 그 위치에서 멈추는 기구이나, 상부 이송 기구부(40)는 상부 랙크 바(25)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자체는 왕복동을 하지 아니하며, 하부 이송 기구부(30)가 왕복동할 때 반출벽(60)을 그곳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However,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unit 30 moves forward when the lower rack bar moves forward, and stops at the position when the lower rack bar retreats, but the upper rack mechanism 25 is fixed to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unit 40. It does not reciprocate itself, and functions to fix the carry-out wall 60 there when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reciprocates.

따라서 상부 이송 기구부(40)에서는 상부 이송 기구부(40)가 전진할 때 전방측 걸림편(46)은 기어 상면을 미끄러지며, 역으로 상부 이송 기구부(40)가 후퇴할 때에 전방측 걸림편(46)가 기어(26)와 치합 상태가 되도록 스토퍼(48)(49)의 위치를 하부 이송 기구부(30)와는 축(46a)(47a)의 내측위치로 한다.Therefore, in the upper conveyance mechanism part 40, when the upper conveyance mechanism part 40 advances, the front side catching piece 46 slides a gear upper surface, and conversely, when the upper conveying mechanism part 40 retreats, the front side catching piece 46 The position of the stopper 48, 49 is made into the inner position of the shaft 46a, 47a with the lower feed mechanism part 30 so that () becomes in gear with the gear 26.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하부 이송 기구부(30) 및 상부 이송 기구부(40)의 양자간에는 절환기구부(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절환기구부(50)는 우선 상부이송기구부(40)의 축판(44)과 하부이송기구부(30)의 축판(34) 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비교적 길게하고, 그 선단에 좌우 상부이송기구부(40)의 축판(44) 사이에 절환봉(51)을 설치한다.In addition, a switching mechanism 50 is provided between both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30 and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40. The switching mechanism 50 is first relatively long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haft plate 44 of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40 and the shaft plate 34 of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30,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40 at its tip. The switching rod 51 is installed between the shaft plates 44 of the head).

하부이송기구부(30) 및 상부이송기구부(40)의 걸림판(35),(45)이 축(36a),(46a) 및 (37a),(48a)를 연동바(52)(53)에 의해 연결하여 상기 절환봉(51)의 전후 회전으로 좌우 상부이송기구부(40)의 걸림판(45)이 전후방향으로 운동하는 동시에 연동바(52)(53)의 연동으로 하부이송기구부(30)의 걸림판(35)도 동시에 전후동 한다.The engaging plates 35 and 45 of the lower conveyance mechanism part 30 and the upper conveyance mechanism part 40 connect the shafts 36a, 46a, 37a, and 48a to the interlocking bars 52 and 53. By connecting by the front and rear rotation of the switching rod 51, the locking plate 45 of the left and right upp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40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30 by the interlocking of the interlocking bars (52, 53). The locking plate 35 also moves forward and backward at the same time.

상기 절환봉(51)은 도 7 과 같이 대략 중앙에 모터(54)를 반출벽(60)에 고정 설치하고 모터(54)의 회전축(55)에 암(56)을 연결 설치하며, 암(56)과 절환봉(51)과의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다.The switching rod 51 is fixed to the motor 54 to the carrying-out wall 60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ure 7 and is connected to the arm 56 to the rotation shaft 55 of the motor 54, arm 56 ) And the rotation bar 51 is installed freely.

단 모터(54)의 회전으로 암(56)이 회전하며, 그 작용으로 절환봉(51)이 전후방향으로 절환가능한 구조이다.However, the arm 56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54, and the switching rod 51 can be switched back and forth by the action thereof.

상기 상부이송기구부(30), 하부이송기구부(40)의 프레임(31)(41)에 연결해서 좌우 측벽면에 직교 상태가 되는 반출벽(60)을 형성한다.It is connected to the frames 31 and 41 of the upper conveyance mechanism part 30 and the lower conveyance mechanism part 40 to form a carrying-out wall 60 which is orthogonal to the left and right sidewall surfaces.

반출벽(60)은 상면이 후퇴동할 때 그 위치에 고정되며, 적재된 화물이 상면의 후퇴동에 따라서 후퇴를 차단 결과적으로 적재된 화물을 전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적재된 화물의 형상 또는 종류에 따라서 용량의 크기나 재질을 결정한다.The carrying out wall 60 is fixed at the position when the upper surface retreats, and since the loaded cargo blocks the retreat according to the retreat of the upper surface, the loaded cargo 60 is advanced according to the shape or type of the loaded cargo. Determine the size or material of the dos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반출벽(60)이 차륜의 적재함 안쪽 구석에 위치하고, 거기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부터 순차적으로 설명한다.First, the carrying-out wall 60 is located in the inner corner of the storage box of a wheel, and it demonstrates sequentially from the case where it moves forward.

반출벽(60)을 전진시킬 경우 시동을 걸고 절환기구부(50)의 모터(54)를 회전시켜 암(56)을 회전시키고, 절환봉(51)이 전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즉 도 3 과 같이 상부이송기구부(40) 및 하부이송기구부(30)의 걸림판(35)(45)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경사되면서 전방측 걸림편(36),(46)이 상부 랙크 바(25) 및 하부 랙크 바(22)의 기어(23)(26)에 치합된다.When advancing the carrying out wall 60, it starts and rotates the motor 54 of the switching mechanism part 50, the arm 56 is rotated, and the switching rod 51 is rotated in a forward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engaging plates 35 and 45 of the upper conveying mechanism part 40 and the lower conveying mechanism part 30 are incl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drawing, and the front locking pieces 36 and 46 are the upper rack bars. And gears 23 and 26 of lower rack bar 22.

다음 베이스 프레임(11)에 연결한 유압실린더(12)를 구동하여 그 로드를 신장시키면 로드에 연결된 바닥부재(15)가 로울러(14) 상에서 전방측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Next,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2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 is driven to extend the rod, the bottom member 15 connected to the rod slides forward on the roller 14.

바닥부재(15)가 슬라이드하면 지지주(21)로 직결된 하부랙크바(22)가 측벽에 설치된 이송로울러(24)를 따라 운동한다. 하부 랙크 바(22)가 전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 걸림편(36)이 하부랙크바(22)의 기어(23)와 접촉 상태가 되며, 이 접촉으로서 하부이송기구부(30) 전체가 하부랙크바(22)에 연착되면서 여기에 연결된 반출벽(60)이 연동된다. 이때 바닥부재(15) 상에 적재된 적재물은 바닥부재(15)의 슬라이딩 동작과 동시에 전진하며, 이것이 반출벽(60)의 연동으로 후압되면서 완활하게 이송된다.When the bottom member 15 slides, the lower rack bar 22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 column 21 moves along the feed roller 24 installed on the side wall. As the lower rack bar 22 moves forward, the front locking piece 3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ear 23 of the lower rack bar 22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entire lower transfer mechanism 30 is lowered. Attached to the rack bar 22, the carrying-out wall 60 connected thereto is interlocked. At this time, the load loaded on the bottom member 15 is advanced at the same time as the sliding action of the bottom member 15, which is smoothly transported while being back-pressured by the interlocking wall 60.

한편 상부이송기구부(40)는 상부랙크바(25)가 벽면에 고정되어 있어 하부랙크바(22)와 같이 전진할 수는 없다. 즉 상부이송기구부(40)의 전방측 걸림편(46)은 도 3 과 같이 상부랙크바(25)의 기어(26)와 치합되나 전방측 걸림편(46)의 스토퍼(48)는 축(46a)의 내측위치에 있어 상부이송기구부(40)가 전진할 때에는 전방측 걸림편(46)은 기어(26) 상부를 활동하며 단순히 운동바(52)(53)를 통해서 하부이송기구부(30)에 따라서만 전진되어 반출벽(60)을 적극적으로 보내는 작용은 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40 is the upper rack bar 25 is fixed to the wall can not be advanced like the lower rack bar (22). That is, the front locking piece 46 of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40 is engaged with the gear 26 of the upper rack bar 25 as shown in FIG. 3, but the stopper 48 of the front locking piece 46 is the shaft 46a. When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40 is advanced in the inner position of the front side, the front engaging piece 46 acts on the gear 26 upper portion and simply moves to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30 through the movement bars 52 and 53. Therefore, only the forward is not active to send the export wall (60).

그러나 유압실린더(12)가 왕복으로 절환되어 피스톤 로드가 수축하면 상부이송기구부(40)가 반출벽(6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유압실린더(12)에 운동되어 바닥부재(15)가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고 지지주(21)를 통해서 하부랙크바(22)가 후퇴 운동하면 우선 하부이송기구부(30)의 전방측 걸림편(36)는 랙크 바(22)의 기어(23) 상부위를 미끄러 지듯 공전하며 역방향으로는 기어의 치합이 안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그 위치에서 중지된다.However,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2 is switched in reciprocation and the piston rod contracts,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40 serves to fix the discharge wall 60. In other words, when the bottom member 15 slides backward in the hydraulic cylinder 12 and the lower rack bar 22 moves backward through the support column 21, first, the front side of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30 is caught. 36 slips over the upper gear 23 of the rack bar 22, and the gear is not engag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us it stops at that location.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적재물이 무거운 관계로 바닥부재(15)의 후퇴동에 따라서 적재물이 압축되며 하부이송기구부(30)도 후퇴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However, in reality, the load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retreat of the bottom member 15 due to the heavy load, and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30 is also inevitable.

그러나 전방측 걸림편(46)의 스토퍼(48)가 축(46a) 내측에 있는 상부이송기구부(40)는 하부이송기구부(30)가 후퇴 운동해서 운동 바(52)(53)을 통하여 상부이송기구부(40)에 후퇴 운동하는 힘이 작용시에는 상부이송기구부(40)의 상부랙크 바(25)에 후방측 걸림편(47)이 상부랙크 바(25)의 기어(26)와 확실히 치합되는 상태가 되면서 여기에 연결된 하부이송기구부(30) 및 반출부(60)를 그 위치에서 확고하게 고정한다.However,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40, in which the stopper 48 of the front locking piece 46 is inside the shaft 46a, moves downward by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30 to move upward through the movement bars 52 and 53. When a force for retreating movement is applied to the mechanism part 40, the rear locking piece 47 is securely engaged with the gear 26 of the upper rack bar 25 to the upper rack bar 25 of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part 40. While in the state,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30 and the carrying out part 60 connected thereto are firmly fixed at the position.

바닥부재(15)가 후퇴운동할 때에 연동 후퇴하게 되는 적화물에 대하여 상부이송기구부(40)으로 고정된 반출벽(60)이 그 위치에서 부동(不動) 상태로 되며 상면이 후퇴 운동을 해도 그 상태에서 중지되며 전진한대로의 위치를 확보한다.When the bottom member 15 retreats, the carry-out wall 60 fixed to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40 with respect to the cargo to be retracted interlocks in that position and the upper surface retreats. It stops in the state and secures the position as it advanced.

다음 유압실린더(12)가 재 왕복운동이 시작되면서 바닥부재(15)를 전진방향으로 이송하면 상기 작용이 반복되면서 그 결과 적화물은 유압 실린더(12)의 왕복 힘이 반복될 때 마다 하나씩 전진방향으로 이송되며 결국 적재함의 도어 가까운 끝부분 까지 도달하면서 완전히 배출된다.Next,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2 transfers the bottom member 15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the reciprocating motion is started again, the above action is repeated. As a result, the load is forwarded one by one whenever the reciprocating force of the hydraulic cylinder 12 is repeated. It is then discharged completely as it reaches the end close to the door of the loading box.

그 배출은 바닥부재(15) 상부에 적재된 적화물이 전진 운동하는 동시에 이동되면서 그것이 반출벽(60)에 고정되어 일보 일보 앞으로 나아가는 형태가 되며, 반출에 필요한 소요량이 적더라도 매우 능률적이다.The discharge is in the form of moving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moving the cargo loaded on the bottom member 15 is fixed to the carrying out wall 60, and is a form that goes forward daily, even if the required amount of take out is very efficient.

반출벽(60)이 도어와 최근접 위치에 도달하면 걸림판(35)(45)과 걸림편(36)(37)(46)(47)의 치합을 전후역 방향으로 전환한다.When the carry-out wall 60 reaches the door and the closest position,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lates 35, 45 and the engaging pieces 36, 37, 46, 47 is switch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즉 절환기구부(50)의 모터(54)를 시동해서 그 암(56)의 회전으로 절환봉(51)을 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절환봉(51)의 회전으로 축판(44)이 회전하고, 축(43)을 중심으로 걸림판(45)이 회동하며 걸림편(46)의 치합이 해지되고 역으로 걸림편(47)가 상부 랙크바(25)의 기어(26)와 치합한다. (도4참조) 동시에 운동 바(52)(53)를 통하여 하부이송기구부(30)의 걸림판(35)도 회전하며, 걸림편(36)의 치합이 해제되어 역으로 걸림편(37)가 하부랙크 바(220의 기어(23)와 치합하는 관계가 된다.That is, the motor 54 of the switching mechanism part 50 is started, and the switching rod 51 is rotated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arm 56. As shown in FIG. Then, the shaft plate 4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witching bar 51, the locking plate 45 is rotated around the shaft 43,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piece 46 is terminated, and the locking piece 47 is reversely Engage with the gear 26 of the upper rack bar 25. (See FIG. 4)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late 35 of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30 also rotates through the movement bars 52 and 53, and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piece 36 is released to reverse the locking piece 37. It becomes a relationship to mesh with the gear 23 of the lower rack bar 220.

동일한 모양으로 유압 실린더(12)를 왕복하게 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이번에는 하부이송기구부(30)의 걸림편(37)걸림편(46) 바(22)의 기어(23)와 움직이며 일보씩 후퇴 운동시켜 반출벽(60)을 최초의 위치로 되돌린다. 이때 반출벽(60)은 뒤 돌림 위치를 적화물의 적재량에 맞추어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도 가능하다.When the hydraulic cylinder 12 is reciprocated in the same shape, the same action as described above this time moves with the gear 23 of the locking piece 37 of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art 30, the locking piece 46 of the bar 22, and moves daily. The retraction movement returns the carry-out wall 60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the carry-out wall 60 can also be stopp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load position of the load.

이러한 기능의 결과 유압 실린더의 왕복 운동으로만 반출벽의 전후진 양방의 작용이 용이한 기구이다.As a result of this function, onl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an easy mechanism for bo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discharge wall.

또한 본 고안의 대상이 되는 적화물은 a) 비료(肥料), 사료(飼料), 목초(牧草), 수피(樹皮) b) 철거(鐵鋸) 또는 토밥, 재목(材木), 비트 펄프(beat pulp) c) 유리가루, 공관류(空罐類) d) 폐지, 박스류, 타이어, 푸대류 e) 고형 폐기물 그리고 해체된 폐목, 등이나 한정되지 않은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d cargoes that are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fertilizer, feed, grass, bark b) demolition or tob, timber, beet pulp pulp) c) glass powder, airspace d) waste paper, boxes, tires, pulp, etc. e) solid waste and dismantled wood, etc.

첨부된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에 연결한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주항상의 황항상의 로울러를 배설하고, 이 로울러의 상부에 바닥부재를 설치하되, 바닥부재와 상기 유압 실린더를 연결하여 유압 실린더의 왕복운동으로 바닥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Install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a part of the base frame to install a roller on the yellow port on the main port, and install a bottom member on the upper part of the roller, and connect the bottom member and the hydraulic cylinder to the bottom by reciprocating the hydraulic cylinder. The reciprocating sliding of the memb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그래서 도 8 의 설명은 좌우 측벽면에 스프로킷(72)(73)를 설치하고, 여기에 체인(71)을 감아 이 체인(71) 사이에 반출벽(60)을 설치하는 구조이다.Therefore, the description of FIG. 8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prockets 72 and 73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and the carry-out wall 60 is provided between the chains 71 by winding the chains 71 thereon.

스프로킷(72)(73)은 유압 실린더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유압 실린더가 왕복운동을 하는 경우에 일치되어 있는 스프로킷(72)(73)에 연결한 모터를 회전시켜 바닥부재(15)의 전진과 동시에 반출벽(60)을 전진시킨다.The sprockets 72 and 7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s to rotate the motor connected to the sprockets 72 and 73 which are matched when the hydraulic cylinders reciprocate, and at the same time as the bottom member 15 advances. The carrying out wall 60 is advanced.

그러나 유압 실린더가 복원될 경우 스프로킷(72)(73)의 모터 회전을 정지시켜 반출벽(60)에는 로크기구를 작동시킨다.However, when the hydraulic cylinder is restored, the rotation of the motor of the sprockets 72 and 73 is stopped to operate the lock mechanism on the discharge wall 60.

이 결과 상기한 실시 예와 같이 유압 실린더의 왕복 슬라이드에 따라서 하나씩 전진하며 적화물(積荷物)을 반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a resul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one by one along the reciprocating sl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o carry out the cargo.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닥면의 슬라이드와 반출벽이 고정하는 작용과 동시에 조합시켜 적화물이 일보 일보식으로 전진하는 형태로 반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화물에 대한 일량이 적어지며 구조 및 기구가 합리적인 것과 동ㅣ에 운전 경비 또한 저렴하며, 덤프 트럭과 같은 승강장치가 불필요하여 작업시 전도(顚倒)의 위험이 없으며,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컨베이어도 필요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form of advancing the cargo forward in a daily manner by combining the bottom slide and the transport wall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mount of the cargo is reduced and the structure and mechanism are reasonable. In addition, the operation cost is also low, and there is no need for a lifting device such as a dump truck, so there is no danger of falling during work, and safe work is possible. It also has a simple structure because no conveyor is required.

장치 자체의 중량이 경량이며 바닥판의 길이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 적재량이 대폭 증가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안이다.The device itself is light in weight, and the length of the bottom plate can be freely designed so that the load can be greatly increased.

Claims (2)

차체 일부에 연결된 왕복형 유압 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적재함의 바닥판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바닥 슬라이드부와;A bottom slide part comprising a bottom surface of a bottom plate of a loading box that slides back and forth by a reciprocating motion of a reciprocating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a part of the vehicle body; 바닥면과 운동하는 하부 랙크 바와 측벽에 고정된 상부 랙크 바로 구성된 랙크 기구부와;A rack mechanism part comprising a lower rack bar and a upper rack bar fixed to the side wall to move with the bottom surface; 하부 랙크 바의 전진 시에는 이 하부 랙크 바와 맞물려 작동하나 후퇴 시에는 하부 랙크 바의 기어에 맞물리지 아니하고 기어의 상부를 미끄럼 운동으로 슬라이드하는 랙크 기구의 걸림편이 갖추어진 하부 이송 기구부와;A lower conveying mechanism part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rack bar when the lower rack bar moves forward but is engaged with the gear of the lower rack bar when the retracting does not engage the gear of the lower rack bar; 상기 하부 이송 기구부와 연동하여 전진 및 후퇴시에 상부 랙크 바의 기어와 맞물려 작동한 랙크 기구상에 걸림편을 장치한 상부 이송 기구부와;An upper transfer mechanism unit interlocking with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unit and having a locking piece on the rack mechanism that is engaged with the gear of the upper rack bar when moving forward and backward; 상기 하부 이송 기구부와 상부 이송 기구부에 연결되어 측벽면에 직교하는 반출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화물 하강장치.Cargo lowering device of the freigh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nsport wall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surface connected to the lower transport mechanism portion and the upper transport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이송 기구부와 상부 이송 기구부의 랙크 기구 상에 걸림편을 전후방향으로 2개를 설치하여 이 걸림편과 랙크 바의 기어와 치합을 전후로 절환할 수 있는 절환기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화물 하강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locking piec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rack mechanism of the low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and the upper transfer mechanism por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ing mechanism that can switch back and forth between the gear and the engagement of the rack and rack bar. Cargo lowering device of a freigh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KR2019990005781U 1999-04-09 1999-04-09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KR2000001932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81U KR20000019327U (en) 1999-04-09 1999-04-09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81U KR20000019327U (en) 1999-04-09 1999-04-09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327U true KR20000019327U (en) 2000-11-15

Family

ID=5476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781U KR20000019327U (en) 1999-04-09 1999-04-09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327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9599B1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US8061950B2 (en) Container packer system and method
US4009792A (en) Cargo conveying apparatus on motor truck
US8690512B2 (en)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US5051046A (en) Semi trailer convertible for hauling automobiles
US11383942B1 (en) Container packer system and method
US90048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US3313429A (en)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US3214046A (en) Container handling mechanism
US10457480B2 (en) Cantilevered dumper system
US8333543B1 (en) Mining scoop material ejection retrieval system
KR20000019327U (en) Freight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s
US3302808A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CN115557274A (en) Multi-vehicle-type car leaning mechanism for car dumper
US2832481A (en) Transport container crawler
CN2866239Y (en) Double-side turningover chassis dumper
CN201309764Y (en) Automatic unloading machine
KR100487286B1 (en) Cargo gear for freight of highly efficient
CN218754870U (en) Fork truck with silo
CN2533013Y (en) Extension straw mat covering for freight truck
JP2000158998A (en) Unloading device for motor truck
CN219192023U (en) Retroverted self-unloading freight container
CN203391668U (en) Packing case with sliding-column type tail board
JPH0432369Y2 (en)
RU2293035C1 (en) Receiving complex for unloading of dumpc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