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143A -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143A
KR20000019143A KR1019980037094A KR19980037094A KR20000019143A KR 20000019143 A KR20000019143 A KR 20000019143A KR 1019980037094 A KR1019980037094 A KR 1019980037094A KR 19980037094 A KR19980037094 A KR 19980037094A KR 20000019143 A KR20000019143 A KR 20000019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nverting
converter
transmitt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472B1 (ko
Inventor
나동원
최창호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8003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47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한 기지국을 다중 섹터로 운용하여 기지국을 집중화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수단; 기지국과 원격 기지국간의 신호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수단; 및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하향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상향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한 기지국이 다중 섹터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망의 한 기지국이 다중 섹터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기지국을 집중화시켜 관리할 수 있는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디지털 이동전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MS)(11)은 기지국(12)과 무선으로 통신을 하여 호접속 및 트래픽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를 기지국(12)에 접속시켜 음성변환 및 착/발신 통화를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기지국(BTS)(12)은 이동국(11)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호접속, 및 트래픽 데이터의 송수신 등 호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국(13)과 유선으로 접속하여 이동국(11)이 송신하는 호접속 또는 트래픽 메시지를 제어국(13)으로 전송하거나 제어국(13)이 이동국(11)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를 이동국(11)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국(13)과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및 운용국과 통신하여 유지보수 처리 기능을 한다. 여기서, 기지국(12)은 1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섹터(Sector)라 한다.
제어국(13)은 다수의 기지국(12)과 접속하여 기지국(12)과 교환국(14) 사이에서 발/착신, 및 핸드오프 등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12)의 유지보수를 위한 기능을 한다.
교환국(14)은 제어국(13)과 공중교환전화망(PSTN) 및 타 교환국(14)과 접속하여 이동전화 발/착신 호처리, 핸드오프 처리, 시스템 유지보수, 및 운용관리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사용효율 및 전력소모 등의 문제로 인하여 서비스 지역에 여러개의 기지국(12)을 배치하고, 동일 기지국(12)내에서도 섹터로 나누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국(11)이 통화중에 이동을 하면 통화의 연속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다른 기지국(12) 또는 다른 섹터의 무선채널과 끊임없이 접속시켜 주는 핸드오프(Handoff) 기능을 제공한다.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핸드오프 서비스에는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방법과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방법이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방법은 이동국(11)이 서비스 중인 기지국(12)과 인접 기지국(12) 사이에 있는 동안 동시에 두개의 기지국(12)으로부터 통화채널을 할당받아 통화하는 것을 말하고,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방법은 서비스 중인 기지국(12)과 인접 기지국(12)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채널 수가 서로 다를 때 현재 주파수를 단절하고 인접 기지국이 지원하는 새로운 주파수를 바꾸어 통화를 계속하는 것을 말한다.
소프트 핸드오프 방법은 이동국(11)이 기존의 통화하고 있던 기지국(12)과의 통화 단절없이 새로운 기지국(12)과 통화를 개시하여 결과적으로 두 개의 기지국(12)과 동시에 통화를 지속하는 것으로서 주로 두 기지국(12)간의 경계지역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프는 이웃하는 다른 기지국(12)간에 발생하며, 동일 기지국(12)내 다른 섹터간에는 소프터 핸드오프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기지국(12)은 최대 3개의 섹터로 운용되었다. 이는 기지국(12)내 무선자원인 채널 엘리먼트(CE : Channel Element)가 최대 3개의 경로중에서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또한 기지국(12)당 최대 3개의 섹터를 가졌다.
도 2는 종래의 섹터를 이용한 무선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한 기지국에서 최대 3개의 섹터를 수용하는 경우의 무선망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기(21)에 중계선(T1/E1)으로 연결된 다수의 기지국(22∼26)들은 옴니 기지국이거나, 또는 3개 이하의 섹터로 구성되는 기지국이다.
각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와 중계선을 통해 연결되고 기지국1 및 기지국4는 하나의 섹터로 구성된 옴니 기지국으로서 트래픽이 많지 않은 지역에 사용된다. 반면에, 기지국2, 기지국3 및 기지국5와 같이 3개의 섹터로 구성된 기지국은 섹터별로 서로 간섭이 최소가 되도록, 송수신 안테나를 설치하여, 트래픽 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트래픽양이 많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도 3은 종래의 무선망의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망 기지국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310, 311, 312)와, 증폭부(320)와, 제 1 변환부(330)와, 제 2 변환부(340)와, 접속부(350)와, 기준클럭 발생부(360)와, 기지국 제어기(370)와, 제어부(380)를 구비한다.
증폭부(320)는 다수의 안테나(310, 311, 312)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321)와, 제 1 변환부(33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다수의 안테나(310, 311, 312)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선형 증폭기(322)를 구비한다.
제 1 변환부(330)는 저잡음 증폭기(321)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하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와, 제 2 변환부(340)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상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제 2 변환부(340)는 상기 제 1 하향 변환기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하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와, 상기 제 2 하향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A/D 컨버터(도시되지 않았음)와, 기지국 제어기(370)로부터 전달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상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무선망의 기지국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준클럭 발생부(360)는 위성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 System) 안테나를 통해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320), 제 1 변환부(330), 제 2 변환부(340), 접속부(360), 기지국 제어기(370) 및 제어부(380)로 기준클럭을 제공한다. 이렇게, 기준클럭이 제공되면, 제어부(380)는 증폭부(320), 제 1 변환부(330) 및 제 2 변환부(340)를 제어하여, 무선망의 송수신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무선망의 송수신 과정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고주파 신호가 다수의 안테나(310, 311, 312)를 통하여 전달되면, 증폭부(320)의 저잡음 증폭기는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켜 제 1 변환부(330)로 전달한다. 이어서, 제 1 변화부(330)의 제 1 하향 변환기는 증폭부(32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켜 제 2 변환부(340)로 전달하고, 이렇게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제 2 변환부(340)의 제 2 하향 변환기는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킨 다음,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인 기저대역 주파수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기지국 제어기(370)로 전달한다.
다음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지국 제어기(370)가 접속부(350)를 통해 저주파 신호를 전달하면, 제 2 변환부(340)의 제 2 상향 변환기는 기지국 제어기(370)로부터 전달된 저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상향 변환시켜 제 1 변화부(330)로 전달한다. 이어서, 제 1 변환부(330)의 제 1 상향 변환기는 제 2 변환부(340)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켜 증폭부(32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변환부(330, 340)를 통해 변환된 고주파 신호는 증폭부(320)의 선형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다음, 다수의 안테나(310, 311, 312)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4는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는,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1 하위에 n개의 기지국이 있고, 각 n개의 기지국 하위에는 최대 3개의 섹터가 있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최대 3개의 섹터로 운용되는 종래의 경우에는, 기지국 설치 및 운용면에서 제약이 되거나 비효율적인 면이 많았다. 다시 말해, 서비스 영역 특성상 한 기지국이 4개 이상의 섹터가 필요한 경우 동일 국소에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인접한 곳에 기지국을 신설하여야 하므로써, 전용선 및 GPS(Global Position System) 안테나 등의 자원을 기지국별로 따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단순히 섹터를 증설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들고 기지국들을 한곳에 집중화시켜 관리할 수 없어 운용면에서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통신 시스템의 한 기지국이 다중 섹터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기지국을 집중화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추가 원격 기지국의 설치를 최소화하고 기존 원격 기지국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는 기지국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디지털 이동전화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섹터를 이용한 무선망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무선망의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의 일실시예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섹터를 이용한 무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0: 안테나 520: 제 1 증폭부
530: 제 1 변환부 540: 제 2 변환부
550: 접속부 560: 기준클럭 발생부
570: 제어부 580: 기지국 제어기
590: 제 1 링크 정합부 610: 제 2 증폭부
620: 제 2 링크 정합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기지국을 거쳐서 단말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갖는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의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수단; 및 상기 원격 기지국에 배치되며, 상기 증폭수단과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를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접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 기지국과 기지국 간의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2 접속수단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원격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중간 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시켜 상기 제 2 접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 변환수단; 및 상기 제 1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중간 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켜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기저대역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상향 변환시켜 상기 제 1 변환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2 변환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의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망의 기지국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510 ∼ 515)와, 제 1 증폭부(520)와, 제 1 변환부(530)와, 제 2 변환부(540)와, 접속부(550)와, 기준클럭 발생부(560)와, 제어부(570)와, 기지국 제어기(580)와, 제 1 링크 정합부(590)와, 제 2 증폭부(610)와, 제 2 링크 정합부(620)를 구비한다.
다수의 안테나(510, 511, 512), 제 1 증폭부(520), 제 1 변환부(530), 제 2 변환부(540), 접속부(550), 기준클럭 발생부(560), 제어부(570), 기지국 제어기(580) 및 제 1 링크 정합부(590)는 기지국에 배치되며, 제 2 증폭부(610) 및 제 2 링크 정합부(620)는 원격 기지국에 배치된다.
제 1 증폭부(520)는 다수의 안테나(510, 511, 512)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521)와, 제 1 변환부(53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다수의 안테나(510, 511, 512)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선형 증폭기(522)를 구비한다.
제 1 변환부(530)는 제 1 변환기(531)와 제 2 변환기(532)로 구성된다.
제 1 변환기(531)는 저잡음 증폭기(521)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하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와, 제 2 변환부(540)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상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제 2 변환기(532)는 제 1 링크 정합부(590)를 통해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하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와, 제 2 변환부(540)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상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제 2 변환부(540)는 제 3 변환기(541)와 제 4 변환기(542)를 구비한다.
제 3 변환기(541)는 상기 제 1 하향 변환기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3 하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와, 상기 제 3 하향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A/D 컨버터(도시되지 않았음)와, 기지국 제어기(580)로부터 전달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3 상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제 4 변환기(542)는 제 1 변환부(530)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4 하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와, 상기 제 4 하향 변환기를 통해 하향 변환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A/D 컨버터(도시되지 않았음)와, 접속부(550)를 통해 전달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상향 변환시키기 위한 제 4 상향 변환기(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제 2 증폭부(610)는 다수의 안테나(513, 514, 515)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611)와, 제 2 링크 정합부(620)를 통해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켜 다수의 안테나(513, 514, 515)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선형 증폭기(612)를 구비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변환부(530, 540)는 각각, 도면에 도시된 기지국의 섹터(1 내지 6) 이상의 섹터로 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지국의 섹터(1 내지 3)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되고, 다른 소정의 기지국의 섹터(4 내지 6)는 기지국과 워격 기지국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안테나(510, 511, 512), 제 1 증폭부(520), 제 1 변환기(531), 제 2 변환기(541)를 통하여 수행되는 송수신 과정은 상기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기준클럭 발생부(560)는 위성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변환부(530), 제 2 변환부(540), 접속부(550) 및 제어부(570)로 기준클럭을 제공한다. 이렇게, 기준클럭이 제공되면, 제어부(570)는 제 2 변환기(532) 및 제 4 변환기(542)를 제어하여, 원격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망의 송수신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무선망의 송수신 과정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원격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다수의 안테나(513, 514, 515)를 통해 전달되면, 제 2 증폭부(610)의 저전압 증폭기(611)는 전달된 신호를 증폭켜 제 2 링크 정합부(620)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 2 링크 정합부(620)는 제 2 증폭부(61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한하여 광케이블(630)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원격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광신호인 고주파 신호는 제 1 링크 정합부(59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인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되어 제 2 변환기(532)로 전달되고, 제 2 변환기(532)의 제 2 하향 변환기는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켜 제 4 변환기(542)로 전달된다. 이어서, 제 4 변환기(542)의 제 4 하향 변환기는 상기 제 2 하향 변환기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킨 다음, 접속부(550)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580)로 전달한다.
다음은,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원격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제어기(580)가 기저대역 주파수를 접속부(550)를 통해 제 4 변환기(542)로 전달하면, 제 4 변환기(542)의 제 4 상향 변환기는 전달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상향 변환시켜 제 2 변환기(532)로 전달한다. 이어서, 제 2 변환기(532)의 제 2 상향 변환기는 제 4 변환기(542)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시켜 제 1 링크 정합부(590)를 통해 원격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링크 정합부(590)는 제 1 변환부(530)의 섹터(4 내지 6)를 통해 전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킨 다음, 광케이블(630)을 통해 원격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기지국으로부터 원격 기지국으로 전달된 광신호는 제 2 링크 정합부(620)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 2 증폭부(610)로 접속된다. 이어서, 제 2 증폭부(610)의 선형 증폭기(612)는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킨 다음, 다수의 안테나(513, 514, 515)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섹터를 이용한 무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기에 중계선(T1/E1)으로 연결된 기지국은 기지국 설치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4개의 섹터로 분할하여 운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3섹터 기지국보다 트래픽 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은 섹터(4 내지 6)의 원격지에 설치하고, 광섬유를 통하여 연결하였는데, 이와 같은 원격국은 기존의 3섹터 기지국을 대용할 수 있는 것으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기지국2는 기존의 3섹터 형상에다 원격 기지국에 하나의 섹터(4)를 추가하는 것으로 기지국과 원격 기지국의 연결은 마이크로 웨이브르 이용한다. 기지국2의 원격 기지국은 섹터(1 내지 3)으로는 서비스를 할 수 없는 지역이나 지하상가나 골프장 같은 곳으로 기존의 기지국으로 서비스 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한 기지국이 최대 3개의 섹터로 이용되던 종래와는 달리, 무선망의 한 기지국을 4개 이상의 다중 섹터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기지국을 집중화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기지국 주변에 섹터를 추가하여야 할 경우에 종래와 같이 원격 기지국을 추가하로 신설하지 않고, 단지 섹터만을 추가하도록 하여 추가 원격 기지국의 설치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격 기지국을 거쳐서 단말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갖는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망의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수단; 및
    상기 원격 기지국에 배치되며, 상기 증폭수단과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를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접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 기지국과 기지국 간의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2 접속수단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원격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중간 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시켜 상기 제 2 접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 변환수단; 및
    상기 제 1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중간 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켜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기저대역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상향 변환시켜 상기 제 1 변환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2 변환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제 2 변환수단 간에 연결되어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제 3 접속수단;
    위성으로부터 클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변환수단에 기준클럭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클럭 발생수단;
    상기 기준클럭에 따라, 상기 제 3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변환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기준클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 1 변환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기지국 증폭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 1 접속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증폭부;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증폭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수단은,
    상기 제 2 접속수단을 통해 전달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하향 변환시켜 상기 제 2 변환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하향 변환수단; 및
    상기 제 2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시켜 상기 제 2 접속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상향 변환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수단은,
    상기 제 1 하향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시켜 상기 제 3 접속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하향 변환수단; 및
    상기 제 3 접속수단을 통해 전달된 기저대역 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상향 변환시켜 상기 제 1 상향 변환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상향 변환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KR1019980037094A 1998-09-09 1998-09-09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KR100275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094A KR100275472B1 (ko) 1998-09-09 1998-09-09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094A KR100275472B1 (ko) 1998-09-09 1998-09-09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143A true KR20000019143A (ko) 2000-04-06
KR100275472B1 KR100275472B1 (ko) 2000-12-15

Family

ID=1955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094A KR100275472B1 (ko) 1998-09-09 1998-09-09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4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5472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640B2 (en) Method for supporting asymmetric service flexible in multi-carrier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4759051A (en) Communications system
Sarnecki et al. Microcell design principles
US6370384B1 (en) Frequency re-use plann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wireless translating repeaters
US4775998A (en)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having colocated base sites
EP2190234B1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covering a plurality of areas by one cell
KR100276810B1 (ko) 씨디엠에이기지국용클라이언트-서버구조구현장치및방법
KR20010033203A (ko) 스케일러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
WO20000103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in a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O1998025428A1 (en) Simulcasting system with diversity reception
RU2108674C1 (ru) Ячеистая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CN111935730A (zh) 实现分布式基站信号覆盖的方法、装置及基站网络
CN111343641A (zh) 一种智慧5g网络系统
KR100275472B1 (ko) 다중섹터를 적용한 기지국 시스템
CN101257709B (zh) 一种高信道资源利用率的移动通信系统及方法
US20030119442A1 (en) Wireless local loop communication system
JP3267944B2 (ja) 無線チャネル割り当てシステム
KR10024949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섹터 운용 방법 및소프트 핸드오프호처리 방법
JPH07505512A (ja) デジタルセルラ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遠隔中継器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283076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원격지 기지국을 운용하는 도너 기지국
JP2002369244A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小容量基地局制御方式とその方法
KR101023283B1 (ko)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JP2972699B2 (ja) 無線基地局及びアンテナユニット
KR100267275B1 (ko) 유선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
Ramamurthi et al. DECT-based wireless local loo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