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810B1 - 씨디엠에이기지국용클라이언트-서버구조구현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씨디엠에이기지국용클라이언트-서버구조구현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810B1
KR100276810B1 KR1019980051322A KR19980051322A KR100276810B1 KR 100276810 B1 KR100276810 B1 KR 100276810B1 KR 1019980051322 A KR1019980051322 A KR 1019980051322A KR 19980051322 A KR19980051322 A KR 19980051322A KR 100276810 B1 KR100276810 B1 KR 100276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lient
mobile device
base station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825A (ko
Inventor
아미르 후세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9006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이동기기에 전송하고,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 및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통해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연결된 기지국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과 외부의 유선통신 장치사이에 상기의 음성 및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씨디엠에이 기지국용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구현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통신망에 관련된 것이며, 특히 가변 전력 송신기를 이용하는 무선 전화망에 관한 것이다.
1996년을 기준으로 하면 전세계적으로 7천 5백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셀룰러전화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2000년까지는 셀룰러전화기 사용자가 3억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내에서 셀룰러 서비스는 전용셀룰러 서비스사업자뿐만 아니라 지역 벨 회사 (유.에스. 웨스트, 벨 어틀랜틱, 사우스웨스턴 벨) 및 장거리사업자 (AT&T, 스프린트)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의 결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셀룰러 서비스 가격이 하락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쟁은 셀룰러 전화 기술분야에 빠르고 광범위한 혁신을 이루어왔다. 현재에는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과 디지털 셀룰러 방식이 경쟁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주파수분할다중접속(FDMA),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은 현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과 경쟁하고 있다. 단일 셀룰러장치 및 방법에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가입자 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셀 사이트를 더 작게하고, 동일한 지역을 담당하는 셀 사이트를 더 많이 사용하여 주파수 재사용을 최대화하여야 한다. 장치 및 방법의 개선을 위한 전형적인 방법으로는 몇 개의 인접하는 셀 사이트를 별개의 주파수 할당을 갖는 다수의 더 작은 사이트로 분할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동일한 주파수범위를 사용하는 셀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하기 위해 주의하여야 한다. 더 작은 셀 사이트의 각각을 부채꼴 안테나를 사용하여 재차 분할하여 셀 사이트를, 예를들면, 세 개의 120。 섹터들로 나눌 수 있다. 다중섹터, 다중주파수 구조는 서비스가능한 사용자수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기지국 그리고/또는 부채꼴 안테나의 수의 증가는 부장치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비용증가를 상쇄하기 위하여 셀룰러 서비스업자들은 장치비용, 유지보수비용, 운영비용을 줄이거나, 서비스 질/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셀룰러시스템이 서비스할 수 있는 가입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혁신방안을 채용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혁신은 디지털 PCS 서비스의 확장과 같은 서비스의 질 개선, 장시간의 배터리 수명을 가지는 더 작고 더 가벼운 셀룰러전화세트등의 사용자장치 개선, 셀룰러 기지국용의 더 작고, 더 싸고, 더 신뢰성 있는 송수신기등의 부장치의 비용절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종래의 무선구조에서는 셀 사이트가 작아지면서 데이터 트래픽 문제가 발생한다. 각각의 셀 사이트를 서비스하는 기지국은 보통 T1선으로 기지국제어기에 연결된다. 기지국에 의해 처리되는 각각의 실행중인 호는 T1선의 전용 타임슬롯에 할당된다. 이러한 형태의 접속은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진다. T1선은 상대적으로 좁은 대역폭을 갖는다. 기지국제어기는 자주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과 관련된 실행이외의 데이터및 기지국제어기가 처리하는 실행 호들을 수집한다. 이러한 동작수행을 위해서는 광 대역폭, 즉 T1선이 계속되는 음성데이터 전송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대역폭보다 더 넓은, 을 필요로 한다.
이동기기가 고대역(high-bandwidth) 응용을 많이 사용할수록 이러한 문제는 더 악화되게 된다. 이러한 이동기기의 예로는 멀티미디어용 휴대컴퓨터 또는 비디오회의 장치용 비디오기기등이 있다. 각각의 이동기기에 할당된 T1 대역폭은 너무 작아서 고대역(high-bandwidth) 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그 결과 비디오응용의 경우에 이미지 깜박임이 생기고 오디오응용의 경우에는 말더듬현상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및 비디오 응용용 이동기기에 신뢰성 있는 고대역 통신링크를 제공하는 개선된 무선장치 및 방법을 필요로 한다. 특히, 각각의 이동기기에 최소한의 휴면부분을 가지고 필요한 대역폭을 보증할 수 있는 개선된 무선 부장치를 필요로 한다.
위에서 기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이동기기에 전송하고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 및 2)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연결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과 외부의 유선통신장치사이에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서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용 부장치를 제공함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 서버와 다수의 기지국은 등시(ISOchronous) 이서넷(Ethernet)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protocol) 을 통해 통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기지국 각각이 CDMA 접근(access) 프로토콜(protocol)하에서 운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기지국 각각이 선택된 전송 및 수신 주파수에 할당된다. 일정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할당된 선택된 전송 및 수신 주파수는 서로 배타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서버는 등시(ISOchronous) 이서넷(Ethernet)에서의 부(sub)채널을 다수의 기지국중 한 개와 이동기기사이의 선택된 무선통신링크에 할당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서버는 다수의 기지국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선택된 이동기기사이의 선택된 무선 통신링크에 관련된 RF 실행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서버는 이동기기에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고 이동기기로부터의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는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은 특허청구범위의 주제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기술할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개시된 사상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이를 수정하고 또는 다른 구조를 설계할 수 있음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관련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그러한 균등한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 도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 부장치의 도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부장치의 도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완전히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목적물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 도형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 부장치의 도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부장치의 도형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의 도 1내지 도 3 및 여러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어떤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목적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원리가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장치 100 의 도형도이다. 무선전화망 100 은 각각의 셀 사이트가 기지국 BTS 101, BTS 102, BTS 103 중 하나를 포함하게 되는 다수의 셀 사이트 121-123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장치 100 은 CDMA 방식이다. 기지국 101-103 은 다수의 이동기기(M) 111-114 와 통신한다. 이동기기 111-114 는 기존의 셀룰러 전화기, PCS 핸드세트 기기, 휴대용 컴퓨터, 계량기기등 적당한 셀룰러기기이다.
점선은 기지국 101-103 이 위치하는 셀 사이트 121-123 의 경계를 나타낸다. 셀 사이트들은 설명의 필요상 대략 원모양으로 나타낸다. 셀 사이트들은 선택된 셀 배열 및 자연, 인공적 장애물로 인해 6각형등 다른 모양도 할 수 있음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BTS 101, BTS 102, BTS 103 은 서로서로의 사이와 공중전화장치와의 사이에 등시(ISOchronous) 이서넷(Ethernet)망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한다.
전형적인 무선통신장치 100 에서는 이동기기 111 은 셀 사이트 121 에 위치하며 BTS 101 과 통신하고, 이동기기 113 은 셀 사이트 122 에 위치하고 BTS 102 와 통신하며, 이동기기 114 는 셀 사이트 123 에 위치하고 BTS 103 과 통신한다. 이동기기 112 는 셀 사이트 121 내에서 셀 사이트 123 의 경계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동기기 112 근처의 방향화살표는 이동기기 112 가 셀 사이트 123 방향으로 이동함을 표시한다. 이동기기 112 가 셀 사이트 121 에서 셀 사이트 123 으로 이동하는 중의 일정한 점에서 "핸드오프"가 수행된다.
핸드오프는 제 1셀로부터 제 2셀로 호제어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예를들어, 만약 이동기기 112 가 BTS 101 과 통신하고 있고 BTS 101 로부터의 신호가 수용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약화됨을 감지하게 되면, 이동기기 112 는 더 강한 신호(BTS 103 에 의해 전송된 신호와 같이)를 가지는 BTS 로 교환된다. 이동기기 112 와 BTS 103 은 새로운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BTS 103 을 통하여 음성 그리고/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BTS 1 과 공중전화망에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호는 BTS 101 에서 BTS 103 으로 중단없이 전송된다.
종래의 무선통신장치에서는 BTS 101, BTS 102, BTS 103 내의 송수신기는 셀 사이트의 서비스구역의 크기(그리고 모양)에 따라 선택한 RF 출력 수준에서 외부방향 신호를 전송한다. RF 출력수준은 각각의 셀 사이트 경계근처에 위치한 이동기기가 신뢰성 있는 통신링크를 형성하기에 충분히 강한 신호를 수신하게 하는 최소수준으로 정해진다. 만약 신호음질이 최소한도의 허용치보다 떨어지게 되면 각각의 이동기기는 제어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하여 기지국의 RF 출력수준을 증가시킨다. 이에 더하여, 기지국은 이동기기로부터 수신한 RF 신호가 대략적으로 균등한 전력에서 수신되게 하기 위해 이동기기의 RF 출력수준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전력제어신호를 이동기기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장치 100 내의 송수신기는 기지국이 RF 출력신호의 전력수준이 전력증폭기에서 더 낮은 직류최량전력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결정할 때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 101-103 에 의해 소비되는 직류최량전력을 줄일 수 있는 가변전력 전송기 증폭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이동기기로 전송된 음성, 데이터 그리고/또는 제어신호를 집합하여 정방향채널신호라고 부른다. 부가하여, 이동기기에서 기지국에 전송된 음성, 데이터 그리고/또는 제어신호를 집합하여 역방향채널 신호라고 부른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먼저 종래의 무선 부장치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부장치 200 을 나타낸다. 무선부장치 200 은 데이터링크 231, 232, 233 에 의해 다수의 기지국 221, 222, 223 (이하에서는 각각 BTS 1, BTS 2, BTS 3 이라 한다) 에 연결되는 기지국제어기(BSC) 202 를 포함한다. BTS 1, BTS 2 및 BTS 3 은 각각의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셀 사이트내에 있는 이동기기와 음성 및 데이터의 양방향 통신에 관여한다. 기지국제어기 202 는 BTS 1, BTS 2, BTS 3 에 대한 운영 및 보전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BSC 202 는 기지국 BTS 1, BTS 2, BTS 3 각각을 별개로 제어한다. 종래의 무선장치에서는 데이터링크 231, 232 및 233 은 T1선 또는 E1선이다.
기지국제어기 202 는 전형적으로는 T1 접속인 데이터링크 212 에 의해 이동교환국 204 에 연결된다. 이동교환국(MSC) 204 는 기지국제어기 202, 다른 기지국제어기들(나타나 있지 않음) 및 공중전화망 206 사이를 접속하는 교환 인터페이스이다. 이동교환국 204 는 트래픽상태에 따라 T1 접속 또는 T3 접속인 데이터링크 211 에 의해 공중전화망 206 에 연결된다.
무선부장치 200 의 데이터 트래픽 용량은 BTS 1 - BTS 3 와 BSC 202 사이의 T1 접속에 의해 한계지워진다. 데이터링크 231-233 을 가로질러 BTS 1 - BTS 3 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각각의 T1 접속에 타임슬롯을 할당한다. 이동기기로부터의 역방향 채널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및 데이터신호는 대역폭에 대해 운영 및 보전 데이터의 일부로써 BSC 202 에 전송되는 다양한 모니터된 실행데이터와 경쟁해야만 한다. 모니터된 데이터는 수신신호강도표시기(RSSI)데이터, 신호 대 노이즈(Eb/No)데이터, RF 실행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모니터된 데이터는 T1 접속에 고대역요건을 부가하여 역방향채널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여분의 대역폭이 보다 적게 남겨지게 된다. 무선부장치 200 의 제한된 트래픽 용량은 또한 BTS 1, BTS 2 및 BTS 3 과 통신하는 이동기기들이 실행하는 응용을 제한한다. 비디오흐름(video stream)과 같이 이동기기에 의해 전송된 고대역 응용으로부터의 데이터는 T1접속의 여러 타임슬롯상에 분할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지연문제가 생기고 응용이 실행되는 속도가 제한된다.
무선부장치 200 의 데이터 트래픽 용량의 전형적 개선방법으로는 BTS 1, BTS 2 또는 BTS 3 각각이 담당하는 셀 사이트를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여러 섹터로 분할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만약 BTS 1 이 세 개의 셀로 분할되면 부채꼴 안테나는 BTS 1 에 장착되고 셀 사이트는 세 개의 120。 섹터들로 분할되게 된다. 각 섹터들은 별개의 주파수 할당을 받는다. 이러한 방식은 셀 사이트 서비스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섹터의 수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한을 부가하며 또한 기지국에 주파수 제한을 가한다.
본 발명은 무선부장치에 대한 개선된 다중-섹터 및 다중 주파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섹터들 및 주파수용으로 배치되고 서로서로 배타적이고 독립적인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자원을 제공하는 서버로써 단일 기지국을 사용한다. 기지국서버는 등시(ISOchronous) 이서넷(Ethernet) 망에 의해 다수의 클라이언트기지국에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부장치 도형도를 나타낸다. 무선부장치 300 은 등시 이서넷 접속 331 - 336 에 의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 321 - 326 (이하에서, 클라이언트 BTS 1 에서 BTS 6 이라함)에 연결된다. 클라이언트 BTS 1에서 클라이언트 BTS 6 까지는 그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각의 셀 사이트내에 있는 이동기기와 양 방향 음성 및 데이터통신에 관여한다. 기지국서버 301 은 등시 이서넷용 IEEE-802.9 프로토콜에 따라 종래의 클라이언트-서버 데이터전송을 실행한다.
기지국 서버 301 은 ATM 또는 SONET 접속과 같은 고용량데이터 접속인 데이터링크 313 에 의해 종래의 기지국제어기(BSC) 302 에 연결된다. 기지국 제어기 302 는 BTS 1에서 BTS 6 까지에 대한 운영 및 보전 데이터 입력을 실행한다. BSC 302 는 데이터링크 312 에 의해 이동교환국 304 에 연결된다. 이동교환국 304 는 BSC 302 와 다른 기지국제어기(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공중전화망 206 사이를 연결한다. MSC 304 는 데이터링크 311 에 의해 공중전화망 206 에 연결된다. 데이터링크 311 과 312 는 이동기기에 의해 실행된 고대역 응용을 처리하기 위해 ATM 또는 SONET 접속과 같은 고용량데이터 접속이기도 하다.
기지국 서버 301 은 그 자체가 정방향 채널 신호를 이동기기에 전송하고 이동기기로부터 역방향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이다. 따라서 기지국 서버 301 과 클라이언트 BTS 1 - BTS 6 는 도 2에서 BTS1, BTS 2 및 BTS 3 이 담당하는 지역을 담당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체 7개의 기지국으로 이루어진다. 기지국 서버 301과 클라이언트 BTS 1 - 클라이언트 BTS 6 의 각각은 도 1에서의 BTS 101, BTS 102 또는 BTS 103 중 하나와 기능상 균등한 것이다.
등시 이서넷 접속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회선교환 채널과 패킷교환 채널의 결합이다. 등시 이서넷은 10Mbps 이서넷 대역폭(즉, 10 기지 T 접속)과 더불어 96개의 64Kbps B 채널과 1개의 64Kbps D 채널(통상 신호표시용으로 사용됨)을 기지국 서버 301 에 제공한다. 96개 B 채널, 1개의 D 채널 및 10Mbps 이서넷 대역폭이 여섯 개의 클라이언트 BTS, 즉 BTS 1 - BTS 6, 에 분배된다. D 채널 및 각각의 B 채널은 기지국 데이터링크(채널목록)를 규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BTS 1에서 클라이언트 BTS 6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10Mbps 이서넷 대역폭은 각각의 기지국에서 공중인터페이스용 RSSI 데이터, 신호 대 노이즈(Eb/Nc) 데이터, RF 실행데이터등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가하여, 10Mbps는 클라이언트 BTS 1 - 클라이언트 BTS 6 중 하나에 의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고대역 역방향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지국 서버 301 과 클라이언트 BTS 1 에서 클라이언트 BTS 6 까지의 각각은 서로 다른 섹터를 담당하기 위해 상호 배타적인 전송 및 수신 주파수 할당을 사용한다. 등시 이서넷을 사용하고 D 채널, B 채널 및 10Mbps 이서넷 대역폭을 할당하여 단일접점(일점 대 다중점 배열)을 통하여 다수의 기지국사이에 기지국 자원대역폭을 배분한다. 기지국 서버 301 과 클라이언트 BTS 1 - 클라이언트 BTS 6를 식별하기 위해 단일망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서버 301 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지국 서버 301 은 선택된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D 채널과 96개 B 채널을 할당한다(401 단계). 각각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할당된 D/B 채널의 수는 특정 클라이언트 기지국이 처리하는 트래픽 채널 수에 따라 1내지 97개 전체채널 수의 범위에 있게 된다. 각각의 D/B 채널은 클라이언트 기지국으로부터의 여러 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D/B 채널들은 미리 정해진 계획에 따라 초기에는 클라이언트기지국에 할당되고, 다음에는 트래픽 부하에 따라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재할당된다.
기지국 서버 301 은 가변 기준들에 따라 이동기기들을 선택된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할당한다(402 단계). 특정의 사용중인 이동기기로부터의 수용가능할 만큼 강한 역방향채널 메시지 신호가 한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동기기는 또한 한 개이상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으로부터 수용가능할 만큼 강한 정방향 채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 이동기기는 어느 클라이언트 기지국이 가장 강하게 수신되는 지를 가리키는 통지메시지를 클라이언트 기지국중 하나에 보낸다. 그 다음에 기지국 서버 301 은 어느 클라이언트 기지국이 가장 강한 역방향 채널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지 또는 어느 클라이언트 기지국이 이동기기에 의해 가장 강하게 수신되는 지에 따라 그 이동기기를 처리할 클라이언트 기지국을 할당한다.
그 후에, 기지국서버 301 은 이동기기로부터 호를 수신하고 음성 및 데이터메시지를 공중전화망 206 에 라우팅한다. 기지국 서버 301 은 또한 공중전화망 206으로부터 호를 수신하고 음성 및 데이터메시지를 이동기기에 전송한다(403 단계). 로밍 이동기기가 한 클라이언트 기지국에서 다른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핸드오프되면, 기지국 서버 301 은 이동기기와의 통신을 처리하게 될 B/D 채널을 재할당한다.
운영 및 보전 활동의 일부로써 기지국 서버 301 은 또한 공중 인터페이스에 관한 실행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클라이언트 BTS 1 에서 클라이언트 BTS 6 까지의 각각에 의해 처리되는 호의 수에 따라 기지국 서버 301 은 선택된 10Mbps 이서넷(즉, 10 기지 T) 대역폭 량을 클라이언트 BTS 1에서 클라이언트 BTS 6 의 각각에 할당한다(404 단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기지국 서버는 클라이언트 기지국으로부터 RSSI 데이터, 신호 대 노이즈 (Eb/No) 데이터, RF 실행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내려받는다(405 단계).
다음에 기지국 서버 301 은 실행데이터를 실제의 운영 및 보전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 302 에 전송한다. 부가하여, B 채널내의 역방향 채널 신호(즉, 이동기기로부터의 음성 그리고/또는 데이터)가 또한 기지국제어기 302 에 전송되고, 궁극적으로는 이동교환국 304 에 전송된다(406 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무선통신장치에서 다중-섹터, 다중 주파수 기지국장치를 구성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장점에 관한 것이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는 B 채널과 10Mbps 이서넷 대역폭의 융통성 있는 할당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셀 사이트의 확장을 용이하게한다.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화 및 대체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1)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이동기기에 전송하고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 및 2)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연결되며, 다수의 기지국과 외부의 유선통신장치사이에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지국서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용 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에서 다중-섹터, 다중 주파수 기지국장치를 구성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이용하고, 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는 B 채널과 10Mbps 이서넷 대역폭의 융통성 있는 할당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셀 사이트의 확장을 용이하게한다.

Claims (20)

  1.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이동기기에 전송하고,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 및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통해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연결된 기지국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과 외부의 유선통신 장치사이에 상기의 음성 및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와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은 등시(ISOchronous) 이서넷(Ethernet)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을 통하여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은 CDMA 접근(access) 프로토콜(protocol)하에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의 각각은 선택된 전송 및 수신 주파수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할당된 선택된 전송 및 수신 주파수는 서로 배타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등시 이서넷에서의 부(sub)채널을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중 한개와 이동기기사이의 선택된 무선통신링크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중 적어도 한개로부터 상기의 적어도 한 개의 클라이언트 기지국과 선택된 이동기기 사이의 선택된 무선통신 링크와 관련된 RF 실행데이터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이동기기에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9. 외부의 유선 통신 장치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교환국;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이동기기에 전송하고,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 및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통해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연결된 기지국 서버를 포함하며,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과 외부의 유선통신 장치사이에 상기의 음성 및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의 이동교환국에 연결된 무선통신 장치용 부장치 및
    상기의 기지국 서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의 이동교환국에 연결된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동기기와의 통신용 무선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와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은 등시(ISOchronous) 이서넷(Ethernet)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을 통하여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은 CDMA 접근(access) 프로토콜하에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의 각각은 선택된 전송 및 수신 주파수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용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할당된 선택된 전송 및 수신 주파수는 서로 배타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등시 이서넷에서의 부(sub)채널을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중 하나와 이동기기사이의 선택된 무선통신링크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다수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중 적어도 한개로부터 상기의 적어도 한 개의 클라이언트 기지국과 선택된 이동기기 사이의 선택된 무선통신 링크와 관련된 RF 실행데이터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이동기기에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장치
  17. 이동기기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기지국에서 무선통신 링크를 개시하는 신호를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에 연결된 기지국 서버에 무선 통신링크의 개시를 통지하는 단계, 이 단계에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와 상기의 기지국은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의 채널을 상기의 무선 통신링크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장치에서의 상기의 이동기기로 전송된 또는 상기의 이동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데이터 신호의 전송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의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은 등시 이서넷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이 CDMA 접근(access) 프로토콜하에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지국 서버는 상기의 클라이언트 기지국과 상기의 이동기기와의 사이의 상기의 무선통신 링크와 관련된 RF 실행 데이터를 상기의 클라이언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방법.
KR1019980051322A 1997-12-31 1998-11-27 씨디엠에이기지국용클라이언트-서버구조구현장치및방법 KR100276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01,934 US6243367B1 (en) 1997-12-31 1997-12-31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lient-server architecture for CDMA base stations
US9/001,934 1997-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25A KR19990066825A (ko) 1999-08-16
KR100276810B1 true KR100276810B1 (ko) 2001-01-15

Family

ID=2169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322A KR100276810B1 (ko) 1997-12-31 1998-11-27 씨디엠에이기지국용클라이언트-서버구조구현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43367B1 (ko)
JP (1) JP3193010B2 (ko)
KR (1) KR100276810B1 (ko)
CN (1) CN1135785C (ko)
GB (1) GB23330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8630B1 (en) * 1999-04-30 2007-05-15 Lucent Technologies Inc. Data session setup system for wireless network
EP2290889B1 (en) * 1999-10-15 2020-08-12 BlackBerry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user terminal
FI111314B (fi) * 1999-11-05 2003-06-30 Nokia Corp Multimediasanomanvälityspalvelu
CA2330709C (en) * 2000-02-09 2005-08-30 Lucent Technologies Inc. Handoff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0358440B1 (ko) * 2000-03-21 2002-10-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망을 이용한 호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방법
KR100358439B1 (ko) * 2000-03-30 2002-10-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컴팩트 제어국간의 이더넷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US7240112B2 (en) * 2000-05-26 2007-07-03 Ipass Inc. Service quality monitoring process
US7519695B2 (en) * 2000-05-26 2009-04-14 Ipass Inc. Service quality monitoring process
JP2004505375A (ja) * 2000-08-02 2004-02-19 アイパ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エンド・ユーザに配布するためにネットワーク接続アプリケーションをカスタマイズし、更新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937592B1 (en) 2000-09-01 2005-08-30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supports multiple modes of operation
US6567387B1 (en) 2000-11-07 2003-05-2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from multiple wireless base transceiver stations to a subscriber unit
US20020156896A1 (en) * 2001-02-09 2002-10-24 Peter Li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teway between mobile two-way messaging devices and remote computer networks
US20020136287A1 (en) * 2001-03-20 2002-09-26 Heath Robert W.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quality of data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68159B1 (ko) * 2001-06-27 2005-01-26 (주)에어포인트 랜케이블을 이용하여 트래픽신호, 제어신호 및 지피에스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는 옥내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및 이의 제어방법
US6941378B2 (en) * 2001-07-03 2005-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assigning a streaming media session to a server in fixed and mobile streaming media systems
US20030021251A1 (en) * 2001-07-30 2003-01-30 Ramin Moshiri-Tafreshi Self-heal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761606B2 (en) * 2001-08-02 2010-07-20 Ipass Inc. Method and system to secure a connection application for distribution to multiple end-users
US20030036408A1 (en) * 2001-08-17 2003-02-20 Johansson Lars Olof High-density radio access system
US7149254B2 (en) * 2001-09-06 2006-12-12 Intel Corporation Transmit signal preprocessing based on transmit antennae correlations for multiple antennae systems
US20030067890A1 (en) * 2001-10-10 2003-04-10 Sandesh Goe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re-transmission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US7336719B2 (en) * 2001-11-28 2008-02-2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diversity base upon transmission channel delay spread
US7230936B2 (en) 2001-12-14 2007-06-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ata packet transport in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89210B1 (en) * 2002-01-11 2010-03-30 Broadcom Corporation Plug-n-playab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12978B2 (en) * 2002-03-26 2006-03-14 Intel Corporation Robust multiple chain receiver
JP4559213B2 (ja) 2002-04-22 2010-10-0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認証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30235252A1 (en) * 2002-06-19 2003-12-25 Jose Tellado Method and system of biasing a timing phase estimate of data segments of a received signal
KR100487234B1 (ko) * 2002-07-02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
EP1398980A1 (en) * 2002-09-06 2004-03-17 Teltronic S.A.U. Tetra base station with ethernet architecture
US20050055371A1 (en) * 2003-06-05 2005-03-10 Singam Sunder Method and system to manage a network connection application
US8289906B2 (en) * 2004-03-26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servers based on server status in a wireless network
US8014781B2 (en) * 2004-06-08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Intra-cell common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7126120A1 (ja) * 2016-01-22 2017-07-27 フタバ産業株式会社 拡散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242A (ja) * 1992-10-26 1994-06-10 Philips Electron Nv 通信システム
EP0596648A1 (en) * 1992-11-02 1994-05-1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Network link endpoint capability detection
CA2157379A1 (en) * 1993-03-02 1994-09-15 David S. Terman Method of cancer treatment
GB9304636D0 (en) * 1993-03-06 1993-04-21 Ncr Int Inc A method of accessing a communication system
JPH09501034A (ja) * 1994-02-25 1997-01-2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の無線送信機/受信機との通信のための必要バンド幅を減らすための分散ベース局
FI95984C (fi) * 1994-04-08 1996-04-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sijainninhallintaa varten pakettidatasiirron yhteydessä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5710882A (en) * 1995-06-29 1998-01-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call set up server for setting up a call using a call handling portion and a connection handling portion to handle the call and the connection, respectively
US5699356A (en) * 1995-07-17 1997-12-16 Mci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dynamic channel allocation
FR2741226B1 (fr) * 1995-11-15 1997-12-05 France Telecom Test de cellule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cellulaire
GB2313258A (en) * 1996-05-17 1997-11-19 Motorola Ltd Cell handover in a multimedi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5805597A (en) * 1996-06-04 1998-09-0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w power basic telephony type service over a twisted pair ethernet physical layer
US5991628A (en) * 1997-12-19 1999-11-23 Motorola, Inc. Sca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17976A (ja) 1999-11-16
CN1135785C (zh) 2004-01-21
JP3193010B2 (ja) 2001-07-30
US6243367B1 (en) 2001-06-05
GB2333012A (en) 1999-07-07
GB9825984D0 (en) 1999-01-20
CN1223539A (zh) 1999-07-21
KR19990066825A (ko) 1999-08-16
GB2333012B (en) 200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6810B1 (ko) 씨디엠에이기지국용클라이언트-서버구조구현장치및방법
JP384779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周波数割り当て方法および周波数割り当て装置
EP0953264B1 (en) Centralized radio network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797925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for TDD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0819363B1 (en) Automatic control channel planning in adaptive channel allocation systems
EP10713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 controlled handoff
US6151512A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optimum resource arrangements in a multi-sectored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EP1330930B1 (en) Temporary service interruption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US7474895B1 (en) Frequency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302943B1 (ko) 핸드오프 제어 시스템, 핸드오프 제어 방법 및 핸드오프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
EP0652644B1 (en) Base station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for cellular system
CA2315793C (en) Sca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JP2001522567A (ja) 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EP0898845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via an adjacent radio cell
US200201313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base transceiver st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31579A (ko) Cdma 디스패치 시스템
KR100968991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 서비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장치
EP1565018A2 (en)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frequency allocation method for same
US6359866B1 (en) Base station having transceivers used for communicating voice and packet data signals
WO2004043101A1 (en) A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of communicating measurement reports therefor
WO1997033394A9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dynamic channel allocation
US20050288032A1 (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215903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チャネル切替方法
KR10108395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비콘 파일롯 신호 생성 방법
JP200121824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