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947U -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947U
KR20000018947U KR2019990005236U KR19990005236U KR20000018947U KR 20000018947 U KR20000018947 U KR 20000018947U KR 2019990005236 U KR2019990005236 U KR 2019990005236U KR 19990005236 U KR19990005236 U KR 19990005236U KR 20000018947 U KR20000018947 U KR 200000189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heat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5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947U/ko
Publication of KR20000018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94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41J2/3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from ink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6Pin feeds
    • B41J11/27Pin feeds on or within the platen-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Landscapes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관한 것으로, 히트 롤러와 이송용 아이들 롤러에는 내열성이 있는 스크린이 감겨 각 롤러에 의해 회전되면서 화상을 형성한 토너를 정착시키는 동시에, 화상면을 외부와 차단시키며, 스크린의 일측 단부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각 롤러에는 안내홈에 끼워져 용지분리용 필름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히트 램프에서 발열되는 열은 히트 롤러를 통해 스크린에 전달되며,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스크린과 압착 롤러에 의해 정착이 이루어진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스크린의 안내를 받으면서 배지 롤러와 아이들 롤러 사이로 이동된다.
이에 의하여, 스크린이 일정 구간을 점유하면서 용지의 화상면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때문에 화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정착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FUSING DEVICE OF IMAGE FORMING DEVICE}
본 고안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트 롤러에 용지가 말리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용지의 정착된 화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와, 급지 카세트(1)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2)와, 픽업된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 롤러(3)와,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 (4)와, 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기(10)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 롤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기기의 작동이 개시되어 픽업명령이 하달되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픽업 롤러(2), 피드 롤러(3) 및 배지 롤러(5)가 회전되며, 픽업 롤러(2)는 급지카세트(1)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여 피드 롤러(3)까지 이송시키며, 피드 롤러(3)가 회전되면서 용지를 현상기(4)측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현상기(4)에서 이송중인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정착기(10)에 의해 용지에 정착되고, 정착이 끝난 용지는 배지 롤러(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프린터의 화상 형성 과정을 설명하면, 대전롤러에 고전압을 인가하면서 감광체와 접촉 회전시켜 감광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노광주사계를 통해 감광체의 표면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생성시킨 후 현상기를 통해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상으로 현상한다. 그리고, 전사롤러와 감광체 사이에 전사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시키므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토너로 형성된 상을 전사하고, 정착기를 통과시켜 열과 압력으로 용지에 상을 정착한 후 배출시키며, 제전램프를 통해 전사를 마친 감광체를 제전시켜 한 사이클의 화상형성 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정착기(10)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히트 램프(11)가 장착되며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관상의 히트 롤러(12)와, 이와 소정 압력을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압착 롤러(13)와, 압착 롤러(13)를 히트 롤러(12)측으로 탄력 지지하여 히트 롤러(12)와 압착 롤러(13)의 마찰력을 유지시키는 코일스프링(14)과, 히트 롤러(12)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송신하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정착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린터가 구동되면 히트 램프(11)에 전원을 인가되어 히트 롤러(12)를 가열시키게 되며, 그리고, 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히트 롤러(12)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기기가 작동되면, 현상기(4)는 이송중인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게 되며,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정착기(10)로 이동된다.
현상기(4)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히트 롤러(12)와 압착 롤러(13)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히트 롤러(12) 표면의 열에 의해 토너를 녹이게 되고, 압착 롤러(13)와의 압력에 의해 정착시키게 된다.
히트 램프(11)에 의해 가열된 히트 롤러(12)의 표면온도가 일정치를 넘어 가게되면 제어부는 히트 램프(11)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용지가 정착기(10)를 통과하게 될때 용지가 히트 롤러(12)에 말리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히트 롤러(12)의 원주면측 폭방향으로는 갈고리 형상의 용지분리용 핀(20)이 설치된다.
용지분리용 핀(20)은 셋트에 고정되며 단부가 히트 롤러(12)의 원주면과 근접된 상태로 설치되어 히트 롤러(12)에 말린 용지를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의하면, 히트 롤러(12)에서 분리된 용지는 화상면이 용지분리용 핀(20)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용지분리용 핀(20)에 의해 화상이 긁히기게 되어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착 동작은 히트 롤러(12)와 압착 롤러(13)의 접촉구간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착 시간이 매우 짧아 정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렇게 되면, 사용자의 손에 토너가 묻게 되는 동시에, 화상이 번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지분리용 핀(20)이 용지와 국부적으로 설치되어 용지의 접착력이 클 경우에는 용지를 분리시키지 못하거나 용지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착시 용지에 형성된 화상이 외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이 긁히거나 번지는 등의 인쇄품질 저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착 시간을 길게하여 화상을 보다 확실하게 정착시킴으로써 배출된 용지의 화상면에 외부 접촉이 가해지더라도 화상이 번지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착되는 용지가 히트 롤러에 말리지 않도록 하여 용지 걸림의 해소를 위한 번거로운 작업을 제거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스크린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 : 배지 롤러 5a : 아이들 롤러
6b,12a : 안내돌기 12 : 히트 롤러
13 : 압착 롤러 30 : 스크린
31 : 안내공 40 : 장력유지용 아이들롤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는, 내부에 히트 램프가 설치되며 압착 롤러와 소정 압력으로 마찰되어 용지상의 토너를 정착시키는 히트 롤러와, 상기 히트 롤러와 용지배출용 아이들롤러에 감겨 회전되면서 상기 히트 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을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트 롤러와 용지배출용 아이들 롤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안내돌기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각 롤러의 회전시 상기 안내돌기가 끼워져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장력유지용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는,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되는 히트 롤러(12)와, 히트 롤러(12)의 내부에 장착되어 히트 롤러(12)를 가열시키는 히트 램프(미도시)와, 히트 롤러(12)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히트 롤러(12)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소정 압력으로 히트 롤러(12)측으로 가압하는 압착 롤러(13)와, 압착 롤러(13)를 히트 롤러(12)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4)과, 히트 롤러(12)에 감겨 히트 롤러(12)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린(30)과, 스크린(30)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송신하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크린(30)는 히트램프의 열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테프론(TEFLON) 등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스크린(30)은 용지의 화상폭이상의 폭을 가지면서 히트 롤러(12)와 용지 배출용 아이들롤러(5a)에 감기며, 이 때, 스크린(3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아이들 롤러(40)가 설치된다.
히트 롤러(12)의 회전시 스크린(30)의 공회전 방지를 위해 스크린(30)의 일단에는 안내공(31)이 형성되며, 히트 롤러(12)와 아이들롤러(5a)의 일단에는 각 롤러(12)(5a)의 회전시 안내공(31)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면서 스크린(30)의 회전을 도와주는 안내돌기(12a)(5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기의 작동이 개시되면 히트 램프에 전원이 인가되어 소정의 열이 발생되며, 이 열에 의해 히트 롤러(12)가 가열되고, 이어서, 스크린(30)가 가열된다.
그리고,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히트 롤러(12)와 배출용 아이들롤러(5a)가 회전되며, 각 롤러(12)(5a)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안내돌기(12a)(5b)가 순차적으로 안내공(31)에 끼워지면서 스크린(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스크린(30)의 회전시 장력유지용 아이들롤러(40)에 의해 스크린(30)은 각 롤러(12)(5)에서 빠지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된다.
이와 같이 기기가 작동되면 용지가 픽업되며, 픽업된 용지의 표면에는 현상기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고, 이어서,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정착기로 이동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스크린(30)에 의해 이동되며, 이 때, 스크린(30)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과 압착 롤러(13)와의 마찰 압력에 의해 정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스크린(30)의 안내를 받으면서 배지 롤러(5)와 아이들롤러(5a) 사이로 이동되며, 스크린(30)에 의해 용지의 화상면은 외부와 차단된다.
이 때, 스크린(30)은 히트 램프(11)에 전달된 고온의 열을 계속해서 용지의 화상면에 전달하게 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 롤러(5)와 아이들 롤러(5a)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되며, 아이들 롤러(3a)의 곡률이 크기 때문에 스크린(30)에 말리지 않고 분리된다. 스크린(30)에 의해 일정 구간 동안 고온의 열을 전달받은 용지의 화상면은 배지 롤러(5)와 아이들 롤러(5a)의 물림력에 의해 용지 표면의 토너를 압착시키게 된다. 즉, 배지 롤러(5)와 아이들 롤러(5a)에 의해 정착 동작이 한번 더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30)이 히트 롤러(12)와 배지 롤러(5) 사이의 구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용지의 화상면이 외부와 차단되어 종래와 같이 화상이 긁히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히트 롤러(12)가 압착 롤러(13)를 통과한 용지가 스크린(30)와 접촉되어 히트 램프에서 발열되는 열이 일정 구간동안 지속적으로 화상면에 전달되는 동시에, 배지 롤러(5)와 스크린(30)에 의해 압착이 한번더 이루어지므로 종래보다 정착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용지가 히트 롤러(12)에 말리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지를 제거하기 위한 불필요한 작업이 없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의하면, 용지의 화상면이 외부와 차단되어 화상의 손상이 방지되므로 인쇄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착 시간이 길어져 토너를 효과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손에 토너가 묻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화상이 정착된 용지가 말리지 않으므로 용지 걸림을 해소하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이 없어진다.

Claims (3)

  1. 내부에 히트 램프가 설치되며 압착 롤러와 소정 압력으로 마찰되어 용지상의 토너를 정착시키는 히트 롤러와, 상기 히트 롤러와 용지배출용 아이들롤러에 감겨 회전되면서 상기 히트 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을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롤러와 용지배출용 아이들 롤러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안내돌기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각 롤러의 회전시 상기 안내돌기가 끼워져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장력유지용 롤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KR2019990005236U 1999-03-31 1999-03-31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KR200000189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36U KR20000018947U (ko) 1999-03-31 1999-03-31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36U KR20000018947U (ko) 1999-03-31 1999-03-31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47U true KR20000018947U (ko) 2000-10-25

Family

ID=5476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36U KR20000018947U (ko) 1999-03-31 1999-03-31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94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6170A (zh) * 2021-06-03 2021-07-06 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协助方法、系统、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6170A (zh) * 2021-06-03 2021-07-06 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协助方法、系统、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8390A (en) Cleaning sheet for fixating rotational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ixating rotational member
US7783239B2 (en) Fus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5432593A (en) Sheet overheat prevention mechanism for fixing device
US5422710A (en) Sheet discharging devic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0899629A2 (en) Fixing device in image forming device
US5742870A (en) Method for regulating temperature of a fix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JP4064393B2 (ja)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372691B2 (ja)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774273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80733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ice for reducing stagnant toner between fixing roller and cleaning web
KR20000018947U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US200802676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45017A (ja) 画像形成装置
JP2958039B2 (ja) ヒートロール定着装置のジャム防止機構
KR10037018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잼방지장치
JPH08185071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27349A (ja) 定着装置
KR100433554B1 (ko) 인쇄기의 정착장치
KR100465334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정착유닛
JP3195748B2 (ja) 定着装置
JPH08220921A (ja) 定着装置
JP2006126291A (ja) 画像形成装置
KR20010004944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KR20034223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JP4246403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