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874U -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874U
KR20000018874U KR2019990005140U KR19990005140U KR20000018874U KR 20000018874 U KR20000018874 U KR 20000018874U KR 2019990005140 U KR2019990005140 U KR 2019990005140U KR 19990005140 U KR19990005140 U KR 19990005140U KR 20000018874 U KR20000018874 U KR 200000188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ixed
tightening
driv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숙
Original Assignee
김상숙
전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숙, 전복수 filed Critical 김상숙
Priority to KR2019990005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874U/ko
Publication of KR20000018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74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휴대폰 충전용 취부장치는 고정나사공이 각각 뚫린 금속재로 된 고정판체(가)(나)를 대향되게 하여 양측 조절볼트(다)의 조임에 따라 절첩되게 형성하여 고정판체(가)는 자동차 운전석 전면 우측의오디오 장치 측면에 볼트로 고정을 하였으므로 자동차를 훼손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대향되는 타측 고정판체(나)는 휴대폰 충전용 스텐드에 고정을 하여 상·하측으로만 각도 조절이 되므로써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 중 핸드폰을 사용할 때는운전자의 전방을 보는 방향과 핸드폰이 취부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착·탈 또는사용시에 불편하였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원형돌부가 돌설된 PVC 접착판체를 양면테이프로 자동차 내부에 고정하고 원형돌부에는 만곡돌부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판의 중앙 요입부를 끼워 조임넛트로 조여서 충전용 스탠드의 방향을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지 원하는 대로 돌려 조정고정을 하므로써 운전중에도핸드폰을 편리하게 착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임.

Description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angle control sticking equipmen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휴대폰의 방향을 임의대로 조절하여 사용에 편리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휴대폰 충전용 취부장치는 고정 나사공이 각각 뚫린 금속재로 된 고정판체(가)(나)를 대향되게 하여 양측 조절볼트(다)의 조임에 따라 절첩되게 형성하여 고정판체(가)는 자동차 운전석 전면 우측의 오디오 장치 측면에 볼트로 고정을 하였으므로 자동차를 훼손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대향되는 타측 고정판체(나)는 휴대폰 충전용 스텐드에 고정을 하여 상·하측으로만 각도 조절이 되므로써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 중 핸드폰을 사용할 때는 운전자의 전방을 보는 방향과 핸드폰이 취부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착·탈 또는 사용시에 불편하였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원형돌부가 돌설된 PVC 접착판체를 양면테이프로 자동차 내부에 고정하고 원형돌부에는 만곡돌부 둘레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판의 중앙 요입부를 끼워 조임넛트로 조여서 충전용 스탠드의 방향을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지 원하는 대로 돌려 조정 고정을 하므로써 운전중에도 핸드폰을 편리하게 착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고정판이 방향전환을 하는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로써
(a)는 고정판이 상측으로 올려진 상태.
(b)는 고정판이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
(c)는 고정판이 좌측으로 돌려진 상태.
(d)는 고정판이 우측으로 돌려진 상태.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도5는 종래 고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자동차 2;핸드폰 3;충전용 스텐드 4,4',4",4'"..;삼각형요부
5,5',5",5'"..;삼각형철부 6;원형돌부 7;PVC접착판체 8;양면테이프
9,9',9",9'";절취부 10,10',10",10'";만곡돌부 11;나사부 12;고정판
13;요입부 14;조임넛트 15;테이퍼형 나사부
자동차(1) 내부에 핸드폰(2) 충전용 스텐드(3)를 고정함에 있어서 자동차 내부에 횡방향으로 삼각형 요부(4)(4')(4")..와 삼각형 철부(5)(5')(5")..가 형성되 고 중앙은 원형돌부(6)가 돌설된 PVC 접착판체(7) 이면을 양면테이프(8)로 고정하고 원형돌부(6)에는 다수의 절취부(9)(9')(9")(9"')로 등분된 만곡돌부(10)(10') (10")(10"') 둘레에 나사부(11)를 형성하여 고정판(12)의 중앙 요입부(13)를 끼우되 나사부(11)로는 조임넛트(14)의 테이퍼형 나사부(15)를 나사식 끼우기로 조여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6"은 보강대, "17"은 볼트, "18"은 볼트공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자동차(1) 내부에 양면테이프(8)로 PVC 접착판체(7)를 고정하고 타측의 고정판(12)에는 충전용 스텐드(3)를 볼트로 고정하여 핸드폰(3)을 안착한 상태에서 운전석 방향으로 핸드폰(3)을 돌리려면 조임넛트(14)를 약간 돌려 테이퍼형 나사부(15)를 만곡돌부(10)(10')(10")(10"') 외둘레에 형성된 나사부(11)에서 빠지게 되면서 고정판(12)의 중앙 요입부(13)에 끼워진 PVC 접착판체(7)의 원형돌부(6)를 감싼체 내향으로 조여진 만곡돌부(10)(10')(10")(10"')는 원래의 위치로 환원되어 느슨하게 한 후 고정판(12)에 볼트로 고정된 충전용 스탠드(3)를 운전석 방향으로 돌려주면 PVC 접착판체(7)의 삼각형 요부(4)(4')(4")..와삼각형 철부(5)(5')(5")..는 유연성 있게 휘어진 상태로 자동차(1) 내부에 양면테이프(8)로 접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체로 형성된 원형돌부(6)는 요동이 없고 고정판(12)의 만곡돌부(10)(10')(10")(10"') 내의 요입부(13) 부분이 돌려져 방향전환이 될 때에 충전용 스탠드(3)와 핸드폰(2)이 동시 위치 변경이 되게 한 후 조임넛트(4)를 다시 조여주면 테이퍼형 나사부(15)는 절취부(9)(9')(9")9"')로 등분된 만곡돌부(10)(10')(10")(10"')의 외둘레의 나사부(11)를 조여 만곡돌부(10)(10')( 10")(10"') 내측의 원형돌부(6)를 사방에서 조여 주므로 고정이 되는 것이며 우측이나 상·하측의 어느 방향으로든지 방향전환을 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임넛트(14)를 풀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충전용 스텐드(3)를 전위하고 다시 조임넛트(14)만 조여주면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1) 내부의 어느 위치에든지 부착하였다가 옮겨도 자동차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며 방향전환은 원하는 어느 방향으로도 간편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나 승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1) 내부에 핸드폰(2) 충전용 스텐드(3)를 고정함에 있어서 자동차 내부에 횡방향으로 삼각형 요부(4)(4')(4")..와 삼각형 철부(5)(5')(5")..가 형성되고 중앙은 원형돌부(6)가 돌설된 PVC 접착판체(7) 이면을 양면테이프(8)로 고정하고 원형돌부(6)에는 다수의 절취부(9)(9')(9")(9"')로 등분된 만곡돌부(10)(10') (10")(10"') 둘레에 나사부(11)를 형성하여 고정판(12)의 중앙 요입부(13)를 끼우되 나사부(11)로는 조임넛트(14)의 테이퍼형 나사부(15)를 나사식 끼우기로 조여 고정하여서 된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KR2019990005140U 1999-03-26 1999-03-26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KR200000188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140U KR20000018874U (ko) 1999-03-26 1999-03-26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140U KR20000018874U (ko) 1999-03-26 1999-03-26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74U true KR20000018874U (ko) 2000-10-25

Family

ID=5476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140U KR20000018874U (ko) 1999-03-26 1999-03-26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87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497B1 (ko) * 2004-12-16 2006-08-02 화남전자 주식회사 중장비 차량의 컨트롤 박스용 틸팅 브라켓
KR200468840Y1 (ko) * 2013-06-27 2013-09-04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 거치장치
KR102037784B1 (ko) * 2018-05-10 2019-10-29 (주)예진스포츠 회전 가능한 개량형 스노클
CN112454620A (zh) * 2020-10-10 2021-03-09 福建华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成型装置以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497B1 (ko) * 2004-12-16 2006-08-02 화남전자 주식회사 중장비 차량의 컨트롤 박스용 틸팅 브라켓
KR200468840Y1 (ko) * 2013-06-27 2013-09-04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 거치장치
KR102037784B1 (ko) * 2018-05-10 2019-10-29 (주)예진스포츠 회전 가능한 개량형 스노클
CN112454620A (zh) * 2020-10-10 2021-03-09 福建华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成型装置以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6899A (en) Mirror mount for vehicles
US5724199A (en) Adjustable auxiliary rear-view mirror mounting structure
JP3116100U (ja) モニタースタンド
KR20000018874U (ko) 휴대폰의 자동차내 각도 조절 취부 장치
JPS62234755A (ja) 車両のバツクミラ−取付装置
US5790661A (en) Mount plate for the cradle of a telephone
KR100624064B1 (ko) 차량용 핸즈프리 고정구
KR200389092Y1 (ko) 차량용 거치대
DK9700438U3 (da) Holdeindretning
JP3119612U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JP3338741B2 (ja) 視線誘導標の取付構造
US11892758B1 (en) Camera location apparatus
CN209904685U (zh) 一种车载摄像机安装支架
KR950003658Y1 (ko) 자동차의 보조후사경 지지브라켓
KR200402816Y1 (ko) 차량용 언더미러 장착구조
KR200395422Y1 (ko) 차량용 핸즈프리 고정구
JP2590114Y2 (ja) アンテナの取り付け構造
KR200150385Y1 (ko) 마이크 홀더
JP2606717Y2 (ja) 車輛用アンテナ取付装置
KR0150306B1 (ko) 자동차 룸 미러의 고정 구조
KR200230606Y1 (ko) 자동차용 실내 사각 백 미러
KR200191185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피봇 암 장착구조
JPH08292724A (ja) 車載モニター取付装置
KR200224368Y1 (ko) 자동차 후미 백밀러의 유착장치
JPH02491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