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862A - Tire pneum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vehicle - Google Patents

Tire pneum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862A
KR20000018862A KR1019980036675A KR19980036675A KR20000018862A KR 20000018862 A KR20000018862 A KR 20000018862A KR 1019980036675 A KR1019980036675 A KR 1019980036675A KR 19980036675 A KR19980036675 A KR 19980036675A KR 20000018862 A KR20000018862 A KR 2000001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neumatic pressure
air pressure
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09832B1 (en
Inventor
손학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8003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832B1/en
Publication of KR2000001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83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2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by monitoring conditions other than tyre pressure or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6Arrangement of air tank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1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by utilising wheel movement for accumulating energy, e.g. driving air compr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PURPOSE: A tire pneum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a vehicle is provided to reduce a braking distance through the driving of an air compressor, to increase ride comfortableness and safety and to effectively use fuel efficiency. CONSTITUTION: A device comprises: a braking energy recollecting device(100) having the way that the air compressor works by working an electronic clutch(12) when a driver operates a brake(10); a filling device(140) from using a service equipment and a real pneumatic pressure equipment inside a front bonnet; a first pneumatic pressure control device(110) setting the pneumatic pressure of a main tank and a subsidiary tank to apply a certain tire pneumatic pressure to the pneumatic pressure less than or more than the average value as a standard; a driver situation selecting mode; an ECU control device(120) for sensing the working of the electronic clutch; and a second pneumatic pressure control device(130) for controlling the tire pneumatic pressure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Description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Tire inflation regulato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중 제동하게 되면 가속시 전,후차륜에 작용하는 힘보다 제동시에 발생하는 힘이 더욱 크게 작용하며, 제동시 전륜이 받게되는 힘은 후륜에 비해 더욱 크게 작용하는데 이때 작용하는 제동력을 이용하여 공기압축을 실시하여 제동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inflation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braking during driving of a vehicle, a force generated during braking acts more than a force acting on a front and rear wheels during acceleration, and a front wheel receives a brake. The force that acts is greater than the rear wheels and relates to a tire inflation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the vehicle to reduce the braking distance by performing air compression using the braking force acting at this time.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자동차의 차체와 지면사이에서 차체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지면으로부터 받은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것으로 차체 및 화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타이어는 자동차의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주행 및 회전저항을 감소시켜 승차감을 우수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In general, tires support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and cargo 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body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ground, and absorbing and mitigating the impact received from the ground. Such a tire improves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functions to improve ride comfort by reducing driving and rolling resistance.

타이어는 자동차 휠의 외주에 끼워지고 공기압이 채워진 상태에서 휠과 함께 회전하면서 자동차의 주행시 그 성능을 다할 수 있도록 적당한 공기압이 채워져야 한다.The tires should be filled with the appropriate air pressure so that the tires fi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wheel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wheels while the air pressure is filled to achiev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그러나, 타이어의 공기압은 자동차의 주행 또는 제동시 가변적인 공기압을 필요로하게 된다. 이는, 공기압이 작으면 승차감은 향상되나 연료소비율이 증가하고, 공기압이 너무 많으면 연비는 개선되나 승차감은 저하되는 반대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However,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requires a variable air pressure when driving or braking the vehicle. This is because, if the air pressure is small, the riding comfort is improved, but the fuel consumption rate is increased, and if the air pressure is too high, the fuel economy is improved, but the riding comfort is reversed.

그러므로 자동차의 저,중속 주행시에는 공기압을 표준치보다 낮게 유지하고, 고속 주행시에는 표준치보다 상승시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keep the air pressure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when driving the vehicle at low and medium speeds, and to keep it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when driving at high speed.

상기와 같이 타이어의 공기압을 적절하게 조정하면 자동차의 다양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Properl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the various performance of the vehicle.

종래에는 제동력을 전기적, 기계적, 공압적인 에너지로 환원하여 구동력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려는 방법이 고안되어 왔다. 전기 자동차에는 전기에너지의 환원이 필수적이며 모터의 자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쉽게 얻을 수 있었으나 기름을 이용한 자동차에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Conventionally, a method has been devised to use the energy lost by reducing the braking force to electrical, mechanical and pneumatic energy and converting it into driving force. Reduction of electric energy is essential for electric vehicles and could be easily obtained by us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motor, but it is becoming a very difficult problem for automobiles using oil.

또한, 제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 기계적인 에너지 및 공기압으로 환원하고 그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모터, 공기압 모터등으로 크랭크 축을 구동하는 보조 동력원으로 이용하려는 시도(국내 특허공고 96-11645호)가 있었다. 그러나, 국내 특허공고 96-11645호는 가격대비 효율면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여 거의 실용화되지 않고 있으며 실제작에도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n attempt has been made to reduce braking energy to electrical energy, mechanical energy and air pressure and to use the energy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crankshaft with an electric motor, a pneumatic motor, and the like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96-11645). Howev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6-11645 is not practically used because it does not occupy an advantageous position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has many problems in actual works.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동력을 구동력으로 변환하기 보다는 다른 유효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을 고안하게 되었다. 우선, 저장된 압축 공기는 에어청소기, 임팩터, 타이어 공기주입 장치 등의 서비스 기기에 이용할 수 있고, 타이어 공기압 제어를 통해 차량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서비스 기기들은 타이어 공기압 제어에 충진이 끝난후에 이루어지는 제 2탱크의 공기를 이용하므로 공기량 부족시 유용하였고 주행중 충전장치를 포함하였다.Therefore, rather than converting the braking force to the driving force as described above it was devised a way to convert to other effective energy. First, the stored compressed air can be used for service devices such as air cleaners, impactors and tire inflation devices, and the tire air pressure control can keep the vehicle in an optimal state. Since the air used in the second tank after the end is useful because the air volume is insufficient, it includes a charging device while driving.

타이어 공기압 제어는 다수 제안되었던 국내 특허공개 97-26026호와 실용공고 93-3763호가 있지만 아직은 실차 적용된 바가 없고, 제안된 기술 역시 대략적 장치만을 고안한 것으로 중요한 부분에 대한 기술구성에 대한 해결책이 없으며, 실제 적용하는 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Tire pressure control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7-26026 and Practical Publication 93-3763, but the actual vehicle has not been applied yet, and the proposed technique is designed only as a rough device. Many problems occurred in actual appl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시에는 가속시에 가해지는 힘보다 상당히 큰힘이 짧은 시간에 작용하게 된다. 실제적으로는 전륜의 제동력이 차량의 중량과 관성력, 노우스 다운(Nose down) 등의 현상으로 후륜보다 1.5배 정도 크게된다. 따라서, 제동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전륜에 압축기를 설치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general, during braking of a vehicle, a much larger force acts in a shorter time than the force applied during acceleration. In practice, the braking force of the front wheels is 1.5 times larger than the rear wheels due to the weight, inertia, and nose down of the vehicle. Therefore, a compressor is installed on the front wheel to increase the braking effect.

운전자가 제동압력을 가할 때 유압량의 배출량에 따른 분포는 직선적으로 도출되며, 자동차의 제동력은 공기압축기의 운전을 충분히 할 수 있는 크기이다.When the driver applies the braking pressure,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is linearly derived,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is large enough to operate the air compress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제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정하므로서 공기압축기의 운전을 통해 제동거리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자동차의 승차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연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braking distanc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by using the braking energy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ride comfort and stability of the car, and to efficiently improve fuel efficiency Its purpose is to make it available.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를 보여주는 장치 구성도.1 is a device configuration showing a tire inflation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을 실제 차량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치도.2 is a layou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ctual vehicle.

도 3 은 본 발명의 제동 에너지 회수장치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raking energy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ECU 제어수단을 보여주는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CU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tir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ire inflation pressur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도 5의 휠과 허브 캐리어 부분의 공압라인 구성을 보여주는 배치도.FIG. 6 is a layout view illustrating a pneumatic line configuration of the wheel and hub carrier portions of FIG. 5;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브레이크 12 ; 전자 클러치10; Brake 12; Electronic clutch

14 ; 공기압축기 16,17 ; 타이어14; Air compressors 16,17; tire

18 ; 주탱크 20 ; 보조탱크18; Main tank 20; Auxiliary tank

20 ; 보조탱크 22 ; 변속기 축20; Auxiliary tank 22; Gearbox shaft

24 ; 필터 26 ; 공기압 라인24; Filter 26; Pneumatic lines

28 ; 솔레노이드 밸브 30 ; 드라이빙 샤프트28; Solenoid valve 30; Driving shaft

32 ; 휠 34 ; 체크밸브32; Wheel 34; Check valve

36 ; 너클 38 ; 홀36; Knuckles 38; hall

40 ; 커넥턱 42 ; 베어링40; Connector 42; bearing

100 ; 제동에너지 회수장치100; Braking energy recovery system

110 ; 제 1 공기압 제어장치110; 1st air pressure controller

120 ; ECU 제어수단 130 ; 제 2 공기압 제어수단120; ECU control means 130; Second air pressure control means

140 ; 충전장치140;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전자 클러치가 작동하면서 공기 압축기가 작동하는 방식을 취하는 제동에너지 회수장치와, 각종 공압장치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운전석 내부와 청소기 등의 사용을 위해 전면 본넷내에 실제 공압기기와 결합가능한 잭을 구성하는 서비스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충전장치와; 소정의 타이어 공기압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그보다 높은 공기압을 적용하거나 그보다 낮은 공기압을 적용하기 위해 설치된 주탱크와 보조탱크의 공기압을 설정하도록 하는 제 1 공기압 제어 장치와; 자동차의 일반 및 고속주행, 빗길주행 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한 주행등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황을 설정하는 운전자 상황 선택모드와, 타이어 펑크 및 탱크 압력 고저에 따른 전자클러치의 작동 그리고, 브레이크 누름양에 따른 전자클러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ECU 제어수단과; 자동차의 전륜과 후륜의 타이어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어 제 2 공기압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The tire pneum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raking energy recovery device that takes a form in which the air compressor operates while the electronic clutch operates when the driver activates the brake, and uses the in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cleaner for the useful use of various pneumatic devices. A charging device for using a service device which constitutes a jack which can be combined with a real pneumatic device in the front bonnet for the purpose of connection; A first air pressure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set air pressures of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installed to apply higher air pressure or lower air pressure when the predetermined tire air pressure is based on an average value; Driver situation selection mode, which sets the situation to detect general and high-speed driving, rain driving, or driving to improve ride comfort, operation of electronic clutch according to tire puncture and tank pressure elevation, and amount of brake ECU control means for detecting electronic clutch operation; Tire second air pressur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tire air pressure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ire air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자가 브레이크(10)를 작동시키면 전자 클러치(12)가 작동하면서 공기 압축기(14)가 작동하는 방식을 취하는 제동에너지 회수장치(100)와, 각종 공압장치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운전석 내부와 청소기 등의 사용을 위해 전면 본넷내에 실제 공압기기와 결합가능한 잭을 구성하는 서비스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충전장치(140)와; 소정의 타이어(16,17) 공기압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그보다 높은 공기압을 적용하거나 그보다 낮은 공기압을 적용하기 위해 설치된 주탱크(18)와 보조탱크(20)의 공기압을 설정하도록 하는 제 1 공기압 제어 장치(110)와; 자동차의 일반 및 고속주행, 빗길주행 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한 주행등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황을 설정하는 운전자 상황 선택모드와, 타이어 펑크 및 탱크 압력 고저에 따른 전자클러치(12)의 작동 그리고, 브레이크(10) 누름양에 따른 전자클러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ECU 제어수단(120)과; 자동차의 전륜(16)과 후륜(17)의 타이어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어 제 2 공기압 제어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When the driver activates the brake 10, the electromagnetic clutch 12 operates while the air compressor 14 operates, and the in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cleaner for the useful use of various pneumatic devices. A charging device (140) for using a service device constituting a jack that can be coupled with an actual pneumatic device in the front bonnet for use of the; First air pressure to set the air pressure of the main tank 18 and the auxiliary tank 20 installed to apply a higher or lower air pressure when the predetermined tire 16, 17 air pressure is based on the average value. A control device 110; Driver situation selection mode for setting the situation to detect the general and high-speed driving of the car, driving on the rain or driving to improve ride comfort,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lutch 12 according to tire puncture and tank pressure elevation, and brake ( 10) ECU control means 120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lutch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essing; Tire second air pressure control means 130 for controlling tire air pressure of the front wheel 16 and the rear wheel 17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을 실제 차량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치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동 에너지 회수장치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ire inflation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ayout showing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actual vehicl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raking energy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운전자가 브레이크(10)를 작동시키면 전자 클러치(12)가 작동하면서 공기 압축기(14)가 작동하는 방식을 취하는 제동에너지 회수장치(100)가 동작하고, 각종 공압장치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운전석 내부와 청소기 등의 사용을 위해 전면 본넷내에 실제 공압기기와 결합가능한 잭을 구성하는 서비스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충전장치(140)가 전원을 공급하며, 소정의 타이어(16,17) 공기압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그보다 높은 공기압을 적용하거나 그보다 낮은 공기압을 적용하기 위해 설치된 주탱크(18)와 보조탱크(20)의 공기압을 제 1 공기압 제어 장치(110)가 설정하고, 자동차의 일반 및 고속주행, 빗길주행 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한 주행등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황을 설정하는 운전자 상황 선택모드와, 타이어 펑크 및 탱크 압력 고저에 따른 전자클러치의 작동 그리고, 브레이크 누름양에 따른 전자클러치 작동을 ECU 제어수단(120)이 감지하고 동작시키며, 이때 타이어 제 2 공기압 제어수단(130)이 자동차의 전륜과 후륜의 타이어 공기압을 제어한다.First,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10, the braking energy recovery device 100, which takes the manner in which the air compressor 14 operates while the electromagnetic clutch 12 operates, operates the driver's seat for useful use of various pneumatic devices. The charging device 140 supplies power to use a service device constituting a jack that can be combined with an actual pneumatic device in the front bonnet for use of the inside and the cleaner, and the predetermined tire (16, 17) air pressure is averaged. Based on the standard, the first air pressure controller 110 sets the air pressure of the main tank 18 and the auxiliary tank 20 installed in order to apply higher or lower air pressures, and the general and high-speed driving of the vehicle. Driver status selection mode that sets the status to detect conditions such as driving on rain, driving or improving ride comfort, and electronics according to tire puncture and tank pressure elevation The ECU control means 120 detects and operates the clutch and the electronic clutch according to the amount of brake presses, and the second tire pressure control means 130 controls the tire air pressure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제동에너지 회수장치(10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10)를 작동시키면 전자클러치(12)가 작동하면서 공기 압축기(14)가 동작하게 된다. 수동변속기 사용할 때 클러치(12)를 차단 후 브레이크(10) 작동 및 엔진 브레이크시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변속기 중단축(22)에 연결하고 상기 축은 디퍼런셜 기어와 연결시킨다.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10, the braking energy recovery device 100 operates the electronic clutch 12 while operating the air compressor 14. When using a manual transmission, the clutch 12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stop shaft 22 so that the brake 10 can be operated after the brake 10 is operated and the engine brake, and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gear.

미션의 형태에 따라 위치 수정이 필요하고, 공기 압축기(14)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로터리 형을 사용하며 회전수는 타이어 회전수의 약 3.5배의 차동기어비를 가지게 된다.Position correc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of mission, the air compressor 14 uses a rotary type to reduce the space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has a differential gear ratio of about 3.5 times the number of tires.

도 4 는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ECU 제어수단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 은 도 5의 휠과 허브 캐리어 부분의 공압라인 구성을 보여주는 배치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CU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tire inflation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ire inflation pressur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wheel and hub carrier portion of Figure 5 A layout showing the pneumatic line configuration.

상기 본 발명의 공기압 조정장치는 각종 공압장치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운전석 내와 청소기 등의 사용을 위해 전면 본넷내에 공압기기와 결합가능한 잭을 설치하고, 충전장치에 있어 탱크내의 공기가 소진할 때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상시에는 운행중에 클러치를 연결하여 구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진시킬수 있도록 설치한다. 두부분의 잭의 연결부위에는 체크밸브를 두어 별도의 전기적인 제어 없이 한방향만으로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The pneum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jack that can be combined with a pneumatic device in the front bonnet for use of various types of pneumatic devices in the driver's seat and a cleaner, and when the air in the tank is exhausted in the filling device, In case of emergency,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lutch during operation so that it can be charged using driving energy. A check valve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two parts to prevent air leakage by inducing air flow in only one direction without any electric control.

또한, 제 1공기압 제어수단(130)은 타이어 공기압을 평균 30psi(2.1kgf/cm2)로 기준하였을때 주탱크(18)의 기존압을 필요압력의 2.5배를 적용하여 5kgf/cm2의 압력과 175R12이 타이어 전체에 공기 주입이 가능한 용량인 10ℓ 탱크를 지정하고, 보조탱크(20)는 앞, 뒤 범퍼사이에 장착하며 각 30ℓ의 용량을 설치하며, 이 탱크의 허용압력은 공압기기의 유용한 사용을 위하여 7kgf/cm2일 때 2000rpm 시 63ℓ의 공기 저장이 가능한 0.75kw의 공기압축기(14)를 장착한다. 이와 연결되는 전자클러치(12)는 공기압축기(14)의 용량을 고려하여 1.5hp로 선정한다.In addition, the first pressure control means 130 is the average tire pressure 30psi (2.1kgf / cm 2) applied to a 2.5 times the pressure required to the existing pressure of the main tank (18) when the reference pressure of 5kgf / cm 2 And 175R12 designate a 10ℓ tank which is capable of injecting air into the entire tire, and the auxiliary tank 20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bumpers and installs a capacity of 30ℓ each. For use, a 0.75 kw air compressor 14 capable of storing 63 liters of air at 2000 rpm at 7 kgf / cm 2 is fitted. The electronic clutch 12 connected thereto is selected to 1.5 hp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air compressor 14.

또한, 공기탱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24)를 장착하고 공기압 라인(26)은 4mm의 알루미늄 관으로 장착하며, 고무튜브로 외부를 둘러싸 안전을 도모한다. 공기압 라인(26)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8)는 2포트와 3포트 인아웃 배출방식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filter 24 is mounted to remove moisture and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tank, and the pneumatic line 26 is mounted with a 4 mm aluminum tube, and the rubber tube surrounds the outside for safety. The solenoid valve 28, which controls the pneumatic line 26, uses two-port and three-port in-out discharge methods.

계속해서, 상기 ECU 제어수단(120)은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부가적인 센서가 많이 들어가게 되는 전자동 제어보다는 저렴하고 간단히 제어할 수 있도록 모드 선택은 운전자가 상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수동모드로 하고 기타 필요한 작동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ECU control means 120 is a manual mode so that the driver can select a situa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situation so that the control is cheaper and simpler than the automatic control, which is excessively costly and requires additional sensors. Operation is automatic.

운전자 상황 선택 모드는 일반주행과 고속주행, 빗길주행과, 승차감 향상을 위한 모드주행으로 설정하고, 자동 선택 모드는 공기압의 계속적인 저하를 감지하할 수 있는 타이어 펑크 신호와, 탱크 압력의 고,저에 따른 전자클러치 작동 및 차단과, 브레이크(10) 누름양에 따른 전자클러치(12)의 작동 환경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설정한다.The driver's situation selection mode is set to normal driving, high speed driving, rain driving, and driving mode to improve ride comfort. The automatic selection mode is a tire puncture signal that can detect a continuous drop in air pressure, high tank pressure, Electronic clutch operation and blocking according to the low,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lectronic clutch 12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essing the brake 10 is set to automatically select.

상기 ECU의 샘플 타이밍(sampling timing) 선정은 솔레노이드 밸브(28)의 목표 응답속도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0-30 m sec로 하고, 입력 데이터의 주기가 거의 없거나 같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장애조건은 없으며, 시스템의 안정성에 장애가 될 논 리니어(Non linear) 성질이 없으므로 샘플링 타이밍은 10 m sec로 하여도 충분한 제어가 된다.The sampling timing of the ECU is set to 20-30 m sec, which generally uses the target response speed of the solenoid valve 28, and since the period of the input data can be regarded as little or the same, there is no fault condition. Since there is no non-linear nature that will impede the stability of the sample, the sampling timing is sufficient even with 10 m sec.

타이어 제 2 공기압 제어수단(130)은 전륜(16)에서는 후륜(17)과 같이 너클(36)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드라이빙 샤프트(30)로 회전이 된다.The tire second air pressure control unit 130 is rotated by the driving shaft 30 in the front wheel 16, rather than the knuckle 36 being fixed like the rear wheel 17.

먼저, 휠(32)에 공기압 라인(26)을 4개 설치하여 타이어 내부로 연결하고, 그 공기압 라인(26)을 휠(32) 중앙에 집결하여 체크밸브(34)가 붙은 커플러에 연결한다.First, four pneumatic lines 26 are installed on the wheels 32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ire, and the pneumatic lines 26 ar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wheels 32 and connected to the coupler having the check valve 34 attached thereto.

너클(36) 중앙에는 5mm이 홀(38)을 형성하고, 휠(32)의 중앙부에 있는 커플러와 연결되도록 커넥터(40)를 장착한다. 상기 커넥터(40)에는 체크밸브(34)와 회전형 공압 라인을 설치하여 공기의 방출을 막는다.In the center of the knuckle 36, 5 mm forms a hole 38, and the connector 40 is moun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upler at the center of the wheel 32. The connector 40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34 and a rotary pneumatic line to prevent the release of air.

이 회전부 이후의 공기압 라인(26)은 너클(36)과 같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너클(36)에서 휠(32)과 반대편의 끝단부에는 공기압 제어 구성장치의 불량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단밸브가 설치된다.The air pressure line 26 after this rotation part is fixedly installed like the knuckle 36. At the end of the knuckle 36 opposite the wheel 32, a shutoff valve is installed to ensure safety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pneumatic control component.

상기 밸브를 통과하여 주탱크(18)와 연결되는데 그 종단부에 공기압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3포트 솔레노이드 밸브(28)가 설치된다. 공기압 유입 시작부에는 공기내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소형필터가 장착된다.It passes through the valv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tank 18, the three-port solenoid valve 28 for the inlet and outlet of air pressure is installed at the end. At the beginning of the air pressure inlet, a small filter is installed to remove moisture and dust in the air.

상기한 바와 같이 너클(36) 중앙에 5mm의 홀(38)을 형성하고, 휠(32)의 중앙부에 있는 커플러와 연결되는 커넥터(40)를 장착하며, 상기 커넥터(40)에는 체크밸브(34)만을 설치하여 공기의 방출을 막는다. 이 라인은 드라이빙 샤프트(30)의 중심 홀(38)을 통과하고 드라이빙 샤프트(30)가 허브 캐리어를 빠져나오는 지점에서 드라이빙 샤프트(30)를 연장시켜서 이곳에 가운데가 빈 공간인 두 개의 베어링(42) 세트를 결합한다. 압축공기는 구동축의 가공된 중심 구멍을 통과하여 빠져나와 베어링(42) 사이의 회전하지 않는 공간을 통해 배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a 5 mm hole 3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knuckle 36, and a connector 40 connected to a coupler at the center of the wheel 32 is mounted. The connector 40 has a check valve 34 ) Only to prevent the release of air. This line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38 of the driving shaft 30 and extends the driving shaft 30 at the point where the driving shaft 30 exits the hub carrier, so that there are two bearings 42 which are hollow in the middle. ) Combine sets. Compressed air exits through the machined center hole of the drive shaft and discharges through the non-rotating space between the bearings 42.

베어링(42)과 드라이빙 샤프트(30) 사이는 완전히 밀착시켜 압축공기의 유동을 차단하고, 조향부의 움직임을 위해 베어링(42) 세트를 빠져나온 공기압 라인(26)은 고무튜브를 일정 부분 구성하고 이후는 후륜(17)과 동일하게 구성된다.The bearing 42 and the driving shaft 30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lock the flow of compressed air, and the pneumatic line 26 exiting the set of bearings 42 for movement of the steering part constitutes a part of the rubber tube.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rear wheel 17.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균도심운행 거리를 40km로 설정할 때 약 30회의 제동 횟수를 가지게 되고 평균 40km에서 제동이 이루어진다면 62ℓ 충전이 가능한 0.75kw이 압축기를 적합하게 설치한다. 이 충전공기량은 하루 주행으로 모든 탱크를 채울수는 없지만 대부분 탱크 보충이 필요할 뿐이므로 문제가 없으며, 급히 공기의 충전이 필요할때에는 구동중에 클러치를 연결하여 압축기를 가동하면 40 km의 속도로 약 2-3 분 정도면 충전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bout 30 times of braking times when the average urban running distance is set to 40 km, and when the braking is performed at an average of 40 km, 0.75 kw capable of charging 62 L is suitably installed. This filling air volume can not fill all the tanks in one day, but most of the tanks need to be refilled, so there is no problem. You can charge in minutes.

타이어(16,17)의 공기압이 30% 적어지면 약 10%의 연비가 나빠지는데 이는 기준 타이어 공기압을 30psi라고 할 때 1psi의 변화가 있을 경우 약 3리터 100km의 연비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매체가 공기라는 단점으로 인해 온도변화에 따라 공기의 체적변화로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1psi의 압력변화를 가져오며 이는 계절 변화와 장시간 주행시에 마찰열로 인해 공기압이 변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속도로에서는 3-5psi(10%-13%)정도의 압력을 높여 주고 온도 변화에 따른 공기압을 보정해 줌으로써 연비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f the tire pressure of the tires 16 and 17 is reduced by 30%, the fuel economy of about 10% is worsened. This results in a fuel efficiency loss of about 3 liters 100km when the standard tire pressure is 30 psi. In addition, due to the disadvantage that the medium is air, as the temperature changes due to the change in the volume of the air, a pressure change of 1 psi causes a change in air pressure due to the frictional heat during the seasonal change and the long ru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fuel efficiency and safety 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3-5psi (10% -13%) and compensating the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n the highway.

그리고, 고속도로 및 속도를 많이 낼 수 있는 도로에서는 타이어 공기압이 규정치보다 높은 것이 안전 및 연비면에서 유리하다. 이는 고속 주행시 트래드가 받는 원심력과 타이어 내부 공기압력에 의한 장력이 타이어에 작용하는 스탠딩 웨이브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가능해지는데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고속주행을 하면 접지면에서 이러한 장력에 저항한 벼녕이 생기게 된다. 이때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타이어의 변형속도보다 빠를 경우 접지면의 후방에 스탠딩 웨이브가 남게되어 이곳에 볼록한 부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타이어의 구름저항이 상승하고 연비가 증가하게 되므로 차량에 큰 악영향을 미친다.In addition, on the highway and the road that can produce a lot of spee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afety and fuel efficiency that the tire pressure is higher than the prescribed value. This can be achieved by eliminating the standing wave phenomenon caused by the centrifugal force applied by the tread a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ire during high-speed driving. When the vehicle is driven at a high speed with low air pressure, the ground surface will resist this tension. do. 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car is faster than the deformation speed of the tire, standing waves remain behind the ground plane, and convex portions are formed there. As a result, the rolling resistance of the tire is increased and fuel economy is increased, which greatly affects the vehicle.

그러나, 본 발명은 고속 주행시 기준 공기압보다 10-13% 높이게 되므로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억제되고 또한 주행 저항이 줄어 연비면에서도 유리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10-13% higher than the reference pneumatic pressure at high speed, the standing wave phenomenon is suppressed, and the running resistance is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fuel efficiency.

또한, 우천시 물에 젖은 도로를 고속으로 주행할 때 조금만 고속으로 주행해도 타이어의 슬립으로 안정적인 조향이 어려워지는데 이때는 공기압이 규정치보다 높은 것이 안전상 유리하다. 이것은 타이어의 트래드가 물을 완전히 밀어내지 못하고 수막위를 주행하는 상태가 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때 자동차의 관성력만으로 주행하는 상태가 되어 타이어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여 마찰계수가 현저히 저하하게 되어 치명적인 위험을 가져오게 된다.In addition, when driving at high speed on a wet road in rainy weather, it is difficult for stable steering to be difficult due to slip of the tire. Thi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tire tread does not completely push out water but is running on the water film, and at this time, the tire is driven only by the inertia force of the car, which loses the tire's original function,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ly lowered. Will be imported.

따라서, 본 발명은 임계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공기압을 높여 우천시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ir pressure a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critical speed can increase the stability in the rain.

그리고, 일반적으로 주행시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면 육감에 의해 감지해야 하는데, 고속 주행시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면 큰 위험이 뒤따른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타이어 공기압 압력센서를 통해 공기압의 현저한 압력 변화를 보이면 시각, 청각적으로 이를 운전자에게 지시하고 또한 튜브리스 타이어의 경우에는 대부분 미세한 펑크가 발생하여 급격한 공기의 배출이 없으므로 펑크 경고후 계속적인 공기 보충을 공기보충으로 정비소까지 주행이 가능하게 하여 여성 운전자 및 초보자들에게 견인 및 노면에서의 위험한 작업을 막을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tire puncture occurs during driving, the sixth sense should be sensed by the sixth sense. To compensate for this, when the tire pressure sensor shows a significant pressure change in the air pressure, the driver is visually and audibly instructed to the driver.In the case of tubeless tires, most punctures occur and there is no sudden air discharge. Continuous replenishment of air can make it possible to drive to the workshop, thus preventing female drivers and beginners from towing and dangerous work on the road.

계속해서, 타이어 공기압 제어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압이 형성되면 보조탱크에 공기가 압축되고, 이를 이용하여 청소가 어려웠던 엔진룸내 및 손이 닿지 않는 곳을 에어 청소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할 수 있고, 임팩터 및 타이어, 자전거 공기 주입기 등 각종 공압기구 레저용 기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sufficient air pressure for tire pressure control is formed, the air is compressed in the auxiliary tank,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the air cleaner in the engine room and out of reach where it was difficult to clean using the impactor, tire, Various pneumatic equipment leisure equipment such as bicycle air injector can be used.

그리고, 반드시 공기가 필요한 경우와 공기량이 현저히 줄어들 경우 엔진의 힘으로도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가변 스위치를 장착하여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is absolutely necessary and the amount of air is significantly reduced, convenience can be provided by installing a variable switch that enables the compressor to be driven by the power of the engine.

상기 타이어(16,17)의 공기압을 규정치보다 높게 설정한다면 일반도로에서는 탑승자의 안락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며 반대로 공기압이 규정치보다 낮다면 안락성은 증가하나 연비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과다한 공기압 저하는 고속 주행시 타이어 내부 과다 압력을 초과하여 타이어가 파열되는 위험을 가져올 수 도 있다. 보통 노약자들과 어린이들이 차량의 진동에 익숙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때는 공기압을 낮추어 타이어의 댐핑계수를 높여 느끼는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승차자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차감을 조절할 수 있다.If the air pressure of the tires 16 and 17 is set higher than the prescribed value, the result is a reduction in the comfort of the occupant on the general road. On the contrary, if the air pressure is lower than the prescribed value, the comfort is increased but fuel efficiency is reduced. In addition, excessive air pressure drop may cause the tire to burst due to excessive pressure inside the tire at high speeds. In general, the elderly and children tend to be unfamiliar with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driv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riding comfor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rider since the air pressure can be improved to improve the feeling of riding by increasing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tire.

상기 공압기기에 이용할 보조 탱크(20)는 고무로 된 튜브탱크 30ℓ로 만들어 차량의 범퍼내에 설치하여 충전 최고 공기압인 7km cm2으로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이 탱크는 언제나 완충 최소 공기압인 2km cm2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릉 통해 탱크를 별도로 서치하는 공간과 탱크의 무게를 줄이게 되며, 기존 우레탄 재질보다 충격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범퍼 및 고무탱크의 재활용에서 기존의 복합재료 범퍼보다 훨씬 용이하다.The auxiliary tank 20 to be used for the pneumatic equipment is made of a rubber tube tank 30ℓ installed in the bumper of the vehicle to mitigate the impact to 7km cm2, the maximum filling air pressure. In addition, the tank should always be maintained at least 2 km cm2, the minimum air pressure. This reduces the weight of the tank and the space for the separate search of the tank. The shock absorbing ability is bet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urethane material, and it is much easier to recycle the bumper and rubber tank than the conventional composite bump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는 우천시 타이어 공기압을 높여 접지력을 향상시키므로서 안전한 조향이 가능하고, 승차자의 선택에 의해 승차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차자의 정서적 안전이 도모되며, 공기압을 이용하여 정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ire inflation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safety of the tire by increasing tire inflation pressure in rainy weather, and enables a safe steering by selecting the rider, thereby improving emotional safety of the rider. There is an advantage of using air pressure to provide convenience of maintenance.

또한, 일반도로 및 고속도로등에 차등적용 될 수 있도록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연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고, 스탠딩 웨이브 및 하이드로 플래닝 현상을 억제하여 조향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el economy is improved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to be differentially applied to roads and highway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eering stability by suppressing the standing wave and hydro-planning phenomenon.

그리고, 타이어의 펑크시 타이어 공기압 센서를 통해 비상시 경보장치, 벨 등을 이용하여 인식이 가능하므로 위험한 도로변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범퍼내의 우레탄 복합재질 대신 고무탱크로 대체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사고시 운전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by using an emergency warning device, bell, etc. through the tire pneumatic pressure sensor when the tire punctures, there is no need for dangerous roadside work, it is excellent in safety, and replaced by a rubber tank instead of a urethane composite material in the bumper and compressed By using the air to absorb the shock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driver's lif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Claims (1)

본 발명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전자 클러치가 작동하면서 공기 압축기가 작동하는 방식을 취하는 제동에너지 회수장치와, 각종 공압장치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운전석 내부와 청소기 등의 사용을 위해 전면 본넷내에 실제 공압기기와 결합가능한 잭을 구성하는 서비스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충전장치와; 소정의 타이어 공기압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그보다 높은 공기압을 적용하거나 그보다 낮은 공기압을 적용하기 위해 설치된 주탱크와 보조탱크의 공기압을 설정하도록 하는 제 1 공기압 제어 장치와; 자동차의 일반 및 고속주행, 빗길주행 또는 승차감 향상을 위한 주행등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황을 설정하는 운전자 상황 선택모드와, 타이어 펑크 및 탱크 압력 고저에 따른 전자클러치의 작동 그리고, 브레이크 누름양에 따른 전자클러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ECU 제어수단과; 자동차의 전륜과 후륜의 타이어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어 제 2 공기압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king energy recovery device that takes the form of an air compressor operating when the driver activates the brake and the electronic clutch operates, and actual pneumatics in the front bonnet for use of the inside of the driver's seat and a cleaner for useful use of various pneumatic devices. A charging device for using a service device constituting a jack coupleable with the device; A first air pressure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set air pressures of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installed to apply higher air pressure or lower air pressure when the predetermined tire air pressure is based on an average value; Driver situation selection mode, which sets the situation to detect general and high-speed driving, rain driving, or driving to improve ride comfort, operation of electronic clutch according to tire puncture and tank pressure elevation, and amount of brake ECU control means for detecting electronic clutch operation; A tire inflation pressure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tire second air pressur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ire air pressures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KR1019980036675A 1998-09-07 1998-09-07 Tire air pressure regulator of automobile KR100309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75A KR100309832B1 (en) 1998-09-07 1998-09-07 Tire air pressure regulator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75A KR100309832B1 (en) 1998-09-07 1998-09-07 Tire air pressure regulator of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62A true KR20000018862A (en) 2000-04-06
KR100309832B1 KR100309832B1 (en) 2002-04-24

Family

ID=1954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675A KR100309832B1 (en) 1998-09-07 1998-09-07 Tire air pressure regulator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83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41A (en) * 2000-05-10 2000-09-05 최윤식 Four seasons all-weather tire proper air pressure value by the law of moving object equilibrium
KR101332884B1 (en) * 2011-11-29 2013-11-25 조국일 A Control Apparatus Of Lugwarm Spawning
KR20160022203A (en) * 2014-08-19 2016-02-29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Dynamic tire air pressur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547B1 (en) * 2001-08-11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afety apparatus for sensing air pressure of tire and the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41A (en) * 2000-05-10 2000-09-05 최윤식 Four seasons all-weather tire proper air pressure value by the law of moving object equilibrium
KR101332884B1 (en) * 2011-11-29 2013-11-25 조국일 A Control Apparatus Of Lugwarm Spawning
KR20160022203A (en) * 2014-08-19 2016-02-29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Dynamic tire air pressure system
US9522577B2 (en) 2014-08-19 2016-12-20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Dynamic tire air pressur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832B1 (en)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6263B2 (en) Smart active tyre pressure optimising system
US10059154B2 (en) Traveling device
KR20010113042A (en) Method for the automatic operation of a tire inflat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CN101094783B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nd controlling brake force between retarders and vehicle mounted with the control system
WO2008142679A2 (en) Tire inflation system
KR20000018862A (en) Tire pneum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vehicle
CN104760481A (en) Electrically-driven hydraulic independent suspension coiled tubing chassis
CN214822600U (en) Four-wheel drive tractor
CN2602977Y (en) Washboard type brake device for car
CN101327718A (en) Tyre wing wheel
KR100766856B1 (en) Apparatus for regulating air pressure of tire
KR100228121B1 (en) Device for ensuring safe off-road driving
JP2885091B2 (en) Snow removal vehicle
CN114523943B (en) Vehicle auxiliary brak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10085517A1 (en) Awd system with road condition analysis system
KR200354369Y1 (en) A baiancing equipment for car's body
CN112092643A (en) Locomotive linear control driving system
KR200353984Y1 (en) A seat baiancing equipment for car
KR200259390Y1 (en) Automobile break system by spraing the pressured air to the road in the rain
KR0181627B1 (en) Variable air spring for suspension
KR100188587B1 (en) Prevention method of tire side abrasion
JP5173894B2 (en) Vehicle behavior control device
CN2818256Y (en) Emergent braker of vehicle
KR19980040210A (en) Tracking controller using suspension control of car
JPH05139174A (en) Vehicle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