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153A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153A
KR20000018153A KR1020000001831A KR20000001831A KR20000018153A KR 20000018153 A KR20000018153 A KR 20000018153A KR 1020000001831 A KR1020000001831 A KR 1020000001831A KR 20000001831 A KR20000001831 A KR 20000001831A KR 20000018153 A KR20000018153 A KR 2000001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electromagnetic
jaw
cellular phone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0000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153A/ko
Publication of KR2000001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에 전자파 차단장치를 부착하고 전자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테나를 설치한 휴대폰 및 무선전화기, 무전기 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전자파가 가장 강하게 방출되는 안테나 끝을 전자파 차단용 캡으로 감싸고, 안테나 설치방법에 있어 통화할 때 두뇌에서 가장 먼 턱 아래 쪽으로 인출되도록 한 휴대폰(무선전화기, 무전기 포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장치(1)를 안테나(2)에 장착하고 통화시 안테나의 인출방향을 송신부(3)쪽인 턱 아래쪽으로 하도록 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휴대폰은 모두 수신부(5)쪽인 두뇌 쪽으로 안테나가 향하고 안테나에 전자파 차단장치가 없어 두뇌와 근접한 거리에서 강력한 전자파가 방출되어 전자파 위험에 두뇌가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폰 통화시 안테나의 인출 방향을 두되쪽이 아닌 수신부쪽인 턱 아래쪽으로 인출되게 하므로써 전자파에 특히 취약한 두뇌에서 가능한 먼쪽에서 전자파가 방출되게 하여 전자파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왜냐하면 휴대폰 통화시 전자파는 아테나에서 가장 강하게 방출되게 되어있고 전자파의 강도는 방출원 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므로 두뇌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학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신체부위중 두뇌는 가장 연한 조직으로 되어 있고 수백만 개의 복잡한 신경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자파 피해가 가장 치명적일 수 있다 한다. 또한 외국의 예를 보면 무전기를 장시간 사용한 경찰관이 뇌암에 걸려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한 바도 있고 많은 피해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신체의 두뇌 부분은 전자파를 오래 쬐면 Gel 상태로 되어 뇌종양, 정신장애 등을 일으킨다는 학설이 있어 WHO는 14개 국가에서 수 천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연구에 착수한다고 밝혔고, 독일 암 연구센터 에서는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고 설명하고 "디지털 통신망속의 휴대전화는 초단파와 같은 범위의 1800 Mhz에 달하는 고주파 복사선을 방출한다 "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관에서 가급적 멀리 떨어진 기관에서 전파를 방출시켜야 하는데, 일례로 두뇌에서 불과 2cm떨어진 종래의 안테나 끝에서 받는 전자파의 강도는 20cm떨어진 본 발명의 안테나 끝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강도의 100배가 된다.
*전자파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므로
2cm2:20cm2= 4 : 400 = 1 : 10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의 끝을 매우 첨예하게(뾰족하게) 하므로써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최대한 안테나 끝으로 집중되도록 하였다. 왜냐하면 전자파의 전하들은 도체표면의 곡률 반지름이 가장 작은 모서리 부분이나 피뢰침과 같이 끝이 뾰족한 부분에서 가장 많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종래의 안테나는 끝이 동그랗게 되어 있거나 무디게 잘라진 형태로 되어있어 전파 집중력이 부족하다.(도면 6B)
위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휴대폰에 설치된 안테나와는 달리 송화기(5)쪽, 즉 종래와 반대 방향으로 안테나가 인출되도록 장착 방식을 바꾸었다. 이렇게되면 전자파가 가장 많이 방출되는 안테나 끝부분이 도면 5와 같이 턱 아래쪽이나 턱 좌·우쪽으로 향하게 되어 전자파가 두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전화가 오면 즉시 통화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한손으로 아래쪽으로 안테나를 인출할수 있게 되어 편리하고 안테나를 더많이 사용하게 되도록 하였다.
종래의 안테나는 머리 위 쪽으로 인출하게 되어있어 통화와 동시에 인출하지 못하고 인출하고 나서 통화를 해야 하므로 시간이 걸리고 불편한 관계로 안테나를 인출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1 (A)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파 차단 캡을 장착한 안테나를 설치한 휴대폰의 인출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파 차단캡을 장착한 안테나를 설치한 휴대폰의 인출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휴대폰으로 통화할때의 안테나 위치 및 방향을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전자파 차단용 캡을 안테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전자파 차단용 반구형 캡을 안테나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A:반구형 B: U자형
C:전자파 차단용 캡을 이중으로 장착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파 차단 캡을 장착한 안테나를 설치한 휴대폰으로 통화할 때의 안테나 위치 및 방향을 도시한 측면도.
도 6 A는 안테나와 전자파 차단 캡을 우레탄수지 등으로 피복한 상태의 단면도.
도 6 B는 종래의 휴대폰 안테나의 단면도.
*도면 6 B의 설명 종래의 휴대폰 안테나 의 단면도로서 기호6은 우레탄이나 플라스틱 으로 안테나 모양만 갖추었다. 기호7은 금속선으로 된 실질적 안테나이며 겉으로 보는 길이보다 짧으며 끝이 무디게 되어있다.(도 6 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자파 차단용 반구형 캡 (모자) 2. 안테나
3.송신부 4.플립
5.수신부 6.종래의 휴대폰에 장착한 안테나의 피복부분.
7.실질적 기능을 하는 안테나. 12.끝을 뾰족하게 한 부분
본 발명에 따르면 도4 와 같이 전자파 차단용 캡(모자)을 만들어 장착하고 통화시에 도5 와 같이 수신부가 아닌 송신부 쪽으로 안테나가 인출되게 장착하여 전자파를 신체 반대쪽으로 반사 되도록 하고 통화와 동시에 용이하게 인출 되도록 하였다. 또한 안테나 끝을 도4 와 같이 뾰족하고 날카롭게 하여 더 많은 전파가 안테나 끝으로 집중되도록 하였다.
참고로 종래의 휴대폰 안테나를 해부 전개하여 보면 도6B 와 같이 끝이 무딜 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길이가 외양보다 짧게 되어있어 두뇌와 지근거리에 위치하게 되어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와같이 안테나 끝이 두뇌에서 최대한 멀어지게 하여 두뇌에 미치는 전자파 피해를 최소화 하고 안테나 끝에는 전자파 차단용 캡(1)을 달아 안테나 끝에서 몸쪽으로 방출되는 전자파의 많은 부분을 반사 내지 흡수하게 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하였다. 실험결과 위와 같이 하여도 통화음질이나 송수신 기능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Claims (3)

  1. 휴대폰, 무선 전화기, 무전기, 등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 전파 송 수신용 안테나를 수신부쪽이 아닌 송신부 쪽(사용시 턱 아래쪽이나 턱 좌 우방향.)으로 인출 되도록 장착한 휴대용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 폴더형인 경우 안테나가 폴더의 송신부 쪽(인출시 턱 아래쪽이나 턱 좌 우방향)으로 인출 되도록 장착한 휴대폰.(도면5)
  3. 제 1 항에 있어 안테나 끝부분(도4의 12)을 첨예하게(뾰족하게) 하므로써 전파의 수신과 방출이 최대한 안테나 끝부분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휴대폰의 다른 부분에서 신체 쪽으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한 안테나.
    (곡률반경 0.5mm 이하로 하며 작을수록 좋다)
KR1020000001831A 2000-01-14 2000-01-14 휴대폰 KR20000018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31A KR20000018153A (ko) 2000-01-14 2000-01-14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31A KR20000018153A (ko) 2000-01-14 2000-01-14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53A true KR20000018153A (ko) 2000-04-06

Family

ID=1963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831A KR20000018153A (ko) 2000-01-14 2000-01-14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06B1 (ko) * 2001-08-23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06B1 (ko) * 2001-08-23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1609A (en) Reduced operator emission exposure antennas for safer hand-held radios and cellular telephones
US5854970A (en) Accessory RF unit for hand-held wireless telephone systems
KR100652620B1 (ko)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NZ250813A (en) Mobile telephone antenna radiates mainly in vertical direction
EP1227434A4 (en) COMMUNICATION DEVICE
US20200052380A1 (en) Antenna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6681125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6208300B1 (en) Director element for radio devices
EP0806809B1 (en) Hand-held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a radiation shielding antenna apparatus
WO1994021053A1 (en) Antenna fixture for hand-held cellular telephones
JPH06188805A (ja) 無線装置
WO1997049191A1 (en) Reduced emf hazard cellular phone
CN105307432B (zh) 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US7117024B1 (en)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reduced electromagnetic energy input on the user
KR20000018153A (ko) 휴대폰
US6041220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20097188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ed headset and method
CN108336481B (zh) 一种天线系统及移动终端
WO1999044346A1 (en) Reducing radiation in hand held cellular telephones and other mobile communication
CN2384386Y (zh) 低电磁辐射危害的移动电话
US20010050642A1 (en) A antenna with improved efficiency
CN2160997Y (zh) 手提无线移动电话定向辐射天线
KR20000063118A (ko) 휴대폰의 안테나 장치
KR101177361B1 (ko)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패널
KR200393568Y1 (ko) 휴대형 방송 수신기 소형 안테나의 수신 성능 개선을위한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