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050U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050U
KR20000018050U KR2019990003856U KR19990003856U KR20000018050U KR 20000018050 U KR20000018050 U KR 20000018050U KR 2019990003856 U KR2019990003856 U KR 2019990003856U KR 19990003856 U KR19990003856 U KR 19990003856U KR 20000018050 U KR20000018050 U KR 200000180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main battery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용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90003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050U/ko
Publication of KR20000018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050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효율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로 통화하는 도중에 배터리 저전력시 통화를 계속 유지할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뿐만 아니라, 해당 메인 배터리의 전원 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여 통화 도중에 해당 메인 배터리의 저전력으로 인해 해당 메인 배터리를 교환할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 배터리가 분리됨을 감지하여 해당 메인 배터리를 교환하는 소정시간 동안 해당 보조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여 통화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Apparatus For Battery Efficiency Improv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효율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로 통화하는 도중에 배터리 저전력시 통화를 계속 유지할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한 (A)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뒤부분에 하나의 배터리(10)만 창작하게 되어 있으며 통화도중에 저전력시 새로운 충전된 배터리로 교환한 후 통화를 다시 시도하게 되어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한 (B)와 같이, 일반 건전지(32)를 건전지 인터페이스 아답터(31)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래부분에 구비된 전원 커낵터(20)에 연결해서 통화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래부분에 전원 커넥터(20)가 부착되어 있으며 전원핀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전원핀에 일반 건전지(32)를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 건전지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연결해 줄수 있는 건전지 인터페이스 아답터(31)가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하는 도중에 배터리 저전력시 통화를 오래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뒷부분에 배터리(10)를 교환하여 다시 통화를 시도해야 하거나, 일반 건전지(32)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커넥터(20)에 연결하여 통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었다. 이때, 전자의 경우는 통화의 끊김이 불가피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는 해당 일반건전지(32)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 아답터를 결합했을 때 미관상 휴대폰 자체가 커 보이고 일반건전지와 휴대폰간의 인터페이스 아답터를 항상 휴대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뿐만 아니라, 해당 메인 배터리의 전원 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여 통화 도중에 해당 메인 배터리의 저전력으로 인해 해당 메인 배터리를 교환할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 배터리가 분리됨을 감지하여 해당 메인 배터리를 교환하는 소정시간 동안 해당 보조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여 통화를 계속 유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와 배터리 충전기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회로를 나타낸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 터리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메인 배터리 41 : 보조 배터리
42 : 충전/보호회로부43 : 충전기
44 : 메인 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5 : 제어 회로부
46 : 스위치 회로부 47 : 전원 회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와,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회로에 필요한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기의 충전 전력을 출력하는 충전/보호회로부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 되면 이를 대치하여 상기 전원 회로부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인 배터리가 부착되어 있는지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와, 상기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인배터리분리여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회로부와, 상기 제어 회로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부측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부측으로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내 전원회로의 일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40)와, 상기 메인 배터리(40)를 충전하는 충전기(43)와, 상기 메인 배터리(40)의 충전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기(43)의 충전전력을 출력하는 충전/보호회로부(42)와, 상기 메인 배터리(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 회로에 필요한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47)와, 상기 메인 배터리(40)의 전원이 차단되면 이를 대치하여 상기 전원 회로부(47)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41)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인 배터리(40)가 부착되어 있는지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4)와, 상기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4)로부터 제공되는 메인배터리분리여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회로부(45)와, 상기 제어 회로부(45)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40)의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부(47)측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메인 배터리(40)의 전원에서 보조 배터리(41)의 전원으로 절환하여 보조 배터리(41)의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부(47)측으로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부(4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기(43)에 탑재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메인 배터리 충전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먼저, 충전/보호회로부(42)에서는 메인 배터리(40)의 전압과 보조 배터리(41)의 전압을 비교하게 하여, 비교결과, 메인 배터리(40)의 전압이 보조 배터리(41)의 전압보다 높을 경우에, 해당 보조 배터리(41)가 충전되도록 해당 메인 배터리(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해당 보조 배터리(41)측으로 공급한다.
한편, 해당 메인 배터리(40)의 전압이 보조 배터리(41)의 전압보다 낮을 경우에, 해당 보조 배터리(41)의 충전이 정지되도록 전원 공급을 중지하고, 해당 메인 배터리(40)의 전원만 충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메인 배터리(40)가 충전이 완료되면 보조 배터리(41)도 메인 배터리(40)의 전력 레벨과 동등하게 충전되고, 이후부터는 보조 배터리(41)의 전력은 메인 배터리(40)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기 전까지는 항상 완전 충전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하는 도중에 메인 배터리가 저전력시, 해당 메인 배터리를 새로 충전된 메인 배터리로 교환하는 소정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보조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여 통화가 끊김없이 이루지도록 하는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40)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착 되어 있는지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제어회로부(45)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메인 배터리(40)의 전력에서 보조 배터리(41)의 전력으로 절환할 때 잘못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분래했다가 다시 부착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리셋 또는 전원 차단 상태)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터리를 분리하려는 시도를 빨리 감지해야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 배터리(40)를 분리할 때 보통 연결 고리 스위치를 누르고서 분리하게 되는데, 여기서, 해당 연결 고리 스위치를 메인 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4)로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인 배터리(40)간의 전원 접점이 채 떨어지기 전에 배터리를 분리하려는 시도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고리 스위치를 누르면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4)의 상태가 반전되게 된다.
이에, 제어 회로부(45)에서는 해당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4)로부터 메인 배터리(40)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분리됨을 감지하게 되면, 보조 배터리(41)의 전원을 전원 회로부(47)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치 회로부(46)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스위치 회로부(46)는 해당 제어 회로부(46)의 제어에 따라 메인 배터리(40)의 전원에서 보조 배터리(41)의 전원으로 절환하여 해당 보조 배터리(4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 회로부(47)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동작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하는 도중에 메인 배터리가 저전력시, 해당 메인 배터리를 새로운 메인 배터리로 교환하는 소정시간동안에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통화가 끊김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해당 제어 회로부(45)에서 해당 메인 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44)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인 배터리(40)가 부착되어 있음을 감지하게 되면, 메인 배터리(40)의 전원을 전원 회로부(47)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스위치 회로부(46)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스위치 회로부(46)는 해당 제어 회로부(46)의 제어에 따라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메인 배터리(40)의 전원을 전원 회로부(47)측으로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배터리(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며, 이때, 보조 배터리(41)는 스위치 회로부(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이므로 전력소모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뿐만 아니라, 해당 메인 배터리의 전원 차단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고, 제어회로부가 메인 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인 배터리의 탑재 및 분리 정보를 감지함에 따라 해당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할지 또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할지를 제어함으로써, 통화도중에도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통화를 유지하면서 방전된 메인 배터리를 교환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뿐만 아니라, 해당 메인 배터리의 전원 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여 통화 도중에 해당 메인 배터리의 저전력으로 인해 해당 메인 배터리를 교환할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 배터리가 분리됨을 감지하여 해당 메인 배터리를 교환하는 소정시간 동안 해당 보조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여 통화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와,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회로에 필요한 일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기의 충전 전력을 출력하는 충전/보호회로부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 되면 이를 대치하여 상기 전원 회로부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인 배터리가 부착되어 있는지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와; 상기 메인배터리분리감지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인배터리분리여부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회로부와; 상기 제어 회로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부측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원 회로부측으로 공급하는 스위치 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부는 상기 제어 회로부측으로부터 메인배터리분리됨에 따른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으로 절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KR2019990003856U 1999-03-11 1999-03-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KR200000180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856U KR20000018050U (ko) 1999-03-11 1999-03-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856U KR20000018050U (ko) 1999-03-11 1999-03-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050U true KR20000018050U (ko) 2000-10-05

Family

ID=5476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856U KR20000018050U (ko) 1999-03-11 1999-03-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0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181B1 (ko) * 2002-12-02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WO2006014036A1 (en) * 2004-08-05 2006-02-09 Jayme Im Auxiliary power device for mobile phon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181B1 (ko) * 2002-12-02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WO2006014036A1 (en) * 2004-08-05 2006-02-09 Jayme Im Auxiliary power device for mobile 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967B1 (en) Power supply with arc flash protection mechanism and data-processing system employing same
CN110417075A (zh) 电源冗余系统
JP5271423B2 (ja) 電子デバイスおよびパワー・アダプターを有するデバイス装置ならびにパワー・アダプター接続方法
KR2002007823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N110880945A (zh) 设备、控制模块以及控制器
US11901534B2 (en) Auxiliary energy system architecture
US6353747B1 (en) Portable cellular phone base station
CN110475171A (zh) 无线耳机组件和耳机盒组件
CN100449926C (zh) 一种通信电源系统
KR20000018050U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효율 개선 장치
EP0846363B1 (en) Accumulator device for an electrical and/or electronic apparatus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such a device
EP1085638A3 (de) Batterie-Trennvorrichtung
RU2726856C1 (ru) Мультиконтактная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имеющая независимое управление шестью силовыми контактными группами, соединёнными по смешанной схеме
EP0883924B1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voltages and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KR20120008935A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KR100523899B1 (ko) 보조 전원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379616B1 (ko) 무선 전화기의 백업 배터리 전원 회로
JP4342662B2 (ja) 二次電池装置
CN220964626U (zh) 一种负载独立小型备电设备
CN217282301U (zh) 一种双操作盒控制设备的系统
JPH09326849A (ja) 携帯用移動無線通信装置
JP3062157B2 (ja) バッテリコントロール回路のためのサブ給電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10054374A (ko) 휴대폰 통화중 배터리 교체 회로
JPH10155006A (ja) 回線接続装置
JP2002320333A (ja) 充電機能付き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