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970A -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970A
KR20000017970A KR1019990068202A KR19990068202A KR20000017970A KR 20000017970 A KR20000017970 A KR 20000017970A KR 1019990068202 A KR1019990068202 A KR 1019990068202A KR 19990068202 A KR19990068202 A KR 19990068202A KR 20000017970 A KR20000017970 A KR 20000017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transmission
terminal
reception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철
조종행
Original Assignee
조종행
주식회사 포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행, 주식회사 포러스 filed Critical 조종행
Priority to KR101999006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970A/ko
Publication of KR2000001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970A/ko
Priority to PCT/KR2000/000599 priority patent/WO2001050630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가전용 AV기기, MP3등의 기기의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이동 전화 단말기등의 기기에 설치되는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와,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이어폰과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음성정보의 송수신 장치를 일체화하여 소경량화한 무선 이어마이크폰으로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이어마이크폰내에 스피커와 마이크와 함께 무선송수신장치를 소형화여 내장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 되었고, 장치간의 외부적 연결선을 모두 제거하는 실질적인 무선화가 가능하며, 무선송수신기능외에 FM 라디오 수신기능이 내장되어 있고, 무선 이어마이크폰에 구비된 귀걸이(이어 가이드) 및 그 회전판에 의해 360°의 회전이 가능하여 좌우귀 어느쪽이나 착용가능하고, 여유를 가지며 귀에 밀착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시에도 불편함 없이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Wireless transceiver for close rang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시 원격 통화를 위해 이동 전화 단말기에 설치되는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장치와,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이어폰과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음성정보의 송수신 장치를 일체화하여 소경량화한 무선송수화 장치로 구성되어진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핸즈프리, 이어폰으로 알려져 있는 이동 전화 단말기용 원격 통화 장치로는, 단말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품들이 대부분이며, 휴대용 녹음기와 무선송수신되어 원격으로 듣기 위해 일본에서 제작된 무선 이어폰이나, 유선 전화기에 사용되는 유선 이어폰형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기존 유선 이어폰의 스피커와 마이크 장치를 별도의 무선 송수신장치 또는 음량등을 조절하는 콘트롤러에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 이어폰 사용할 때 사용자들은 단말기와 이어폰세트, 그리고 송수신장치를 각각 보유하여야 하며, 특히 이어폰과 유선 연결된 무선 송수신장치를 휴대함으로 무선방식의 이점을 활용하기가 곤란하였다. 결국 송수신 장치가 단말기가 차지하고 있던 휴대부담을 그대로 승계하며, 단말기 역시 휴대해야 하므로 오히려 유선방식의 이어폰 보다 사용과 휴대가 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무선 이어폰에서 별도로 휴대해야만 하던 무선송수신 장치를 경량화 소형화하여 이어폰 자체에 부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단말기, 이어폰, 송수신 장치 어디에서도 연결선을 찾아볼 수 없는 실질적인 무선방식을 구현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휴대의 간편함을 극대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의 개략도,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전화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장치의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의 이동전화 단말기용 무선송수신장치의 구성블럭도,
도 4은 본 발명의 저전압감지기의 내부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회로의 내부회로도,
도 6는 본 발명의 무선 이어마이크 장치의 내부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 이어마이크 장치내의 발광소자의 내부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 이어마이크 장치내의 FM수신부의 회로도,
도 9은 본 발명의 무선 이어마이크 장치내의 음량조절회로도,
도 10는 본 발명의 무선송수신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의 동작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무선 이어 마이크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의 동작공정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송수신기의 부착실시예의 개략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이어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이어마이크폰 본체 2 : 이어 가이드
3 : 이어가이드 회전판 4 : 이어가이드 연결부
5 : 동작 스위치부 6 : 이어 스피커
7 : 마이크 가이드 겸 안테나 8 : 마이크
9 : 단말기 이동용 고리줄 10 :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기
11 : 데이터 및 전원공급 커넥터 연결라인
12 : 이어폰 잭 13 : LED 표시부
14 : 단말기 부착용 고리줄 15 : 헤드폰잭 삽입부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이어폰 인출부
120 : 데이터 및 전원 커넥터 200 : 무선 송수신기
2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220 : 안테나
230 : 수신부 240 : 송신부
250 : 저전압 감지기 260 : 충전회로
270 : 발광소자 271 : 동작상태 표시 LED
272 : 충전상태표시 LED 280 : 데이터 및 전원공급잭
290 : 이어폰 잭 300 : 무선 이어마이크 장치
3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320 : FM 수신부
330 : 음성 수신부 340 : 음량 조절기
341 : 헤드폰잭 삽입부 350 : 자동음량 조절기
360 : 음성 발신기 370 : 저전압 감지기
380 : 충전회로 390 : 발광소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기에 연결되어 그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오디오 및 오디오 관련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과, 그 기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 및 오디오 관련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그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송수화부가 일체로 된 무선송수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특징은 상기 기기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기의 전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특징은 단말기의 전원부를 이용하여 충전가능한 충전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특징은,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기기의 이어폰단자에 접속가능한 접속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특징은, 기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특징은, 기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일 때 단말기의 데이터 및 전원공급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전원공급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특징은, 무선송수화 수단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시 혼신방지를 위해 무선송수화 수단에 할당되는 개별아이디를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특징은,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동작여부를 감시하여 미동작시 전력을 차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한 무선송수화 수단의 특징은,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 청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무선송수화 수단의 특징은, 헤드폰을 꽂아 음악을 스테레오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폰잭 삽입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무선송수화 수단의 특징은, 네 개 이상의 접속을 지원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무선송수화 수단은, 그 작동 스위치에 다이얼 패드가 형성되거나, 음성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여 전화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무선송수화 수단의 특징은, 무선송수화 수단의 미사용시 내부전원을 차단하여 주며, 업/다운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수신볼륨을 조절해주거나, 외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송신음량을 조절해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선송수화 수단은, 무선 송수신수단으로부터의 무선신호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알리도록 LED가 점멸하는 LED표시부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송수신장치의 개략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송수신장치는 가전AV기기, MP3등의 음향기기(100)와, 이 음향기기(100)의 음성출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이 음향기기(100)에 연결되는 무선송수신기(200)와, 그 무선송수신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송수화 장치인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으로 구성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전화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어폰 인출부(110)와 데이터 및 전원공급 커넥터(120)에 연결되는 무선송수신기(200)와, 그 무선송수신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송수화 장치인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으로 구성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된 PCS/CDMA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이며, 이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인출부(110)를 통해서 무선송수신기(200)가 연결되며, 이 무선송수신기(2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음성신호를 받아 무선이어 마이크장치(300)로 음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무선 이어 마이크폰(300)은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여 다시 무선 송수신기(200)에 음성을 전달하여 다시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달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및 전원공급 커넥터(120)는 무선 송수신기(200)에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무선송수신기(200)와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은 자체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이 무선송수신기(200)의 구성이 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송수신기의 전체적인 동작의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0)와,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받기 위한 안테나(220)와, 안테나(22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부(230)와,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무선신호로 무선 이어 마이크폰(300)에 전송하는 송신부(240)와, 무선 송수신기(200)의 내부전원을 검사하여 저전압을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기(250)와, 무선송수신기(200)의 내부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260)와, 무선송수신기(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271) 및 전원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272)로 이루어지는 LED표시부(270)와,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전원공급잭(280)과,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음성신호를 받기 위한 이어폰 잭(2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송수신기(200)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이어폰 잭(290)을 통해 받아 송신부(240)에서 송신처리하여 안테나(220)를 통해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으로 전송하며, 반대로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는 안테나(220)로 받아 수신부(230)에서 수신처리하여 이어폰잭(290)을 통해 다시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이때 각각 수신부(230)와 송신부(2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무선 송수신기(200)가 동작하지 않는 통화대기시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로부터 전력공급을 중단하여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200)는 최소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200)가 동작시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LED(271)가 점멸됨으로써 현재 동작을 표시하며, 데이터 및 전원공급잭(280)으로부터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회로(260)에 충전되어 진다. 무선 송수신기(200)는 내장된 저전압 감지기(250)를 통해 배터리 충전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한다.
도 4에는 무선송수신기(200)내에 구비되는 저전압 감지기(250)의 내부회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P251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저항 R1과 R2로 분주함으로써 일정 전압이하가 되는 경우, Q1이 도통상태가 되며 그 신호는 포트 P252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1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완충(完充)상태에서는 Q1이 OFF상태로 되어 포트 P251에 하이 상태의 신호가 전달된다.
도 5에는 무선 송수신기(200)내에 구비되는 충전회로(260)의 내부 회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은 포트 P261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다이오드 D1을 통해 내장된 충전 배터리(BAT)에 충전이 되며, 충전이 완료되면, D1이 OFF상태로 되어 더 이상 충전이 진행되지 않으며, 충전이 된 전압은 저항R4를 경유해 포트 P262를 통하여 부하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충전상태는 충전중일 때는 LED(271)가 적색으로 되어 있으며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는 녹색으로 표시되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의 내부 회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이어 마이크폰(300)의 전체적인 동작의 제어 및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A)와, FM라디오를 수신하는 FM 수신부(320)와 무선송수신기(200)로부터 받은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330)와, 음성수신부(330)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기(340)와, 그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업/다운 스위치(S1,S2)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마이크(M)와, 마이크(M)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음량을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그 음량을 조절하는 자동음량조절기(350)와, 마이크(M)로부터 음성신호를 받아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수신기(200)에 변조음성을 전달하는 음성발신기(360)와, 이어 마이크폰(300)의 내부전원을 감지하여 저전압을 감지하는 저전압감지기(370)와 사용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380)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잭(J)과,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의 동작여부를 알려주는 발광소자(39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FM 수신부(320)에서 안테나(A)를 통해 FM라디오의 청취가 가능하며, 그 전원도 역시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를 통해서 제어된다. 무선 송수신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안테나(A)를 통하여 음성 수신부(330)는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음성수신부(330)의 음량은 음량조절기(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 음량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에 연결된 업/다운(S1과 S2)에 의해 조절되며, 또한 자동 음량 조절기(350)에 의해 마이크(M)에서 들어오는 외부 음량을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S.P)로 듣거나 헤드폰잭 삽입부(341)을 두어 헤드폰을 꽂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음성 발신기는 마이크(M)로부터 음성을 받아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수신기(200)에 변조음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 전원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에 의해 제어된다.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의 경우에도 저전압감지기(370)에 의해 저전압을 감지하여 전압의 상태를 알려주며, 충전잭(J)을 외부전원에 연결하여 충전회로(380)에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에는 무선 이어마이크폰 내의 발광소자(390)의 내부회로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이어마이크폰이 동작할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에에 연결되는 포트 P8 - P10을 통해 하이상태의 신호가 흐르게 되고, R30 - R33을 통해 발광다이오드에 전류가 공급되어 발광이 일어난다.
도 8에는 무선 이어마이크폰(300)내에 구비되는 FM수신부(320)가 좀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A)를 통해 수신된 FM신호는 FM수신부(320)에서 복조되며, FM 수신국 선택 스위치(S3)에 의한 FM 수신국 선택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버전등을 알람할 수 있는 신호로 제공된다.
특정국이 선국되었을 때 그에 해당하여 전기적 신호값이 콘덴서 C61에 저장되고, 그 전압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에서 A/D되어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모리 스위치(S3)에 의해 다시 스캔닝 없이 선국을 할 수 있다.
그 메모리에 저장된 선국값에 해당되는 디지털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에서 발생하는 PWM신호를 포트 P3를 통해 발생하며, 그 신호는 다시 DC 값으로 변환되어 최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선취된 값을 그대로 콘덴서 C61에 저장함으로써 기억된 선곡값을 손쉽게 찾아갈 수 있다.
도 9에는 무선 이어마이크폰내에 내장되는 음량조절기(340) 및 그 주변회로도가 좀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은 FM수신부(320)나 음성수신부(330)의 전원을 다이오드(D11,D12)를 통해 받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의 포트 P5로부터 출력되는 업/다운 신호에 해당되는 PWM신호가 저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저항 R70과 콘덴서 C71을 통해 DC값으로 변환되어 음량조절기(340)에 음량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로 인가되어진다.
도 10에는 무선 송수신기내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무선송수신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공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모드(S1)는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닌 상태로서, 하드웨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0)에 의해 슬립 모드(Sleep mode)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전화벨이 울리는 경우(S2)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0)가 수신부(230)와 송신부(240)에 전력을 공급하고, LED(271)을 0.5sec 간격으로 점멸시킨다. 그리고, 송신부(240)는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에 "call"신호를 보내어 전화가 왔음을 알려준다. 무선이어마이크폰(300)으로부터 "call"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Ack"인증 신호를 받기까지 계속해서 S3의 상태를 유지한다.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으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하면(S4), 송신부(240)와 수신부(230)는 무선 이어마이크폰(300)과 통신을 계속한다. 통화가 완료(S5)가 된 경우에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에 완료된 상태의 신호를 보내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는 송신부(240)와 수신부(230)의 전력공급을 끊고(S6) 대기모드 상태로 간다(S1).
도 11에는 무선 이어마이크폰(300)내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에서 이어마이크폰(300)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공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S11)에서 무선 송수신기(200)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call"신호를 받고(S12) 전화를 받기 위해 어떤 스위치의 입력신호라도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S16),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는 FM수신부(320)와 음성수신부(330), 음성발신기(360)에 전력을 공급하며, ACK신호를 무선 송수신기(200)에 보낸다(S17). 통화가 완료되면(S18) 그 전상태에 따라 만약 대기 상태였다면 대기 상태(S11)로 가거나 FM청취상태였다면 FM청취상태(S15)로 갈 수 있다(S19).
대기 상태(S11)에서 스캔 스위치나 프리셋 스위치가 눌러지면(S13), FM수신부(320)에만 전력이 공급되고, 스캔스위치의 눌림에 따라 주파수를 스캔하여 선국을 하며, 프리셋스위치를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에 저장되어 있던 선국주파수를 읽어들여 그 주파수로 FM을 선국하여(S14) 사용자가 FM을 청취하는 상태(S15)로 간다.
한편, FM청취도중에 무선송수신기로 "call"신호를 받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10)는 현재 청취하고 있는 주파수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시 S16의 상태로 가서 스위치 눌림을 확인하고 통화 끝나면 FM청취상태(S15)로 돌아온다. 만약 FM청취상태(S15)에서 전원을 오프하는 키입력을 판단하여(S20) 전원을 오프하는 키입력이 없는 한 계속 FM청취상태(S15)를 유지한다.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기가 단말기에 설치되는 일실시예와, 무선 이어마이크폰의 일실시예가 도시된다.
상술한 도면에서 도시되었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11에서 도시되는 이동 단말기의 본체와 일치하는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기(200)는 부재번호 10에 해당하는 것이며, 무선 이어마이크폰(300)은 도 12에 도시된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도 12 및 13에는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송수신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데 있어 편이상 부재번호를 인가한 것이므로 이로 인해 도면간에 일어나는 불일치는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에는 무선송수신기를 전화단말기에 부착하는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이어폰 연결 단자에 부착 후 이를 단말기 이동용 고리줄에 부착되어 있다. 이 단말기의 바닥면의 데이터 및 전원공급 커넥터에 연결 후 이를 단말기 이동용 고리줄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외에도 단말기의 내부에 장치하는 내장형이 있을 수 있다.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는 이어폰 연결구 및 외부입력장치에 접속 후 이를 단말기 휴대용 고리중에 부착 또는 고리줄과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 일체형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과다한 움직에도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기는 각각의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이어마이크폰의 혼선을 막기 위해 개별 아이디를 10만개로 설정하며 통달거리는 송신과 수신 공히 5미터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이어마이크폰이 도시되어 있다.
일체형 무선 이어폰의 본체(1)는 고밀도로 기능을 집약한 내부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외형과 이의 안전한 보호로 인한 원활한 기능과 사용자의 중량감 해소를 동시에 추구하는 가볍고 단단한 소재로 제작되었다.
이어가이드(2)는 일체형 무선이어폰 본체(1)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어가이드의 회전판(3)은 360°로 회전이 가능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기기의 탈락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습관 및 취향에 따라 좌, 우측 귀에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하게 고안되었다.
이어가이드(2)와 이어가이드의 회전판(3)은 이어 가이드 연결부(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무선 이어폰의 작동 스위치(5)는 하나의 버튼 장치에 4개의 접속부를 두어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될 수 있는 오동작 및 오작동을 예방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갖게 하며 사용자가 작동할 부분을 눈으로 보지 않고서도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동시에 실현하였다.
또한, 그 작동 스위치에 다이얼 패드가 형성되거나, 음성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여 전화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스피커(6)는 사용자에게 수화음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기기의 크기와 비슷한 규모의 대형 이어스피커를 채택하여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여 사용자의 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마이크 가이드 겸 안테나(7)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이를 전기 신호를 바꾸는 마이크(8)와 무선이어폰 본체(1)를 연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역할도 병행한다. 안테나가 기기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아닌 안면부(顔面部)에 근접하게 함으로써 고주파 전파의 유해성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며 휨성을 가지고 있어 종단부에 위치한 마이크를 사용자의 체형과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와 무선 이어마이크폰 사이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음선신호의 송수신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재번호 13은 도 6에서 발광소자(390)인 LED 표시부이고, 14는 단말기 부착용 고리줄이고, 15는 헤드폰을 꽂아 음악을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게 하는 헤드폰잭 삽입부로 도 6에서는 부재번호 341로 도시되었다.
단말기의 신호가 도 12에 도시된 단말기 데이터 및 전원공급 커넥터에 연결되는 데이터 및 전원공급 연결라인(11) 또는 단말기 연결잭부(12)의 장치에 의해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로 전달되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10)에 의해 신호가 마이크 가이드 겸 안테나(7)를 통해 무선 이어폰 본체(1)로 전달된다. 그 무선이어폰의 본체(1)로 전달된 신호는 무선이어폰의 스피커부(6)를 통해 음성신호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진다.
사용자의 음성이 단말기에 전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말을 하면 그 음성신호는 마이크(8)에 입력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마이크 가이드 겸 안테나(7)에 내장된 전선을 통해 무선 이어마이크폰 본체(1)에 내장된 송수신기부를 통해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10)로 신호가 무선 전달된다. 단말기용 무선송수신기(10)에서 신호처리된 후 단말기 연결잭(12)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신호가 전달되어진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전화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동전화뿐 만 아니라, 일반 유무선전화 또는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무선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분야의 경우에는 어느 경우에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며, 또한, 무선 이어마이크폰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이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표현하는 일예임은 자명하다할 것이다.
또한, 이상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말기용 무선송신기와 단말기 사이에 이어폰 연결라인과 데이터 및 전원공급 연결선이 모두 구비되었으나, 반드시 두 개가 구비되는 것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에 따라, 이어폰 연결라인과 데이터 및 전원공급 연결선중 각각 어느 하나만을 두는 구성으로도 변경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에 의한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이어마이크폰내에 스피커와 마이크와 함께 무선송수신장치가 일체로 내장됨으로써 크기가 소형화 되었고, 장치간의 외부적 연결선을 모두 제거하는 실질적인 무선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무선 이어마이크폰에서 귀걸이(이어가이드)를 사용함으로 인해 귀에 잘 부착되면서도 종래에 있던 외부의 압박감을 해소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귀에 걸어서 사용하도록 하는 귀걸이(이어가이드)의 경우 회전판에 의해 360°회전할 수 있으면서, 여유를 가지며 귀에 밀착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시에도 불편함 없이 착용할 수 있으며, 안전 집게형으로서 활발한 운동시에도 이탈이 안되도록 하였다.
또한, 마이크 가이드 겸 안테나의 경우 휨성이 좋은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얼굴의 윤곽에 맞추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임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안테나 기능을 겸비함으로써 종래에 안테나가 두 개골 부분에 위치할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자파에 의한 두뇌 기능의 장애 요인을 제거하였다.
또한, 무선 송수신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서 각 무선 이어마이크폰별로 고유의 ID를 설정함으로써 혼신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서 양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기에 연결되어 그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오디오 및 오디오 관련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과,
    상기 기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 및 오디오 관련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그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송수화부가 일체로 된 무선송수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기기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기의 전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기기의 전원부를 이용하여 충전가능한 충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기기의 오디오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기기의 이어폰단자에 접속가능한 접속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기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줄에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7.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및 전원공급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전원공급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시 혼신방지를 위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별로 개별아이디를 설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기용 무선송수신 수단의 동작여부를 감시하여 미동작시 전력을 차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은,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 청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은,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의 미사용시 내부전원을 차단하여 주며,
    업/다운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수신볼륨을 조절해주거나,
    외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송신음량을 조절해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은,
    헤드폰잭을 꽂아 음악을 스테레오로 청취할 있도록 하는 헤드폰잭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은,
    네 개 이상의 접속을 지원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은,
    상기 작동 스위치에 다이얼 패드가 형성되거나, 음성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여 전화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은,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이어가이드를 360°로 회전가능하게 하며,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어가이드 회전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화 수단은,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으로부터의 무선신호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알리도록 LED가 점멸하는 LED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KR1019990068202A 1999-12-31 1999-12-31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KR20000017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202A KR20000017970A (ko) 1999-12-31 1999-12-31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PCT/KR2000/000599 WO2001050630A1 (en) 1999-12-31 2000-06-09 Close range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202A KR20000017970A (ko) 1999-12-31 1999-12-31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70A true KR20000017970A (ko) 2000-04-06

Family

ID=1963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202A KR20000017970A (ko) 1999-12-31 1999-12-31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00017970A (ko)
WO (1) WO20010506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522A (ko) * 2000-04-24 2001-11-08 김시원 무선 음악방송이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음악재생 장치 및방법
KR100695248B1 (ko) * 2005-12-13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511B4 (de) 2010-11-11 2012-12-13 Sma Solar Technology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xternen Geräts über einen bidirektionalen Audioanschluss
CN108430000B (zh) * 2018-04-13 2021-07-23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量管控麦克风设备的方法、麦克风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23Y1 (ko) * 1987-12-31 1992-05-08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와이어리스 이어폰
KR19990011630U (ko) * 1997-08-20 1999-03-25 노동준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KR200235580Y1 (ko) * 1998-04-29 2001-10-25 임재용 이동전화용무선핸즈프리(송.수신기)세트
KR19990011642U (ko) * 1998-05-11 1999-03-25 임재용 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송.수신기)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522A (ko) * 2000-04-24 2001-11-08 김시원 무선 음악방송이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음악재생 장치 및방법
KR100695248B1 (ko) * 2005-12-13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0630A1 (en)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6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6192253B1 (en) Wrist-carried radiotelephone
US7813762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e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US8150460B1 (en) Wireless speakers an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30125075A1 (en) Desktop stand and mobile phone
US20060158608A1 (en) Eyeglasses with signal receiving function
CN106877897A (zh) 射频通信设备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20090046869A1 (en) Wireless audio receivers
WO2007078750A1 (en) Wireless mono/stereo headset
WO2006074369A2 (en) Wireless phone headset
WO2006098584A1 (en) Wireless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1981949A (zh) 用于将放大的音频信号传给用户的系统
WO2000070779A1 (en) Combined-use assembly of mobile telephone and audio
US20160372959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Charging Dock and Speaker System
US20200196055A1 (en) System and method of use of connecting wireless speakers
US7353043B2 (en)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KR20000017970A (ko) 근거리 무선송수신 장치
KR200189084Y1 (ko) 무선 이어마이크폰
KR20070016313A (ko) 젠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202123Y1 (ko) 휴대 전화기와 음향기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핸즈프리 송수화기 및 전환 제어장치
KR101121927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KR200310610Y1 (ko) 손목착용형 착신신호 전기자극형 이동통신장치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CN212909978U (zh) 一种耳机佩戴检测结构和耳挂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