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762U -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762U
KR20000017762U KR2019990003385U KR19990003385U KR20000017762U KR 20000017762 U KR20000017762 U KR 20000017762U KR 2019990003385 U KR2019990003385 U KR 2019990003385U KR 19990003385 U KR19990003385 U KR 19990003385U KR 20000017762 U KR20000017762 U KR 200000177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ery
connecting piece
cup body
jewelr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5240Y1 (ko
Inventor
유홍수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유종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록 filed Critical 유종록
Priority to KR2019990003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24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보석집(10)을 연결편(20)에 의하여 일렬로 연결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보석집(10)은 프레스 드로잉된 컵체의 저면(12)에 절개선(C)을 형성시키고, 컵체의 좌, 우측 주벽(14)(14')하단에는 연결편(20)양단의 연결부(22)(22')가 걸리는 연결홈(16) (16')을 형성시켜 컵체의 저면(12)을 벌린 상태에서 연결편(20)을 끼우고 다시 컵체의 저면(12)을 닫아주므로써 보석집(10)과 연결편(2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보석집의 외관이 간결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보석집 연결줄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이 인장력을 받게 되는 보석집의 좌, 우측 주벽은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보석집 연결줄이 늘어나지 않으며, 연결편이 끼워진 연결홈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연결편이 빠지거나 착용상태에서 꼬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수납된 보석이 잘 빠지지 않는 고품질의 보석집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A connecting structure of rhinestone cup chain}
본 고안은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석집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끼우기 위해 보석집의 양측을 개방시키는 대신 보석집의 하부를 "H"형으로 절단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연결편을 끼우고 다시 하부를 밀폐시키므로써 착용시 연결편이 빠지거나 꼬이거나 또는 보석집 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보석수납시 보석빠짐을 없게 하여 고품질의 보석집 줄을 제공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의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는 실용신안공개 제 91- 10606호에 공지되어 있는바,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 주벽 (3)(3a)과 사방에 통상의 물림편(4)을 돌설하며, 좌, 우측 주벽을 형성하는 접설편 (5)(5a)이 형성되도록 펀칭하여 형성시킨 #형 기판의 중앙부를 프레스 절곡하여 캡형 보석집(2)을 형성하되, 좌, 우측 주벽의 접설편(5)(5a)하방으로 I형 연결편(6)이 걸어 물려지도록 재치한 상태에서 전, 후 주벽(3)(3a)을 압지하여 좌, 우측 주벽의 접설편(5)(5a)이 물림 되어 연결구멍(7)(7a)이 형성되면서, 연결구멍(7)(7a)으로 I형 연결편(6)에 걸어 물려지도록 하여서 된 것이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고안에 있어서는 I형 연결편(6)이 걸리는 좌, 우측 주벽이 상호 분리된 접설편(5)(5a)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가공중 또는 사용중 보석집 줄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좌, 우 주벽의 접설편(5)(5a)이 외측으로 밀리게 되어 그 틈새가 벌어지게 되므로써 연결편(6)이 쉽게 빠지게 되거나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좌, 우 주벽의 밀림상태에 따라 동일한 갯수로 연결된 보석집 줄이라 하더라도 보석집 줄의 전체길이가 불균일하여 완성된 제품의 표준화 및 품질의 균일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외관상으로도 보석집의 좌, 우 주벽이 조잡해 보이고 보석수납시 좌,우측 주벽이 벌어지므로써 보석빠짐이 발생하게 되므로써 전체적인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개의 보석집을 연결편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보석집 줄에 어느 정도의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편의 빠짐이 발생하지 않고 그 길이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석이 수납후 빠짐현상이 없어지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고품질의 보석집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여러 개의 보석집을 연결편에 의하여 일렬로 연결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석집은 프레스 드로잉된 컵체의 저면을 H자로 절개시키고, 컵체의 좌, 우측 주벽 하단에는 상기 연결편의 양단이 걸리는 연결홈을 형성시켜 컵체의 저면을 벌린 상태에서 이 연결홈에 연결편 양단의 연결부를 끼우고 다시 컵체의 저면을 닫아주므로써 컵체와 연결편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보석집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석집 12,12' : 저면
14,14' : 좌,우측 주벽 16,16' : 연결홈
20 : 연결편 22,22' : 연결부
C : 절개선 C1,C1' : 좌, 우측 절개부
C2 : 중간 절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보석집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 개의 보석집(10)을 연결편(20)에 의하여 일렬로 연결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석집(10)은 프레스 드로잉된 컵체의 저면(12)을 H자로 절개시키고, 컵체의 좌, 우측 주벽(14)(14')하단에는 상기 연결편 (20)양단의 연결부(22)(22')가 걸리는 연결홈(16)(16')을 형성시켜 컵체의 저면 (12)을 벌린 상태에서 연결편(20)을 끼우고 다시 컵체의 저면(12)을 닫아주므로써 보석집(10)과 연결편(2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부호 11은 도시안된 보석을 고정시키기 위한 물림편이다.
본 고안의 보석집(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보석집과는 다르게 프레스 드로잉에 의하여 1차 제품인 컵체가 형성되며, 그 저면(12)이 절개되어 있고, 좌, 우측 주벽(14)(14')은 절개되어 있지 않으며, 연결편(20)은 보석집(10)의 저면(12)을 통해 끼워지게 되므로 보석집 연결줄에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좌, 우측 주벽(14)(14')은 벌어지지 않아 연결편(20)이 연결홈(16)(16')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점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상기 저면(12)에 형성되는 절개선(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H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좌, 우측 주벽(14)(14')의 하단에 연하는 좌, 우측 절개부(C1)(C1')와, 이 좌, 우측 절개부(C1)(C1')의 중간부에서 시작되어 보석집(10)의 저면(12)을 가로지는 중간 절개부(C2)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 절개부(C2)양측의 절반씩의 저면(12)을 외측으로 벌려주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좌, 우측 주벽(14)(14')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16)(16')에 연결편(20)양단의 연결부(22)(22')를 끼우고, 다시 상기 벌려진 상태의 저면(12)을 오무려주면 연결편(20)이 보석집(10)에 연결되는 것이며, 이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 보석집 연결줄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C)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측 절개부(C1)(C1')의 중간부에 중간 절개부(C2)를 형성하는 것 외에도, 이 중간 절개부 (C2)의 위치가 저면(12)의 일 측에 치우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구조상 필요할 경우 저면(12)의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좌, 우측 주벽(14)(14')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홈(16)(16')은 그 폭을 연결편(20)양단의 연결부(22)(22')폭보다 작게하므로써 벌려진 저면(12)을 덮을 경우 연결편(20)의 연결부(22)(22')가 좌, 우측 주벽(14)(14')의 내면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연결편(20)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좌, 우측 주벽(14) (14')은 이 인장력을 충분히 견뎌내므로써 연결편(20)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16)(16')의 깊이는 연결편(2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연결편(20)이 앞, 뒤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보석집 연결줄이 신축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보석집(10)의 저면(12)은 연결편(20)을 끼우고 난후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여 주므로써 착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석집 연결줄은 연결편(20)을 끼우기 위한 절개선(C)이 보석집(10)의 저면(1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차적으로 보석집(10)의 외관이 간결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보석집 연결줄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이 인장력을 받게 되는 보석집의 좌, 우측 주벽(14)(14')은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보석집 연결줄이 늘어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연결편(20)이 끼워진 연결홈(16)(16')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연결편(20)이 빠지거나 착용상태에서 꼬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보석이 수납후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석집을 프레스 드로잉으로 형성된 컵체의 저면에 H자로 절개된 절개선을 형성시키고, 컵체의 좌, 우측 주벽 하단에는 연결편 양단의 연결부가 걸리는 연결홈을 형성시켜 컵체의 저면을 벌린 상태에서 연결편을 끼우고 다시 컵체의 저면을 닫아주므로써 보석집과 연결편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보석집의 외관이 간결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보석집 연결줄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이 인장력을 받게 되는 보석집의 좌, 우측 주벽은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보석집 연결줄이 늘어나지 않으며, 셋째, 연결편이 끼워진 연결홈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연결편이 빠지거나 착용상태에서 꼬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넷째, 고가의 보석이 보석집에 수납된 후에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빠짐현상이 없어지므로 고품질의 보석집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여러 개의 보석집(10)을 연결편(20)에 의하여 일렬로 연결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석집(10)은 프레스 드로잉된 컵체의 저면(12)에 절개선(C)을 형성시키고, 컵체의 좌, 우측 주벽(14)(14')하단에는 상기 연결편(20)양단의 연결부 (22)(22')가 걸리는 연결홈(16)(16')을 형성시켜 컵체의 저면(12)을 벌린 상태에서 연결편(20)을 끼우고 다시 컵체의 저면(12)을 닫아주므로써 보석집(10)과 연결편 (2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12)에 형성되는 절개선(C)은 좌, 우측 주벽 (14)(14')의 하단에 연하는 좌, 우측 절개부(C1)(C1')와, 이 좌, 우측 절개부 (C1)(C1')의 중간부에서 시작되어 보석집(10)의 저면(12)을 가로지는 중간 절개부 (C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C)은 좌, 우측 주벽 (14)(14')의 하단에 연하는 좌, 우측 절개부(C1)(C1')와, 저면(12)의 일 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된 중간 절개부(C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KR2019990003385U 1999-03-04 1999-03-04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KR200225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85U KR200225240Y1 (ko) 1999-03-04 1999-03-04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85U KR200225240Y1 (ko) 1999-03-04 1999-03-04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62U true KR20000017762U (ko) 2000-10-05
KR200225240Y1 KR200225240Y1 (ko) 2001-05-15

Family

ID=5476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385U KR200225240Y1 (ko) 1999-03-04 1999-03-04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2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550A (ko) * 2002-08-19 2004-02-25 박재학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KR101403219B1 (ko) * 2013-06-04 2014-06-02 김병조 뱅글 팔찌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09B1 (ko) * 2016-06-15 2018-04-06 오상민 장식부의 유동이 가능한 장신구
WO2020036240A1 (ko) * 2018-08-16 2020-02-20 김병조 체인형 보석 목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550A (ko) * 2002-08-19 2004-02-25 박재학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KR101403219B1 (ko) * 2013-06-04 2014-06-02 김병조 뱅글 팔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240Y1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466A (en) Barrette
CN100592880C (zh) 拉链
CN103251178B (zh) 旁开扣
US20090009711A1 (en) Personalizeable Wearable and Displayable Items
USD928012S1 (en) Watch strap
KR930001655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용 견인 탭
US4522215A (en) Hair comb with detachable ornament
CN100553515C (zh) 带有一钩扣的腕带
KR200225240Y1 (ko) 장식용 보석집 연결구조
US3462807A (en) Clasp construction
USD601448S1 (en) Longhorn style ornament
USD987288S1 (en) Two-part clasp
KR101005684B1 (ko) 장신구 연결핀
US20030101747A1 (en) Prongless gemstone setting
KR200216024Y1 (ko) 다열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편 구조
US1933576A (en) Manufacture of bracelets
US20140116087A1 (en) Earring for pierced ears
US5309616A (en) Method of making a catch for jewelry clasp
USD943530S1 (en) Bus bar for wind turbine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CN209573489U (zh) 带鱼鳞纹的双向折叠式表扣
CN210407358U (zh) 组合式吊坠饰品
AU764197B2 (en) Belt buckle
US3707744A (en) Adjustable end connector for watchbands
CN210276174U (zh) 一种首饰连接结构以及首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