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749A -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749A
KR20000017749A KR1019990045951A KR19990045951A KR20000017749A KR 20000017749 A KR20000017749 A KR 20000017749A KR 1019990045951 A KR1019990045951 A KR 1019990045951A KR 19990045951 A KR19990045951 A KR 19990045951A KR 20000017749 A KR20000017749 A KR 20000017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jack
main
portable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주식회사 엔터기술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101999004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749A/ko
Publication of KR2000001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노래방기기 본체(20)에 접속되며 다수의 신호핀(31a)을 구비한 메인잭(31)과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개의 신호잭(35) 사이를 메인와이어 (32)와 라인결합부(33)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인결합부(33)에 아답터의 전원 콘넥터(22)와 접속되기 위한 전원잭(36)을 전선(36a)으로 연결하고, 이 전원잭(36)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휴대용 노래방기기로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핀(31b)을 메인잭(31)에 형성하되, 본체(20)에는 메인잭(31)의 신호핀(31a) 및 전원핀(31b)과 접속되기 위한 신호/전원단자(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잭을 접속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1개의 메인잭만이 접속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잡고 노래부르기가 훨씬 용이해지도록 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Signal connecying device of potable accompanimenting machine}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노래방기기와 영상표시기기를 이어주는 신호연결장치에 외부로 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일체로 형성 하므로서,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잭을 접속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1개의 메인잭만이 접속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잡고 노래부르기가 훨씬 용이해지도록 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노래방기기라 함은 일반 마이크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것으로서, 곡의 반주음, 자막, 배경영상 등을 라디오 또는 TV와 같은 영상표시기기로 무선 또는 유선 송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자막과 배경영상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고, 반주음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있고, 일반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오디오기기 또는 차량 내에 설치된 카오디오를 통해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체를 잡고 반주음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같은 휴대용 노래방기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손쉽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있고, 휴대용 노래방기기에서 송출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는 별도의 신호연결장치에 의해 영상표시기기로 공급되고 있다.
도 1 은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종래의 신호연결장치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마이크와 키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의 하측으로 신호연결장치(5)가 접속되기 위한 신호출력단자(4)가 형성되고, 본체(1)의 일측으로는 전원콘넥터(3)가 접속되기 위한 전원입력단자(2)가 형성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연결장치(5)는 본체(1)의 신호출력단자(4)에 접속되기 위한 메인잭(6)과,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어 휴대용 노래방으로 부터 공급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영상표시기기로 공급하는 신호잭(10)과, 상기 메인잭(6)의 후단으로 형성되는 메인 와이어(7)와 각각의 신호잭(10)에 접속된 전선(9)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라인 결합부(8)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메인잭(31)에는 본체(1)의 신호출력단자(4)로 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4개의 신호핀(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휴대용 노래방기기는 사용자가 본체(1)의 전원입력단자(2)에 아답터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 콘넥터(3)를 접속하여 본체(1)의 각 구성요소로 구동전원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가 곡번호를 선택하면 그 곡에대한 반주데이타와 영상표시기기에 출력될 배경화면의 영상신호가 신호출력단자(4)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신호출력단자(4)를 통해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는 메인잭(6)과 라인결합부(8)와 다수의 신호잭(10)을 통해 영상표시기기로 공급되어져 반주음은 스피커로, 배경영상신호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휴대용 노래방기기로 부터 영상표시기기에 공급해주는 신호연결장치 이외에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구동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입력단자(2)가 별도의 위치에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손으로 잡고 노래를 부를때 본체에 신호연결장치(5)이외에도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콘넥터(3)가 전원입력단자(2)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노래부르기가 매우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특히 영상표시기기의 위치와 전원콘센트의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본체에 접속된 신호연결장치와 아답터선이 서로 양방향으로 벌어지게되므로 각각의 전선이 걸리적거림에 따라 노래를 부르기가 더욱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핸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방기기와 영상표시기기를 이어주는 신호연결장치에 외부로 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일체로 형성 하므로서,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잭을 접속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1개의 메인잭만이 접속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잡고 노래부르기가 훨씬 용이해지도록 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용 노래방기기 본체에 접속되며 다수의 신호핀을 구비한 메인잭과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개의 신호잭 사이를 메인와이어와 라인결합부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인결합부에 아답터의 전원 콘넥터와 접속되기 위한 전원잭을 전선으로 연결하고, 이 전원잭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휴대용 노래방기기로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핀을 메인잭에 형성하되, 본체에는 메인잭의 신호핀 및 전원핀과 접속되기 위한 신호/전원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신호 연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의 신호 연결장치에 적용된 메인잭을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신호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메인잭을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1 : 신호/전원단자
22 : 전원 콘넥터 30 : 신호연결장치
31 : 메인잭 31a : 신호핀
31b : 전원핀 32 : 메인 와이어
33 : 라인 결합부 34 : 전선
35 : 신호잭 36 : 전원잭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20은 마이크와 키이부가 구비되어있는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본체(20)의 하단에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신호/전원단자(21)가 형성된다.
도면부호 30은 상기 신호/전원단자(21)에 접속되어 본체(20)로 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영상표시기기에 공급하고, 아답터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 콘넥터(22)로 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본체(20)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전원단자(21)에 접속되는 메인잭(31)이 일단에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어 영상 및 음성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3개의 신호잭(35)과 전원 콘넥터(22)와 접속되기 위한 전원잭(36)이 별도의 전선(34)(36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잭(31)과 신호잭(35)및 전원잭(36)은 라인결합부(33)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잭(31)과 라인결합부(33)는 하나의 메인와이어(32)에 의해 연결되고, 라인결합부(33)와 신호잭(35) 및 전원잭(36)은 각기 별도의 전선(34)(36a)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라인결합부(33)는 메인와이어(32)와 각각의 전선(34)(36a)을 상호 연결해주는 것이다.
한편, 도 4 는 메인잭(31)에 형성된 복수개의 신호핀(31a)과 2개의 전원핀(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핀(31a)과 전원핀(31b)은 라인결합부(33)를 통해 각각의 신호잭(10)과 전원잭(36)에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20)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전원단자(21)에는 상기 메인잭(31)을 구성하는 신호핀(31a)과 전원핀(31b)이 각각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단자(미도시되었음)들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이용하여 노래연습을 하기위해 메인잭(31)을 본체(20)의 신호/전원단자(21)에 접속하고, 신호연결장치(30)의 신호잭(35)들을 각각 영상표시기기에 접속하며, 전원잭(36)을 전원 아답터의 전원 콘넥터(22)에 접속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신호연결장치(30)를 이용하여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본체(20)와 영상표시기기및 전원 아답터를 연결하면, 전원 아답터에서 공급된 전원이 전원잭(36), 메인잭(31)의 전원핀(31b), 신호/전원단자(21)를 통해 본체(20)로 공급되어 휴대용 노래방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반주음 및 배경영상에 대한 음성 및 영상신호는 상기 신호/전원단자(21), 메인잭(31)의 신호핀(31a), 신호잭(34)을 통해 영상표시기기로 공급되어 출력되므로서 사용자는 본체(20)를 손으로 잡고 반주음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동작하는 본발명에 의하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0)에 하나의 신호연결장치(30) 만이 접속되어도 전원과 영상 및 음성신호의 상호 교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되므로 보다 편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노래방기기와 영상표시기기를 이어주는 신호연결장치에 외부로 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일체로 형성 하므로서,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잭을 접속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1개의 메인잭만이 접속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잡고 노래부르기가 훨씬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휴대용 노래방기기 본체(20)에 접속되며 다수의 신호핀(31a)을 구비한 메인잭(31)과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개의 신호잭(35) 사이를 메인와이어 (32)와 라인결합부(33)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인결합부(33)에 아답터의 전원 콘넥터(22)와 접속되기 위한 전원잭(36)을 전선(36a)으로 연결하고, 이 전원잭(36)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휴대용 노래방기기로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핀(31b)을 메인잭(31)에 형성하되, 본체(20)에는 메인잭(31)의 신호핀(31a) 및 전원핀(31b)과 접속되기 위한 신호/전원단자(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KR1019990045951A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KR20000017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951A KR20000017749A (ko)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951A KR20000017749A (ko)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49A true KR20000017749A (ko) 2000-04-06

Family

ID=1961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951A KR20000017749A (ko)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7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614A1 (en) * 2006-03-17 2007-09-27 Sm Bravo Co., Ltd Thin karaoke having display device in a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614A1 (en) * 2006-03-17 2007-09-27 Sm Bravo Co., Ltd Thin karaoke having display device in a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9300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伝送用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
US6411823B1 (en) Replaceable signal cable making a sound-controlled or externally dialed hand-free system universally compatible with all types of cellular phones
KR100764728B1 (ko) 오디오 처리 기능이 구비된 노래 반주기용 무선 마이크
KR20000017749A (ko)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신호 연결장치
US20030060080A1 (en) Connector for an audio/visual display monitor
CN1496166B (zh) 使用移动通信终端耳机插孔的usb通信设备及其方法
KR100379102B1 (ko)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표시장치
JP4164544B2 (ja) 身体に装着するとともに複数の電気素子からなる多機能アセンブリを具備したカメラ支持装置
KR100527612B1 (ko) 휴대용 영상가요반주기의 신호연결장치
KR100740164B1 (ko) 기타 앰프
US6081594A (en) Hands-free device with a replaceable adapter for a mobile phone
KR101382839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
KR200251045Y1 (ko) 이어 핸즈프리 다중접속장치
KR20000017744A (ko)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보조 마이크 장치
JP4470136B2 (ja) 赤外線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システム
EP1985500B1 (en) Electronic interface system between a digital file drive and the audio system of a vehicle
KR200294591Y1 (ko) 핸디 노래방기기의 입·출력 커넥터장치
JP2005039531A (ja) マイクロホン
KR100320016B1 (ko)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JPH1065774A (ja) 携帯無線装置
KR20000023924A (ko) 콘넥터용 리드 프레임
KR20000054728A (ko) 휴대용 무선 반주기용 엘시디 자막기
KR0124857Y1 (ko) 무선 마이크 장치
KR200283585Y1 (ko) 비디오 게임기의 영상 및 음성 출력 신호 변환장치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