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48A -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충격 완충재용의 충전재 - Google Patents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충격 완충재용의 충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48A
KR20000017048A KR1019990031874A KR19990031874A KR20000017048A KR 20000017048 A KR20000017048 A KR 20000017048A KR 1019990031874 A KR1019990031874 A KR 1019990031874A KR 19990031874 A KR19990031874 A KR 19990031874A KR 20000017048 A KR20000017048 A KR 20000017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shock absorber
cushion structure
impact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오니시보리
호시무라 히데지
Original Assignee
사다오 니시보리
아인 코오산 가부시끼가이샤
호시무라 히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다오 니시보리, 아인 코오산 가부시끼가이샤, 호시무라 히데지 filed Critical 사다오 니시보리
Publication of KR2000001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4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steel wool, compressed hair, woven or non-woven textile, or lik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38Resistance against physical degradation
    • C04B2111/2046Shock-absorb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물체 및 피충돌물체의 손상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충격완충재를 제공한다. 열가소성수지를 용융 압출해서 연속 선조(線條)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이 용융상태의 선조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접촉 결합시킨 랜덤(Random)한 컬 모양 또는 루프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의 쿠션구조체로써, 높은 쿠션성, 내 헤다리(Hydraulic)성을 이용하여, 일정 두께를 가진 쿠션구조체를 예를 들면 두께방향에 평행하게 중첩한 것을 쿠션재로 하여, 상기 쿠션구조체를 충격면에 일부 노출시키는 등으로 해서, 수화수경성(水和水硬性)의 결합재를 물, 발포제와 함께 혼련해서 건조고화시킨 충전재 속에 매설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충격완충재용의 충전재{SHOCK ABSOR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FILL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열가소성수지 또는 고무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양방의 특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로 된 폴리에스틸계, 나이론계, 우레탄계, 오레핀계의 에라스토마(Elastomer), 예를 들면, 폴리에스틸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용융압출해서 연속 선조를 형성하고, 또한, 그 용융상태의 선조에 컬(Curl) 또는 루프(Loop)를 형성시킨 것으로, 예를 들면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잇거나 접촉 결합시킨 랜덤(Random)한 루프로 된 바람직한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로 된 쿠션구조체이며, 압축변형에 의해 생기는 연결굴곡부의 소성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응력이 해제되어도 연결고무탄성의 회복력으로 구조전체가 즉각 회복되는 큰 헤다리(Hydraulic)특성을 지닌 쿠션재료를 발포고화시킨 충전재 속에 매설한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 병행하여 상기 충격완충재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충전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종래부터 소위 쿠션드럼으로서 제공되는 것이 있는데, 고속도로상의 분기점에 있는 배리어(Barrier) 등의 시설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하고, 인체, 시설의 양측의 피해가 작도록 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인데, 100 ~ 400리터의 물주머니를 집어넣은 드럼본체로 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고속도로 등에 설치된 충격흡수장치로서는 철로 된 사복식(蛇腹式) 충격흡수 방호책이 있다.
운전자의 안전기준을 정한 미국 운수성의 "운전자 안전확보를 위한 안전기 준"에 의하면, 충돌시 차량이 받는 중력가속도 (전후방향의 평행G)가 20G 이하의 경우, 승객의 피해는 생명에 위험이 없는 수준 (단, 3주이상의 입원치료를 요하는 중대한 후유증이 남는다.)에서 멈추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15G 이하의 경우, 후유증이 남지 않는 수준의 승객피해 (단, 입원치료를 요한다.)가 가능하며, 더불어, 12G 이하의 경우에는 전문의에 의한 치료는 필요하지만 꼭 입원할 필요는 없는 수준에서 멈추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상기의 쿠션드럼에 있어서도 900x900x900mm, 중량 18Kg, 물 용량 400리터의 드럼이 상기의 용도의 충돌에서는 65km/h, 1.5t의 자동차가 충돌시 45.7km로 감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쿠션드럼은 충격에너지를 받으면 변형, 파열되어 완전히 비산하는 까닭에 주행 중에 있는 자동차등이 상기 충격완충재에 충돌하는 경우, 완전히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 배후에 있는 배리어 등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쿠션드럼에 있어서는, 물주머니를 넣어서 드럼본체를 만든 것이기 때문에 충격완충재 자체를 필요한 상태로 만드는 것, 예를 들면, 도로표지의 기부를 형성한다던가, 커브를 형성하는 벽면으로 한다던가 또는 분기점의 분리체 등을 구축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쿠션드럼에 있어서, 물 대신에 다른 물질을 충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충격완충재는 도로상 등의 옥외에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충격완충재 자체가 바람이나 진동, 또는 사람의 장난 등에 의해 이동되지 않는 중량을 가져야 하고,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과 난연성 및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도록 자외선 차단성을 가져야 하며, 또한 소정의 내구성을 지녀서 유지보수 등이 필요 없는 동시에 충격흡수재 자체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지닐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의 쿠션드럼 본 체내에 알려진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콘크리트 등을 충전하는 경우에는 중량이나 난연성, 내구성 등의 조건은 충족되겠지만, 충전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 중력가속도를 상기와 같이, 생명의 위험이 없는 20G 이하로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의 사복식 충격흡수 방호책에 있어서는, 1.3t 무게에, 시속 80km로 충돌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으나, 극히 사고가 많은 배기량 2000cc 이상의 차량이 차무게 1.8t 전후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차량의 충돌에 대한 대응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사복식 충격흡수 방호책은 설치공사에 많은 비용과 시간, 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흡수의 성능이 높고, 특히, 충돌물이 차량과 부딪치는 경우, 충돌한 차량이 받는 중력가속도 (전후방향의 평행G)를 20G 이하, 바람직하게는 15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G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충돌물이 충돌할 때, 충격완충재인 충전재가 충격을 흡수하므로, 충격완충재로서 우수한 성질을 갖으며, 또한, 보호물체에 대응하여 임의의 내충격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용이함과 동시에, 용도에 맞는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도 용이한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과 병행하여, 상기의 충격완충재용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중량, 난연성, 내후성, 내구성 등의 조건을 구비하여 소정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적당히 파괴되므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파괴약성을 구비한 충격완충재용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충돌시험의 실시방법을 개시한 설명도이고,
도2는 충돌시험에 있어 충격완충재의 배치를 개시한 설명도이며,
도3은 표 19중의 시험번호 16의 시험에 있어서 얻은 시험결과이며, (A)는 시간-가속도 도시도, (B)는 변위-하중 도시도 이고,
도4는 표 19중의 시험번호 12의 시험에 있어서 얻은 시험결과이며, (A)는 시간-가속도 도시도, (B)는 변위-하중 도시도 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는 열가소성수지를 용융 압출해서 연속 선조(線條)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이 용융상태의 선조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접촉 결합시킨 랜덤(Random)한 컬 또는 루프로 이루어지는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로 된 쿠션구조체(이하 간단히 쿠션구조체라 함.)의 높은 쿠션성, 내헤다리성(Hydraulic)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일정 두께의 쿠션구조체를 두께방향으로 평행하게 중첩시켜, 결국은 한쪽 측변을 중심으로 감아 올려 소정 크기를 형성한 쿠션재로 한다던가, 상기 쿠션 구조체를 예를 들면 충격면에 일부를 노출시키는 등으로 해서, 수화수경성(水和水硬性)의 결합재를 함유하여 발포 경화시킨 충전재 속에 매설시킨 것이다.
상기 쿠션 구조체의 체적비중이 0.003 ~ 0.3g/cm3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수치 이하에서는 충격흡수 효과가 약하고, 이상에서는 물 및 발포제와 혼합되는 결합제가 쿠션구조체 속으로 침투하는 양이 부족해, 내충격성이 결여된다.
또한, 상기 쿠션구조체의 직경(Diameter)은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 및 고밀도에 달렸지만, 0.1mm ~ 3mm가 바람직하고, 또한, 이와 같이 해서 구성된, 상기 충격완충재의 비중은, 충격흡수성의 면에서 0.2 ~ 0.3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구조체는 체적비중 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쿠션구조체를 두께방향에서 중첩시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제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압출해서 연속 선조(線條)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이 용융 상태의 선조에 컬(Curl) 또는 루프(Loop)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접촉 결합시킨 랜덤(Random)한 컬 또는 루프로 이루어지는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로 된 쿠션구조체를 틀 내에 배치해서, 물 및 발포제와 함께 혼합되어 수화수경(水和水硬)작용을 거친 결합재를 주입후 양생시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틀은, 그 자체 충격완충재의 외측면 또는 외벽을 이루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로된 용기, 기타 플라스틱 성형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충격흡수제의 강도를 고려하는 경우, 충격흡수제를 차량 등의 충돌물의 강성보다 약하게 하여, 충돌에너지를 전부 충격완충재에서 흡수케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충격완충재를 장대하게 만들 필요가 있고, 또한 차량 등의 충돌물의 강성보다 강하게 해서 충돌물의 강성을 초과한 충격을 받은 단계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충돌한 차량이 받은 중력가속도 (전후방향의 평행G)가 30G 정도가 되어 생명에 위험이 없는 수준에서 승객의 피해를 멈추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는 충격완충재의 강성을 차의 강성과 동조시켜, 차와 일체가 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강도로 하는 것을 바라고 있다.
이와 같은 충격완충재의 강도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용의 충전재는, 수화수경성(水和水硬性)의 결합재 4.0 ~ 33.3wt%, 탄산칼슘(석분) 2.7 ~ 46.7wt%, 골재(砂) 2.7 ~ 53.3wt%, 물 13.3 ~ 53.3wt%, 발포제(희석수 함유) 1.4 ~ 10.0wt%를 혼합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건조, 경화후의 파괴하중이 10kg.f/cm2이하, 바람직하게는 4kg.f/cm2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kg.f/cm2이하이다.
더불어, 상기 충전재에 포함된 상기 수화수경성의 결합제는, 석회반토류, 석회산류를 화합성분에 포함하고 있고, 석회반토류로서 3CaOAl2O3, 석회산류로서 3CaOSiO2및 2CaOSiO2를 함유, 제 화합성분이 15 ~ 18%의 3CaOAl2O3, 55 ~ 60%의 3CaOSiO2, 10 ~ 20%의 2CaOSiO2인 비례화합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는, 컬 또는 루프로된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로된 쿠션구조체이고, 이 쿠션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매설한 충전재로 이루어진다.
쿠션구조체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할 수 없지만, 폴리에스털,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등 이외에,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에라스토마가 있고, 특히 페트병의 회수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털 모노필라멘트의 압축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쿠션 구조체를 이용하여 충격 흡수재로 한다.
상기 수지를 용융 압출해서 연속 선조를 형성하고, 이어 용융상태의 직경 약 0.1 ~ 3mm 정도의 선조에 루프를 형성, 연속 선조와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결합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 결합한 랜덤한 루프로 된 3차원 쿠션구조체를 준비한다. 이 쿠션 구조체는 압축 성형 등으로 예정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것도 좋다. 또는 면상응집 되어있는 폴리에스테르 단 섬유의 쿠션구조체를 일단 해면하여, 임의형상으로 하는 것도 좋다.
여기에서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로된 폴리에스텔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용융 압출해서 연속 선조를 형성하고, 이어 용융상태의 직경 약 3mm 정도의 선조에 루프를 형성해서,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접촉 결합시킨 랜덤한 루프로 된 3차원 스프링 구조로 된 W: D: H 30x30x10mm, 고밀도 0.08g/cm3의 쿠션구조체를 준비한다.
이 쿠션구조체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548477호에 개시된 것처럼, 비탄성 폴리에스테르계 권축단섬유 쿠션구조체를 매트릭스로 해서, 밀도가 0.005 ~ 0.310g/cm3, 두께 5mm 이상인 쿠션구조체에 있어서, 그 단 섬유 쿠션구조체 속에는, 단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털 폴리머의 융점보다 40도C 이상 낮은 융점을 가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와, 비탄성 폴리에스텔로 되고, 전자가 적어도 섬유표면에 노출된 탄성 복합섬유가 분산, 혼입되어, 그 때의 해당 쿠션구조체 속에는 (A) 해당 탄성복합섬유의 동아리가 교차된 상태에서 서로의 열융착에 의해 형성된 아메바 형태의 전 방위적 가휴성 열고착점, 또는 (B) 해당 탄성복합섬유와 해당 비탄성폴리에스텔계 단 섬유와의 교차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형성된 준전방위적 가소성 열고착점등이 산재하고, 동시에 이웃한 가소성 열고착점간 (A-A간, A-B간 및 B-B간)에 존재하는 복합섬유군에 있어, 일부 복합섬유에는 긴쪽방향에 연한 적어도 1개의 방추상의 절부(節部)가 존재하는 쿠션구조체로 이루어진다. 이 쿠션구조체를 상기의 W: D: H 30x30x10㎜ 등 희망하는 단면형상으로 절단하고, 3매를 서로 중첩시켜 W: D: H 30x30x30㎜로 한 후, W: D: H 35x35x35mm의 용적을 갖는 틀을 구성하거나, 상기의 틀과 같은 용적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또는 금속재의 용기 내부 각각에, 틀 내벽으로부터 5mm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충전재
다음에, 상기 틀 내에 수화수경성의 결합재를 포함한 발포성의 충전재를 주입한다. 이 수화수경작용을 가진 결합재와는 예를 들면 석회반토류, 석회산류처럼 물과 결합하면 그 물의 일부가 이것과 화학적 결합을 하는 성질을 가짐과 동시에 (수화성) 물과의 결합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 (수경성)을 가진 결합재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합성분중에 석회산류와 석회반토류를 포함한 결합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례를 들면, 석회반토류로서 15 ~ 18%의 3CaOAl2O3, 석회산류로서 55 ~ 60%의 3CaOSiO2, 10 ~ 20%의 2CaOSiO2로 된 결합재를 사용한다.
상기 화합성분중, 석회반토류(3CaOAl2O3)는 수화작용이 대단히 빠르고, 조기 (약 1주 이내)에 강함이 생기고, 다음으로 3CaOSiO2의 수화작용이 빨라 1주간 후부터 4 ~ 13주에 강해진다. 그래서 2CaOSiO2가 가장 수화작용이 늦어, 1개월 이상의 장기에 강함이 발생하는 주요인이 되는 관계상, 충전재의 고화를 빠르게 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 강도증가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해서 충격완충재로서의 성능저하를 방지한 충전재를 얻기 위하여는 2CaOSiO2의 화합량을 비교적 적게 한다.
또한, 상기 결합재는 석회질원료 및 점토질 원료를 소정분량으로 혼합후, 소성(燒成)하여 괴상(塊狀)으로 된 것을 파쇄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속경성 성분인 칼슘알미네트를 11CaO7Al2O3CaF2로 해서, 상기 소성된 괴속의 알미트 (알루민산 3칼슘 : 3CaOAl2O3)와 공존시켜, 이것에 II형 무수 석고와 소량의 첨가물을 혼합해서 속경성을 발휘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충전재는 결합재를 물 및 발포제와 함께 혼련시켜 발포시킨 것으로, 필요한 취성(脆性) 또는 취약성을 갖춘 충전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다 적합하기로는 골재 및 탄산칼슘을 결합재보다 다량 혼입시켜 결합력을 약화, 충격을 받을 때 파괴되는 취약성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재에 혼입된 발포제는 주성분을 유산에스텔염계 아이온 해면활성제로 만든 화학혼합제 0.1 ~ 0.4wt%에 물 [13.3-(0.1~0.4)] ~ [53.3-(0.1~0.4)]wt%를 혼합 또는 혼합교반한 것을 프런져(Plunger)로 가압해서, 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에 의해 노즐에 압송해서, 예를 들면 입경(粒徑) 9㎛ ~ 10mm의 포말상태로된 것을 이용한다.
상기 화학혼합제와 혼합하는 물은, 상기 [13.3 ~ (0.1 ~ 0.4)]wt% 이하에서도 발포율이 좋고, 제품의 파괴강도를 얻을 수 있고, 충격흡수에 우수하다. [53.3 ~ (0.1 ~ 0.4)]wt% 이상에서도 제품강도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포제로서는 , 전술의 계면활성제, 또는 동물성 단백질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 동물성 단백질에서 추출한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충전재의 원료는 이미 알려진 것의 믹스로 혼련, 혼합되어 상기의 틀 내에 주입된다. 이 혼련은, 충전재가 결합재를 물과 발포제와 함께 혼련시킨 것인 경우에는, 우선, 결합재 및 물을 믹서 내에 투입해서 뒤섞음과 동시에, 이 혼합체 40 ~ 90wt%에 상기 발포제를 분사해서, 상기 틀 내에 주입한다.
또한, 모래, 탄산칼슘을 함유한 경우에는 믹서 내에서 혼련시킨 결합재, 물, 모래, 탄산칼슘 80 ~ 98wt%에 대해 상기 발포제를 분사해서 혼련하고 틀 내에 주입한다.
충전재의 주입시, 틀에 진동을 가해, 상기 쿠션 구조체의 공간에 균일한 밀도가 되도록 충전재를 주입한다. 그 후, 28일 정도 양생하고, 건조, 고화한다.
또한, 상기 결합재중의 화합성분의 배합을 조정해서, 본 실시형태의 충전재는 1 ~ 2일 정도의 단기간에 건조, 고화시킨 것이지만, 상기의 성분중의 2CaOSiO2등은 강함이 생기는데 비교적 장기간을 요하기 때문에, 특히 후술 충격 완충제의 테스트 피스(Test Piece)에 있어서는 28일간 건조, 고화시킨후, 충격완충재로서 시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에 있어서는, 물과 혼련된 결합재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충전재를 사용해도 적당한 충격완충 성능을 발휘하지만, 충격완충시에 입자상태로 붕괴 비산하여, 충격을 잘 흡수하는 충전재가 되기 위하여는 보다 적합하게는 물, 결합재, 발포제에 추가하여, 골재로서 다량의 모래, 탄산칼슘을 첨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의 배합은, 일례로 결합재 4.0 ~ 33.3wt%, 탄산칼슘 2.7 ~ 46.7wt%, 골재 2.7~53.3wt%, 물 13.3~53.3wt%, 발포제 0.1~0.4wt%, 발포재의 희석수 1.3~9.6wt% 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그 조성을 CaO: 53.94%, SiO2: 1.88%, MgO: 0.51%, Al2O3+ Fe2O3: 0.09%, 1g.loss: 42.85%가 되어, 비표면적: 5,000 (cm2/g), 비중(밀도): 2.70, 입도 분포 300μm~3μm, 평균입경 9.8μm의 백색분체이고, 이 탄산칼슘을 상기 충전재 속에 첨가함으로써, 수화수경성의 결합재의 분체량의 일부로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탄산칼슘은, 충전재의 강도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의 것처럼 결합재에 치환하여 탄산칼슘을 첨가하므로써, 본 발명의 충전재가 소정의 취약성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이 탄산칼슘은 표면적이 크고, 형성된 충전재의 재료분리 저항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취약하게 형성된 본 발명의 충전재의 보형성 향상에 기여한다.
실시예
충전재의 성분
배합비C:S W/C(%) 공기량 (%) 비중 결합재 (Kg) 물(Kg) 발포제(Kg)
Y 1:0 73 70:+/-5 0.2 150 110 2.5
Z 1:0 70 68:+/-5 0.35 120 175 2.2
A 1:0 68 65:+/-5 0.5 350 238 2.0
B 1:0 57 60:+/-5 0.65 450 257 1.7
C 1:0 56 52:+/-5 0.81 550 308 1.4
D 1:0 55 48:+/-5 0.91 650 355 1.2
E 1:0 53 44:+/-5 1.05 750 398 1.0
* 주 발포제: AP 홈 (Kizai Techto 주식회사)
C:S 결합재:골재 (각 예에 골재는 가해지지 않음)
W/C 물/결합재
비중은 제품으로서의 충격완충재의 비중
실시예 1
쿠션구조체 브레스 에어 (동양방/Toyobo (주))
직경 ψ3mm
중량 1.14Kg
체적 300mm x 300mm x 80mm의 브레스 에어 3매 중첩
성형 저면의 두께 40mm는 발포콘크리트의 몸체
발포충전재 Y,Z,A,B,C,D,E의 조성으로 제조
실시예 2
쿠션구조체 Normad, Mat Extra duty, 스미토모 스리엠 주식회사
체적 300mm X 300mm X 14mm (두께)의 염비(Vinyl chloride)매트(Mat)를 17매 중첩
실시예 3
쿠션구조체 염비: Normad, Mat standard Unback(스미토모 스리엠,주)
체적 300mm X 300mm X 8mm (두께)의 염비매트 30매 중첩
비교예 1
300mm X 300mm X 280mm의 틀에 쿠션 구조체 없이 A, B, C의 충전재를 부어 넣는다.
비교예 2
동양방(Toyobo Co., Ltd)의 폴리에스터 에라스토마(Polyester Elastomer) P-280B를 사용해 ψ1mm속의 공간에 실을 압출해서, (비연신:Non-Stretched) 30cm x 30cm로, 29본씩 직각으로 짠 것을 94매 중첩, 상기 틀 속에 배치한다. 쿠션구조체의 무게는 실시예 1의 브레스 에어(Bless Air)의 무게와 같다.
중량 비례 배합 ; 충전재 11.46Kg, P-280B 1.14Kg
비교예 3
비교예 2의 실을 길이 5mm 이하, 평균 길이 3mm로 분쇄해서, 충전재를 믹싱(Mixing)하는 경우에 충전재 11.56Kg, 실의 무게 1.14Kg로 혼합한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함.
완충재 낙하시험
1. 시험방법
저변직경 400mm, 길이 370mm, 중량 300Kg의 포탄형의 무거운 추를 높이 4m에서 자연 낙하시켜, 각 완충재에 충돌시킨다.
실시예 1부터 비교예 3까지의 시험부위에 상기 낙하실험 실시 후, 저면까지 파괴되었는지 아닌지 확인. 시험부위를 거꾸로 해서, 진동시켜 충전재 조각을 수집하여, ψ 5이하 (4-Mesh Pass)인 가루를 수집하여 측정하므로써, 분쇄한 충전재의 중량%를 측정한다.
충전재Y
밑 받침 저부의 상태(쿠션구조체 없는 부분)
실 시 예 1 없음 크랙 3곳
충전재 Z
밑 받침 저부의 상태
실 시 예 2 없음 크랙 1곳
충전재 A
밑 받침 저부의 상태
실시예 1 없음 변화없음
실시예 2 없음 변화없음
실시예 3 없음 변화없음
비교예 1 있음 파괴됨
비교예 2 없음 크랙 다수
비교예 3 있음 파괴됨
충전재 B
밑 받침 저부의 상태
실시예 1 없음 변화없음
실시예 2 없음 변화없음
실시예 3 없음 변화없음
비교예 1 있음 파괴됨
비교예 2 없음 크랙 8곳
비교예 3 있음 파괴됨
충전재 C
밑 받침 저부의 상태
실시예 1 없음 변화없음
실시예 2 없음 변화없음
실시예 3 없음 변화없음
비교예 1 있음 파괴됨
비교예 2 없음 크랙 5곳
비교예 3 있음 파괴됨
충전재 D,E
밑 받침 저부의 상태
실시예 1 없음 변화없음
충전재Y는 밑받침은 없지만, 밑에 크랙(Crack)이 발생하고 있어 이것이 한계라고 생각된다. 쿠션구조체와 단 섬유는 내충격성이 약하다. 비교예 2에서도 밑받침을 볼 수 있고, 쿠션구조체가 입체가 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명백히 판단된다.
실시예 1의 비중
Y 0.2
Z 0.35
A 0.5
B 0.65
C 0.81
D 0.91
E 1.05
시험예 1
중량 (1)파괴전 (2)쿠션구 조체 (3)충전재중량(1)-(2) (4)분쇄분 (4)/(3)wt%
충전재 실시예
Y 1 5.04 1.14 3.90 1.29 33.2
Z 1 8.82 1.14 7.68 2.29 30
A 1 12.6 1.14 11.46 3.2 28
2 16.9 7.7 9.2 1.85 20.1
3 15.8 5.4 10.4 2.04 19.6
비교예 1 13.5 - 13.5 1.0 9.0
비교예 2 12.6 1.14 11.46 1.95 17.0
비교예 3 12.7 1.14 11.56 1.64 14.2
B 1 16.3 1.14 15.16 3.3 22.0
2 20.3 7.7 12.6 2.36 18.9
3 19.5 5.4 14.1 2.64 18.7
비교예 1 18.1 - 18.1 1.2 8.1
비교예 2 16.4 1.14 15.26 2.3 15.1
비교예 3 16.4 1.14 15.26 1.69 11.1
C 1 20.54 1.14 19.40 3.4 18.0
2 23.1 7.7 15,4 2.48 16.1
3 22.7 5.4 17.3 2.72 15.7
4 20.4 1.7 18.7 2.67 14.3
비교예 1 22.0 - 22.0 1.4 7.4
비교예 2 20.6 1.14 18.07 2.17 12.0
비교예 3 20.7 1.14 19.56 1.76 9.0
D 1 22.93 1.14 21.79 3.66 16.8
E 1 26.46 1.14 25.32 3.82 15.1
비교예 1을 보면 추는 밑에까지 도달해 있어도, 충전재는 그다지 가루로 되어 있지 않다. 쿠션구조체에 의해 충격력이 분산되어 전체가 파괴에너지를 흡수하고 있다. 비교예 2는 쿠션구조체는 아니고, 충전재를 품고있지 않기 때문에 충격력이 분산되지 않는다.
또 한번, 이하의 실험을 했다.
목적, 종류, 크기가 다른 수지의 일점에 충격을 받을 때의 에너지의 전달 모양을 관찰했다.
시험방법 ; 종과 횡으로 각 29본씩 짜여진 30cm x 30cm 크기의 편직물에, 두께 5mm의 충전재 A를 유입시켜 코아(Core)를 형성 한 것으로서, 시험편을 만들었음.
ψ16.5mm, 18.4g의 철구를 상기 시험 편에 떨어뜨림.
평가방법
1. 철구가 튀어나오는지 어떤지.
2. 충전재의 파괴면적 (직경으로 표시)
실험 1
하기 수지로 된 직경 0.5mm의 실을 사용함.
PVC ; 신에츠 폴리머(Shin-Etsu Polymer)(주)의 신에쯔 염비 콤파운드 EW-702B
PE ; 삼정석유화학공업(주)의 울트덱스(Ultdex) 4030
PP ; 그랜드포리머(Grand Polymer)(주)의 그랜드포리프로 J101
나일론 ; 도레이 공업(Toray Industries)(주)의 아미란 도레이 나일론 수지 CM1021TM
폴리에스터 에라스토마(Elastomer) ; 동양방적(Toyobo) (주) P-208B
폴리에스터 ; 미쓰비시 레이온 (주) 다이야나이드(Daiyanite) KR-461S
실험 2
폴리에스털 에라스토마 동양방적 (주) P-208B
직경 ψ 3, ψ1, ψ0.5, ψ0.1, ψ0.05
실험 3
쿠션구조체 없이 ψ0.05
실험 4
실험 2의 ψ 0.1mm로 짠것을 2mm간격으로 쿠션구조체를 배치
실험결과
수지 선정 관통 유무 파괴면적(내접원의 직경)
PVC ψ0.5 없음 ψ123㎜
PE ψ0.5 없음 ψ142㎜
PP ψ0.5 없음 ψ151㎜
나이론 ψ0.5 없음 ψ172㎜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0.5 없음 ψ170㎜
폴리에스텔 ψ0.5 없음 ψ184㎜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3 없음 ψ163㎜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1 없음 ψ165㎜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0.5 없음 ψ170㎜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0.1 ψ105㎜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0.05 ψ90㎜
없음 ψ6의 구멍과 ψ12의 미미한 결손 홈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0.1, 2㎜ 간격 없음 ψ142㎜
폴리에스텔 에라스토마 ψ0.05, 2㎜ 간격 ψ105㎜
PVC와 폴리에스털 에라스토마로 된 300Kg의 추의 시험에서 관통이 없으므로, 타 수지도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선의 직경 ψ3 ~ψ 0.1에서는 관통이 없다.
체적비중(Bulk Specific Gravity)은 0.003이상에서 내충격 효과를 볼 수 있다. 체적비중의 상한은 실시예 2의 염비 매트의 0.3이 된다. 이 이상은 충분한 콘크리트 혼입이 불가하다.
전체의 크기와 쿠션재의 크기와의 비교에 있어서는, 시험결과로 보면, 쿠션구조체등은 큰 덩어리로 부서지고, 충격완충재 외측면과 내부의 쿠션재 외측면간의 거리는 5cm 이내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더불어, 다음의 실시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시예 4
폴리프로필렌 섬조(Strip)를 컬(Curl) 상태로 하여, 중첩되게 적층하고, 섬조 상호의 접점을 용착 성형해서 일체화시킨 것을 쿠션구조체로 한다.
신광나이론(주) 헤찌마론(Hechimaron)(토목용 암구집 배수장치) 매트형 35BF사용 300 x 60 x 300mm를 두께 방향으로 4매 중첩하여, 틀 내에 배치했다.
A, B, C의 조건의 콘크리트 속에 매설, 고화했다.
밑받침 저부의 상태
충전재 (쿠션구조체가 없는 부분)
A 없음 변화없음
B 없음 변화없음
C 없음 변화없음
중량 (1)파괴전 (2)쿠션구조체 (3)충전재(1)-(2) (4)분쇄분 (4)/(3)%
충전재A 13.32 2.00 11.32 3.31 29.2
충전재B 16.95 2.00 14.94 3.48 23.3
충전재C 21.11 2.00 19.11 3.67 19.2
전체의 크기와 쿠션구조체의 크기와의 비교에 관하여, 시험결과로 보면, 쿠션구조체가 없으면, 에너지를 분산하지 못하고 커다란 괴로 부서져 흩어지게 된다.
실시예 5
브레스 에어 동양방적(주)
300mm x 300mm x 80mm 브레스 에어 3매
충격면에 대향하는 밑면 또는 저면이 40mm인 충전재와, 피충격면이 50mm인 쿠션구조체를 노출했다.
A, B, C의 조건의 충전재속에 매설 및 고화 시켰다.
충전재 밑받침 저부의 상태
A 없음 변화없음
B 없음 변화없음
C 없음 변화없음
중량 (1)파괴전 (2)쿠션구조체 (3)충전재(1)-(2) (4)분쇄분 (4)/(3)%
충전재A 10.14 1.14 9.00 2.44 27.1
충전재B 13.21 1.14 12.07 2.52 20.9
충전재C 16.43 1.14 15.29 2.63 17.2
충격측에 필요이상의 손상을 주지 않고, 충격흡수효과는 충분해서 용도에 따라 유효하다고 판단된다.
충전재의 제조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에 사용되는 충전재의 제조 실시예를 표 18에 보여준다. 상기의 표 1에서 보여준 실시예에 있어서는, 충전재는 결합재에 물, 발포제를 첨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본 실시예에서는 골재로서 결합재의 2.5배의 모래와, 결합재의 1.5배의 탄산칼슘 (석분)을 함유, 결합재의 강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탄산칼슘 첨가에 의해 전술과 같이 결합재의 재료분리 저항성을 향상시켜서, 경화후의 충전재의 보형성이 향상되고 있다.
충전재의 제조 실시예 단위 (Kg/m3)
강 도 결합재 탄산칼슘 모래 발포제 희석수 공기량(%)
2kg.f/cm2 100 150 250 226 0.94 22.56 56.4
4kg.f/cm2 125 125 250 226 0.95 22.70 56.8
*기본물성 생비중: 0.75+/-0.1t/m2후로우(Flow) 값 : 200+/-20mm
*강도와 압축시험은, 성형 7, 14, 28, 91일 후의 압축강도,
테스트 피스: ψ10x20cm에 의함.
*발포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사용
표18에 개시된 배합에 의해 얻어지는 충전재는, 질량이 60 ~ 120Kg/m3으로서, 예를 들면 일반 건축물 등의 구조체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200 ~ 400Kg/m3의 질량에 비교하면 경량이다. 이 충전재는 공기량을 40%이상 함유하고, 또한 각각의 파괴강도는 2kg.f/cm2, 4kg.f/cm2으로 비교적 약한 압력에서 파괴된다. 또한, 파괴강도를 넘는 충격을 받으면, 모래등 골재간의 결합이 파괴되어, 충전재와 골재의 주변에 결합재 및 탄산칼슘이 부착된 입자상으로 붕괴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의 후로우 값(150이상)은, 쿠션구조체에 형성된 공극내에 극간격 없이 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치이다.
충 돌 시 험 ;
다음으로, 상기 표 18에 개시된 배합으로 제조된 충전재를 사용한 충격완충재에 대해서, 무빙 배리어(Moving Barrier)에 의해 충돌시험을 했다. 이 충돌시험의 방법을 도 1에 개시한다.
도 1에 개시한 것처럼, 본 충돌시험에 있어서는, 측벽에 충돌완충재의 배면을 접하게 배치하고, 이 충격완충재에 대해서 차폭 1.65m의 무빙 배리어에 1.8t의 무게 또는 웨이트(Weight)를 싣고 충돌시험을 하였다. 또한 무빙 배리어에 실은 웨이트를 1.8t으로 한 것은, 사고율이 높은 배기량 2000cc 이상의 승용차의 차량중량이 1.8t 전후이고, 이 차량중량의 차량이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완충하는지 못하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각 테스트 피스의 배치와 무빙 배리어의 충돌속도를 표 19에 개시하였다.
또한, 무빙 배리어는 철 구조로 만들어진 차로서, 그 자체는 충돌해도 변형등이 발생하지 않는 고강성의 충돌 실험 차량이다.
충격완충재의 충돌시험조건
시험번호 시 료 속 도 시험번호 시 료 속 도
1 2-C 20 9 2-A 50
2 2-C 40 10 2-B+2-C 50
3 4-C 40 11 4-A+4-B 50
4 4-C 50 12 4-C+4-C 50
5 4-B 50 13 2-C+2-C 10
6 4-A 50 14 2-C+2-C 10
7 2-C 50 15 쿠션몸체 20
8 2-B 50 16 2-D 50
상기 표에 있어서, 시료를 표시하는 기호 중에서, 숫자 부분은, 사용된 충전재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써, "2"는 표 18에서 2kg.f/cm2의 배합, "4"는 표 18에서 4kg.f/cm2의 배합임을 표시한다.
또한, 시료번호 중에서, 말미의 알파베트는 사용한 쿠션구조체의 종류를 표시하고, 각 쿠션구조체는 하기와 같다.
쿠션구조체 A (조밀도)
직경 ψ1.0mm
중량 36Kg
크기 두께 1000x 폭1000x 높이 900mm
(*두께: 측벽과 직교방향, 폭: 측벽과 평행방향, 이하 같음)
쿠션구조체 B (중간밀도)
직경 ψ1.0mm
중량 45Kg
크기 두께 1000x 폭1000x 높이 900mm
쿠션구조체 C (고밀도)
직경 ψ1.0mm
중량 63Kg
크기 두께 1000x 폭1000x 높이 900mm
쿠션구조체 D (초조밀도)
직경 ψ1.0mm
중량 27Kg
크기 두께 1000+300 (반원호 상태로 팽출) x 폭1000x 높이 900mm
시험번호 13, 14의 쿠션구조체는 300x1000x1000mm 이다. 또한, 시험번호 10 내지 14 및 16에 대한 충격완충재의 배치는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다.
이상 각 번호의 시험결과, 각 시험에 있어 무빙 배리어의 최대가속도(G)를 표 20에 개시한다.
무빙 배리어의 최대가속도
시험번호 최대가속도(G) 시험번호 최대가속도(G)
1 15.1 9* 20.8
2 21.7 10* 24.8
3 34.7 11* 38.6
4* 35.5 12* 69.2
5* 36.1 13 12.7
6* 36.0 14 25.0
7* 26.9 15 4.6
8* 26.8 16* 16.3
*는 시속 50km/h에서의 충돌시험
이상의 각 시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는, 무빙 배리어의 충돌에 의해 고형형상에서 입자형상(모래형태)으로 변화되어, 무빙 배리어의 충돌시 충격을 최적으로 흡수하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충전재는, 압축강도 2kg.f/cm2의 것이 충격흡수성이 우수하고, 쿠션구조체는 2kg.f/cm2의 충전재와의 조합에 있어서는 밀도의 조밀정도에 따라 완충성능이 향상되며, 또한, 4kg.f/cm2의 충전재와의 조합에 있어서는, 쿠션구조체의 밀도에 따른 현저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kg.f/cm2의 충전재와, 초조밀도의 쿠션구조체의 조합에 있어, 그 형상을 도 2 (F)의 형상으로 한 시험번호 16의 경우에 있어 가장 현저한 충격완충성능을 발휘했다.
또한, 무빙 배리어의 시속을 50km로 한 충돌시험에 있어서는, 무빙 배리어의 최대가속도는, 시험번호 16을 제외하여도, 20G를 상회하지만, 이것은 무빙 배리어가 충돌시의 충격에 의해서도 변형되지 않는 강성을 구비하였기 때문이고, 충격완충재에 의한 충격의 완충과 차량의 변형에 의한 충격완충의 상승작용에 의해 20G 이하, 바람직하게는 15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G 이하의 중력가속도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충격완충재에 있어서는, 실제 차량에 의한 충돌의 경우에는 충돌차량도 찌그러져 충격을 흡수하는 관계상, 시험번호 7 ~ 10의 충격완충재에 있어서는, 충돌차량의 시속이 50km/h 이더라도 충돌시의 중력가속도를 20G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같은 형태로 실제 차량에 의한 충돌실험에서, 시험번호 16의 충격완충재는, 충돌차량의 시속이 50km/h가 되어도 15G 이하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시험에 있어서, 가장 충격완충성이 우수한 시험번호 16에 의해 얻어지는 시간-가속도 곡선 도시도[도 3(A)] 및 변위-하중 곡선 도시도[도 3(B)]와, 충분한 충격완충성을 발휘치 못한 시험번호 12의 시험결과에 의하여 얻어지는 시간-가속도 곡선 도시도[도 4(A)] 및 변위-하중 곡선 도시도[도 4(B)]를 비교하기 위해 각각 도시하였다.
도 4(A)에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충분한 충격완충성을 발휘치 못한 시험번호 12의 시간-가속도 곡선 도시도는 우측하단에 급격한 커브(Curb)를 그리고 있고, 충돌시의 충격이 약 80msec 정도의 비교적 단시간에 흡수되고 있음이 판명된다. 이에 대해, 시험번호 16의 시간-가속도 곡선 도시도에 의하면, 시험번호 12의 경우와 비교할 때 완만한 커브를 그리고 있고, 충돌시의 충격이 200msec 이상의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흡수되어, 높은 충격완충성을 나타내고 있음이 판명된다.
또한, 시험번호 12의 변위-하중 곡선 도시도[도 4(B)]에 의하면, 일단 240mm 정도의 변위 수치이었으나, 최종적으로 120mm 정도로만 나타났으며, 이것은 소위 "리바운드(Rebound)"가 생기는 상태이다. 이에 대해서, 시험번호 16의 변위-하중 곡선 도시도[도 3(B)]에 있어서는, 이러한 리바운드가 거의 보이지 않고, 적절하게 충격이 완충되는 것이 확인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극히 우수한 충격완충성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용도에 맞는 성형 및 제조도 용이하며, 각종의 광범위한 용도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충격완충재 및 충격완충재용의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충격의 흡수 성능이 높고, 충돌물이 차량인 경우 충돌한 차량이 받는 중력가속도(전후방향으로 평행G)를 20G 이하, 바람직하게는 15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G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망사고, 중대한 장애가 남는 심각한 사고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충격완충재에 사용되는 충전재로서, 필요한 중량, 난연성, 내후성, 내구성 등의 조건을 구비해서, 소정이상의 충격을 받은 때에 적절히 파괴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파괴약성을 가진 충전재를 얻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열가소성수지를 용융 압출해서 연속 선조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이 용융 상태의 선조에 컬 또는 루프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접촉 결합시킨 랜덤한 컬 또는 루프로 이루어지는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로 된 쿠션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화수경성의 결합재를 함유하여 발포 경화시킨 충전재 속에 매설고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구조체의 비중은 0.003 ~ 0.3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구조체의 직경은 0.1 ~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재의 비중이 0.2 ~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구조체는, 각각 크키 또는 직경이 다른 다수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쿠션구조체는 소정의 두께가 형성된 복수의 쿠션구조체를 두께방향에 평행하게 중첩,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7.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쿠션구조체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쿠션구조체를 한쪽 끝에서 감아 올려 소정의 크기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8.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재를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
  9. 열가소성수지를 용융압출해서 연속 선조(線條)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이 용융상태의 선조에 컬 또는 루프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접촉 결합시킨 랜덤한 컬 또는 루프로 이루어지는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로 된 쿠션구조체를 틀 내에 배치하고,
    수화수경성의 결합재를 함유한 발포성 충전재를 주입후 양생시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틀은, 그 자체 충격완충재의 외측면 또는 외벽을 이루는 플라스틱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의 제조방법.
  11. 인접한 선조 상호간을 접촉 결합시킨 랜덤한 컬 또는 루프로 이루어지는 큰 공극을 구비한 3차원 스프링 구조로 된 쿠션구조체의 공극을 충전해서, 상기 쿠션구조체와 함께 충격완충재를 구성하는 충전재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수화수경성 결합재 4.0 ~ 33.3wt%, 탄산칼슘 2.7 ~ 46.7wt%, 골재 2.7 ~ 53.3wt%, 물 13.3 ~ 53.3wt%, 발포제 0.1~ 0.4wt%, 발포제의 희석수 1.3 ~ 9.6wt%를 혼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용의 충전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건조, 경화후의 파괴하중이 10kg.f/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용의 충전재.
  13. 제11 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수경성의 결합재는, 석회반토류, 석회산류를 화합성분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용 충전재.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석회반토류로서 3CaOAl2O3, 석회산류로서 3CaOSiO2및 2CaOSiO2를 함유하고, 각각의 화합성분이 15 ~ 18%의 3CaOAl2O3, 55 ~ 60%의 3CaOSiO2, 10 ~ 20%의 2CaOS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재용 충전재.
KR1019990031874A 1998-08-07 1999-08-03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충격 완충재용의 충전재 KR20000017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24800 1998-08-07
JP22480098 1998-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48A true KR20000017048A (ko) 2000-03-25

Family

ID=1681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874A KR20000017048A (ko) 1998-08-07 1999-08-03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충격 완충재용의 충전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82435A1 (ko)
KR (1) KR20000017048A (ko)
CN (1) CN1088778C (ko)
AU (1) AU756467B2 (ko)
CA (1) CA2279422A1 (ko)
TW (1) TW4526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5629B2 (en) 2000-03-15 2009-12-01 C-Eng Co., Ltd. Three-dimensional net-like struc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net-like structure
US8563121B2 (en) 2000-03-15 2013-10-22 C-Eng Co., Ltd.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having four molded surfaces
US8757996B2 (en) 2000-03-15 2014-06-24 C-Eng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GB0119357D0 (en) * 2001-08-08 2001-10-03 Dow Chemical Co Energy absorption unit
CN100540810C (zh) * 2006-05-12 2009-09-16 深圳万向泰富环保科技有限公司 生态绿化型缓冲接触交通隔离带及建造方法
US9381881B2 (en) * 2011-08-09 2016-07-0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Shock absorbing member
CN106894364B (zh) * 2017-05-02 2018-12-28 台州弘霖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市政用道路防撞装置
CN112623034B (zh) * 2020-12-28 2022-05-13 湖南大学 一种分区填充材料的汽车前纵梁及一种车辆和该前纵梁的制造方法
CN113447230B (zh) * 2021-07-21 2022-11-08 盐城蔚泽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注塑卡扣冲击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8477A (en) 1945-07-23 1951-04-10 Kahan Charles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US3666055A (en) * 1970-05-25 1972-05-30 Dynamics Research And Mfg Energy absorbing device
FR2314303A1 (fr) * 1975-06-12 1977-01-07 Moreau Joel Barriere de securite notamment pour autorou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dite barriere de securite
US4086015A (en) * 1976-09-27 1978-04-25 Eliasson Sonja Margareta Isabe Crash moderation system for roads, highways, railways, airfields and harbors
SE438663B (sv) * 1977-04-30 1985-04-29 Sadaaki Takagi Stoppningsmaterial och sett for framstellning av detsamma
JPS6016878A (ja) * 1983-07-08 1985-01-28 日新工業株式会社 無機質を主体とした水ガラス系発泡材用組成物
JPS6186471A (ja) * 1984-10-04 1986-05-01 日本シポレツクス工業株式会社 軽量気泡コンクリ−ト
WO1995014822A1 (en) * 1991-06-10 1995-06-01 Mandish Theodore O Highway barrier apparatus and method
JP3430442B2 (ja) * 1993-12-21 2003-07-28 東洋紡績株式会社 網状構造体及びその製法
JPH0873752A (ja) * 1994-08-31 1996-03-19 Showa Denko Kk 金属様の色彩と天然皮革様の感触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形品
US5830566A (en) * 1994-10-14 1998-11-03 Nichias Corporation Friction material for damp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863483A (en) * 1997-02-14 1999-01-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hock-absorbing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2613B (en) 2001-09-01
EP0982435A1 (en) 2000-03-01
CN1088778C (zh) 2002-08-07
CA2279422A1 (en) 2000-02-07
CN1253089A (zh) 2000-05-17
AU756467B2 (en) 2003-01-16
AU4248499A (en)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2885B2 (ja) 衝撃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衝撃緩衝材用の充填材
KR20000017048A (ko) 충격완충재 및 그 제조방법과 충격 완충재용의 충전재
EP0639674B1 (en) Rubber vehicular impact barrier
US5041472A (en) Syntactic foam energy absorber
JP2000507660A (ja) リサイクル廃棄物からの複合建材
ES2671931T3 (es) Material termoplástico que contiene poliolefina reciclada y fibras de vidrio
US10435177B2 (en) Foamed glass composite arrestor beds having predetermined failure modes
US20150251773A1 (en) Low-density particles for vehicle arresting systems
JP2001517761A (ja) 衝撃吸収装置
CN100582374C (zh) 一种弹性防撞装置
Kim et al. Evaluation of concrete barriers with novel shock absorbers subjected to impact loading
CN201202099Y (zh) 一种弹性防撞装置
CN1185820A (zh) 吸收冲击的碎石
KR200272866Y1 (ko) 방음벽용 패널 흡음재
JP2002061692A (ja) 衝撃吸収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衝撃吸収材用の充填材
KR20220136559A (ko) 폐플라스틱 골재 및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S604155B2 (ja) エネルギ−吸収及び衝撃減衰用低密度コンクリ−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212612172U (zh) 一种基于蜂窝状复合材料的收费站安全岛柔性防撞结构
JP3571636B2 (ja) 衝撃吸収体
KR101200017B1 (ko) 공냉식 도로용 충격흡수롤러의 제조방법
JP2005241888A (ja) 防音材、防音材の製造方法及び防音材用の充填材
KR101157748B1 (ko) 보행자 보호 기능이 향상된 범퍼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자동차
JPH0977545A (ja) 弾性体組成物
JP2001064926A (ja) 車両用衝突緩衝体
JP2004285785A (ja) 衝撃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