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826U -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826U
KR20000016826U KR2019990001953U KR19990001953U KR20000016826U KR 20000016826 U KR20000016826 U KR 20000016826U KR 2019990001953 U KR2019990001953 U KR 2019990001953U KR 19990001953 U KR19990001953 U KR 19990001953U KR 20000016826 U KR20000016826 U KR 200000168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let
plug
termina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2019990001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6826U/ko
Publication of KR20000016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2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56Electrical connectors with means to allow selection of diverse voltage or polarit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매립되는 케이스(10)와, 전원선(14)과 연결된 상태로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단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모양의 삽입공(151a∼151e)들로 구성된 삽입부(15)와,
상기 삽입부(15)를 통해 삽입된 플러그를 잡아줄 수 있도록 삽입부(15)에 형성된 삽입공(151)과 동일한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접속단자(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호텔이나 그외의 숙박업소에서 체류하게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Multi-electric outlet}
본 고안은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 다양한 모양의 삽입공을 형성하여 호텔이나 그외의 숙박업소에서 체류하게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과 도 2 는 종래의 콘센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내 벽면에 그 전면이 드러나도록 매립되는 케이스(2)와, 케이스(2)의 전면에 형성되며 플러그(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삽입공(3)과, 케이스(2)의 내부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4)와, 상기 지지대(4)에 볼트(5)로서 결합되며 상용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6)와, 상기 단자(6)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삽입공(3)을 통해 삽입되어지는 플러그(1)의 단자를 잡아주는 접속단자(8)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콘센트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1)를 삽입공(3)에 삽입하면, 삽입되는 플러그(1)의 단자가 삽입공(3)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단자(8)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므로서, 전원선(7)을 통해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단자(6)와 접속단자(8)를 통해 플러그(1)로 공급되어져 플러그(1)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제품이 동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대부분이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와 동일한 모양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나라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국내에서 사용하려고 하면 전자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의 형상과 국내에 설치된 콘센트의 삽입공의 형상이 서로 맞지않아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국내의 호텔이나 그밖의 숙박업소에는 원형이나 직사각형으로 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콘센트만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러그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직경이 작은 원형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타국산 전자제품은 국내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 다양한 모양의 삽입공을 형성하여 호텔이나 그외의 숙박업소에서 체류하게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벽면에 매립되는 케이스와, 전원선과 연결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며,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모양의 삽입공들로 구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플러그를 잡아줄 수 있도록 삽입부에 형성된 삽입공과 동일한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전선을 삽입하여 단자와 접속시키고, 전선의 끝부분에 플러그를 연결시켜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콘센트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콘센트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멀티 콘센트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멀티 콘센트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접속단자를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지지대
12: 볼트 13: 단자
14: 전원선 15: 삽입부
16: 접속단자 20: 전선
21: 플러그 151a∼151e:삽입공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 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벽면에 매립되어지는 케이스(10)의 내부 저면에 지지대(11)가 돌출 형성되고, 이 지지대(11)에 길게 형성된 2개의 단자(13)가 볼트(12)로서 결합된다.
상기 단자(13)는 상용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케이스(10)에는 삽입부(15)와 접속단자(16)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5)는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삽입공(151a∼151e)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삽입공(151a∼151e)들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10)의 전면에 나란히 배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51a∼151e)은 유럽, 미국, 일본, 한국, 남미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제 1 삽입공(151a)은 한국이나 일본에서 사용되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 그 모양이 수직방향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제 2 삽입공(151b)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 그 모양이 수평방향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제 3 삽입공(151c)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얇은 직사각형 모양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고, 제 4 삽입공(151d)은 한국, 미국, 일본 등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제 5 삽입공(151e)은 남미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하되 제 4 삽입공(151d)에 비해 그 직경을 다소 작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접속단자(16)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단자(13)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삽입공(151a∼151e)을 통해 삽입되어지는 플러그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위해 각각의 삽입공(151a∼151e)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삽입공(151a∼151e)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5개의 콘센트 삽입공(151)은 세계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들이므로 도 3 에 도시된 형상의 삽입공(151a∼151e)이라면 대부분의 국가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삽입공(151)과 접속단자(16)가 각각 5개씩 형성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보다 더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되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삽입공과 접속단자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멀티 콘센트를 이용하면 해외 여러나라에서 사용되는 전자제품을 국내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외국인이 국내에 체류하면서 자국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휴대하고 왔을 경우, 그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숙박업소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센트의 삽입공(151a∼151e)중 동일한 형상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접속단자(16)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서 해외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멀티 콘센트를 이용하여 타국에서 제작된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는 전압이 통상 100V∼220V이고, 대부분의 전자제품이 프리볼트 용으로 제작되고 있어 플러그만 전기인입 콘센트에 결합시킬 경우 각국의 저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전선(20)을 삽입하여 단자(13)와 접속시키고, 전선(20)의 끝부분에 플러그(21)를 연결시켜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하면, 멀티 콘센트가 벽면에 고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여 해외에서 제작된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 다양한 모양의 삽입공을 형성하여 호텔이나 그외의 숙박업소에서 체류하게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이다.

Claims (2)

  1. 벽면에 매립되는 케이스(10)와, 전원선(14)과 연결된 상태로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단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모양의 삽입공(151a∼151e)들로 구성된 삽입부(15)와,
    상기 삽입부(15)를 통해 삽입된 플러그를 잡아줄 수 있도록 삽입부(15)에 형성된 삽입공(151)과 동일한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접속단자(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전선(20)을 삽입하여 단자(13)와 접속시키고, 전선(20)의 끝부분에 플러그(21)를 연결시켜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KR2019990001953U 1999-02-09 1999-02-09 멀티 콘센트 KR200000168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953U KR20000016826U (ko) 1999-02-09 1999-02-09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953U KR20000016826U (ko) 1999-02-09 1999-02-09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26U true KR20000016826U (ko) 2000-09-25

Family

ID=5475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953U KR20000016826U (ko) 1999-02-09 1999-02-09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68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TW415683U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ed terminals
GB2352098B (en) Bussed electrical center assembly with connector pre-set
WO2003084819A3 (en) A low volatage electricity distribution circuit
SG97838A1 (en) Electrical connector mateable in a plurality of orientations
TW572425U (en) Receptacle and plug connectors
CN103166037A (zh) 移动电源
DE60033303D1 (de) Drehender elektrischer verbinder
ATE227892T1 (de) Modularstecker mit eingebautem elektronischen komponent
US6227883B1 (en) Electric combination socket
FR2711852B1 (fr) Contact électrique femelle du type douille.
KR20000016826U (ko) 멀티 콘센트
TW476461U (en) Insert-molded electrical connector
KR20080004818U (ko) 다방향의 플러그 삽입이 가능한 콘센트
KR200236840Y1 (ko)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US20020001990A1 (en) Electrical-cord retainer
SG9783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lded plastic housing
TW474468U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CN210245882U (zh) 电源适配器组件
CN211958010U (zh) 一种双用型插头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AU200127303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witch-actuating sleeve
KR20020091971A (ko) 콘센트
CN2699540Y (zh) 电线连接单插座及插头
KR20220074217A (ko) 플러그, 콘센트 및 콘센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