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747U - 커튼레일 - Google Patents

커튼레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747U
KR20000015747U KR2019990000391U KR19990000391U KR20000015747U KR 20000015747 U KR20000015747 U KR 20000015747U KR 2019990000391 U KR2019990000391 U KR 2019990000391U KR 19990000391 U KR19990000391 U KR 19990000391U KR 20000015747 U KR20000015747 U KR 200000157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ail
fixing
ceiling
curtain
f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해
Original Assignee
김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해 filed Critical 김영해
Priority to KR201999000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747U/ko
Publication of KR20000015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47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04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for mounting curtain rail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문이나 창문의 상면에 고정하여 커튼을 개폐시키는데 사용되는 커튼레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로 마주보게 한쌍의 안내로(1A)(1B)를 형성한 도3과 같은 커튼레일의 상부에다 천정등에 고정하기위한 고정판(4)을 나사못(5)으로 고정하여 제조하게됨으로 제조시간과 인력을 많이 요하게됨과 아울러 시각상 외관미가 양호하지 못하고 더욱이 한손으로는 커튼레일(1)을 천정면에 접촉시키고 다른 손으로는 드라이버로 나사못(5)을 회전시켜 천정면에 고정시켜야하게 됨으로 자세가 불안정하여 커튼레일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쌍의 안내로(1A)(1B)를 형성한 커튼레일(1)에 있어서, 상부양측에 돌편(101)(1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의 돌편(101)(10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03)을 뚫고 표면에는 접착제(2)를 도포하고 보호지(3)로 피복하여 종래 별도의 고정판(4)을 고정시켜야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하며 천정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보호지(3)를 벗기고 정위치에 접착제(2)로 부착시켜놓고 나사못(5)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튼레일{CURTAIN RAIL}
본 고안은 주로 문이나 창문의 상면에 고정하여 커튼을 개폐시키는데 사용되는 커튼레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로 마주보게 한쌍의 안내로(1A)(1B)를 형성한 도3과 같은 커튼레일의 상부에다 천정등에 고정하기위한 고정판(4)을 나사못(5)으로 고정하여 제조하게됨으로 제조시간과 인력을 많이 요하게됨과 아울러 시각상 외관미가 양호하지 못하고 더욱이 한손으로는 커튼레일(1)을 천정면에 접촉시키고 다른 손으로는 드라이버로 나사못(5)을 회전시켜 천정면에 고정시켜야하게 됨으로 자세가 불안정하여 커튼레일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쌍의 안내로(1A)(1B)를 형성한 커튼레일(1)에 있어서, 상부양측에 돌편(101)(1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의 돌편(101)(10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03)을 뚫고 표면에는 접착제(2)를 도포하고 보호지(3)로 피복하여 종래 별도의 고정판(4)을 고정시켜야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하며 천정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보호지(3)를 벗기고 정위치에 접착제(2)로 부착시켜놓고 나사못(5)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종래 제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튼레일
1A,1B : 안내로
101,102 : 돌편
103 : 구멍
2 : 접착제
3 : 보호지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안내로(1A)(1B)를 형성한 커튼레일(1)에 있어서, 상부양측에 돌편(101)(1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의 돌편(101)(10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03)을 뚫고 표면에는 접착제(2)를 도포하고 보호지(3)로 피복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4는 고정판이고
5,5′는 나사못이며
6은 커튼걸이구이고
7은 로울러이며
8은 커튼이고
9는 천정이다.
이와 같이 된 본고안은 커튼레일(1)을 문틀이나 천정(9)에 고정하고 안내로(1A)(1B)에는 커튼걸이구(6)의 로울러(7)를 회전자유롭게 끼워 커튼걸이구(6)에다 커튼(8)을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은 공지와 동일한 바,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돌편(1A)(1B)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종래의 고정판(4)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되어 제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외관미가 양호하고,
또한 보호지(3)를 벗겨내고 접착제(2)로 커튼레일(1)을 천정(9)에 부착시켜 놓고 나사못(5)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되어 커튼레일(1)을 정위치에 신속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 고정판(4)의 역할을 하는 돌편(1A)(1B)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제조효율 및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천정(9)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보호지(3)를 벗겨내고 접착제(2)로 커튼레일(1)을 정위치에 붙여놓고 나사못(5)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한쌍의 안내로(1A)(1B)를 형성한 커튼레일(1)에 있어서, 상부양측에 돌편(101)(1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의 돌편(101)(10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03)을 뚫고 표면에는 접착제(2)를 도포하고 보호지(3)로 피복하여서 된 커튼레일.
KR2019990000391U 1999-01-08 1999-01-08 커튼레일 KR200000157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91U KR20000015747U (ko) 1999-01-08 1999-01-08 커튼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91U KR20000015747U (ko) 1999-01-08 1999-01-08 커튼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47U true KR20000015747U (ko) 2000-08-05

Family

ID=5475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391U KR20000015747U (ko) 1999-01-08 1999-01-08 커튼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74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9805052A (es) Montaje para una hoja de puerta.
DE69719307D1 (de) Fenster mit holzrahmen und isolierverglasung
ATE429562T1 (de) Feuerhemmende, rauchdichte schiebetür
ATE331865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ensterprofils
ATE268858T1 (de) Rahmenloser glasflügel als beweglich gelagerter oder ortsfester flügel einer tür, eines fensters oder einer fassade oder glaswand
DE69705064T2 (de) Fenster mit fensterrahmen
KR20000015747U (ko) 커튼레일
ATA59298A (de) Fenster oder tür
ATE257539T1 (de) Türblatt mit beschlag
ATA102298A (de) Fenster oder tür
ATE360741T1 (de) Fenster oder tür
DE602004028427D1 (de) Haltevorrichtung für Fassadenplatten einer vorgehängten Fassadenwand
DE50108896D1 (de) Glasleistenbefestigung
KR101581011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PT1070904E (pt) Suporte de montagem
CN206035240U (zh) 铝合金推拉门中部限位型材组件
JP2893377B2 (ja) カーテンレールの目隠し部材
ATA56899A (de) Fenster- oder türrahmen mit einer isolierverglasung
ATE220173T1 (de) Glaseckwinkel
DE29810095U1 (de) Tür oder Fenster
JP4053143B2 (ja) 笠木の取付構造
ATE314552T1 (de) Bauelementensatz zur einbruchhemmenden ausgestaltung einer öffnung in einer türfüllung eines türblattes
DE69927368D1 (de) Isoliernendes fenster und profilmaterial dafür
KR200290515Y1 (ko) 강화유리용 조임볼트
DE29808139U1 (de) Türblatt mit einer Furnier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