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055A -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055A
KR20000015055A KR1019980034746A KR19980034746A KR20000015055A KR 20000015055 A KR20000015055 A KR 20000015055A KR 1019980034746 A KR1019980034746 A KR 1019980034746A KR 19980034746 A KR19980034746 A KR 19980034746A KR 20000015055 A KR20000015055 A KR 2000001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voltage
peripheral
high voltag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홍종덕
Original Assignee
홍종덕
이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덕, 이종찬 filed Critical 홍종덕
Priority to KR101998003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055A/ko
Publication of KR2000001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번갯불이 번쩍이며 땅위의 나무를 순식간에 불태우는 낙뢰가 자연현상일 뿐이라는 것을 고대인류는 과학적으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몹씨 두려운 존재로 받아들여 지역에 따라서는 신벌(神罰)로 받아들이기까지 했었는데, 이러한 번개가 방전되는 현상으로서의 낙뢰 역시 고준위 정전기가 방전되는 일종의 자연현상이라는 것을 밝혀 내기 시작한 최초의 기록으로서 기원전 600년경에 그리스의 탈레스가 통칭하여 전기적인 현상(Electricity)이라는 것을 발견한 이래로 현대문명의 꽃을 피우기까지에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그 실례로서 한가지의 예를 든다면 이른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 역시 정전기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된 것임은 틀림없는 주지의 사실로서, 이렇듯 형태는 광범위하지만 모든 전기적 현상들은 정전기와 그 작용에서 응용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으로써, 일반의 상용전원(AC220V 등) 뿐만 아니라 생활주변에서 불특정으로 또는 흔하게 발생되는 정전기 및 낙뢰에 버금갈 정도인 초고압 전하(電荷)의 방전현상과 그 순간에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각종 문명의 이기를 인간이 보다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기구에 있어서 통상의 방법으로는 고전적인 네온방전관 또는 피뢰기처럼 단순한 방전 또는 점등되는 발광효과 등의 피동적인 관찰밖에 할 수 없었음에 비하여 본 발명은 보다 능동적으로 실시간의 검출과 함께 신호를 일반적인 전자회로망과 제어기기에 효율적으로 전달 및 처리하고자 하는 기구에서의 보다 빠른처리의 기술적인 문제중에 한가지 방안으로서, 현재로서는 IC와 같이 일반의 상식으로도 고전압에 매우 취약한 부품들을 수천볼트(V)에서 수만볼트(V)이상에 이를지도 모르는 불특정한 방전이 되는 고압방전선로중에 직접 접촉 및 삽입하는 방법론이 최선의 선택인 바, 이에 궁극적으로는 컴퓨터 등에도 입력시킬 수 있어야 하는 등 각종 제어장치를 안전하게 작동케 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전기전자기술의 상식으로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불특정한 초고전압의 방전관련기구에 IC와 같은 고압에 매우 취약 및 절대불가한 저전압부품들을 직접적으로 채용한 회로망 및 그 주변부품과 기판 등으로 순간적인 초고압방전에서 비롯되는 신호를 검출 및 인위적으로 조작이 가능토록하여 안전하게 컴퓨터의 입력으로도 전달 할 수 있다는 데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위와같은 특징과 목적에서 발상된 본 발명을 위한 연구 및 실험은 실로 매우 위험 하였으며, 선례를 찾을 방도가 없었기에 각고의 노력과 시행착오를 거치는 등 사고와 실패의 연속 끝에 마침내 요지의 문제점을 해결할 실마리를 찾게 되었는바, 처음엔 전기이론만으로는 설계조차 어려운 회로구조 및 계산값임에도 불구하고 실험 및 재반복 실험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확신을 얻을 정도가 되기까지에는 실로 오랜 시일이 경과 되었으며, 결론을 얻었을 때는 너무나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으로 판단되니 제품화 역시 손쉬울 정도였었다. 이러한 실험에서 얻어진 실시례를 간략하게 설명 한다면 도1로 도시한 낙뢰의 피뢰침 및 정전기 입력단자라 할 수 있는 입력부(1)와 접지에 해당하는 출력부(5)간에 실험용으로 수천볼트(V)이상의 매우 빠른 펄스파(Pulse wave)를 출력하게 특별히 제작한 발정전기(정전기출력기)의 출력을 직접 접촉 또는 간격을 두고 방전 시키기를 거듭시켰을때, 일단 입력되어진 고압을 저압으로 낮추기 위한 1차분압(分壓)기 역할로서의 주 저항체(2)와 전하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려한 배전선회로망(3)과 2차적인 분압을 위한 보조저항체(4)의 저항값이 같게 구성했을 때를 예로 든다면, 만약에 입력부(1)과 출력부(5)간에 1만볼트의 전압을 걸어준다면 직렬회로가 되므로 각각의 주저항체(2) 또는 보조저항체(4)의 양단간에는 각각 5,000볼트씩의 전압이 주어지게 되는데, 도2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도1에서의 주요부분인 회로망(6) 양단에는 역시 보조저항체(4)의 양단에 주어진 5,000볼트의 전압이 걸리게 되는 바, 이토록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회로망(6)에 겨우 직류5볼트 내외에서만 작동이 허용되는 일반의 IC 및 전자부품을 채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파괴없이 제대로 작동이 가능하다고 한다면 누구를 막론하고 믿어줄 사람은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누구보다 먼저 본 발명으로서의 발명자 자신부터 도저히 납득치 못했었다.
이러한 현상은 헤아릴 수 없도록 많은 실험도중에 우연히 발견하게 된 계기가 있어서 본 발명이 아직은 보완할 점이 많겠지만 첫 단계만큼은 완성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더구나 종래로부터의 전기전자기술관련 실시예를 찾아 볼 수 없는 쾌거라 할 수 있다고 본다.
이와같이 IC 등의 저전압부품들을 직접적으로 고압방전선로중에 직접 접촉 및 삽입 하는 등, 채용하면서도 관련된 주변 기구전체의 안전과 수명뿐만 아니라 조작을 위한 인체에 직접 접촉돼도 전혀 지장이 없음은 물론이다.

Description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현대문명에서 비약적으로 발전되는 전기전자관련 기술을 도외시하고는 설명이 불가할 정도인데, 일반적으로 섬광이 번뜩이는 전기접점에서의 불꽃방전의 경우만해도 그 방전전압은 최소한 수천볼트(V)에 달한다고 하며, 낙뢰의 경우에는 더욱 높은 방전전압으로 수십만볼트에서 수백만볼트의 전압일 수 있다고도 하는데, 우리 일상 생활주변에서 흔히 섬광을 발생 하는 정전기의 경우만해도 수천볼트이상의 방전전압이어서 만약 인체에 직접 접촉된 방전의 경우라면 치명적이지는 않더래도 깜짝 놀랠 정도로 몹씨 불쾌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정전기는 첨단전자산업에서 대단히 주의 깊게 회피할 대책을 세워둬야 하는 바, 흔히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을 실제의 예로 한가지를 든다면 텔레비젼 따위의 가전제품을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적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배전선과 부품의 겉표면에 검게 그을은(Scorch) 검뎅이의 침착(沈着)과 함께 정전기 특유의 흡인력으로 인한 먼지가 쌓여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데, 특히 검뎅이는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등의 오염물질이 전기적 분해현상에서 비롯된 찌꺼기로 남는 탄소가루가 대부분으로 이것은 정전기방전로가 되기 쉬워서, 부지불식간의 경우에 먼지와 함께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어느 임계점을 넘게되면 이윽고 정전기와는 상관이 없어도 누전 및 방전현상이 발생되어 전자기기의 취약한 부분부터 심각한 고장을 유발하거나 화재를 유발시켜 때로는 엄청난 피해를 입히기도 하는데 특히, 컴퓨터와 같은 첨단기기에서 필수적인 IC 및 정보저장용 디스크류 또는 극세선 패턴이나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된 콘넥터 핀(Connector Pin)의 경우에는 단 한번의 누전 또는 정전기방전만으로도 불량이 발생될 수 있어서 아무리 값비싼 제품이라해도 폐품시킬 수밖에 없을 정도로 매우 위험한 실상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시각으로는 불요악일 수밖에 없는 정전기 역시 인류문명이 발달해감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산업에서 매우 요긴하게 활용되는데, 특히 인조섬유의 털가공 및 분체도장에서부터 가스렌지의 압전착화기 그리고 공기청정기 또는 복사기 등의 인쇄기술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되고 있는 바, 이와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정전기를 인위적으로 발생 및 제어시켜서 선용하기도 하는 또다른 단면을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으로 더욱 연구개발하여 일반의 상용전원은 물론이고 정전기로부터 낙뢰에 이르기까지 불특정하면서도 불시에 기습적으로 피해를 주는 고압전하의 방전 순간을 포착 및 유도회로로 방전을 유도해서 각종의 피해를 줄여보고자 하는 것으로서, 종래로부터의 피뢰에 관한 대책을 살펴보면 대부분 일방 진행적인 제어(Positive control & process)들로서, 피뢰순간 또는 정전기를 발생시키기전에 적절한 값으로 조절할 수 있거나 종속된 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해 차단기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으로, 일단 발생된 정전기를 피뢰과정에서나 사후에 달리 조절하거나 제어할 방법(Negative feedback control & process)은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아서 통제가 불가하기 때문에 만약의 경우라 할지라도 돌연한 피뢰사고가 발생한다면 속수무책으로 비록 고가의 장비라 할지라도 불시에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되기도 하는데, 많은 경우에는 원인불명으로 판단되기도 하지만 이는 정전기로 인한 피해라는 명확한 고장사유가 흔적으로 남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방전유도회로를 통해 전압을 강하시키면서 접지로 방전 및 빠져나가게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만약에 이를 손으로 잡는 등 인체에 접촉 되었을 때도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실제로는 전혀 느끼지 못해야 함)의 방전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 때는 인체가 접지인 대지와 방전선로 중간에 위치되므로 만약에 사전대책이 없을 경우에는 상당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종래에도 방전유도선로 및 전압강하를 목적으로 흔히 고유저항값이 높은 고저항기(高抵抗器)를 사용해 오고 있어서, 본 발명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존중하여 응용하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방전순간을 포착하여 즉시 통제기기를 제어케 해서 고압방전으로 인한 피해를 줄여 보고자 하는 바, 이에 필수적인 방안으로서 부득이 동작 속도가 대단히 빠른 고집적회로소자로써 IC 등과 같이 저전압부품 등을 채용할 수밖에 없다는 데에 본 발명의 요지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결국은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에 본 발명으로서의 특징과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후로는 위와같이 낙뢰에까지 이르는 정전기의 방전현상을 더욱 연구하여, 날로 심화되어만 가는 환경오염을 정화 시키려는 목적으로 태동되고 있는 플라즈마(Plasma)공법을 조기에 실용화 시킬 뿐만 아니라, 이른바 번개(낙뢰전의 상태)와 같이 엄청난 전력의 전하덩어리를 유효적절하게 저장 및 조절 또는 조작 하는 등 인간이 필요로 하는 차세대 대체에너지로 활용시키려는 한가지 구체적인 방안에서의 첫걸음으로 제시되는게 바로 본 발명으로서의 또 다른 주요 목적이기도 한 것은 물론이다.
위와 같이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상세하게 설명은 했다지만, 그래도 역시 의문점으로 남는게 있다면 그것은 바로 과연 어떻게 수백만볼트에 달할지도 모르는 낙뢰와 같은 정전기의 방전선로중에 IC와 그 주변회로와 같은 저전압부품들로 구성된 본 발명으로서의 핵심요지가 실제로도 가능 하겠느냐 하는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이같은 문제만 해결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목적은 성공적으로 완성된다고 보는 바, 이를 거의 완벽하게 해결했다는데에 본 발명으로서의 특징이 크게 구별되어 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의미가 주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의 외관을 역할별로 나눠 본 블록도.
도2는 도1에서의 주요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풀어서 표현한 기본회로도.
본 발명은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으로서, 정전기 및 낙뢰의 방전에 관한 피뢰장치에서의 주변구성 전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으로서의 요지인 기술로 제작되는 피뢰신호처리 초단입력기(-Pre-Equalizer Amp')를 방전선로 중간에 삽입하여 낙뢰 및 정전기가 방전하는 순간 또는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실시간에 포착하여 종속되는 통제장치인 컴퓨터 및 제어장치를 통해서 신속하게 주회로를 차단 시키거나, 또는 방전유도 및 전압강하를 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만일의 경우에 인체에 접촉되어도 전혀 해롭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실시간에 되돌림통제(Negative-feedback control & process)실시를 위한 컴퓨터의 입력신호로도 안전하게 전달코자 하는 방안으로 발명된 것인 바, 기본적인 구성의 외관을 역할별로 나눠 본 블록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도1에서의 낙뢰를 받는 피뢰침 또는 고압(高電壓의 電荷)단자(Terminal)에 접촉 또는 삽입 및 접속하는 입력부 단자(1)와 일단 입력되어진 고압을 저압으로 낮추기 위한 1차분압(分壓)기 역할로서의 주저항체(2)와 전하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려한 배전선회로망(3)과 2차적인 분압을 위한 보조저항체(4)를 거쳐 지중선 및 인체에 접촉을 위한 촉수(觸手) 및 접지기구 단자(5, Ground Terminal)를 통해 방전 경로가 구성되는데, 저항체(4)와는 병렬로 분류(分流)되는 회로망(6)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보다 상세하게 풀어서 표현한 기본회로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2로 도시한 접지기구 단자(5)가 직접 연접한 선로중에 양극(+)이 접속된 전지(6)와 1차분압을 위한 주저항체(2)에서 1차로 전압강하로 이루어지며 이 주저항체(2)는 주로 1메가오옴(㏁)에서 10메가오옴(㏁)정도 사이의 고저항체를 시정수를 계산하거나 실험값 등으로 정해주는데, 2차적인 분압을 위한 보조저항체(4) 역시 동등한 저항값이어도 무방한 것으로, 본 발명을 위한 실험에서는 4.7메가오옴(㏁)을 채택했었고 이 정도의 저항체들로서의 주변구성만으로도 대략 수천볼트에서 수만볼트에 달하는 지속적인 실험용 발전전원 및 펄스파로서의 쇼크성 초고압(Electric of Utra- HighVoltage Shock-Pulse Wave)을 입력부 단자(1)에 주입하면서, 맨손으로 접지기구 단자(5)를 잡았을 때도 감전되는 전격(電擊)을 감지조차 못했던 검증에서 확신을 얻었으며, 이는 전기이론 및 계산에서 필수격인 오옴의 법칙(Law's of Ohm(Ω))만 대입해 봐도 쉽게 풀 수 있는 상식적인 것으로 주저항체(1)과 보조 저항체(2)의 직렬접속에 의한 전압강하 효과로서, 저항체를 통과하는 전압이 낮아짐에 비례해서 전류 또한 낮아지게 되는 점을 최대한 응용하므로 분명히 방전전하가 이들 저항체 및 방전선로를 통해 흐를 수는 있으나 매우 낮춰진 전압 및 전류가 접지기구 단자(5)로 출력되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같이 주로 주저항체(1)와 보조 저항체(2) 등으로 구성되는 유도방전선로를 통해서 고압의 낙뢰 및 정전기성 전하가 흐를 수 있게 함과 함께 분류를 위한 분류 및 전압강하용 보조 저항체(7)와 도1로 도시한 요지의 주요회로망(6)으로 참고 할 수 있는, 도2로 도시한 분류회로중의 능동부품인 IC(11 및 12,13) 및 광전부품(16)등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6)의 음극(-)간에 접속(Circuit Ground)되는 저항체(8)로서 분압 및 바이어스가 이뤄지며, 이렇게 구성된 저항체(7과8)들 중간에 연결된 신호증폭(Signal Amplifire)부로서의 주변구성을 위한 신호를 받기 위한 입력용 저항체(9)와 정궤환증폭(Positive feed-back amplifier)을 위한 저항체(10)의 저항값 비율로 증폭율이 정해지되 입력측 저항체(9)보다 궤환측 저항체(10)가 클수록 증폭도는 커지게 되는데, 이와같은 증폭 및 궤환루프가 일반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구입이 가능한 디지탈 씨모오스IC(Digital Cmos-IC)의 인버터(Inverter)인 초단(11)과 출력단(12)으로 시미트 트러거(Schmidt trigger)형 증폭회로로서의 주변구성이 되는데, 이러한 회로구성은 특별할 것 없는 일반적인 전자회로구성에 곧잘 응용되기도 하는 것을 도입한 것으로 그 신뢰도가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시미트 트리거형 증폭회로만으로는 실시간에 입력되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다음단에 전달할 수는 있겠으나 잡음(Noise-Signal)도 함께 증폭할 수밖에 없으므로 출력단(13) 및 최종출력단자(17)에는 극도로 혼란스러운 잡다한 신호가 출력되게 마련이어서 종속되는 통제기기를 제어하기는커녕 분석조차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일단 시미트 트리거로 주변구성된 출력단(12)을 거친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쪼개서 안정화된 디지털적인 신호로 재가공해야만 광전릴레이(16. 0ptical Relay) 등의 출력단을 안정적으로 구동 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정류기인 다이오드(14)와 콘덴서(15)로서 구성한 직류적분형 샘플홀드(Sample hold)방식의 회로에서 미약한 신호는 제거하되 강한 신호는 낮춰서 버퍼형 인버터인 출력단(13)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매우 단순하기는 하지만 디지털적 입력신호로서의 음부호(0) 또는 양부호(1)를 일시 기억하는 한 개의 다이나믹 메모리(Dynamic memory)와 같은 역할로서의 기억장치가 형성되어, 순간적인 단 한 개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어도 이를 시간적으로 확대해 주는 효과가 충분해서 인간의 능력으로는 감응치 못할 극히 짧은 펄스신호도 포착해 낼 수 있기도 하다. 이와같은 과정을 거쳐서 출력단(13)의 출력부(Collector)와 건전지(6)의 양극(+)사이에 배치된 광전릴레이(16)를 구동케 하여, 본 발명으로서의 구성으로는 최종 출력부인 출력단자(17) 등을 통해 다음에 종속된 본격적인 통제용 컴퓨터 및 제어기구의 입력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최종단으로서의 광전릴레이(16) 대신에 육안 관찰용 파일럿 램프(16) 등으로 교체하거나 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회로의 주변구성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철저한 절연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단순하게 파일럿 램프따위 정도로서 다음에 종속되는 어떠한 주변구성이 없을 경우에는 무방할 것이나, 반면에 광전릴레이(16)가 최종 출력단(17)일 경우에는 절연이 충분치 못하다면 만약의 경우에 발생되는 돌발적 낙뢰 또는 정전기가 방전될 때 초고압의 전하가 직접적으로 종속된 컴퓨터나 제어기구에 가해져서 치명적인 고장과 같은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서의 주요 주변회로 구성은, 도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유도방전을 위한 피뢰 입력단자(1)와 주 저항체(2) 및 보조 저항체(4), 그리고 접지기구로서의 출력단자(5)를 이어주는 배전선회로 또는 회로기판의 패턴(3)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완전한 유도방전회로로서의 주변구성이 이루어 지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종속되는 통제기구에 제어 신호를 출력케 하는 분류회로로서의 주요회로망(6) 등으로 주변구성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도1로 도시한 주요회로망(6)이 주유도방전선로 주변구성과는 별도로 분류해서 작동하게 되므로, 수천볼트 이상의 돌발적인 펄스파로서의 정전기를 방전시켜 주입했을 때에도 양단간에 걸리는 전압을 실측해 본 결과 도2로 도시한 건전지(6)의 전압보다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으로서의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이 가능해 지는것이다.
본 발명으로서의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은, 주어지는 시정수 정도만 적절하게 시험 등을 통해서 정해주는 한편으로 절연을 철저하게 주의를 기울이면 비교적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완성도가 높은 주변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첫째, 통상의 방법으로는 고전적인 네온방전관 또는 피뢰기처럼 단순한 방전 또는 점등되는 발광효과 등의 피동적인 관찰밖에 할 수 없었음에 비하여 본 발명은 보다 능동적으로 실시간의 검출과 함께 신호를 일반적인 전자회로망과 제어기기에 효율적으로 전달 및 처리하고자 하는 기구에서의 보다 빠른처리가 가능해진다.
둘째, 종래에는 불가능 했던 기술적인 문제중에 한가지 방안으로서, 현재로서는 IC와 같이 일반의 상식으로도 고전압에 매우 취약한 저전압부품들을 수천볼트(V)에서 수만볼트(V)이상에 달할지도 모르는 불특정한 방전이 되는 고압방전선로중에 직접 접촉 및 삽입할 수 있게 되는 한가지 선례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다.
셋째, 관련된 주변 기구전체의 안전과 수명뿐만 아니라 조작을 위한 인체에 직접 접촉돼도 전혀 지장이 없음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는 컴퓨터 등에도 입력시킬 수 있어야 하는 등 각종 제어장치를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넷째, 동작 속도가 대단히 빠른 고집적회로소자로써 IC 및 그 주변회로 등을 채용하여 낙뢰 및 정전기의 방전순간을 포착하여 즉시 통제기기를 제어케 해서 고압방전으로 인한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다섯째, 방전유도 및 전압강하를 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만일의 경우에 인체에 접촉되어도 전혀 해롭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종래에는 불가능 했던 실시간에 매우 빠른 되돌림통제(Negative-feedback control & process)실시가 가능해진다.
여섯째, 종래로부터 보다 낮은 낙뢰 및 정전기에 대비한 전압강하가 되는 유도방전방식을 통한 안전방전이 되기 때문에 정전기의 휴대용 전격방지기 등을 한차원 높인 기술로 자신있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일곱째, 너무 짧은 순간에 방전되어 인간의 능력으로는 감응 또는 포착치 못했던 방전 순간을, IC와 그 주변회로중에 특히 직류적분형 샘플홀드 방식의 기억회로의 역할로 보다 길게 늘여주어 비례적이기는 하지만 최소한 육안관찰도 가능할 정도로 일정시간 이상 유지시키는 등의 편리한 효과와 잇점이 있다.
여덟째, 낙뢰나 돌발적인 고전압 또는 정전기에 관한 대책으로는 비록 무방비는 아니나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던 종래로 부터의 방법들에 비해, 보다 소형화 및 마쥴(Module)로 제작한 본 발명으로서의 요지의 제품을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품의 전원관계 또는 외부와 연계되는 선로들 중에 삽입 및 접촉 또는 접속시켜서 매우 빠른 방전신호를 포착함과 동시에 되돌림통제기능까지 포함해서 통제기기를 제어한다면 돌발적인 전격방전사고에는 최선의 대책이 될 것이다.
위와같이 본 발명으로서의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은 무엇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책을 세워주며, 극히 짧은 방전순간도 포착해서 용이하게 관찰 할 수 있게 하며 더욱 되돌림통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해서 낙뢰 및 정전기의 방전으로 인한 전격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주기 위한 기술로서의 방법을 외관적으로 볼 수 있다면, 종래의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IC 및 그 주변회로와 같이 저전압부품들을 채용한 회로망이면서도 수천볼트에서 수백만볼트에 달할지도 모르는 돌발적인 낙뢰나 정전기의 방전선로 중에 삽입 또는 접촉 및 접속시킬 수 있다는 내면적인 기술로서의 발전적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앞으로 유사한 기술개발 및 제품제조에 참고할 선례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본 발명으로서의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도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1)와 주저항체(2)로서 1차적인 전압강하를 한 다음에 이어서 보조저항체(4)에서 2차적인 전압강하 한후에 접지기구 단자(5)로 출력케 하는 등 주변구성해서 형성된 주유도방전선로와 배전선 선로(3)에서 분류되는 주요회로망(6)으로 대별되는 주변구성중에서,
    보다 상세하게 주변구성을 설명을 하기 위한 그림으로서의 도2로 도시한 회로망 구성에서, IC(11,12,13) 및 그 주변회로의 구성과 같이 종래로부터 고전압에서는 작동 및 취급이 절대로 불가능한 저전압 부품을 채용할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전혀 문제없이 안전하게 목적한 바의 각종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인 방법 및 그 주변구성.
    이와같은 주변구성에서도 특히, 직류적분형의 기억회로기능을 포함하는 등의 비교적 간단하기는 하지만 짜임새 있는 주변구성을 실시해서 각각의 역할을 연계시켜서 효과증대를 이끌어 내도록한 기술적인 방법.
KR1019980034746A 1998-08-27 1998-08-27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KR20000015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46A KR20000015055A (ko) 1998-08-27 1998-08-27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46A KR20000015055A (ko) 1998-08-27 1998-08-27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55A true KR20000015055A (ko) 2000-03-15

Family

ID=1954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746A KR20000015055A (ko) 1998-08-27 1998-08-27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0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09B1 (ko) * 2000-05-06 2009-10-22 알로이즈 워벤 풍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09B1 (ko) * 2000-05-06 2009-10-22 알로이즈 워벤 풍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5378A (en) Emp generator
CN104362608A (zh) 过压抑制和欠压浪涌检测电路
CN106526404A (zh) 一种短路、漏电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A2397032A1 (en) Arc prevention circuits
CN110049609A (zh) 静电释放电路和显示面板
US4742427A (en) Electrostatic discharge simulation
US6389975B1 (en) Transistorized high-voltage circuit suitable for initiating a detonator
KR20000015055A (ko) 고압방전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아이씨 및 그 주변회로의 채용을 위한 방법
Cella On-line partial discharges detection in conversion systems used in aeronautics
JP2003111270A (ja) サージプロテクタ
KR20190093554A (ko) 과전압 보호기
CN210742306U (zh) 一种防短路拼版测试装置
Fisher et al. Transient control levels
Arndt et al. Comparing cable discharge events to IEC 61000-4-2 or ISO 10605 discharges
Liu et al. Comparison of point-to-plane corona in different gases
Moss Caution-Electrostatic Discharge at Work!
CN102593803A (zh) 用于防止等离子体枪电极之间的电迁移的系统、方法及设备
TWI575833B (zh) Reliability improvement of electromagnetic pulse protection circuit
WO2018177238A1 (zh) 一种静电保护电路、电路板和静电保护方法
US20190348834A1 (en) Rectifier-based surge protection circuit
Khazieva et al. Development and research of th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protection of a resonant test device
CN114113941B (zh) 一种宽频带脉冲源电路及变压器绕组变形检测装置
DE102016217431A1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icherheitsvorrichtung
EP2549279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des Vorhandenseins einer elektrischen Spannung
Zhong et al. Analysis and Research of a DC24V Surge Suppress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