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858A -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858A
KR20000014858A KR1019980034474A KR19980034474A KR20000014858A KR 20000014858 A KR20000014858 A KR 20000014858A KR 1019980034474 A KR1019980034474 A KR 1019980034474A KR 19980034474 A KR19980034474 A KR 19980034474A KR 20000014858 A KR20000014858 A KR 2000001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telephone
exchange
digit
b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676B1 (ko
Inventor
최융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6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306Number translation services, e.g. premium-rate, freephone or vanity numbe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교환기에서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전화번호 저장방법이 개시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통화의 연결을 위해 가입자 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디티엠에프(DTMF) 신호 또는 타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숫자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정보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두 자리의 십진수의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의 분리시 마지막 한 자리가 남을 경우 무의미한 숫자 0을 마지막 자리 뒤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두자리 단위로 분리된 전화번호를 1바이트의 2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캐랙터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모든 시스템

Description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가입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 교환기에서 가입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기의 종류는 사용되는 범위에 따라 크게 사설 교환기와 국설 교환기의 두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사설 교환기는 영업용 목적으로 또는 회사등의 단체에서 다수의 가입자가 적은 수의 회선을 이용하여 많은 내선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설 교환기에는 일반 내선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3자리의 내선번호 또는 4자리의 내선번호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국설 교환기는 일반 대중들이 사용하고 있는 전화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국가에서 공공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각 전화기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전화번호는 국가코드와, 지역번호와, 국번과, 가입자 번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 전화기의 고유한 전화번호는 국설 교환기의 경우 24자리의 숫자로 교환기에 저장된다. 국설 교환기에서 이루어지는 가입자의 관리, 정보의 출력 및 변경 또는 특수 서비스의 등록, 서비스의 실행등은 국설 교환기에 저장된 고유한 가입자 번호를 통해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국설 교환기에 저장되는 고유 가입자 번호마다 24자리가 할당되며, 각 자리수는 8비트(bit)의 캐랙터(Character)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 국설 교환기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는 7자리 숫자 또는 8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진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교환기에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교환기의 유지보수 프로세서(OMP)에서 상세과금을 위한 전화번호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7자리의 전화번호만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24바이트의 메모리가 할당되어 있으며, 전화번호 한 자리마다 1바이트씩 메모리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첫 번째 전화번호는 356-4218이며, 상기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24바이트의 메모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두 번째 전화번호는 742-6059이며, 상기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24바이트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세 번째 전화번호는 415-0306 또한 24바이트를 사용하여 저장된다. 이를 상술하면, 첫 번째 전화번호 356-4218의 각 자리인 3, 5, 6, 4, 2, 1, 8은 각각 1바이트의 캐랙터로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캐랙터로된 값은 특정한 규칙성 없이 하나의 숫자에 대응하여 8비트를 구성한다. 즉, 상기 첫 번째 전화번호의 첫 자리인 3을 예로 설명하면, 10010110의 2진수로 표시된다. 또한 두 번째 자리인 5는 01011101의 2진수로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2진수의 값은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실제 교환기에서 3과, 5는 이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되는 전화번호의 자리수는 7자리 또는 8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므로, 24자리중 16자리 또는 17자리의 숫자는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교환기에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게 될 경우 각 가입자마다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의 약 65%가 사용되지 않는 자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교환기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경우 교환기에서 필요로하는 메모리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교환기의 시스템 용량이 증가하고, 각종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각 가입자마다 전화번호의 검색 또는 관리시 커다란 부하로 작용하며, 또한 메모리의 활용 측면에서 비능률적이 되며, 교환 시스템 내의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전자 교환기에 저장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적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통화의 연결을 위해 가입자 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디티엠에프(DTMF) 신호 또는 타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숫자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정보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두 자리의 십진수의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의 분리시 마지막 한 자리가 남을 경우 무의미한 숫자 0을 마지막 자리 뒤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두자리 단위로 분리된 전화번호를 1바이트의 2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교환기에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전자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라 교환기에 저장되는 전화번호의 메모리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환기에 저장되는 전화번호의 메모리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브시스템에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 수신시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전전자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교환 시스템의 구성과 각 블록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교환 시스템의 블록을 전반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 100과, 가입자 서브 시스템 110과, 넘버7 신호 처리 서브 시스템 120과, 중계선 서브 시스템 140과, 유지보수 서브 시스템 150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 블록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 100은 호의 연결/차단 또는 교환기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교환기의 서브 시스템간 데이터의 중계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 100은 교환기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구비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망동기를 위한 NES (Network Synchronization) 1은 교환기 내부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신호를 각 프로세서로 출력한다. 그리고 다수의 중앙 데이터 링크인 CDL(Central Data Link) 2는 교환기의 각 서브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SSW(Space Switch) 3은 호의 연결/차단 또는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IPCU(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Unit) 4는 상기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 100내의 프로세서간 통신시 데이터의 송수신로가 되며, 다수의 제어 프로세서가 연결된다. INP(Inter Network Processor) 5는 통화로계 전체를 제어하며, NTP (Number Translation Processor) 6은 번호번역 및 라우팅(Routing)을 제어하고, NSP(Network Synchronization Prossor) 9는 상기 NES 1을 제어한다. SSP(Space Switch Processor) 7은 상기 다수의 SSW 3을 각각 제어하고, CLIP(Central Link Interface Processor) 8은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 100에 구비된 프로세서들의 통신을 제어한다. 그리고 GWP 10은 상기 IPCU 4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상기 가입자 서브시스템 110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가입자부 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ASP(Access Switch Processor) 12와, 상기 가입자부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ASMP(Access Switch Maintenance Processor) 13과, 각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거나 가입자와 교환기간을 연결하는 중계장치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다수의 DTI(Data Terminal Interface) 14와,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 100으로 데이터를 송수신을 담당하는 TSL(Time Switch & Local Data Link) 11과, 상기 프로세서들의 동작시 각 프로세서들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버스(버스) 17을 구비한다. 상기 넘버7 신호 처리 서브시스템 120은 상기 넘버7 신호 처리 서브시스템 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ASP(Access Switch Processor) 18과, 상기 넘버7 신호 처리 서브시스템 120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ASMP(Access Switch Maintenance Processor) 19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TSL 11과, 상기 트렁크 11과 연결되어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다수의 시그널 그룹인 STG(Signalling Terminal Group) 20과, 시그널링 메시지를 조절하는 다수의 SMHP(Signalling Message Handling Processor) 21등을 구비한다. 상기 중계선 서브시스템 140은 전송장치 또는 다른 교환기와 연결되어 다른 교환기와 연결되는 링크를 형성한다. 상기 중계선 서브시스템 140은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100 및 타 교환 시스템과 연결하는 트렁크 11과, 상기 중계선 서브시스템 14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ASP(Access Switch Processor) 22와, 상기 중계선 서브시스템 140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ASMP(Access Switdh Maintenance Processor) 23과 T1중계선 및 E1 중계선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다수의 DTI/DCI(Digital T1 Interface/ Digital CEPT Interface) 24와, 상기 다수의 중계선 인터페이스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프로세서인 DTIP/DCIP 25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50은 운영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서브 시스템으로써, 교환기와 운용자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교환기 내부의 유지보수시 필요한 제어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유지보수 서브시스템 150과 다른 서브시스템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GWP 10과, 교환기 내부의 유지보수를 제어하는 OMP(Operating Maintanence Processor) 31과, 운용자 컴퓨터와 접속되어 운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MMP 34의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OMP 31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기록부 32와, 상기 교환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 33과, 상기 MMP 34의 제어시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기록부 36과, 상기 MMP 34의 제어에 의해 교환기의 동작상태등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35와, 상기 MMP 34와 접속되어 운용자의 명령을 교환기로 입력하기 위한 운용자 컴퓨터들 37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중에서 교환기 내부에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필요로 하는 프로세서들은 각 억세스 서브 시스템의 주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들이다. 즉, 가입자 서브시스템 110은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ASP 12와, 넘버7 신호 처리 서브시스템 1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ASP 18과, 중계선 서브시스템 14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ASP 22와, 유지보수 서브시스템 150의 OMP 31와,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100의 NTP 6과, INP 5등에 전화번호가 저장되거나 전화번호를 필요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라 교환기에 저장되는 전화번호의 메모리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화번호의 저장시 적은 양의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의 설명에서와 같이 첫 번째 전화번호가 356-4218이고, 두 번째 전화번호가 742-6059이며, 세 번째 전화번호가 415-0306이라 가정한다. 전화번호의 숫자중 한 자리를 캐랙터화시켜 표시할 경우 8비트(Bit) 즉, 1바이트(byte)가 필요한 것으로 상술되었다. 그런데 1바이트는 2진수로 표시할 경우 10진수의 0부터 255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10진수의 2자리는 00부터 99까지의 전화번호를 캐랙터화 하지 않고 2진수로 표시하면, 1바이트로 전화번호중 두 2자리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전화번호로 설명한다. 상기 첫 번째 전화번호가 356-4218이므로 첫 번째 바이트에 35를 이진수화하여 저장한다. 그러므로 첫 번째 바이트에 저장되는 35룰 1바이트의 2진수로 표시하면‘00100011’이 된다. 그리고 두 번째 바이트에 64를 저장하게 되므로 이를 1바이트의 2진수로 표시하면‘01000000’이 된다. 또한 세 번째 바이트에 21이 저장되며, 이를 1바이트의 2진수로 표시하면‘00010101’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은 8의 한 자리만 남게 된다. 따라서 의미없는 자리인 0을 부가하여 4번째 바이트에 80을 2진수로 표시하면‘01010000’이 저장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화번호의 2자리가 1바이트에 저장되므로 24자리로 저장되는 전화번호가 12바이트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환기에 저장되는 전화번호의 메모리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전화번호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화번호 한 자리를 2진수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4비트가 필요하다. 즉, 2진수의 4비트는 0부터 15까지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화번호의 한 자리마다 4비트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첫 번째 수신된 전화번호가 356-4218이다. 이때 첫 번째 자리인 3을 2진수로 표시하면‘0011’이 되며, 두 번째 자리인 5를 2진수로 표시하면‘0101’이 되고, 세 번째 자리인 6을 2진수로 표시하면‘0110’이 된다. 그리고 네 번째 자리인 4를 2진수로 표시하면‘0100’이 되고, 다섯 번째 자리인 2를 2진수로 표시하면‘0010’이 되고, 여섯 번째 자리인 1을 2진수로 표시하면‘0001’이 되며, 마지막 자리인 8을 2진수로 표시하면‘1000’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24자리를 표시할 경우 12바이트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브시스템에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 수신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화번호 수신시 전화번호 변환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입자 서브시스템 110의 ASP 12는 2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외부로부터 이벤트(Event) 신호가 수신될 경우 202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의 후크오프에 따른 이벤트 신호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ASP 12는 상기 202단계의 검사결과 가입자의 후크오프에 따른 이벤트 신호인 경우 204단계로 진행하며, 후크오프에 따른 이벤트 신호가 아닌 경우 22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ASP 12는 204단계에서 호의 처리 수행시 필요한 각 처리블록으로 후크오프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후크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블록을 예를 들면, 유지보수 서브시스템 150의 OMP 31과,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100의 INP 5 및 NTP 6 등이 있다. 상기 ASP 12는 206단계에서 각 처리블록으로부터 라인의 상태를 수신하면, 208단계로 진행하여 후크오프 신호가 수신된 가입자 라인으로 다이얼톤을 출력한다. 이와 달리 상기 ASP 12으로 라인상태의 비정상에 따른 신호가 수신될 경우 230단계로 진행하여 에러처리에 따른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SP 12는 208단계에서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입자 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_Frequency)신호로 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2진수로 표시한다. 이때 수신된 전화번호를 2진수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교환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식에 따라 도 3과 같이 또는 도 4와 같이 변환한다.
이를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입자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만을 예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ASP 12는 가입자 라인을 통해 DTMF신호로 수신된 전화번호를 10진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ASP 12는 상기 변환된 10진수를 도 3의 경우 2자리씩 분리하여 1바이트(byte)의 2진수로 변환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화번호를 분리하여 변환할 경우 7자리의 전화번호는 마지막에 한 자리가 남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ASP 12는 남은 번호에 무의미한 번호 0을 삽입하여 1바이트의 2진수로 변환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각 자리수를 변환하는 경우 상기 ASP 12는 DTMF 신호로 수신된 전화번호를 10진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10진수의 각 자리 숫자를 4비트(bit)의 2진수로 변환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를 변환하게 된다.
상기 ASP12는 212단계에서 이와 같이 2진수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를 필요로 하는 블록으로 송신한다. 상기 전화번호를 필요로 하는 블록을 예를 들면, 상기 NTP 6과, OMP 31등이 있다. 상기 ASP 12는 214단계에서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100으로부터 통화연결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ASP 12는 상기 검사결과 통화가 연결될 경우 216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통화연결이 아닌 경우 240단계로 진행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한 가입자 라인으로 비지톤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를 저장할 경우 번호번역을 수행하는 상기 NTP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OMP 등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프로세서에 메모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전화번호를 저장할 경우 하나의 시스템에 5만 가입자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60만 바이트의 메모리의 절감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교환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의 연결을 위해 가입자 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디티엠에프(DTMF) 신호 또는 타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숫자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정보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두 자리의 십진수의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의 분리시 마지막 한 자리가 남을 경우 무의미한 숫자 0을 마지막 자리 뒤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두자리 단위로 분리된 전화번호를 1바이트의 2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2. 교환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의 연결을 위해 가입자 라인으로부터 수신된 디티엠에프(DTMF) 신호 또는 타 교환기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숫자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정보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한 자리의 십진수의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한 자리 단위로 분리된 전화번호를 4비트의 2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19980034474A 1998-08-25 1998-08-25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27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474A KR100270676B1 (ko) 1998-08-25 1998-08-25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474A KR100270676B1 (ko) 1998-08-25 1998-08-25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58A true KR20000014858A (ko) 2000-03-15
KR100270676B1 KR100270676B1 (ko) 2000-11-01

Family

ID=1954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474A KR100270676B1 (ko) 1998-08-25 1998-08-25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169B1 (ko) * 1998-12-16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통신 시스템의 국번별 가입자번호 출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169B1 (ko) * 1998-12-16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통신 시스템의 국번별 가입자번호 출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676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39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the capability of using the SS7 protocol
US4686669A (en) Path hunting in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EP0214178B1 (en) Controlling multi-port hunt groups in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US4683584A (en) Directory number translation in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EP0375032B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data link between a pair of terminals as well as a terminal which is suitable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EP0211891B1 (en) Terminating port determination in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using a distributed database
KR100270676B1 (ko) 교환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방법
US4523308A (en) Telephone concentrator switch arrangement
CN1052610C (zh) 描述多接口环境交换系统中用户的方法
KR100293386B1 (ko)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점 변경방법
US6917679B2 (en) Method for interface ISDN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and local exchange
US6411706B1 (en) Office call state display system
KR10025869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변경방법
KR0173918B1 (ko) 중소규모 시내 전자 교환기에서의 구내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10025869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삭제방법
KR10025869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등록방법
KR1002374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활성화방법
KR1002374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안내대 상태 변경방법
KR100241908B1 (ko) 국가별 레지스터 시그널링 제어방법
KR10025870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출력방법
US5598465A (en) Exchange controlling system for managing terminal groups
KR100217722B1 (ko) 체인 스피드 다이얼방법
KR10023748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 안내대 정보 출력방법
KR1002374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비활성화방법
KR10026172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그룹 정보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