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661U -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661U
KR20000014661U KR2019980027986U KR19980027986U KR20000014661U KR 20000014661 U KR20000014661 U KR 20000014661U KR 2019980027986 U KR2019980027986 U KR 2019980027986U KR 19980027986 U KR19980027986 U KR 19980027986U KR 20000014661 U KR20000014661 U KR 200000146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limit switch
rolled material
electric devic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27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661U/ko
Publication of KR20000014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661U/ko

Links

Landscapes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연기의 롤(1) 사이로 치입되는 압연소재(5)의 진행이 편심된 경우 이를 인지하는 리미트스위치(10)와, 리미트스위치(10)에 연결된 레버(12)와, 레버(12)에 회전되도 설치됨과 함께 편심된 압연소재(5)와의 회전 접촉에 따라 이를 리미트스위치(10)가 인지하도록 하는 감지부인 감지롤(14)로 이루어진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의 리미트스위치(10)의 신호값을 인지하여 인지된 신호에 의해 전기장치를 단속한 제어부(20)와, 제어부(20)를 통한 전기장치(3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경광등(40)과, 경광등(40)의 점멸과 동시에 전기장치에 의해 오일이 공급되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50)와, 유입실린더(50)의 로드(54)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하여 압연소재(5)의 진행 방향이 교정되도록 편심된 압연소재(5)를 밀어주는 교정롤(56)로 이루어진 교정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압연소재의 편심을 인지하고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유압실린더가 이의 편심각을 자동으로 교정하여 조업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로 압연소재의 치입불량을 교정함으로서, 압연단계에서 조업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Device for sensing and revising of rod wire of rolling machine )
본 고안은 선재압연중 압연소재의 진행방향이 편심되어 치입불량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치입불량을 자동으로 교정하는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는 제철소의 용광로나 전기로 등에서 용해된 용탕이 소정형상의 주입용기인 턴디시(tundish)를 통해 주형(mold)으로 주입되어지고, 이 주형을 통해 주입되어 응고된 빌레트(billet)를 열처리로에서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에 압연기에 의해 여러 유형의 강종으로 성형된 상태로 집적된다.
이러한 선재는 여러 압연단계를 갖게되며. 이러한 압연단계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롤을 구비한 압연기들을 직렬로 배치함과 함께 압연기 사이에는 압연소재의 진행방향을 안내하여 정확한 치입을 이루는 안내수단이 구비되어, 압연소재가 안내수단의 안내에 따라 압연기들의 롤 사이를 일정한 마찰력을 발생하면서 치입된후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제품의 형상을 갖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연단계에서 롤의 구동불량 및 불균일한 압하율등에 의해 압연소재의 치입이 어려운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조업을 중단한 상태로 압연기에 물려 있는 모든 압연소재를 절단기로 절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재압연중 압연소재의 진행방향이 맞지 않는 치입불량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치입불량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롤을 구비한 압연기들을 직렬로 배치함과 함께 압연기 사이에는 압연소재의 진행방향을 안내하여 정확한 치입을 이루는 안내수단이 구비되는 선재 압연단계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의 롤 사이로 치입되는 압연소재의 진행이 편심된 경우 이를 인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된 레버와, 레버에 회전되도 설치됨과 함께 편심된 압연소재와의 회전 접촉에 따라 이를 리미트스위치가 인지하도록 하는 감지부인 감지롤로 이루어진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의 리미트스위치의 신호값을 인지하여 인지된 신호에 의해 전기장치를 단속한 제어부와, 제어부를 통한 전기장치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경광등과, 경광등의 점멸과 동시에 전기장치에 의해 오일이 공급되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와, 유입실린더의 로드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하여 압연소재의 진행 방향이 교정되도록 편심된 압연소재를 밀어주는 교정롤로 이루어진 교정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리미트스위치가 압연소재의 편심을 인지하고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유압실린더가 이의 편심각을 자동으로 교정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 적용한 감시 및 교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압연소재 10 : 리미트스위치 12 : 레버
14 : 감지롤 20 : 제어부 30 : 전기장치
40 : 경광등 50 : 유압실린더 54 : 로드
56 : 교정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면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롤(1)을 구비한 압연기들을 직렬로 배치함과 함께 압연기 사이에는 압연소재(5)의 진행방향을 안내하여 정확한 치입을 이루는 안내수단인 가이드(2)를 구비되는 선재 압연단계에 적용되어 압연소재(5)의 편심을 인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편심각을 제어부(20)를 통한 제어에 의해 교정하는 교정수단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롤(1) 사이로 치입되는 압연소재(5)의 진행이 편심된 경우 이를 인지하는 리미트스위치(10)와, 리미트스위치(10)에 연결된 레버(12)와, 레버(12)에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함께 편심된 압연소재(5)와의 회전 접촉에 따라 이를 리미트스위치(10)가 인지하도록 하는 감지부인 감지롤(14)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는 감지수단인 리미트스위치(10)의 신호값을 인지하여 인지된 신호에 의해 전기장치(30)를 단속하도록 구비된다.
교정장치는 제어부(20)를 통한 전기장치(3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경광등(40)과, 경광등(40)의 점멸과 동시에 전기장치(30)에 의해 오일이 공급되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50)와, 유입실린더(50)의 로드(54)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하여 압연소재(50)의 진행 방향이 교정되도록 편심된 압연소재(50)를 밀어주는 교정롤(56)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이 압연소재(50의 정확한 진행 방향이며,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 압연소재(5)의 편심된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압연소재(5)가 편심되면, 압연소재(5)는 감지롤(14)에 접촉하게 되며,이를 리미트스위치(10)가 인지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이에 제어부(20)에 의해 전기장치(30)가 작동하면, 전기가 공급되어 작업자가 알 수 있게 경광등(40)이 점멸됨과 함께 오일배관(52)을 통해 유압실린더(50)에 오일이 공급된다.
유압실린더(50)에 오일에 의한 유압이 발생하면, 유압실린더(50)의 로드(54)가 압연소재(5)의 양면으로 전진한다. 이때 로드(54)의 선단에 교정롤(56)이 구비됨으로서, 교정롤(56)이 압연소재(5)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회전되어 압연소재(5)를 진행장향으로 편심각을 교정한다.
본 고안은 리미트스위치가 압연소재의 편심을 인지하고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유압실린더가 이의 편심각을 자동으로 교정하여 조업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로 압연소재의 치입불량을 교정함으로서, 압연단계에서 조업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롤을 구비한 압연기들을 직렬로 배치함과 함께 압연기 사이에는 압연소재의 진행방향을 안내하여 정확한 치입을 이루는 안내수단이 구비되는 선재 압연단계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의 롤(1) 사이로 치입되는 압연소재(5)의 진행이 편심된 경우 이를 인지하는 리미트스위치(10)와, 리미트스위치(10)에 연결된 레버(12)와, 레버(12)에 회전되도 설치됨과 함께 편심된 압연소재(5)와의 회전 접촉에 따라 이를 리미트스위치(10)가 인지하도록 하는 감지부인 감지롤(14)로 이루어진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의 리미트스위치(10)의 신호값을 인지하여 인지된 신호에 의해 전기장치를 단속한 제어부(20)와,
    제어부(20)를 통한 전기장치(3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경광등(40)과, 경광등(40)의 점멸과 동시에 전기장치에 의해 오일이 공급되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50)와, 유입실린더(50)의 로드(54)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하여 압연소재(5)의 진행 방향이 교정되도록 편심된 압연소재(5)를 밀어주는 교정롤(56)로 이루어진 교정수단의 구성을 특징으로하는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KR2019980027986U 1998-12-30 1998-12-30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KR200000146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986U KR20000014661U (ko) 1998-12-30 1998-12-30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986U KR20000014661U (ko) 1998-12-30 1998-12-30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661U true KR20000014661U (ko) 2000-07-25

Family

ID=6950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986U KR20000014661U (ko) 1998-12-30 1998-12-30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6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177Y1 (ko) * 2007-11-23 2009-12-31 현대제철 주식회사 롤러스탠드 감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177Y1 (ko) * 2007-11-23 2009-12-31 현대제철 주식회사 롤러스탠드 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8565C (en) Rolling strip material
US3933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scarfing
US4406141A (en) Straightening apparatus for steel pipes and the like
EP0903187B1 (en) Strip steering
KR20000014661U (ko) 선재압연중 소재진행 방향 감시 및 교정장치
KR101709139B1 (ko) 롤 구동 감지 방법 및 롤 구동 감지 장치
US41483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slippage between rolls and a slab in a continuous compression casting apparatus
KR100497667B1 (ko) 압연공정의 코일 연결용 용접기
KR101287883B1 (ko) 코일의 폭 센터 조정장치
KR100823607B1 (ko) 연속소둔라인 스트립 냉각설비의 스트립 쏠림 제어장치
KR100227086B1 (ko) 압연 소재의 진행 위치 검출 방법
KR100419628B1 (ko) 쌍롤형 박판주조기의 주편 냉각장치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JP3999349B2 (ja) スパイラル鋼管の成形装置
KR100782713B1 (ko) 강판선단부 변곡장치
KR100775230B1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JP3456460B2 (ja) 圧延異常検出装置
EP3496881B1 (en) Method of thin strip casting
KR20030077282A (ko) 스카핑라인의 슬라브 이동거리 측정장치
KR200158059Y1 (ko) 열간 스라브의 센터링 감지장치
JP2004237328A (ja) ビレット溶接部の試験用サンプルの採取方法
KR100909688B1 (ko) 롤 갭 위치검출 제어장치
KR20170010235A (ko) 사상압연기의 스트립 쏠림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820000619B1 (ko) 핫트스트립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
KR100910466B1 (ko) 플래시 버트 용접기의 트리밍 포인트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