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634U -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 Google Patents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634U
KR20000014634U KR2019980027959U KR19980027959U KR20000014634U KR 20000014634 U KR20000014634 U KR 20000014634U KR 2019980027959 U KR2019980027959 U KR 2019980027959U KR 19980027959 U KR19980027959 U KR 19980027959U KR 20000014634 U KR20000014634 U KR 200000146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ip
camera
clip support
camera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감환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7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634U/ko
Publication of KR200000146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63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렌즈(12)가 설치되고 하단에 수용홀(14)이 형성된 카메라본체(10)와, 중앙의 연결축(22)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손잡이(24)와 그립부(26)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손잡이(24)를 누르면 그립부(26)가 개구되는 클립지지대(20), 한쪽 선단이 상기 카메라본체(10)의 수용홀(14)에 끼워지고, 다른쪽 선단이 클립지지대(20)의 연결축(22)에 연결된 지지축(1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클립지지대(20)를 대상물에 물려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본체(10)를 대상물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A videocamera having grip means)
본 고안은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카메라의 하단에 대상물을 물려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화상을 제공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니터에는 시청각적 욕구를 위한 스피커나 화상카메라 등과 같은 각종 장비가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 주고 있다.
여기서 화상카메라(videocamera)는 우선 시각계의 신호에너지를 기계적 신호에너지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기계적 신호에너지를 최종적으로 전기적 신호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화상카메라는 최근 컴퓨터의 보급과 더불어 원거리에 있는 사람간에 화상회의를 할 수 있도록 모니터 등에 많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모니터에 화상카메라를 장착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외함(100)의 상단에 화상카메라(11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화상카메라(110)는 카메라본체(112)와 받침대(114)로 이루어지고, 카메라본체(112)와 받침대(114)는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114)는 양면테이프(116)로써 모니터외함(100)의 상부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모니터에 설치되는 화상카메라는 모니터나 컴퓨터본체 상단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지만 별도의 그립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노트북과 같이 폭이좁은 곳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상카메라를 부착하지 않고 대상물에 편리하게 물려서 고정지지하도록 된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렌즈가 설치되고 하단에 수용홀이 형성된 카메라본체와, 중앙의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손잡이와 그립부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손잡이를 누르면 그립부가 개구되는 클립지지대 및, 한쪽 선단이 상기 카메라본체의 수용홀에 끼워지고, 다른쪽 선단이 클립지지대의 연결축에 연결된 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는, 카메라본체가 지지축을 매개로 클립지지대에 설치하도록 되어 클립지지대를 대상물에 물려서 고정함으로써 카메라본체를 대상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니터에 화상카메라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카메라를 노트북컴퓨터에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본체 12 : 렌즈
14 : 수용홀 16 : 지지축
16a : 볼조인트 16b : 연결이음부
20 : 클립지지대 22 : 연결축
24 : 손잡이 26 : 그립부
26a : 패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상카메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본체(10)의 전면에 렌즈(12)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 지지축(16)이 끼워지는 수용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16)은 클립지지대(20)에 설치되어 카메라본체(10)를 고정지지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6)의 상단은 볼조인트(16a)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연결이음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축(16)은 카메라본체(10)를 지지하면서 클립지지대(20)에 대해 전후로 회동할 수 있는 한편, 카메라본체(10)는 지지축(16)에 대해 360°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립지지대(20)는 중앙에 연결축(22)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하부에 손잡이(22)와 그립부(24)가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클립지지대(20)의 연결축(22)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지지대(20)의 손잡이(24)를 누르면 그립부(24)가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립부(26)는 클립지지대(20)의 하단에 힌지연결되어 있는 한편, 내측면에는 대상물을 부드럽게 잡아주는 패드(2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립부(26)가 클립지지대(20) 하단에 힌지연결되어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대상물을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게 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카메라를 노트북컴퓨터에 설치한 사용상태도로서, 클립지지대(20)의 그립부(26)가 화상표시장치 상단을 그립하여 카메라본체(10)가 고정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카메라본체(10)는 클립지지대(20)에 설치된 지지축(16)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축(16)에 대해 360°회전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16)은 클립지지대(20)의 연결축(22)을 따라 전후로 회동가능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본체(10)는 지지축(16)을 매개로 클립지지대(20)에 상부에 설치되고, 클립지지대(20)는 대상물을 용이하게 그립하도록 되어 , 카메라본체(10)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회동시킴과 동시에 장착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에 의하면, 카메라본체가 지지축을 매개로하여 클립지지대에 고정지지되어 클립지지대를 대상물에 물려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화상카메라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대상물의 장소에 관계없이 화상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에 렌즈(12)가 설치되고 하단에 수용홀(14)이 형성된 카메라본체(10)와;
    중앙의 연결축(22)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손잡이(24)와 그립부(26)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손잡이(24)를 누르면 그립부(26)가 개구되는 클립지지대(20);
    한쪽 선단이 상기 카메라본체(10)의 수용홀(14)에 끼워지고, 다른쪽 선단이 클립지지대(20)의 연결축(22)에 연결된 지지축(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KR2019980027959U 1998-12-30 1998-12-30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KR200000146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959U KR20000014634U (ko) 1998-12-30 1998-12-30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959U KR20000014634U (ko) 1998-12-30 1998-12-30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634U true KR20000014634U (ko) 2000-07-25

Family

ID=6950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959U KR20000014634U (ko) 1998-12-30 1998-12-30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63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965A (ko) * 2000-12-12 2002-06-20 이형도 피씨 카메라
KR100355922B1 (ko) * 2000-08-29 2002-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피씨 카메라용 지지장치
KR20040005034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용 카메라 받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922B1 (ko) * 2000-08-29 2002-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피씨 카메라용 지지장치
KR20020045965A (ko) * 2000-12-12 2002-06-20 이형도 피씨 카메라
KR20040005034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용 카메라 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832B2 (en) Rotational casing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US5978211A (en) Stand structure for flat-panel display device with interface and speaker
EP0749037B1 (en) Image input apparatus with means for varying and indicating the orientation of a camera head
EP0749034B1 (en) Image input apparatus having a suppor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amera head
US20040211868A1 (en) Webcam mount for flexible positioning
KR100497002B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 화상기
US5801774A (en) Camcorder with detachable and rotatable viewfinder assembly
KR20000014634U (ko) 그립수단을 구비한 화상카메라
KR20170127153A (ko)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CA2380135A1 (en) Viewfinder for high definition video camera
KR200224779Y1 (ko)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KR200322331Y1 (ko) 피시카메라
KR20000011141U (ko) 모니터의 화상카메라 장착구조
KR200187429Y1 (ko) 폴더형 디지털 카메라
JP3296691B2 (ja) カメラ装置用設置台
KR20000014570U (ko) 모니터의 화상카메라 장착구조
CN212657483U (zh) 一种网络摄像机固定件
JPH11153832A (ja) クリップ付きカメラ及びカメラ装置
KR20000014633U (ko) 노트북컴퓨터용 화상카메라
US20050249421A1 (en) Electrical apparatus with image capture unit
JP2701215B2 (ja) 撮像機
KR19990047369A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JPH0532794Y2 (ko)
JPH0411421Y2 (ko)
JP3617099B2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