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559U - 위생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위생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559U
KR20000014559U KR2019980027884U KR19980027884U KR20000014559U KR 20000014559 U KR20000014559 U KR 20000014559U KR 2019980027884 U KR2019980027884 U KR 2019980027884U KR 19980027884 U KR19980027884 U KR 19980027884U KR 20000014559 U KR20000014559 U KR 200000145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mask
present
adjustment ring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김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민 filed Critical 김종민
Priority to KR2019980027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559U/ko
Publication of KR20000014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59U/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마스크를 구입한후 자신의 얼굴 사이즈에 맞도록 마스크 몸체에 연설된 걸이끈을 일일이 손으로 묶어주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마스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가진 걸이끈(110)의 중앙부를 접어 절곡부(111)가 형성되도록 하고, 일단과 타단이 몸체(100)의 양측단 상,하에 각각 봉합되도록 한 걸이끈(110)에 이동되는 조절링(200)을 끼워 걸이끈(110)의 길이를 조절토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걸이끈(110)을 조절시 조절링(200)만을 이동시켜 간편하게 걸이끈(110)을 조절할 수가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위생용 마스크
본 고안은 위생용 마스크(이하 마스크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마스크를 구입한 후 착용하기 위해서 자신의 얼굴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끈을 조절시 조절링으로 간편하고 손쉽게 걸이끈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위생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침이나 감기 등의 호흡기질환 발생시나 먼지나 악취 등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작업시 외부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줄수 있도록 몸체가 모두 천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양측단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줄 수 있는 걸이끈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는 필요시 사용자가 약국등에서 쉽게 구입을 하여 착용토록 하는 것으로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마스크는 주로 몸체(10)의 양측단 상,하에 설치된 걸이끈(11a)(11b)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판매를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의 걸이끈(11a)(11b)을 일정길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로 연결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자의 얼굴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있도록 즉, 얼굴 사이즈가 큰 사용자일 경우에는 얼굴 전면에서 귀까지의 길이가 멀기 때문에 걸이끈(11a)(11b)을 귀에 걸어주기 위해서는 걸이끈(11a)(11b)의 길이를 길게 매듭지어 지도록 하는 것이고, 얼굴 사이즈가 작은 사용자일 경우에는 얼굴 전면에서 귀까지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귀에 제대로 걸이끈(11a)(11b)을 걸어주기 위해서는 걸이끈(11a)(11b)의 길이가 짧게 매듭 지어져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스크를 구입한 이후에는 마스크의 몸체(10)를 얼굴전면에 대고 걸이끈(11a)(11b)을 귀로 걸어 적당한 위치에서 서로 묶어주어야 만이 마스크가 얼굴 전면부에서 들뜨거나 또는 너무 얼굴 전면부를 압박하지 않고 가장 적당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나 종래 마스크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마스크를 구입한후 자신의 얼굴 사이즈에 맞게 걸이끈(11a)(11b)을 조절 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얼굴전면에 대어본후 걸이끈(11a)(11b)을 귀에다 대고 길이를 측정한후 마스크를 얼굴 전면에서 떼어낸후 측정한 길이만큼 걸이끈(11a)(11b)을 서로 묶어준후 착용하는데, 이때 측정이 제대로 안되어 걸이끈(11a)(11b)이 너무 길거나 짧은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다시 걸이끈(11a)과 걸이끈(11b)을 묶어준 부위를 풀어낸후 재조절하여 다시 묶어주어야 하는데, 미처 걸이끈(11a)과 걸이끈(11b)을 풀어낼 것을 생각치 않고 너무 강하게 묶었을 경우에는 이를 풀어내는데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것은 물론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얼굴 사이즈에 따라 걸이끈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길이를 가진 걸이끈의 중앙부를 접어 절곡부를 형성하고, 일단과 타단이 몸체의 양측단 상,하에 각각 봉합되도록 한후 상기 걸이끈에 이동되는 조절링을 끼워 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토록 하므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구입한후 걸이끈에 끼워진 조절링만을 이동시켜 걸이끈의 길이를 자신의 얼굴 사이즈에 맞도록 빠른 시간내에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써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마스크를 예시한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측단면도
도 4a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4b 는 도 4a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걸이끈
111 : 절곡부 200 : 조절링
210 : 래칫돌기 220 : 걸림구
230 : 끈 240 : 압지핀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마스크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예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정길이를 가진 걸이끈(110)의 중앙부를 접어 절곡부(111)가 형성되도록 하고, 일단과 타단이 몸체(100)의 양측단 상,하에 각각 봉합되도록 한후 상기 걸이끈(110)에 이동되는 조절링(200)을 끼워 걸이끈(110)의 길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절링(200)의 내면에는 래칫돌기(210)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걸림구(220)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절링(200)의 일단에 끈(230)으로 연설되는 압지핀(240)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구입한 후 이를 착용하기 위해서 자신의 얼굴 사이즈에 맞도록 마스크의 몸체(100)에 달려있는 걸이끈(110)을 조절할 때에는 종전처럼 걸이끈(11a)(11b)을 일일이 서로 손으로 묶어주지 않고서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언급하면 우선 자신의 얼굴 전면부에 마스크의 몸체(100)를 대어준후 걸이끈(110)을 귀에 걸고, 상기 걸이끈(110)에 끼워진 조절링(200)을 이동시켜 즉, 상기 조절링(200)을 움직여서 조절링(200)의 일단이 귀에 접면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하면 걸이끈(110)은 너무 길거나 짧지않아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의 몸체(100)가 얼굴 전면부에서 헐렁거리거나 압박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3a와 도3b 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조절링(200)의 내면에 래칫돌기(210)를 형성하므로써 조절링(200)을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기 전에는 조절링(200)이 저절로는 잘 이동되지 않으므로 조절링(200)으로 조절된 걸이끈(110)의 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그대로 유지될 수가 있다.
또한 조절링(20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조절링(200)을 걸이끈(110)의 끝단까지 도달시키더라도 상기 조절링(200)은 걸이끈(110)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으로 이는 도3b 에서와 같이 조절링(200)에 형성된 걸림구(220)가 걸이끈(110)의 절곡부(111)내측에 걸리어 조절링(200)이 더 이상은 후진되지 않으므로 조절링(200)이 걸이끈(110)에서 완전히 이탈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링(200)을 이용하여 걸이끈(110)의 길이를 가장 알맞도록 조절한후 조절링(200)이 그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압지핀(240)을 상기 조절링(200)내측으로 삽입시키는 것이고, 이후 조절링(20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절링(200)에 끼어진 압지핀(240)을 빼내는데 상기 압지핀(240)은 조절링(200)과 연결된 끈(230)에 연설되어 있으므로 조절링(200)이 걸이끈(1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압지핀(240)이 분실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스크를 착용하기 위하여 마스크 몸체에 연설된 걸이끈을 조절시 조절링만을 간편하게 이동시켜 손쉽게 걸이끈을 조절할 수가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마스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가진 걸이끈(110)의 중앙부를 접어 절곡부(111)가 형성되도록 하고, 일단과 타단이 몸체(100)의 양측단 상,하에 각각 봉합되도록 한후 상기 걸이끈(110)에 이동되는 조절링(200)을 끼워 걸이끈(110)의 길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위생용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링(200)의 내면에는 래칫돌기(210)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걸림구(22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링(200)의 일단에는 끈(230)으로 연설되는 압지핀(24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마스크
KR2019980027884U 1998-12-30 1998-12-30 위생용 마스크 KR200000145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884U KR20000014559U (ko) 1998-12-30 1998-12-30 위생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884U KR20000014559U (ko) 1998-12-30 1998-12-30 위생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59U true KR20000014559U (ko) 2000-07-25

Family

ID=6950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884U KR20000014559U (ko) 1998-12-30 1998-12-30 위생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559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888Y1 (ko) * 2004-02-02 2004-04-29 이용철 마스크용 걸이밴드 조절구
KR102012156B1 (ko) * 2019-03-13 2019-08-19 김강권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20200113318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퍼비스코리아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20220001771U (ko) 2021-01-10 2022-07-19 김용권 끈조절과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20117426A (ko) 2021-02-17 2022-08-24 김종진 패션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9247A (ko) 2021-02-20 2022-08-29 김종진 끈없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888Y1 (ko) * 2004-02-02 2004-04-29 이용철 마스크용 걸이밴드 조절구
KR102012156B1 (ko) * 2019-03-13 2019-08-19 김강권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20200113318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퍼비스코리아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20220001771U (ko) 2021-01-10 2022-07-19 김용권 끈조절과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KR20220117426A (ko) 2021-02-17 2022-08-24 김종진 패션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9247A (ko) 2021-02-20 2022-08-29 김종진 끈없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512B1 (en) Internal nasal dilator
KR101958385B1 (ko)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KR200493756Y1 (ko) 조절형 마스크 귀걸이
KR20070112442A (ko) 잠금용 지지대를 갖는 위생 마스크
KR20000014559U (ko) 위생용 마스크
KR102232316B1 (ko) 마스크용 걸이밴드 결속부재
JP2001161843A (ja) マスク
US5692241A (en) Necktie forming device
KR102630104B1 (ko) 내부 공간확보 마스크 지지프레임 및 귀걸이 끈조절장치가 형성된 마스크
US20090193559A1 (en) Method and apapratus to cover eyes while sleeping
JP3756087B2 (ja) 鼾防止具
KR20220076000A (ko) 마스크의 걸이끈 길이 조절용 홀더
KR20080004053U (ko) 넥타이
KR200496469Y1 (ko) 후드-넥 워머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KR102515042B1 (ko) 마스크 끈
KR20220085268A (ko) 사용자 사이즈 맞춤형 기능성 마스크 및 이에 장착되는 마스크 스트랩
KR200496815Y1 (ko) 휴대가 용이한 마스크
KR102669936B1 (ko) 사용자 사이즈 맞춤형 기능성 마스크
CN212437406U (zh) 口罩密闭套
KR20210119065A (ko) 걸이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
JP6975488B1 (ja) マスク装着用ストラップ、及びマスクとストラップとのセット
CN219679857U (zh) 一种口罩绳扣
JP3881303B2 (ja) 抱き枕用カバー
KR200415741Y1 (ko) 넥타이 착용기용 슬라이드 파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