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886A -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886A
KR20000013886A KR1019980033008A KR19980033008A KR20000013886A KR 20000013886 A KR20000013886 A KR 20000013886A KR 1019980033008 A KR1019980033008 A KR 1019980033008A KR 19980033008 A KR19980033008 A KR 19980033008A KR 20000013886 A KR20000013886 A KR 2000001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ynthetic resin
minutes
resin material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994B1 (ko
Inventor
배창순
Original Assignee
배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창순 filed Critical 배창순
Priority to KR101998003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9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효과가 있고, 물분자 활성화가 이루어지며, 악취제거와 생육촉진, 신선도유지 및 항균효과등이 있는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은, 바이오세라믹재를 폴리에틸렌(PE)에 5∼6중량%, 폴리스티렌(PS)에 8∼10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에 8∼10중량%, 폴리프로필렌(PP)에 8∼10중량%, 페트(PET), 페놀수지에 5∼7중량%, 피브이시(PVC)에 5∼6중량%, 멜라민수지에 4∼6중량% 첨가시켜 마스터배취를 통해, 신규한 합성수지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주지재이고,
제 2특징은 저밀도 수지 20∼40 중량%, 고밀도수지 80∼60중량%, 바이오세라믹재 5∼40중량%를 믹싱기에서 약30분간 믹싱한 후 분산제를 0.5∼1중량% 첨가하여 블엔딩하고, 중간저장조에서 파이프라인을 경유하여 2차 브렌딩하며 히팅부에서 180℃∼200℃로 5분∼10분간 가열한후, 커팅수단에 의해 미립자 상태로 커팅하고 쿨링부에서 7℃∼8℃의 물에 1∼2분간 냉간한 다음 드라이부에서 110℃∼120℃로 8분∼10분간 건조하여 신규한 합성수지재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이다.

Description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효과가 있고, 물분자 활성화가 이루어지며, 악취제거와 생육촉진, 신선도유지 및 항균효과등이 있는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제품은 사상균에 의해 가소제가 분해되어 열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의 염화에 대해서 실험하여 가소제의 75∼88%가 세균(Pseudomosnas aeruglnosa)과 사상균(Aspergillus niger, Penlcillum funiculosume, Paecilomyees variorti, Trichoderma virlde, Chaetomium globosum)에 의해 분해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일 경우에는 Penlcillium chryosgenum이 생육하지만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틸렌에는 생육하지 않는다. 그러나 Aspergillus niger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틸렌 모두에 있어서 잘 생육한다고 알려져 있다.
열대기후 조건하에서는 폴리염화비닐이 사상균에 의해 5∼6주 정도면 70% 이상 분해된다는 보고도 있다. 사상균은 색소 형성능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제품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즉, 대장균은 생선, 우유, 빵, 치즈, 햄, 아이스크림등을 부패시키고, 녹농균과 고초균은 각각 패혈증과 무좀을 유발시키며, 요소분해균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장티푸스균은 에어콘에 서식하여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상기한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발생하는 조건으로는 온도(25℃∼30℃)와 습도(60%∼70%) 및 산소(O2)가 필수 3요소로서, 이들중 2가지의 조건만 제거하면 세균과 박테리아의 서식을 차단할 수 있는바, 기존의 합성수지재는 사상균을 차단할 수 없음은 물론 자체의 용존산소와 항균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제품 자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또한 종래의 필름은 폴리에칠렌의 단일성분으로 제조된 것으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필름을 폴리백으로 할 경우 열접합부위에 접합이 용이하지 않았다.
상기, 폴리백으로 하여 열접합 할 경우 열접합부위의 접합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액체를 보관할 시 누수현상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필름은 인장강도가 낮아 쉽게 찌저지고 과일, 야책, 김치, 생선, 육류 및 식품등을 보관할 시 신선도가 떨어지며, 탈취효과, 생육촉진, 악취제게 및 항균효과 등의 효과가 그다지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이론적으로는 메틸렌 쇄(사슬)의 연속체로 볼 수 있으나(아래의 폴리에틸렌 분자구조 참조) 다른 종류 구조로서 분기(分岐), 2중결합 카르보닐기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양적으로 많은 분기의 영향이 가장 크다, 예컨대 폴리에틸렌을 분자 구조의 차이에서 구별하는 경우 중저압법 폴리에틸렌을 직쇄상 폴리에틸렌,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분기 폴리에틸렌이라고 하는 때가 있는데 이것은 중저압법, 고밀도 폴리에틸렌에는 분기가 거의 없고 에틸렌 단위가 직쇄상으로 연결된 분자구조를 취하는데 대해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는 주쇄 중에 매어달린 분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분기는 폴리에틸렌의 결정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밀도에 크게 영향을 준다.
준저압법(호모폴리머)
-CH2-CH2- CH2-CH2-CH2- 직쇄상(直鎖牀)
중저압법(호모폴리머)
-CH2-CH -CH2-CH2-CH2- 단쇄분기
Rs
고압법(호모폴리머)
-CH2-CH -CH -CH2-CH- 단쇄분기와
장쇄분기
RSR1R1
RS : 단쇄분기 (-CH3, -C2H5, -C3H7)
R1 : 장쇄분기 (+CH2+n CH3)
※폴리에틸렌의 분자구조※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결정영역에 있어서 약 1.0, 또한 비결정영역에서는 약 0.8이기 때문에 결정화도가 클수록 전체의 밀도가 커진다.
폴리에틸렌의 밀도와 일반적인 성질과의 관계를 표 1에 간단히 나타냈다.
밀도가 변화하면 이와같이 폴리에틸렌의 기본적인 성질이 변화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의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된다.
표 1 폴리에틸렌의 밀도와 성질의 관계
이상과 같이 폴리에틸렌의 성질은 밀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만 같은 밀도의 것이라도 분자량이 다르면 기계적 성질이나 가공성이 달라진다.
폴리에틸렌에서는 분자량의 대소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척도로서 일반적으로 멜트인덱스(MI)라는 숫자가 사용되고 있다. 멜트인덱스란 일정한 노즐을 사용, 표준의 온도와 압력하에서 10분간 흐르는 폴리에틸렌의 그램수로 표시된 유동성의 척도이다. 따라서 멜트인덱스가 높은 것은 용융점도가 작으며 흐르기 쉽다는 것이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 숫자가 작을수록 재료와 분자량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는 커지지만 가공성은 나빠진다. 이 멜트인덱스와 일반적인 성질과의 관계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폴리에틸렌의 특성은 분자구조(밀도), 분자량(멜트인덱스)외에 분자량 분포의 영향을 받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표 2 폴리에틸렌의 밀도 및 멜트인덱스(MI)와 성질과의 관계
물리적성질 밀도가 커지면(0.913∼0.965) MI가 커지면(분자량이 작아지면)
용융밀도버커트 연화온도표면경도(내마모성)필름의 윤활성최저 히트실 온도히트실 가능온도폭인장강도(항복점)신장률내크립성급힘강성필름의 내충격성저온취화에 대한 저항성스트레스 크래킹에 대한 저항성투명도표면광택수증기 투과율기체, 액체 투과율성형수축률휨경향전기적성질 중대한다현저히 높아진다향상한다향상한다높아진다좁아진다현저히 향상한다작아진다향상한다현저히 향상한다저하한다저하한다저하한다a)향상한다b)향상한다b)저하한다현저히 저하한다커진다약간 커진다약간 향상한다 저하한다저하한다약간 저하한다영향 없다약간 저하한다좁아진다약간 저하한다작아진다약간 저하한다약간 저하한다저하한다저하한다현저히 저하한다향상한다향상한다--작아진다작아진다영향 없다
주 a)시험조건에 따라 변한다. b)성형조건에 따라 변한다.
폴리에틸렌 필름은 거의 수분을 통하지 않지만 탄산가스, 유기용제, 향료 등의 투과도는 매우 크기 때문에 식료품 기타의 포장재료로서 사용할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저밀도의 것에 비하여 투습도나 가스투과도는 매우 작다(표 3). 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 니트릴 공중합체를 도포한다든지 셀로판이나 금속박(箔)과 적층함으로써 유기용제나 향로의 투과성을 매우 작게할 수가 있다.
또한 최근 발전한 다층 압출성형의 기술에 의하여 통기성이 작은 다른 3
플라스틱과 폴리에틸렌을 조합시킨 복합필름으로 만드는 것도 실용화되어 있다.
표 3 각종 포장용 필름의 수증기, 가스 투과율
(단위 : cc·mm/cm2·sec·cmHg)
가 스필 름 H20 N2 O2 CO2
저 밀 도 폴 리 에 틸 렌고 밀 도 폴 리 에 틸 렌염 화 비 닐 수 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일 론 6염화비닐리덴중공합체천 연 고 무에 틸 섬 유 소 8.01.315.613700.1424013,000 1.90.270.0400.0050.0080.000948.088.4 5.51.060.120.0220.0380.005323.326.5 25.23.521.00.1530.160.029131.0200.0
본 발명자는 상기에서와 같은 기존의 합성수지재에 대한 문제점과 성질등을 감안하여 신선도유지와 항균효과가 있고 생체효과가 있으며 물분자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악취제거와 생육촉진등이 이루어지는 신규한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배취의 공정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순수수지가 파우더타입 또는 미립자 타입을 사용하여 필름시트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순수수지가 구슬 또는 좁쌀형태(Bead type)를 사용하여 필름시트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과 종래필름의 신선도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믹싱기 2 : 중간저장조
3 : 파이프라인 4 : 히팅부
5 : 커팅수단 6 : 쿨링부
7 : 드라이부
본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하여 대한민국특허청에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97-65727 호에서 제시된 아래와 같은 성분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이오세라믹을 대상수지에 마스터배추(Master batch)시켜 필름 및 사출품등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원료를 제조한다.
즉, 산화규소(Si02) 70.5중량%, 산화알미늄(Al203) 13.7중량%, 산화철(Fe203) 3.4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7중량%, 산화칼슘(Ca0) 1.6중량%, 산화나트륨(Na20) 3.5중량%, 산화칼륨(K20) 2.4중량%, 산화인(P205) 0.1중량%, 티타튬(Ti) 0.2중량%, 망간(Mn) 0.2중량%, 세레늄(Se) 0.2중량%, 게르마늄(Ge) 25ppm, 은(Ag) 3.5중량%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바이오세라믹재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보면 아래와 같다.
항 목 값
진비중 2.64공극율(%) 0.62흡수율(%) 0.3압축강도(kg/cm2) 2,100원적외선방사율(%) 95탈취율(%) 98항균성(%) 42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이오세라믹재를 솔이드상태에서 분말도 300∼475메시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바이오세라믹재를 하기의 대상수지들에 소정의 범위로 첨가하여 마스터배취 시킨다.
즉, 폴리에틸렌(PE)에 5∼6중량%, 폴리스티렌(PS)에 8∼10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에 8∼10중량%, 폴리프로필렌(PP)에 8∼10중량%, 페트(PET), 페놀수지에 5∼7중량%, 피브이시(PVC)에 5∼6중량%, 멜라민수지에 4∼6중량% 첨가시켜 마스터배취를 통해 신규한 합성수지재를 제조한다. 이 신규한 합성수지재로 필름, 사출물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신규한 합성수지재는 아래와 같은 일반물성을 갖는다.
신규한 합성수지재
화학조성 SiO2, Al203, Ag, Na
90% 멸균시간 30min 이하
평균입도 0.5㎛
입도분포(98%ON) 0.1∼3㎛
열적 안정성 800℃(수지내 혼입시 성형온도 조건에서의열 변색이 거의 없음)
겉보기밀도(g/cm3) 0.25+/-0.05
색상 백색
PH 7
상기 신규한 합성수지재는 강산이나 강알칼리와 접촉시 구조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들 제품과 혼합저장을 피하도록 주의를 요하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제품내에 수분이 일부 흡수될 수도 있으므로 장시간 저장시 환기가 잘 되는 것에 보관해야 한다.
한편, 수분이 흡습 되었을 때 재생 방법으로 분말상의 경우 약 300℃, 3시간 이상 건조시켜 사용하고 마스터배취의 경우 90℃ 2시간이상 건조하여 사용하면 불량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의 마스터배취에 대한 실시예로써 첨부된 도면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시된 도1에서와 같이 저밀도수지(20∼40%), 고밀도수지(80∼60%), 상기에서 정의된 바이오세라믹재(5∼40%)를 믹싱기(1)에서 약 30분간 믹싱한 후 분산재(Ca-Stearate)를 0.5∼1% 첨가하여 블엔딩(Blending)한다. 이후 중간 저장조(2)에서 파이프라인(3)을 경유하여 2차 블엔딩한 후 히팅부(4)에서 180℃∼200℃로 5분∼10분간 가열한다. 이어서 커팅수단(5)에 의해 미립자상태로 커팅하고, 쿨링부(6)에서 7∼8℃의 물에 1∼2분간 냉각한 후 드라이부(7)에서 110℃∼120℃로 8분∼10분간 건조하여 포장한다.
상기와 같이 마스터배취하여 제조된 신규한 합성수지재는 필름, 사출물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조된 신규한 합성수지재를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순수수지인 저밀도수지(20∼30%), 고밀도수지(70∼80%)와 분산재(Ca-Sterate)0.5∼1%, 형광증백제 0.2∼0.5%, 상기에서 정의된 신규한 합성수지재를 첨가하여 혼합부(10)에서 블엔딩한 후 중간저장조(11)를 거쳐 압축기(12)를 통해 시트필름을 압출제조한다.
그런데, 중간 저장조(11)에 부직포 시트처리를 하여 기계진동이 저장조로 전달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왜냐하면 신규한 합성수지재가 진동에 의해 수지표면에서 분리되어 호퍼하부로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압출기(12)에서 a부는 2℃, b부는 1.5℃, c부는 1℃, d부는 0.5℃로 유지하고 필름을 압출할 시 기존의 필름 압출시 보다 1∼2℃ 유지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필름제조방법은 파우더타입이나 미립자타입의 순수수지(Virgin Resin)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다음, 순수수지가 구슬 또는 좁쌀형태(Bead type)의 타입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순수수지인 저밀도수지와 고밀도수지, 분산제, 상기에서 정의된 신규한 합성수지재를 소정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호퍼(20)에 투입하고, 이어서 압출수단(21)을 통해 1차 압출을 하여 다시 상기의 호퍼(20)를 리사이클한 후 2차 압출을 실시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된 신규한 합성수지재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필름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신규한 합성수지재는 필름, 플라스틱, 건축자재, 폐수처리, 건조기기, 소각처리시설, 토양개량제, 양어장, 수족관, 양돈, 양계, 생활도자기, 정수용필터, 찜질, 매트, 보호대, 화장품, 원료, 양말, 내의류, 이불, 베개, 시트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재는 신선도유지, 항균력, 생체효과, 물분자활성, 악취제거, 생육촉진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규한 합성수지재로서 제조된 필름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이 일반 제품의 필름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필름에 대한 항균력, 신선도를 시험한 데이터를 아래표와 같이 제시한다.
※시험조건 : 1) 시험균액을 25℃, 24시간 정치 배양 후 균수측정
2) 시료표면적 : 60㎠
3) 일반제품 : 3∼5일 선도유지
4) 본 발명제품 : 21∼24일 선도유지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을 저밀도 수지에서 상기의 표3에서와 같이 02(5.5), Co2(25.2), 고밀도수지에서는 02(1.06), Co2(3.52) 통기성을 나타내지만 저밀도, 고밀도, 상기에서 정의된 바이오세라믹재를 마스터배취하면 분자구조가 장쇄분기구조로 전환하면서 통기성을 적절히 응용할 수 있고, 바이오세라믹재 자체의 제올라이트 구조 특성상 산소를 발생(흡입)하면서 Co2를 배출하여 신선도유지와 항균 및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야채, 꽃등 잎종류를 사용하는 것은 바이오세라믹재의 첨가량을 약 1∼2% 더한다. 이는 Co2를 배출하고 O2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햄, 우유, 두부, 치즈, 뿌리식품은 바이오세라믹재의 첨가량을 2∼3% 줄여야 한다. 이는 CO2를 배출하고 O2는 소량만 공급해야하는데 그 이유는 부패의 원인인 습기, 온도, 산소중 O2의 차단 효과를 주면 신선도가 유지되고 부패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다.

Claims (2)

  1. 바이오세라믹재를 폴리에틸렌(PE)에 5∼6중량%, 폴리스티렌(PS)에 8∼10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에 8∼10중량%, 폴리프로필렌(PP)에 8∼10중량%, 페트(PET), 페놀수지에 5∼7중량%, 피브이시(PVC)에 5∼6중량%, 멜라민수지에 4∼6중량% 첨가시켜 마스터 배취를 통해, 신규한 합성수지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2. 저밀도 수지 20∼40 중량%, 고밀도수지 80∼60중량%, 바이오세라믹재 5∼40중량%를 믹싱기에서 약30분간 믹싱한 후 분산제를 0.5∼1중량% 첨가하여 블엔딩하고, 중간저장조에서 파이프라인을 경유하여 2차 브렌딩하며 히팅부에서 180℃∼200℃로 5분∼10분간 가열한후, 커팅수단에 의해 미립자 상태로 커팅하고 쿨리부에서 7℃∼8℃의 물에 1∼2분간 냉각한 다음 드라이부에서 110℃∼120℃로 8분∼10분간 건조하여 신규한 합성수지재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제조방법.
KR1019980033008A 1998-08-14 1998-08-14 선도유지및항균력을갖는합성수지재및그제조방법 KR10031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008A KR100310994B1 (ko) 1998-08-14 1998-08-14 선도유지및항균력을갖는합성수지재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008A KR100310994B1 (ko) 1998-08-14 1998-08-14 선도유지및항균력을갖는합성수지재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886A true KR20000013886A (ko) 2000-03-06
KR100310994B1 KR100310994B1 (ko) 2002-11-23

Family

ID=1954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008A KR100310994B1 (ko) 1998-08-14 1998-08-14 선도유지및항균력을갖는합성수지재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9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418A (ko) * 2000-02-12 2001-09-01 박찬영 항균 세라믹 조성물이 충진된 필름 및 그를 이용한 배저장방법
KR20010104010A (ko) * 2000-05-12 2001-11-24 김상근 식품 선도 보존능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로부터 제조된기능성 플라스틱 제품
KR20030003203A (ko) * 2002-12-11 2003-01-09 김경용 은분말과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한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및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364A (ko) * 1991-08-08 1993-03-22 김한중 침구용등 바이오세라믹 전자파방사 요소수지 및 내열흙등의 디자인 또는 성형품인 케이피씨이 오천(Korean Perfect Ceramics 五千)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418A (ko) * 2000-02-12 2001-09-01 박찬영 항균 세라믹 조성물이 충진된 필름 및 그를 이용한 배저장방법
KR20010104010A (ko) * 2000-05-12 2001-11-24 김상근 식품 선도 보존능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로부터 제조된기능성 플라스틱 제품
KR20030003203A (ko) * 2002-12-11 2003-01-09 김경용 은분말과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한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및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0994B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4553B2 (ja) 光分解性及び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製品用の多成分組成物及びその使用
JP2009512765A (ja) 再生可能な資源由来のポリマー複合材料
KR101877016B1 (ko) 바이오매스를 함유하는 복합분해 항균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복합분해 항균성 시트
US7659344B2 (en) Shaped articles containing poly(vinylpyrrolidone)-iodine complex
KR101244778B1 (ko) 금속 수산화물 나노 입자가 담지되고, 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무기 담체를 이용한 무기 항균제,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무기 항균제를 포함하는 제품
JP6802242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12442262A (zh) 二氧化钛改性可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577753A (zh) 采用茉莉花制作可降解一次性餐具的方法
KR101946143B1 (ko) 항균성 바이오매스 시트 및 그 제조방법
RU2408621C2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деградируемых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из расплава
CN103059527B (zh) 聚乳酸植物纤维复合可分解材料
KR20000013886A (ko) 선도유지 및 항균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736119A (zh) 一种可生物降解的抗氧化果蔬保鲜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6669903B2 (en) Bactericidal or bacteriostatic method
JP200928693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よりなる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77020B1 (ko) 천연 항균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서방성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65510A (zh) 抗菌保鲜膜
KR101697514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이 부여된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RU2264337C1 (ru) Антимикробный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KR101545288B1 (ko) 신선도 기능이 부여된 친환경 원료 펠릿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8440B1 (ko) 항균성 첨가제 조성물 및 항균 제품
KR102443077B1 (ko)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600492B1 (ko) 나노 수산화알루미늄이 함유된 식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RU2318844C1 (ru) Композиция полиэтиленовая для изделий с бактерицид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варианты)
RU2669865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разлагаемого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биоразлагаемый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её основ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