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610A - 교환기의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의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610A
KR20000013610A KR1019980032573A KR19980032573A KR20000013610A KR 20000013610 A KR20000013610 A KR 20000013610A KR 1019980032573 A KR1019980032573 A KR 1019980032573A KR 19980032573 A KR19980032573 A KR 19980032573A KR 20000013610 A KR20000013610 A KR 2000001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line
data
processor
common channel
li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진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3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610A/ko
Publication of KR2000001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공통선 신호 방식(CCS(Common Channel Signaling), No.7 신호 방식)을 이용해서 대국과 통신하도록 하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프로세서측(2)의 제 1 스위치(6)와 중계부측(8)의 제 2 스위치(10)를 직렬로 통해야만 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제 1, 제2 스위치(6, 10) 중에 어느 한 개의 스위치라도 오동작할 경우 대국과의 통신이 두절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어떤 스위치도 통하지 않고 대국과 공통선 신호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대국과의 통신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교환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환기의 중계 장치
본 발명은 교환기의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공통선 신호 방식(CCS(Common Channel Signaling), No.7 신호 방식)을 이용해서 대국과 통신하도록 하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통선 신호 방식은 하나의 공동 채널로써 다수의 채널에 대한 신호를 교환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공통선 신호 방식은 통신망내에 존재하는 프로세서들간의 다양한 신호 전달 및 정보 전달에 맞게 특성화된 데이터 통신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선 신호 방식은 디지털 통신 망에서의 운용에 적합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통선 신호 방식은 현재 및 미래의 통신망의 호제어, 원격 제어, 그리고 관리 및 유지 보수 신호를 위한 프로세서간 정보전달 요구를 만족시킨다. 또한, 공통선 신호 방식은 중복이나 유실없이 정보를 순서대로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리고 공통선 신호 방식은 전화,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ISDN), 회선 교환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호제어 신호, 또는 통신망 내의 특수 센터(관리 및 유지 보수용)와 교환기간 등 여러 형태의 정보 전달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신호방식은 크게 망서비스부(Network Service Part; NSP)와 사용자부(User Part; UP)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망서비스부에는 메시지 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 MTP)와 신호 연결 제어부(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SCCP)가 포함된다. 사용자부에는 전화 사용자부(Telephone User Part; TUP), ISDN 사용자부(ISDN User Part), 문답 처리 기능(Transaction Capability; TC), 그리고 응용 서비스 요소(Application Service Element; ASE)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네 개의 기능 레벨로 구성된 계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메시지 전달부가 레벨 1-3에 해당되며 그 외의 요소들은 메시지 전달부의 사용자인 레벨 4이다.
이 계층 구조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 맞춰 구분되기도 한다. 여기서, 신호 연결 제어부는 메시지 전달부의 사용자로서 레벨 4에 속하는 반면, OSI 모델에서는 계층(layer) 3인 망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TDX-1 계열 및 TDX-10 계열의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프로세서(4)와 제 1 스위치(6)로 이루어지는 프로세서측(2)과, 제 2 스위치(10)와 중계부(12)로 이루어지는 중계부측(8)으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프로세서측(2) 내의 프로세서(4)는 공통선 신호 방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주관한다. 또한, 제 1 스위치(6)는 프로세서(4)의 제어에 의해서 프로세서(4)와 중계부측(8)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단속한다.
그리고 중계부측(8) 내의 제 2 스위치(10)는 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주관하는 프로세서(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서 중계부(12)와 제 1 스위치(6)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단속한다. 이때, 중계부(12)는 제 2 스위치(10)로부터의 데이터를 대국으로 송신하거나, 반대로 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스위치(10)에 인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프로세서측(2)의 제 1 스위치(6)와 중계부측(8)의 제 2 스위치(10)를 직렬로 통해야만 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제 1, 제2 스위치(6, 10) 중에 어느 한 개의 스위치라도 오동작할 경우 대국과의 통신이 두절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오동작하게 되어 결국, 대국간의 통신 링크(link)가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어떤 스위치도 통하지 않고 대국과 공통선 신호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국으로 보내는 데이터를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하고 대국으로부터의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공통선 신호 처리부와,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와 대국을 정합시키는 정합부와,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를 통해 대국과 통신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공통선 신호 처리부 16 : 프로세서
18 내지 24 : 제 1 내지 제 4 단말 26 : 메인 프로세서
28 : 정합부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공통선 신호 처리부(14)는 프로세서(16)와, 프로세서(16)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4 단말(signaling terminal)(18 내지 24)로 구성되고, 메인 프로세서(26) 및 정합부(Digital Trunk line Interface : DTI)(28)가 프로세서(16)에 각각 연결된다.
먼저, 공통선 신호 처리부(14) 내의 프로세서(16)는 제 1 내지 제 4 단말(18 내지 24)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는 대국으로 보내는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26)로부터 받아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해서 정합부(28)를 통해 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16)는 대국으로부터 정합부(28)를 통해 받는 데이터를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변환시켜서 메인 프로세서(26)에 인가한다.
이와 같은 공통선 신호 처리부(14)는 백 보드(back board)로 이루어져 공통선 신호 방식용 프로세서(16) 및 제 1 내지 제 4 단말(18 내지 24)을 탑재한다. 이때,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단말(18 내지 24)은 각각의 대국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한편, 그 수가 다른 교환기에 따라서는 달라질 수 있다.
즉, 단말이 4 개 있을 경우 대국도 4 개 까지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단말(18 내지 24)은 공통선 신호 방식 기능 중 레벨 1과 레벨 2에 해당하는 메시지 전달부 기능을 담당한다.
다음, 메인 프로세서(26)는 프로세서(16)의 동작을 제어하여 프로세서(16)를 통해 대국과 통신한다. 이때, 메인 프로세서(26)와 프로세서(16)는 T-버스를 통해서 통신하고 정합부(28)와 각 제 1 내지 제 4 단말(18 내지 24)은 링크 케이블을 통해서 공통선 신호 방식 및 시스템 클록을 제공받는다.
또한, 프로세서(16)와 정합부(28)는 64Kbps의 데이터 전송로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6)는 공통선 신호 방식 기능 중 레벨 3에 해당하는 메시지 전달부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어떤 스위치도 통하지 않고 대국과 공통선 신호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대국과의 통신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교환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대국과 공통선 신호 방식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어떤 스위치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대국과의 통신을 위한 중계 장치가 하드웨어적으로도 간단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대국으로 보내는 데이터를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하고 대국으로부터의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공통선 신호 방식으로 처리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공통선 신호 처리부;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와 대국을 정합시키는 정합부;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공통선 신호 처리부를 통해 대국과 통신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교환기의 중계 장치.
KR1019980032573A 1998-08-11 1998-08-11 교환기의 중계 장치 KR20000013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573A KR20000013610A (ko) 1998-08-11 1998-08-11 교환기의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573A KR20000013610A (ko) 1998-08-11 1998-08-11 교환기의 중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10A true KR20000013610A (ko) 2000-03-06

Family

ID=1954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573A KR20000013610A (ko) 1998-08-11 1998-08-11 교환기의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6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794B1 (ko) 독립 순차지정 능력을 가진 가입자 접속 유니트
KR880002355A (ko) 호출 전달기능 제공방법 및 장치
JPH07222235A (ja) 交換装置
GEP19971154B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digital localisation points
CA23549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digital subscriber line service
KR100312598B1 (ko) 교환 시스템에서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제공 시스템
KR20000013610A (ko) 교환기의 중계 장치
KR1002670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KR1999006146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KR93000603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처리장치
WO1998056143A3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95001231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KR10027507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외부 호스트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KR9400087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No.7 공통선 신호방식 처리 장치
KR100238435B1 (ko) 에이티엠 연동 서브시스템에 수용된 음성 가입자의 서비스 제어방법
WO1998056142A3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215965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의 srasm구조
KR970000071B1 (ko) 협대엽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06307B1 (ko) 전자교환기에서 효율적인 x.25프로토콜 구현방법
KR100306474B1 (ko) 더블유엘엘멀티라인모듈
KR100489570B1 (ko) 원격 교환장치와 본체 교환기의 접속 방법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KR19990071274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 처리장치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KR100221841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아날로그가입자 다중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