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313B1 -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313B1
KR950012313B1 KR1019920006818A KR920006818A KR950012313B1 KR 950012313 B1 KR950012313 B1 KR 950012313B1 KR 1019920006818 A KR1019920006818 A KR 1019920006818A KR 920006818 A KR920006818 A KR 920006818A KR 950012313 B1 KR950012313 B1 KR 95001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ccp
user
connectionless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769A (ko
Inventor
안경아
최영일
박호진
손필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도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도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2000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313B1/ko
Publication of KR93002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록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망 서브 시스템(INS) 20 : 중앙 제어 스브시스템(CCS)
30 : 엑세스 교환 서브시스템(ASS)
본 발명은 교환기 사이 국간 신호 방식인 공통선 신호 방식에서, 종단 교환기간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종단간 신호 절차중 비연결형 접속 서비스를 위한 신호 연결 제어부(SCCP)와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의 정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통신 기술의 발달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망들이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공통선 신호 방식을 망의 노드간의 신호 방식으로 도입하였다.
이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사용되어온 신호 방식이 음성 정보 교환을 위한 교환기간 프로토콜로 음성 정보와 회선 감시 신호가 동일하 채널로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신호 방식은 정의된 신호수가 적어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어렵고 사용자가 전달하여야 할 정보가 증가함으로써 공통선 신호 방식의 도입이 불가피해졌으며, 중간의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종단 교환기간의 정보를 전달하는 종단간 신호 방식으로 비연결형 신호 연결 제어부간의 정합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의 다양한 서비스중 종단간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종단간 신호 방식의 한 방법인 비연결형 신호 연결 제어부 신호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신호 연결 제어부와의 정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망 서브시스템; 시스템 차원의 운용보전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 및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엑세스 교환 서브시스템을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연결제어부(SCCP)간의 정합 방법에 있어서,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 제어부(UPC)로부터 종단간 사용자 정보전달 요구를 받으면 비연결형 SCCP 신호방식을 선택하여 상대국 교환기의 호번호를 포함하여 종합 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정합부(UPI)에게 사용자 정보 전달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정합부에서 비연결형 SCCP 메시지 형태로 구성한 중계선 번호를 신호 링크 선택(SLS) 코드로 사용하여 SCCP를 선택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막기 위해 메시지 크기별로 나누어 해당 SCCP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제 3 단계 수행 후, 메시지를 전달받아 사용자 정보를 분석한 대국의 SCCP가 메시지를 구분하여 전달하면, 분산된 UPI에서 크기별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상시 UPI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중계선 번호를 추출한 후에 UPC로 전송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 수행 후, 상기 UPC는 종단간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고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인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은 연결망 서브시스템(이하, INS라 함), 20은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이하, CCS라함), 30은 엑세스 교환 서브시스템(이하, ASS라 함)을 각각 나타낸다.
INS(10)는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 부분을 수행하고, CCS(20)는 시스템 차원의 운용 보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ASS(30)은 분산처리 시스템인 교환기에서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기능에 따라 중계국 기능을 담당하는 다수의 ASS-T(ASS Trunk), 공통선 신호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ASS-7 (ASS No.7), 가입자 호처리는 담당하는 ASS-S(Subscriber)등으로 분류되어 최대 60개가 실장될 수 있다.
ASS-T 내의 메인 프로세서인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에는 다수개의 호처리 블록들이 실장 되며, 특히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이하, ISUP라함)의 중계호를 처리하기 위해 분담된 기능을 가지는 2개의 소프트웨어 블록인 UPC(ISDN-User Part Contol)와 UPI(ISDN-User Part Interface)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UPI블록, UPC 블록의 연동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UPC는 ISUP 중계호를 제어하는 블록으로 호 상태를 관리하여 호의 흐름을 제어하며, UPI와 연동 하여 ASS-7내의 메시지 전달 기능 블록인 MTP(Message Transfer Part)와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UPI는 ISUP 중계호 처리를 위하여 UPC와 실제 상대국으로 데이터 전달 기능을 갖는 MTP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블록이며, 또한, 종단간 신호방식을 위하여 ASS-7내의 신호 연결 제어 기능 블록인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와의 인터페이스 기능도 가진다.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서 상대국과의 메시지 전달은 하나의 ASS-7을 통해 전달되어지며, 세부적으로 신호 메시지 처리 기능, 신호 연결 제부의 루팅 기능은 SMTS(Signalling Message Tran- sfer Subsystem)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호망 관리기능, 신호 연결부의 관리기능을 가지는 SNMS(Siognalling Network Mana- gement Subsystem)는 다수의 SCCP 상태를 관리하며, 루팅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신호 링크 장애시 신호망의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하여 효율적인 제어를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블록과 주변 소프트웨어 블록간의 연결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40, 100은 ISUP, 41, 101은 UPC, 42, 102는 UPI, 50, 90은 SCCP, 60, 70, 80은 MTP를 각각 나타낸다.
ISUP(40)는 ASS-T에 탑재되며, SCCP(50)와 MTP(60)는 ASS-7에 탑재된다.
도면에 도시한 소프트웨어 블록들은 전전자 교환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방식 종합정보통신망과 비연결형 SCCP의 정합기능을 구현하는데, 비연결형 SCCP 방식은 종단간(End-to-End)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필요한 방식이며, 논리적인 호 설정 및 해제 절차 없이 소량의 메시지가 단위 데이터로 독립하여 전송된다.
SCCP(50)는 MTP(60)의 상위에 위치하며, SCCP(50)와의 연동 초기화는 MTP와의 연동 초기화에 포함될 수 있다.
UPC(41)에서는 종단간 신호 방식중 비연결형 SCCP 신호방식을 선택할 경우 SCCP 프로토콜 등급을 결정한다.
비연결형 SCCP는 등급 0과 등급 1의 제공이 가능하고, UPC에서 대국의 호 번호를 관리하며, 호 번호를 이용하여 종간단 메시지와 호를 연관시킨다.
그러나, 전전자 교환기의 분산 시스템과 같이 ISUP(40)가 분산 수용되는 경우 SCCP에서 분산된 ISUP(40)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국제 전신 전환 자문 위원회(CCITT)에서 권고된 SCCP 메시지 내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비연결형 SCCP 연동 메시지를 구성할 경우 SCCP 데이터 영역의 사용자 정보중 호 번호 파라미터에 종단점의 호 식별번호와 신호점을 함축하여 전송한다.
호 식별 번호와 신호점등은 이전에 설정된 ISUP호제어 메시지에 의해 구한 것을 UPC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비연결형 SCCP 신호방식에 대한 여러 가지 선택과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UPI에 메시지 정보 전달 요청을 한다.
정보 전달 요청을 받은 UPI 블록에서는 SCCP와의 연동을 위하여 SCCP의 단위 데이터 형태로 메시지 변환 및 구성을 한다. 메시지 구성에서 루팅 레이블(lable)에 착신점 부호(DPC : Destin- ation Point Code), 발신점 부호(OPC : Originating Point Code), 신호링크 선택 코드(SLS : Sign- alling Link Selection)를 포함하며, 회선식별번호는 포함하지 않는다.
회선 식별 번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계선 번호의 하위 4비트를 SLS로 사용하여 SCCP에 부하가 균등하게 배분되어 전달되도록 한다.
메시지를 전달받은 SCCP(50)에서는 하위에 위치한 MTP(60)에서 전달하며 MTP(60)에서 대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중계국의 MTP(70)에서 수신한 메시지의 신호점과 자신의 신호점을 비교하여 자국의 메시지가 아니면 다음 대국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즉, 중간 교환기의 SCCP와 ISUP에서 메시지 번역 절차 없이 MTP에서 다음 대국으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
자국의 메시지를 수신한 대국의 MTP(80)에서는 상위의 SCCP(90)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위의 SCCP(90)에서는 수신된 단위 메시지의 데이터 영역 중에서 사용자부 메시지의 호 번호 파라미터내의 호 식별 번호를 분석하여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 번호를 추출한다.
이를 참조하여 분산된 UPI 프로세서를 구분하여 메시지를 UPI(102)에 보낸다.
UPI(102) 블록에서는 사용자부 메시지의 호 번호 파리미터내의 호 식별 번호를 분석하여 중계선 번호를 추출한다. 추출한 중계선 번호를 참조하여 병행 수행중인 UPC(101) 프로세서를 구별하여 메시지를 보낸다.
이때, 메시지의 형태와 구성은 내부 메시지로 변환하여야 한다.
상대국에서 자국으로의 메시지 송신도 위 설명의 역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SCCP와의 정합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SCCP와의 연동 초기화는 MTP(60)와 연동 초기화에 포함되어 루팅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전달 요청이 들어오면 실제적인 SCCP와의 연동이 시작된다.
UPC(41)에서 종단간 사용자 정보 전달 요구를 받으면(71) 종단간 신호 방식 중에서 비연결형 SCCP 신호 방식을 선택한다(72).
비연결형 SCCP 신호방식에서 등급 0과 등급 1을 선택한다(73).
UPC(41)에서 이전에 설정된 ISUP 메시지를 통하여 구한 상대국의 호번호를 저장 관리한다(74). UPI(42)에게 SCCP(50)로의 메시지 전달요구를 할 경우 대국의 호번호를 포함하여 전달한다(75).
UPC(41)로부터 SCCP(50)로의 메시지 전달요구를 받은 UPI(42)에서는 비연결형 SCCP 메시지 형태로 구성한다(76, 77).
전전자 교환기의 분산 시스템처럼 ISUP(40)가 분산 수용되는 경우 SCCP(50)에서 분산된 ISUP (40)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CCITT)에서 권고된 SCCP 메시지 내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비연결형 SCCP 연동 메시지를 구성할 경우 SCCP 데이터 영역의 사용자 정보중 호번호 파라미터에 종단점의 식별번호와 신호점 번호를 함축하여 구성한다. 호 식별번호와 신호점등은 UPC(41)에서 전달받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 번호 방안은 다음과 같다.
호번호 = 호 식별 번호 + 신호점 번호(SPC)
호 식별번호 = 중계선 번호 + ASP번호
실제 UPI(42)에서 SCCP(50)로 전달되는 호 식별번호의 비트 형태는 다음과 같다.
메시지 구성에 있어서는 다른 ISUP 메시지와 다르게 루팅 레이블(lable)에 회석식별 번호를 포함하지 않으며, 중계선 번호의 4비트를 신호 링크 선택(SLS) 코드로 사용하여 SCCP(50)에 부하가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한다(78).
UPI(42)에서 SCCP(50)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막기 위하여 메시지 크기별로 나누어서 전송한다(79).
그 크기는 50, 100, 150, 200 바이트로 나누어진다. 메시지는 SCCP에서 MTP로 전달되어지며 MTP에서 다시 대국으로 전달되어진다(80 내지 84).
이렇게 하여, 자국에서 비연결형 SCCP 정합을 위한 모든 절차는 이루어지며, 이하 설명은 상대국에서 비연결형 SCCP 정합 처리를 위한 공통선 신호 방식 ISUP의 처리 절차를 설명한 것이다.
메시지를 받은 종단 교환기의 SCCP(90)에서 단위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한다.
사용자 정보의 호 번호 변수중 호 식별 번호에서 ASP 번호를 추출하여 메시지를 분산된 UPI (102)로 구분하여 전달한다. UPI(102)에서는 크기별로 메시지를 수신한다(85).
메시지를 받은 UPI(102)에서는 메시지의 데이터 영역에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한다.
사용자 정보의 호 번호 변수중 호 식별 번호에서 중계선 번호를 추출한다(86).
SCCP 메시지를 다시 내부메시지 형태로 변환하고(87), 추출한 중계선 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처리 UPC 프로세서로 메시지를 전송한다(88).
UPI(102)로부터 사용자 정보 메시지를 받은 UPC(101)에서 종단간 사용자 정보 전달에 대하여 처리한다(90, 91).
상대국에서 자국으로 정보를 송신할 경우는 역방향으로 절차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절차에 의하여 사용자 정보 전달 서비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처리 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은, 종단간 신호방식 주 비연결형 SCCP 방식으로 중계 교환기의 SCCP와 사용자부에서 메시지의 분석을 거치지 않고 종단 교환기간의 정보 전달이 가능하므로 중계 교환기들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중계선 번호를 신호 링크 선택(SLS) 코드로 이용하여 SCCP의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정보의 호 번호의 ASP 번호와 중계선 번호를 함축되게 포함하여 분산되어 있는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정합과 해당 처리 사용자부 프로세서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메시지 전달시 크기별로 시그널을 정의하여 보내게 되면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달을 막을 수 있어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망 서브시스템(10); 시스템 차원의 운용보전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20); 및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엑세스 교환 서브시스템(30)을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연결제어부(SCCP)간의 정합 방법에 있어서,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 제어부(UPC ; 41)로부터 종단간 사용자 정보전달 요구를 받으면, 비연결형 SCCP 신호방식을 선택하여 상대국 교환기의 호 번호를 포함하여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정합부(UPI ; 42)에게 사용자 정보 전달을 요청하는 제1단계(71 내지 75); 상기 제1 단계(71 내지 75) 수행 후,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정합부(42)에서 비연결형 SCCP 메시지 형태로 구성한 중계선 번호를 신호 링크 선택(SLS) 코드로 사용하여 SCCP(50)를 선택하는 제2단계 (78, 79); 상기 제2단계(78, 79) 수행 후,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막기 위해 메시지 크기별로 나누어 해당 SCCP(5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80 내지 84); 상기 제3단계(80 내지 84) 수행 후, 메시지를 전달받아 사용자 정보를 분석한 대국의 SCCP(90)가 메시지를 구분하여 전달하면 분산된 UPI(102)에서 크기별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4단계(85); 상기 제4단계(85) 수행 후, 상기 UPI(102)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중계선 번호를 추출한 후에 UPC(101)로 전송하는 제5단계(86 내지 88); 및 상기 제5단계(86 내지 88) 수행 후, 상기 UPC(101)는 종단간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고, 종료하는 제6단계(90, 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78, 79)에서의 비연결형 SCCP 메시지 구성은, 국제 전신 전화 자문위원회(CCITT)에서 권고된 SCCP 메시지의 구성요소의 한 부분을 종단점의 호 식별 번호와 신호점 번호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 기별 번호는 중계선 번호에 상기 엑세스 교환 서브시스템(30)의 내부 프로세서(ASP) 번호를 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 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78, 79)에서의 신호 링크 선택(SLS) 코드는, 중계선 번호의 4비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 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 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85)에서 SCCP(90)에 의한 메시지의 구분 전달은, 사용자 정보의 호 번호 변수중 호 식별 번호에서 상기 엑세스 교환 서브시스템(30)의 내부 프로세서(ASP) 번호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KR1019920006818A 1992-04-22 1992-04-22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KR95001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818A KR950012313B1 (ko) 1992-04-22 1992-04-22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818A KR950012313B1 (ko) 1992-04-22 1992-04-22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769A KR930022769A (ko) 1993-11-24
KR950012313B1 true KR950012313B1 (ko) 1995-10-16

Family

ID=1933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818A KR950012313B1 (ko) 1992-04-22 1992-04-22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7002373D1 (de) 2007-01-25 2009-10-22 Electrolux Home Prod Corp Gerät zur Kühlung von Lebensmittel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769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2550A (en) Inter-network connection system
JP2002513534A (ja) 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その使用
US6069947A (en)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operating protocol therefor
MXPA97001426A (en) Control of telecommunication networks
RU2183913C2 (ru) Широкополосная система дальней связи
KR20000055024A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CA23549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digital subscriber line service
EP1111940B1 (en) Signall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P0203614A2 (en) Inter-network connection system
EP12050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95001231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 방식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와 비연결형 신호 연결제어부간의 정합 방법
EP1135936B1 (en) Signalling message transport mechanism
EP09269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ementary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196716B1 (ko) 교환기내의 통신망 연동을 위한 공통선 메세지변환방법
KR9400087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No.7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와 사용자부의 정합 방법
KR100335693B1 (ko) 공통선 신호 망에서의 중계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환기
KR0146965B1 (ko)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에 복수 가입자 번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발신 호설정 제어 방법 및 착신 호설정 제어 방법
KR100201809B1 (ko) 다중 신호점을 처리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메세지전달부동작방법
KR95000154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No.7 신호방식 ISDN 사용자부의 사용자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구현 방법
KR950005981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방식 사용자부의 회선 식별 부호 번역 방법
KR19990001471A (ko) 교환기지국간의 공통선 No.7 신호방식의 다중 자국점 처리방법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AU7657398A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266259B1 (ko) 프레임 핸들러 모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438070B1 (ko) 1차군 인터페이스망을 이용한 네트웍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