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173U -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173U
KR20000013173U KR2019980026310U KR19980026310U KR20000013173U KR 20000013173 U KR20000013173 U KR 20000013173U KR 2019980026310 U KR2019980026310 U KR 2019980026310U KR 19980026310 U KR19980026310 U KR 19980026310U KR 20000013173 U KR20000013173 U KR 200000131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tire
storage devic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6626Y1 (ko
Inventor
박태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80026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6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62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비타이어를 수납공간의 고정봉에 끼워넣으면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고정봉의 돌출부재가 상기 예비타이어에 의해 고정봉의 내부로 밀려들어갔다가 다시 외부로 돌출되어 자동적으로 예비타이어가 고정되고 푸시록타입의 버튼스위치를 누르면 고정봉 내부의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력이 발생되고 이 솔레노이드로부터 발생된 전자력에 의해 고정봉의 돌출부재가 흡인되어 자동적으로 고정봉의 내부로 함몰되면서 예비타이어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이용자가 간편하게 예비타이어를 수납 고정하고 그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비타이어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이용자의 스위칭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수행되는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는, 자동차의 소정공간(예를 들면, 트렁크의 바닥)에 예비타이어를 수납하고 주행시의 차체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연동하여 요동하지 않도록 예비타이어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트렁크의 바닥면(1)에 오목하게 절곡 형성된 예비타이어수납공간(2)과, 이 예비타이어수납공간(2)의 중앙부 바닥면(2a)에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부착 설치되고 그 상단부에 나사산(3a)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봉(3)과, 이 고정봉(3)에 그 중공부가 끼워지는 예비타이어 휠(4) 및, 상기 고정봉(3)의 나사산(3a)이 형성된 상단부에 그 내주면의 암나사부가 트위스트식으로 끼워져 예비타이어 휠(4)을 고정시키는 고정캡(5)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는 예비타이어 휠을 고정봉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캡을 돌려 끼우고 예비타이어를 꺼낼 때는 다시 고정캡을 돌여 빼야함에 따라 사용하기가 불편하였고 고정캡을 분실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예비타이어를 고정봉에 끼워넣을 때 자동적으로 예비타이어를 고정시키고 스위칭조작만으로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예비타이어를 수납공간에 수납하고 꺼내는 작업을 단순화시키고 고정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는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에 예비타이어가 수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봉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축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돌출부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축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솔레노이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푸시록타입의 버튼스위치와 솔레노이드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봉 110, 120: 돌출부재
130: 스프링 140: 푸시록타입의 버튼스위치
150: 솔레노이드 160: 배터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는, 예비타이어와 이 예비타이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예비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비타이어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예비타이어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상기 예비타이어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고정봉의 내측으로부터 그 외측을 향해 탄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이용자의 스위칭조작에 따라 전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고정봉의 내측으로 흡인하는 흡인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에 예비타이어가 수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는 자동차 트렁크의 바닥면(1)에 오목하게 절곡 형성된 예비타이어수납공간(2)과, 이 예비타이어수납공간(2)의 중앙부 바닥면(2a)에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부착 설치되어 있는 고정봉(100) 및, 이 고정봉(3)에 그 중공부가 끼워지는 예비타이어 휠(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100)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양쪽으로 대향되게 한쌍의 개구부(101, 1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해 상부면이 하방을 향해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있는 한쌍의 돌출부재(110, 120)가 스프링(130)에 의해 탄발 지지되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이 한쌍의 돌출부재(110, 120) 중 한쪽의 돌출부재(110)에는 안테나식으로 신축되는 지지부재(111)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돌출부재(120)에는 상기 지지부재(111)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121)이 부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110, 120)의 측부에는 각각 걸림턱(112, 122)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110, 120)가 개구부(101, 102)를 통해 외부로 퉁겨 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각 돌출부재(110, 120)의 재질은 자력에 흡인되는 금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봉(100)의 상단부에는 이용자가 한번 누르면 버튼의 누름상태가 고정되어 스위칭-온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버튼의 누름상태가 해지되어 스위칭-오프상태로 복귀하는 푸시록타입(Push Lock Type)의 버튼식 스위치(14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110, 120)의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형(環形)의 솔레노이드(150)가 끼워져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록타입의 버튼식 스위치(140) 및 상기 솔레노이드(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배터리(160)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푸시록타입의 버튼식 스위치가 온되면 배터리(16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150)로 인가되어 솔레노이드(150)에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예비타이어를 수납하고자 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타이어 휠(4)의 중공부에 고정봉(100)을 삽입하면서 수납공간(2)의 내부로 예비타이어를 밀어 넣으면, 고정봉(100)의 돌출부재(110, 120)들이 예비타이어 휠(4)의 중공부 주위면에 밀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고정봉(100)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예비타이어가 수납공간(2)의 바닥에 닿으면, 예비타이어 휠(4)이 고정봉(100)의 돌출부재(110, 120)들을 압박하지 않게 됨에 따라 스프링(1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110, 120)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각 개구부(101, 102)를 통해 고정봉(10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이 돌출된 돌출부재(110, 120)들에 의해 예비타이어 휠(4)이 상하로 요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한편, 예비타이어를 수납공간(4)으로부터 꺼내고자 할 때 이용자가 푸시록타입의 버튼식 스위치(140)를 누르면 그 버튼부의 누름상태가 고정되면서 스위칭상태가 "온"으로 전환되어 유지되며, 상기 푸시록타입의 버튼식 스위치(140)가 "온"됨에 따라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이 솔레노이드(150)로 공급되어 솔레노이드(150)로부터 전자력이 발생된다.
이때, 고정봉(100)의 돌출부재(110, 120)들의 재질이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봉(100)의 돌출부재(110, 120)들이 상기 솔레노이드(150)로부터 발생된 전자력에 흡인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고정봉(100)의 내부로 함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예비타이어를 수납공간(2)으로부터 외부로 끄집어낸 다음 푸시록타입의 버튼식 스위치(140)를 다시 한번 누르면 버튼의 누름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스위칭오프상태로 복귀되며, 배터리(160)로부터 솔레노이드(150)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150)로부터 전자력의 발생이 중단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50)로부터 전자력의 발생이 중단됨에 따라 스프링(1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110, 120)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각 개구부(101, 102)를 통해 고정봉(10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예비타이어를 수납공간의 고정봉에 끼워넣을 경우 고정봉의 돌출부재에 의해 자동적으로 예비타이어가 고정되고 푸시록타입의 버튼스위치를 누르면 고정봉의 돌출부재가 자동적으로 고정봉의 내부로 함몰되어 예비타이어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이용자가 간편하게 예비타이어를 수납 고정하고 그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예비타이어와 이 예비타이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예비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비타이어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예비타이어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상기 예비타이어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고정봉의 내측으로부터 그 외측을 향해 탄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이용자의 스위칭조작에 따라 전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고정봉의 내측으로 흡인하는 흡인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전원과,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전원에 연결되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한번 누를 경우 스위칭온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스위칭오프상태로 복귀하는 푸시록타입의 버튼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KR2019980026310U 1998-12-23 1998-12-23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KR200216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310U KR200216626Y1 (ko) 1998-12-23 1998-12-23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310U KR200216626Y1 (ko) 1998-12-23 1998-12-23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73U true KR20000013173U (ko) 2000-07-15
KR200216626Y1 KR200216626Y1 (ko) 2001-04-02

Family

ID=6950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310U KR200216626Y1 (ko) 1998-12-23 1998-12-23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6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65B1 (ko) * 2011-11-29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65B1 (ko) * 2011-11-29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626Y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6626Y1 (ko)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수납장치
US4673780A (en) Sealed rectangular pushbutton switch
US4035597A (en) Snap-in means for mounting electrical devices or the like in a support panel aperture
JP2004342437A (ja) 車両用プッシュスイッチ
KR0139394Y1 (ko) 푸시버튼조립체의 스프링 장착구조
WO2001073867A3 (en) Battery holder with integrated switch
JPS591321Y2 (ja) 小型電気機器の電池容器
JP2565701Y2 (ja) スイッチの押しボタン構造
JPH0638388A (ja) 充電器
KR200192254Y1 (ko) 오락기에 사용하는 푸시버튼
JP3011191U (ja) 発光ダイオード付きキーホルダーのスイッチ
KR0139706Y1 (ko) 버튼
JPS631362Y2 (ko)
KR100326675B1 (ko)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
KR0126177Y1 (ko) Tv 전원 버튼의 스프링 장착구조
JPH01241723A (ja) 操作スイッチ
JPS5843142Y2 (ja) ドアスイツチ
KR200184579Y1 (ko) 휴대폰의 벨트클립
KR200170928Y1 (ko) 푸쉬형스위치
JPH09311687A (ja) 電気式ホーン
JPS6326960Y2 (ko)
KR200146437Y1 (ko) 전자접촉기의 스프링 이.탈착이 용이한 스프링 지지구조
KR19980047613U (ko)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베터리팩 사이드 록킹장치
KR970000975Y1 (ko) 차량용 무선송신기
US3073949A (en) Bicycl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