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947A -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947A
KR20000012947A KR1019980031542A KR19980031542A KR20000012947A KR 20000012947 A KR20000012947 A KR 20000012947A KR 1019980031542 A KR1019980031542 A KR 1019980031542A KR 19980031542 A KR19980031542 A KR 19980031542A KR 20000012947 A KR20000012947 A KR 20000012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ble
management
processing
ev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3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947A/ko
Publication of KR2000001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MN 시스템에서 분산처리를 위해 TTR과 PTR의 관리 객체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고, TTS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전문가 시스템의 모델링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실제 자원에서 네트워크 요소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콜렉터에서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이벤트를 매핑하고 이벤트 필터링에 따른 상관관계를 처리하여 필요한 알람에 대해서만 에이전트 블록에서 관리 블록으로 이벤트를 보고한 다음 이벤트를 보고 받은 관리 블록에서 알람을 수집하여 상관관계를 처리하고 상태 매니저와 알람 핸들러에 대한 트러블 관리 작업을 수행한 후 트러블 관리 작업의 수행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TTR과 PTR을 이용한 처리로 TTS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TTS 내부의 전문가 시스템을 가동하여 정확한 진단에 의한 처리와 질의어의 요구를 가능케 하며, 분산처리를 수행하여 TTS 정보의 로드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본 발명은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통신 종합 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TMN 시스템에서 분산처리를 위해 TTR(Telecommunication Trouble Report)과 PTR(Provider Trouble Report)의 관리 객체(MO, Managed Object)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고, TTS(Trouble Ticketing System)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전문가 시스템의 모델링을 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MN은 전기 통신 네트워크를 정상적으로 유지/운영하기 위하여 고도의 네트워크 관리를 하기 위한 개념으로, 네트워크의 설계, 유지 보수, 운영을 포함한다. 이는 멀티미디어화, 멀티캐리어화, 멀티벤더(multi-vender)화에 대응하며, 네트워크의 기능을 충분히 이끌어낸다.
그리고 TMN의 관리 네트워크 모델에는 계층화를 도입하고 각 계층에서의 어떠한 관리 기능을 배치하고 구비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계층이 독립된 데이터가 유연하게 발전할 수 있었다. 하드웨어로서는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OS(Operating System, 운영체제), 관리 정보를 운반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DCN, Data Communication Network) 및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TMN에서 관리 블록(Manager Block)의 실제 운용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TTS이다.
그래서 종래에 TTS를 수행하는 것은 수작업 또는 문서의 기록에 의한 담당자와의 Communication 처리로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좀더 일괄적인 컴퓨터를 이용한 처리를 수행하고는 있으나, 아직은 그 처리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정확한 트러블 티켓(Trouble Ticket)을 처리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MN 시스템에서 분산처리를 위해 TTR과 PTR의 관리 객체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고, TTS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전문가 시스템의 모델링을 제시하는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은,
실제 자원에서 네트워크 요소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콜렉터에서 이벤트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이벤트를 매핑하고 이벤트 필터링에 따른 상관관계를 처리하여 필요한 알람에 대해서만 에이전트 블록에서 관리 블록으로 이벤트를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를 보고 받은 관리 블록에서 알람을 수집하여 상관관계를 처리한 다음 상태 매니저와 알람 핸들러에 대한 트러블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트러블 관리 작업의 수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2는 도1이 적용된 TMN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도1에서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의 전체적인 기능상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1에서 사용자에 의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도4의 기능상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1에서 실제 자원으로부터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7은 도6의 기능상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이전트 블록 20 : 관리 블록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TTS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TT(Trouble Ticket) 또는 오류 다큐멘트(Fault Documents)를 생성하는 것이다. 첫째, 사용자에 의해서 TT를 생성시키는 것은 트러블 관리(Trouble Management)의 구성인 오브젝트(Object)들의 연동에 의해서 처리되며, Telecommunication Services 상에서 트러블 리포트(Trouble Report)가 발생할 수 있는 TTR(Telecommunication Trouble Report)을 통하여 처리되고, TTR은 내부적인 Knowledge Base로 되어 있는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을 통하여 트러블 리포트를 진단(Diagnosis)하고 필터(Filter) 처리를 수행한다. 둘째, 실제 자원(Real Resource)에서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으로부터 네트워크 요소(NE, Network Element)인 에이전트(Agent) 블록을 통하여 관리(Manager) 블록으로 올라오는 경우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트러블을 막아주는 관리를 계획하여 처리하는 PTR(Provider Trouble Report) 기능을 통하여 수행하며, 또한 위의 TTR을 사용한 트러블 리포트를 제어한다.
여기서 종래의 시스템은 트러블 리포트 처리를 단순히 Processing만 수행하는데 그치는 반면, 본 발명은 해당된 트러블 리포트를 조회하고 진단하며, 예방(Prevention) 처리를 수행하여 TMN 시스템의 적용에 있어서 매우 진보된 형태를 보여준다. 또한 내부적인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트러블의 폴리시(Policy)를 선정하여 결정하며, 전체적인 트러블을 처리하는데 있어 가장 올바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자원에서 네트워크 요소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콜렉터에서 이벤트를 수집하는 단계(ST1)(ST2)와; 상기 수집된 이벤트를 매핑하고 이벤트 필터링에 따른 상관관계를 처리하여 필요한 알람에 대해서만 에이전트 블록(10)에서 관리 블록(20)으로 이벤트를 보고하는 단계(ST3 - ST5)와; 상기 이벤트를 보고 받은 관리 블록(20)에서 알람을 수집하여 상관관계를 처리한 다음 상태 매니저와 알람 핸들러에 대한 트러블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T6)(ST7)와; 상기 트러블 관리 작업의 수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T8)를 실행한다.
도2는 도1이 적용된 TMN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도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크게 에이전트(Agent) 블록(10)과 관리(Manager) 블록(20)으로 구성되고, TTS는 관리 블록(20)에 필요한 기능이다.
그래서 에이전트 블록(10)에서는 실제 자원(Real Resource)으로부터 네트워크 요소(NE, Network Element)로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ST1), 해당된 이벤트를 로깅(Logging)하는 데이터 콜렉터(Data Collector)가 이벤트들을 수집하게 된다(ST2).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벤트만을 보낼 수 있게 하기 위해 필터링 룰(Filtering Rule)을 기록한 구성 파일(Configuration Files)을 읽어 들이고, 이에 따른 이벤트 매핑(Event Mapping) 작업을 수행하여 알람(Alarm)에 관련된 이벤트만을 필터링하여 처리하게 된다(ST3).
다음은 필터링에 따른 상관관계(Correlation) 처리를 수행함으로써(ST4) 중복된 알람이 발생한 경우 또는 여러 개의 알람에 대해서 사용자의 요구를 설정하여 필요한 알람에 대해서만 관리 블록(20)으로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의 7가지 프로토콜 중 M-EVENT-REPORT를 통하여 보내게 된다(ST5).
그리고 관리 블록(20)에서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즉, CMIP의 이벤트로 올라온 알람은 알람 로거(Logger)를 통하여 알람에 대한 기록을 수행하며, 여기서도 알람의 중복성 검토 및 운용자의 요구에 따른 알람 콜렉터를 처리하게 되며, 알람의 상태 매니저 또는 알람 핸들러(Handler)로 보내기 위한 알람 분류기(Alarm Distributor)를 통하게 된다(ST6).
이에 따른 상태 매니저로 분류된 알람은 TTS로 보내져서, 트러블에 대한 관리(Administration) 작업을 수행하게 된 후에 네트워크 상태(Network Status) GUI(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보내져 출력된다. 또한 알람 핸들러도 TTS로 보내진 후에 트러블에 대한 관리 작업을 수행한 다음 오류 관리(Fault Manager) GUI로 보내져서 출력된다(ST7)(ST8).
도3은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의 전체적인 기능상 구조를 보인 블록도로써,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ustomer(사용자) 기능 수행 블록은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들에 의해 제공되는 Telecommunication Service의 사용자들이 트러블 리포팅(Trouble Reporting)을 요구한 것으로, CNM(Customer Network Management)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공급자가 서비스 오브젝트 클래스(Service Object Class)를 지정함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Configuration(구성) 기능 수행 블록은 TTS와 구성관리와의 처리과정으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경우가 실제 자원으로부터 NE를 통하여 구성관리의 상태 변화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Accounting(회계) 기능 수행 블록은 TTS와 연동시 Pricing(과금)에 관한 정보를 다루며, 주로 실제 자원으로부터 트러블 티켓 처리를 수행시 과금에 대한 것을 요구한다.
더불어 Alarm Surveillance(알람 감시) 기능 수행 블록은 알람에 대한 여러 가지 감시기능 및 제어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람의 리포팅을 비롯하여 알람에 대한 로그(Log), 요약(Summary), 상관관계(Correlation) 등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한다.
나아가 Fault Localization(오류 집중화) 기능 수행 블록은 상기 알람 감시 기능 수행 블록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네트워크에 대한 오류 집중화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진단, 파라미터의 검증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Test(테스트) 기능 수행 블록은 상기 오류 집중화 기능 수행 블록의 처리 또는 오류 상관관계 처리를 수행시에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며, 오류 처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더불어 Trouble Ticketing System(트러블 티켓팅 시스템) 기능 수행 블록은 상기한 6가지의 기능 수행 블록들과 연동하여 트러블 티켓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TTS의 상세한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와 실제 자원으로부터 NE를 통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되는 두 가지 경우의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는 도1에서 사용자에 의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트러블 리포트를 보고 받으면 구성 관리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ST11)(ST12)와; 상기 사용자를 확인한 다음 트러블 정보를 관리 객체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질의를 처리하고 전문가 시스템에서 진단과 필터링 및 트러블에 대한 폴리시를 수행하는 단계(ST13)(ST14)와; 트러블 티켓의 정보를 상기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한 다음 오류 집중화 처리와 서비스 테스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T15)(ST16)와; 상기 서비스 테스트를 처리한 다음 트러블 리포트의 상태 변화를 통지하고 구성관리의 상태를 제어하며 트러블 티켓팅을 발송하고 오류 정정 작업을 수행한 다음 사용자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ST17 - ST21)를 수행한다.
도5는 도4의 기능상 구조를 보인 블록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Customer)로부터 트러블 리포트를 TTS가 받는다(ST11).
그리고 TTS는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로부터 사용자 확인(Customer Identification)을 처리한다. 이때 Enterprise Control 처리에 따른 Financial Reporting을 받는다(ST12).
또한 TTR(Telecommunication Trouble Report)로부터 Trouble Information에 대한 정보를 관리 객체(MO, Managed Object)화시키고, 질의(Query)를 요구하여 TTR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해당된 질의에 대한 processing을 처리한다. 이에 따른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을 진단(Diagnosis)과 필터링(Filtering)을 요구하여 질의에 대한 Knowledge base를 통한 정보(Information)를 받아온다(ST13).
더불어 트러블의 폴리시 제어(Policy Control)를 전문가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여, 해당된 트러블에 대한 정확한 폴리시를 처리하여 트러블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ST14).
그래서 매니저(Manager)는 액션(Action)을 요구하면 TTS를 통하여 트러블 티켓의 정보를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ST15).
그리고 오류 집중화(Fault Localization) 처리를 요구하여 파라미터(Parameter)와 접속성(Connectivity) 등의 검증을 수행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 관리의 회선 재고 질의(Circuit Inventory Query) 정보를 요구하여 처리한다. 이에 따른 회선 선택(Circuit Selection) 처리를 테스트하기 위한 서비스 테스트 처리를 수행한다(ST16)(ST17).
그런 다음 트러블 리포트의 상태 변화(Status Change)에 대한 통지(Notification)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구성 관리의 상태에 대한 제어를 위하여 해당된 서비스 복구(Service Restoration) 처리를 요구한다(ST18).
그리고 TTR은 트러블 티켓팅을 발송하고, 오류에 대한 정정 작업을 수행한 다음 TTS에게 통보하게 된다(ST19)(ST20).
이러한 처리가 모두 끝나면, 그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ST21).
한편, 도6은 도1에서 실제 자원으로부터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자원에서 장애 발생시 알람 감시를 처리하고 알람 감시 관리로 오류 폴리시 집중화를 수행하며 회선 선택 및 오류 집중화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ST31 - ST33)와; 상기 테스트 수행 후 트러블 정보를 관리 객체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질의를 처리하여 전문가 시스템에서 진단과 필터링 및 트러블에 대한 폴리시를 수행하는 단계(ST34)(ST35)와; 트러블 티켓의 정보를 상기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한 다음 오류 정정에서 테스트 수행하여 트러블 리포트 상태 변환에 대한 통지를 수행하는 단계(ST36)(ST37)와; 상기 통지 후 구성 관리의 서비스 복구에 대한 우선권을 제어하고 변경된 전체 과금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ST38)(ST39)를 수행한다.
도7은 도6의 기능상 구조를 보인 블록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실제 자원으로부터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제 자원(Real Resource)인 타겟 시스템(Target System)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제어국),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의 하단으로부터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된 실패 이벤트(Failure Event)가 네트워크 요소에서 검출되어 알람 감시 프로세스(Alarm Surveillance Process)를 처리하게 된다(ST31).
이에 따른 알람 보고(Alarm Reporting), 로그 제어(Log Control), 알람 요약(Alarm Summary), 알람 상관관계 및 필터링(Alarm Correlation & Filtering) 등을 알람 감시 관리(Alarm Surveillance Management)로 요구하게 된다.
상기한 정보를 다시 전체적인 상관관계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 오류 이벤트 분석(Network Fault Event Analysis), 상태 변경(Status Modification)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오류 폴리시(Fault Policy)에 대한 집중화(Localization) 처리를 수행하여 알람에 대한 폴리시를 결정하기 위한 회선의 coverage, path, facilities, location에 따른 individuals fault 등을 fault localization system에서 처리한다(ST32).
또한 네트워크 오류에 대한 localization 처리는 근본적인 fault에 대한 원인을 밝힘으로써 트러블 티켓이 생성될 수 있는 처리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회선 선택 테스트(Circuit Selection Test), 오류 위치(Fault Location) 처리 등의 오류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여 테스트 액세스(Test Access)에 대한 처리를 한다(ST33).
더불어 TTS의 PTR(Provider Trouble Report)를 통하여 트러블 티켓이 생성되면, 트러블에 대한 정보를 관리 객체화시키고, TTR에게 해당된 트러블 정보를 넘겨준다. 그리고 TTR은 트러블 정보에 대한 질의를 요구하여 TTR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해당된 질의에 대한 processing을 수행한다(ST34).
이에 따른 전문가 시스템의 진단(Diagnosis)과 필터링(Filtering)을 요구하여 질의에 대한 Knowledge base를 통한 정보를 받아온다. 또한 트러블의 폴리시 제어를 전문가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여, 해당된 트러블에 대한 정확한 폴리시를 처리하여 트러블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ST35).
그래서 매니저는 액션(Action) 처리를 요구하게 되면, TTS를 통하여 트러블 티켓의 정보를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ST36).
또한 PTR은 오류 정정 수선(Fault Correction Repair) 처리를 수행하여 scheduling & dispatch에 의한 repair 처리를 Fault Correlation Main에게 요구한다. 그러면 Fault Correction Main은 테스팅 작업을 요구하여 테스트 상관관계(Test Correlation) 처리 결과를 통보 받는다. 그리고 Fault Correction Main은 해당된 트러블 리포트 상태 변경(Trouble Report Status Change)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를 TTS로 보내어 사용자에게 보내게 된다(ST37).
더불어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의 서비스 복구(Service Restoration)에 대한 우선권(Priority) 제어를 수행하고(ST38), Accounting Management의 Tariffing에 대한 과금의 전체 과금 정보(Total Usage Charge)를 통보하게 된다(ST39).
이처럼 본 발명은 TMN 시스템에서 분산처리를 위해 TTR과 PTR의 관리 객체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고, TTS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전문가 시스템의 모델링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은 객체 지향 프로그램(Object Oriented Program)에 의한 접근을 시도하여 TTR과 PTR을 이용한 처리로 TTS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TTS 내부의 전문가 시스템을 가동하여 정확한 진단에 의한 처리와 질의어의 요구를 가능케 한 것으로, 특히 전문가 시스템은 트러블에 대한 리포트만을 자체적인 knowledge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지금까지의 트러블의 원인, 발생, 시간, 조치, 방지 기타 등등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가장 정확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 해당된 트러블 티켓에 대한 구문 분석(Semantics Analysis)을 수행하여 처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TTS 정보의 로드를 줄이기 위해 분산처리를 수행한 것으로, 에이전트로부터 발생되는 알람은 PTR과 TTR이 수행하며,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트러블 티켓은 TTR만이 수행하는 것으로 하고, 전문가 시스템이 폴리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따로 동작하는 트러블 폴리시 제어를 두어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3)

  1. 실제 자원에서 네트워크 요소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콜렉터에서 이벤트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이벤트를 매핑하고 이벤트 필터링에 따른 상관관계를 처리하여 필요한 알람에 대해서만 에이전트 블록에서 관리 블록으로 이벤트를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를 보고 받은 관리 블록에서 알람을 수집하여 상관관계를 처리한 다음 상태 매니저와 알람 핸들러에 대한 트러블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트러블 관리 작업의 수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블 관리 작업의 수행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트러블 리포트를 보고 받으면 구성 관리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를 확인한 다음 트러블 정보를 관리 객체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질의를 처리하고 전문가 시스템에서 진단과 필터링 및 트러블에 대한 폴리시를 수행하는 단계와;
    트러블 티켓의 정보를 상기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한 다음 오류 집중화 처리와 서비스 테스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테스트를 처리한 다음 트러블 리포트의 상태 변화를 통지하고 구성관리의 상태를 제어하며 트러블 티켓팅을 발송하고 오류 정정 작업을 수행한 다음 사용자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블 관리 작업의 수행 단계에서, 실제 자원으로부터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트러블 티켓이 발생된 경우에는,
    실제 자원에서 장애 발생시 알람 감시를 처리하고 알람 감시 관리로 오류 폴리시 집중화를 수행하며 회선 선택 및 오류 집중화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수행 후 트러블 정보를 관리 객체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질의를 처리하여 전문가 시스템에서 진단과 필터링 및 트러블에 대한 폴리시를 수행하는 단계와;
    트러블 티켓의 정보를 상기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한 다음 오류 정정에서 테스트 수행하여 트러블 리포트 상태 변환에 대한 통지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지 후 구성 관리의 서비스 복구에 대한 우선권을 제어하고 변경된 전체 과금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N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KR1019980031542A 1998-08-03 1998-08-03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KR20000012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42A KR20000012947A (ko) 1998-08-03 1998-08-03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42A KR20000012947A (ko) 1998-08-03 1998-08-03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47A true KR20000012947A (ko) 2000-03-06

Family

ID=1954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542A KR20000012947A (ko) 1998-08-03 1998-08-03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9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715B1 (ko) * 1999-12-03 2006-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에스엔엠피 기반의 망 관리 트래픽 제어 방법
KR100739755B1 (ko) * 2005-11-09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KR100887874B1 (ko) * 2002-06-28 2009-03-06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망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3991B1 (ko) * 2003-06-30 2009-12-28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715B1 (ko) * 1999-12-03 2006-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에스엔엠피 기반의 망 관리 트래픽 제어 방법
KR100887874B1 (ko) * 2002-06-28 2009-03-06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망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3991B1 (ko) * 2003-06-30 2009-12-28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9755B1 (ko) * 2005-11-09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63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digital communications circuits
EP1911202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nstruction signals for performing interventio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computer-program product
US75254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larm reporting in a managed network services environment
EP08180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cy-based alarm notification in a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environment
WO2017041406A1 (zh) 一种故障定位方法及装置
US20020143920A1 (en) Service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JPH0124313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問題解決方法
US200401391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ervice delivery
CN108964995A (zh) 基于时间轴事件的日志关联分析方法
JP2007293840A (ja) イベントログ管理システム
CA2272609A1 (en) Software fault management system
JP2001147972A (ja) 医療診断システムのサービスの接続性検証方法および装置
KR100898867B1 (ko) 기업 it 보안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3916232B2 (ja) ナレッジ型運用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00012947A (ko)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JP2004145715A (ja) コンピュータの保守システムおよび保守方法
US20060026466A1 (en) Support methodology for diagnostic patterns
US2005006012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product remote customer serviceability
Cisco IBM Network Management
Cisco IBM Network Management
Cisco IBM Network Management
Cisco IBM Network Management
Cisco IBM Network Management
Cisco IBM Network Management
Rose et al. SNA network management dir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