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991B1 -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991B1
KR100933991B1 KR1020030043956A KR20030043956A KR100933991B1 KR 100933991 B1 KR100933991 B1 KR 100933991B1 KR 1020030043956 A KR1020030043956 A KR 1020030043956A KR 20030043956 A KR20030043956 A KR 20030043956A KR 100933991 B1 KR100933991 B1 KR 10093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nformation
alarm
network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240A (ko
Inventor
김종우
박순향
한유수
석승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4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9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막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세대 망으로부터 수집된 알람의 원인이 되는 장래를 발견하거나 운용자가 고장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알람에 대해 서비스 품질 정보와 연계하여 고장 전표를 발행하는데, 고장 전표에는 서비스 품질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애 전표의 우선 순위, 고장 심각도, 고장처리 필요시간, 장애 감지 시간, 장애 발생 장비 정보, 반복적인 장애의 발생 정보 등이 장애 정보화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고장전표의 처리 효율을 높이고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 보장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애, 서비스 품질, 네트워크 정보, 알람 수집, 서비스 영향 분석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FAILURE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세대 망에서의 장애 관련 연동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막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망(Next Generation Network)은 급격히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패킷 기반의 단일 네트워크로 음성이나 데이터 등의 모든 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망이다.
차세대 망에는 패킷 전달 및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는 전달 계층, 호 연결 제 어를 수행하는 제어 계층, 다양한 차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계층을 구분할 수 있다. 차세대 망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소프트 스위치(soft switch),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트렁크 게이트웨이(trunk gateway), 시그널링 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 각종 라우팅 서버(routing server) 등을 들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은 전송망 또는 인터넷망 등의 개별 통신망을 별도로, 또는 통합적으로 장애 알람 관리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대상 통신망의 알람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은 하부 통신망에서 알람이 발생하면 그 알람 정보를 수집한 후에, 하부 통신망에서 발생한 알람들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원인이 되는 장애를 찾는다. 또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은 운용자가 지정한 패턴의 알람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면 특정한 고장 전표를 발행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고장 상태를 알리거나 고장 수리하도록 한다.
위에서 고장 전표는 알람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발행되거나 운용자가 알람 정보를 보고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수동으로 발행되기도 한다.
고장 전표는 대부분 장애 정보를 기초로 발행하지만, 상호 관련된 장애 정보가 포함되도록 발행할 수도 있다.
그런데,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를 감시하고 고장 전표를 발행하는 중앙부서와, 고장 전표를 보고 고장을 처리하는 고장 처리부서는 대개 분리되 어 운영된다. 따라서, 고장 처리부서는 중앙 부서로부터 고장 전표를 접수한 운용자가 지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장애를 처리하거나 접수 순으로 처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장애를 처리하기 위한 우선 순위는 장애의 심각도에 따라 자동 부여되거나 운용자의 판단에 따라 부여된다.
차세대 망에서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망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보장이 요구된다. 이러한 차세대 망에서 특정한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가입자, 또는 기타 높은 품질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고장 전표의 발행만으로 높은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즉, 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고장 전표에는 고장 심각도나 반복적인 장애의 발생 등에 관한 정보가 없어 가입자를 수용하는 통신 장비에서 일정 기간 동안에 여러 번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누적되는 서비스 중단이나 가입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세대 망에서 장애 발생시 해당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장 전표를 발행하여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알람을 수집하여 내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알람 수집 부; 상기 알람 수집부에서 수집된 알람을 네트워크 구성 장비에 관련된 정보와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 구성 장비의 장애나 고장의 원인이 되는 알람을 장비 정보와 함께 장애 정보로 작성되어 고장 이력을 관리하는 알람 처리부; 상기 알람 처리부에서 장애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장비의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상기 장애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서비스 영향 분석부; 상기 서비스 영향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장 전표가 발행되도록 하는 고장전표 발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장애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알람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알람과 연관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구성 장비의 장애나 고장의 원인으로 발생된 알람을 탐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탐색된 알람은 해당 장비 정보와 함께 장애 정보로 저장되고, 상기 장애 정보와 상기 장비 정보에 관련된 서비스 품질 관리 정보를 비교하여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분석된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보를 토대로 고장 전표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세대 망에서의 장애 관련 연동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세대 망에서의 장애 관련 연동 시스템은, 장애 관리 시스템(10), 고장전표 관리 시스템(20),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 작업 관리 시스템(40)을 포함한다.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장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전표 관리 시스템(20)에게 고장전표를 발행한다. 고장전표 관리 시스템(20)은 장애 관리 시스템(10)이 발행한 고장전표를 통해 장비의 고장 상태를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은 장비의 고장 상태를 보고 받아 장애가 발생한 상황을 관리하고, 작업 관리 시스템(40)으로 고장 전표를 전달한다. 작업 관리 시스템(40)은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에서 전송 받은 고장전표를 보고 장비를 고장 수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에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한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판별하여 고장 전표를 발행하고, 고장전표의 처리 우선 순위와 고장 심각도, 고장처리 필요시간, 장애 감지 시간, 장애 발생 장비 정보, 반복적인 장애의 발생 정보 등의 정보를 추가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은, 알람 수집 어댑터(45), 알람 수집부(51), 알람 처리부(52), 서비스영향 분석부(53), 고장전표 발행부(54), 화면 표시부(55), 알람 DB(), 네트워크 정보 DB()를 포함한다.
알람 수집 어댑터(45)는 차세대 망에서 발생하는 알람을 수집하고, 알람 수집부(51)는 알람 수집 어댑터(45)를 통해 알람 정보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알람 정보를 내부 데이터 형태로 변환 출력한다.
이때, 알람 수집부(51)는 수집된 알람들을 알람 DB(61)에 저장하고, 이 알람들을 알람 처리부(52)에 전달한다.
알람 처리부(52)는 알람 수집부(51)에서 전달되는 알람을 운용자가 감시할 수 있도록 화면 표시부(55)로 전달하고, 알람을 분석하여 중복된 알람이 계속 발생하는 정도, 각 알람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장애 원인이 되는 알람을 추적한다.
또한 알람 처리부(52)는 알람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단순 경고성 알람이나 데이터 처리상에서 발행하는 알람들은 제거하고, 네트워크 정보 DB(62)에 저장되어 있는 장비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장애나 고장 원인 되는 알람을 찾는다.
이때, 알람 처리부(52)가 장비의 장애나 고장 원인이 되는 알람을 발견하면, 해당 알람 정보를 장비 정보와 함께 장애 정보로 저장하고, 이 장애 정보를 화면 표시부(55)에 표시하면서 서비스 영향 분석부(53)로 전달한다.
서비스 영향 분석부(53)는 알람 처리부(52)에서 전달되는 장애 정보로부터 장비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장비에 관련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수집한다.
이때, 서비스 영향 분석부(53)가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수집하는 정보에는 서비스 종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시간의 제한, 서비스 제공 속도 등의 기본 정보, 기타 서비스별로 다른 부가 정보가 있다.
서비스 영향 분석부(53)는 장애 정보와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일 경우에 알람 처리부(52)에서 저장한 고장 이력 정보를 불러들여 해당 장애가 서비스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다.
고장전표 발행부(54)는 고장 전표 관리 시스템(20)에 고장 전표의 발행을 요청하고, 고장 전표의 발행 여부를 화면 표시부(55)에 표시하여 운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화면 표시부(55)는 알람 수집부(51)와 알람 처리부(52)에서 전달되는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여 운용자가 알람의 수집, 처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알람 DB(61)는 알람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분석이 가능토록 하고, 네트워크 정보 DB(62)는 네트워크의 장비 상세 정보, 장비간의 연결 정보, 및 장비와 연관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 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은, 알람 수집부(51)에서 알람 수집 어댑터(45)를 통해 차세대 망(NGN)에서 발생한 알람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알람을 내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알람 수집부(51)는 알람 DB(61)에 알람 정보를 저장해 둔다.(S1, S2)
알람 처리부(52)는 알람 수집부(51)에서 알람 정보를 전달받고, 네트워크 정보 DB(62)에서 해당 알람과 관련된 네트워크 정보를 불러들여(S3), 이 네트워크 정보를 토대로 중복된 알람이 계속 발생하는 정도, 각 알람의 연관성에 관한 알람의 상관 관계를 추출한다.(S4)
알람 처리부(52)는 네트워크 정보 DB(62)에 저장되어 있는 장비의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장애나 고장의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알람을 찾는다.
이때, 알람 처리부(52)는 알람이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운용자가 장비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알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해당 알람을 장비 정보화 함께 장애 정보로 저장하고, 고장 이력을 관리한다.(S5, S6)
그런데, 알람 처리부(52)는 알람이 단순한 경고성 알람이나 데이터 처리상에 발생하는 알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화면 표시부(55)를 통해 운용자의 화면에 표시한 후 해당 알람을 제거한다.
서비스 영향 분석부(53)는 알람 처리부(52)에서 장애 정보를 전달받아 장애 정보에서 장비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장비에 관련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수집한다.(S7)
서비스 영향 분석부(53)는 장애 정보와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정도를 추출한다.(S8)
고장전표 발행부(54)는 서비스 영향 분석부(53)에서 추출된 장애의 서비스 영향 정보에 따라 장애 전표의 우선 순위, 고장 심각도, 고장처리 필요시간, 장애 감지 시간, 장애 발생 장비 정보, 반복적인 장애의 발생 정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전표를 고장전표 시스템(20)에서 발행하도록 요청한다.(S9) 그리고, 고장전표 발행부(54)는 화면 표시부(55)를 통해 고장전표가 발행 여부를 운용자 화면에 표시한다.(S10)
위에서, 차세대 망에서 발생한 알람이 위의 S1~S10 과정을 거쳐 처리되면, 다시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은 알람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알람을 처리하는 S2~S10 단계를 진행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1달 동안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시간이 5분 이하라고 가정한다면, 1달 동안 발생한 알람 이력과 누적된 서비스 에러 시간을 비교하여 남은 시간이 적을 경우에 고장 전표의 우선 순위를 높이고, 고장이 처리되어야 하는 잔여 시간을 포함한 고장 전표를 발행하여 고장처리 요원이 신속히 장애 회복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장 전표 우선 순위는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에 따라 운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 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세대 망에서 발생한 장애를 해당 장비의 서비스 품질 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장전표를 발행하므로 고장전표의 처리 효율을 높이고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 보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알람을 수집하여 내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알람 수집부;
    상기 알람 수집부에서 수집된 알람을 네트워크 구성 장비에 관련된 정보와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 구성 장비의 장애나 고장의 원인이 되는 알람을 장비 정보와 함께 장애 정보로 작성되어 고장 이력을 관리하는 알람 처리부;
    상기 알람 처리부에서 장애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장비의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상기 장애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서비스 영향 분석부;
    상기 서비스 영향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장 전표가 발행되도록 하는 고장전표 발행부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알람 수집부, 상기 알람 처리부, 상기 서비스 영향 분석부, 또는 고장전표 발행부와 연결되어 알람이 처리되는 일련의 과정을 운용자에게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알람 수집부에서 수집된 알람 정보를 저장하는 알람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알람 처리부 또는 서비스 영향 분석부에서 알람 처리시 참조 정보로 이용되는 네트워크 구성 장비의 상세 정보, 각 장비간의 연결 정보, 및 장비와 연관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전표 발행부는,
    상기 서비스 영향 분석부에서 추출된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보를 토대로 장애 전표의 우선 순위, 고장 심각도, 고장처리 필요시간, 장애 감지 시간, 장애 발생 장비 정보, 반복적인 장애의 발생 정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고장 전표를 발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전표 발행부는,
    상기 고장 전표의 우선 순위를 운용자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에 따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6. A)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알람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알람과 연관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구성 장비의 장애나 고장의 원인으로 발생된 알람을 탐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탐색된 알람은 해당 장비 정보와 함께 장애 정보로 저장되고, 상기 장애 정보와 상기 장비 정보에 관련된 서비스 품질 관리 정보를 비교하여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분석된 장애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보를 토대로 고장 전표를 발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에서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알람을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운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운용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알람을 탐색하는 단계는,
    a) 상기 알람이 중복되어 계속 발생하는 정도와 각 알람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알람의 심각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알람의 심각도가 단순 경고성이거나 데이터 처리상에 발생하는 수준이면 알람을 제거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알람의 심각도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나 고장 원인으로 발생하는 수준이면 상기 알람 정보를 해당 장비 정보와 함께 장애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구성 장비의 상세 정보, 각 장비간의 연결 정보, 및 장비와 연관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서비스 품질의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a) 상기 장애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비 정보를 통해 해당 장비에 관련된 서비스 종류, 서비스 중단 시간의 제한, 서비스 제공속도, 제공 서비스별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품질 관리 정보와 상기 장애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비교 결과가 상기 장애 정보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상기 알람 처리부에서 고장 이력 정보를 불려들여 서비스 영향 정도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고장전표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분석된 서비스 영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장 전표의 우선 순위, 전표 심각도, 고장처리 필요시간, 장애 감지 시간, 장애 발생 장비 정보, 반복적인 장애의 발생 정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고장 전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전표의 우선 순위 결정시, 운용자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에 따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 방법.
KR1020030043956A 2003-06-30 2003-06-30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956A KR100933991B1 (ko) 2003-06-30 2003-06-30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956A KR100933991B1 (ko) 2003-06-30 2003-06-30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240A KR20050003240A (ko) 2005-01-10
KR100933991B1 true KR100933991B1 (ko) 2009-12-28

Family

ID=3721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956A KR100933991B1 (ko) 2003-06-30 2003-06-30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2483B2 (en) 2018-05-16 2020-08-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fault originator identification for virtual network infra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80B1 (ko) * 2006-06-30 2013-04-15 주식회사 케이티 전송망의 성능 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성능 정보 수집 방법
KR100861592B1 (ko) * 2006-12-01 2008-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입자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고장관리 방법 및 장치
CN104823406A (zh) * 2012-10-10 2015-08-0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识别报告以解决网络问题
KR102040115B1 (ko) 2018-08-30 2019-11-27 주식회사 동희산업 네트워크 장애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393839B1 (ko) * 2020-09-21 2022-05-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947A (ko) * 1998-08-03 2000-03-06 김영환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KR20000073550A (ko) * 1999-05-12 2000-12-05 정장호 교환망 장애 처리를 위한 지능형 티켓 발행 방법 및 장치
KR20010053866A (ko) * 1999-12-02 2001-07-02 이계철 통신망에서의 장애복구용 트러블티켓 발행을 위한상태관리 방법 및 장치
US6571285B1 (en) 1999-12-23 2003-05-27 Accenture Llp Providing an integrated service assurance environment for a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947A (ko) * 1998-08-03 2000-03-06 김영환 티엠엔 시스템의 트러블 티켓팅 관리방법
KR20000073550A (ko) * 1999-05-12 2000-12-05 정장호 교환망 장애 처리를 위한 지능형 티켓 발행 방법 및 장치
KR20010053866A (ko) * 1999-12-02 2001-07-02 이계철 통신망에서의 장애복구용 트러블티켓 발행을 위한상태관리 방법 및 장치
US6571285B1 (en) 1999-12-23 2003-05-27 Accenture Llp Providing an integrated service assurance environment for a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2483B2 (en) 2018-05-16 2020-08-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fault originator identification for virtual network infrastructure
US11296923B2 (en) 2018-05-16 2022-04-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fault originator identification for virtual network infra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240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127B1 (en) System for intrusion detection and vulnerability analysis in a telecommunications signaling network
US94135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ggregated network alarms
US7266758B2 (en) Network monitoring program, network monitoring method, and network monitoring apparatus
US200602445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larm reporting in a managed network services environment
EP1742416B1 (en)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management of application traffic on networks
US200302210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assifying alarm messages resulting from a violation of a service level agree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1057555A (ja) ネットワーク異常検出方法及び装置
JP2018533897A (ja) データストリームにおける異常検出
JP2018533897A5 (ko)
US200601983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d blocking unauthorized access
WO2016017208A1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および検査装置
KR100933991B1 (ko) 네트워크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88183A (zh) 一种计算机网络数据流量监测系统及方法
US20120035977A1 (en) Enterprise Consumer Complaints Program
KR100861592B1 (ko) 가입자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고장관리 방법 및 장치
US7103795B1 (en) Testing platform integration methodology
JP2011090429A (ja) 統合監視システム
US20050198279A1 (en) Using trend data to address computer faults
KR100964392B1 (ko)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8461B1 (ko) 고객 고장 신고 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애 감시 시스템과 그 방법
CN114006719A (zh) 基于态势感知的ai验证方法、装置及系统
US8284044B2 (en) Poll-based alarm handling system and method
KR101027261B1 (ko) 공정 제어 네트워크에서 정책 기반의 장애 탐지 방법 및 시스템
Ho et al. Adaptive network/service fault detection in transaction-oriented wide area networks
US20070248008A1 (en) Management support method, management support system, management suppo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