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546U -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 Google Patents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546U
KR20000012546U KR2019980025550U KR19980025550U KR20000012546U KR 20000012546 U KR20000012546 U KR 20000012546U KR 2019980025550 U KR2019980025550 U KR 2019980025550U KR 19980025550 U KR19980025550 U KR 19980025550U KR 20000012546 U KR20000012546 U KR 200000125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failure
priority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2137Y1 (ko
Inventor
현영수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80025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13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5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137Y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감시 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복수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장애의 상태를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유닛과,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장애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는 제어 유닛으로 이루어진 장애 상태 전달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장애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장애 송신부의 구성은,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주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분주부(50);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따라 해당하는 우선순위를 정하여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우선순위 부호화부(60);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분주부(50)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하게 분주된 분주신호 중에서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70); 장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기(70)에 의하여 선택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만 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조정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
본 고안은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unit)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복수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송시스템이나, 교환기 등 여러 종류의 시스템이 데이터를 전송/교환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항상 프로세서(processor)가 성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다가, 작동중인 보드의 성능에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보드는 장애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해당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여, 장애 상태에 해당하는 조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장애 상태에 따른 신호선이 너무 복잡하였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이 대두되었고,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특허 출원이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6-43574호(발명의 명칭 : 제어 유니트와 감시대상 유니트간의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회로 및 방법)이며, 이는 제어 유닛과 감시대상 유닛간의 제어 신호선의 수를 줄이는 데에 관한 특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특허 출원 제1996-43574호에 따른 종래 기술의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의한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의 구성은,
장애의 상태를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유닛(20)과,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에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으로부터 발생한 장애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는 제어 유닛(10)으로 이루어진 장애 상태 전달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의 구성은, 입력되는 클럭신호(CLK)를 분주하여 장애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장애 송수신부(22)와;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전송되는 클럭신호(CLK)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송수신부(22)로 전달하고, 상기 장애 송수신부(22)에서 송신한 장애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 유닛(10)으로 전송하는 제1버퍼(buffer, 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유닛(10)의 구성은, 전송클럭을 발생하여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의 장애에 따른 장애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장애 상태를 검사하고 장애 복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송수신부(11)와; 상기 제어 송수신부(1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CLK)와 장애 복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의 제1버퍼(21)로 전송하고, 상기 제1버퍼(21)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 송수신부(11)로 출력하는 제2버퍼(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 유닛은 장애의 상태를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유닛(20)에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으로부터 발생한 장애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그에 따른 장애 복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의 장애 송수신부(22)는 입력되는 클럭신호(CLK)를 분주하여 장애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고, 제1버퍼(21)는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전송되는 클럭신호(CLK)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송수신부(22)로 전달하고, 상기 장애 송수신부(22)에서 송신한 장애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 유닛(1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유닛(10)의 제어 송수신부(11)는 전송클럭을 발생하여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10)의 장애에 따른 장애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장애 상태를 검사하고 장애 복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제2버퍼(12)는 상기 제어 송수신부(1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CLK)와 장애 복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의 제1버퍼(21)로 전송하고, 상기 제1버퍼(21)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 송수신부(11)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감시대상 유닛(20)의 장애 송수신부(22)는 상기 제어 유닛(10)의 제어 송수신부(11)로부터 생성되어 제2버퍼(12)와 제1버퍼(21)를 통하여 입력되는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여러 분주신호를 만들고, 내부 유닛의 각 부분으로부터 입력되는 장애신호의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면, 제1버퍼(21)가 그 신호를 입력받아 제2버퍼(12)로 전달하고 제2버퍼(12)는 그 신호를 제어 송수신부(11)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 송수신부(11)는 상기와 같은 경로로 전달된 장애 상태신호를 검사하여 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3)로 전송하고, 중앙처리장치(13)는 그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장애 상태를 판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의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는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한 장애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없고,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한 장애에 대해 제어 유닛에서 장애 중요도를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감시대상 유닛에서 어떤 장애가 발생한 이후에, 이보다 중요도가 낮은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새로운 장애 상태가 상기 제어 유닛으로 보내지므로, 제어 유닛은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분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복수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를 적용한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를 적용한 블럭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장애의 상태를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유닛과,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장애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는 제어 유닛으로 이루어진 장애 상태 전달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장애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장애 송신부의 구성은,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주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분주수단;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따라 해당하는 우선순위를 정하여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우선순위 부호화수단;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하게 분주된 분주신호 중에서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
장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만 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장애의 상태를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유닛과,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장애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는 제어 유닛으로 이루어진 장애 상태 전달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장애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장애 송신부의 구성은,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주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분주부(50);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따라 해당하는 우선순위를 정하여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우선순위 부호화부(60);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분주부(50)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하게 분주된 분주신호 중에서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70);
장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기(70)에 의하여 선택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만 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조정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조정부(80)의 구성은,
감시대상 유닛에서 장애신호가 발생할 때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는 오어게이트(or gate, 81);
상기 오어게이트(8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선택기(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삼상버퍼(tri-state buffer, 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 유닛에서 장애의 상태를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유닛과,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감시대상 유닛은 발생한 장애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데, 상기 감시대상 유닛 내의 장애 송신부는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장애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며, 이하, 상기 장애 송신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분주부(50)는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되는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주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다.
우선순위 부호화부(60)는 감시대상 유닛 내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따라 해당하는 우선순위를 정하여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기(70)는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분주부(50)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하게 분주된 분주신호 중에서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조정부(80)는 장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기(70)에 의하여 선택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만 그 신호를 출력하는데, 오어게이트(81)를 이용하여 감시대상 유닛에서 장애신호가 발생할 때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삼상버퍼(85)를 이용하여 상기 오어게이트(8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선택기(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는 감시대상 유닛의 각 장애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는 우선순위 부호화된 신호를 만드는데,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로 입력되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종류가 'N'개라고 하고, 상기 선택기의 선택신호의 수를 'M'개라고 하면 상기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의 수와 선택기의 선택신호의 수 사이에는 아래의 수식 1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수식 1]
N ≤ 2M또는 log2N ≤ M
즉, 'N'개의 장애를 부호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식 1을 만족하는 최소의 정수 'M'만큼의 우선순위 부호화된 신호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분주부(50)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송클럭(CLK)을 분주하는 데에 있어서,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하는 장애의 수에 맞도록 'N'개의 분주신호를 상기 선택기(70)로 출력한다.
따라서, 장애의 종류마다 해당하는 분주신호가 다르므로, 각 장애에 해당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는 선택기(70)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상기 선택기(70)는 상기 분주부(50)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분주신호 중에서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로부터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하나의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삼상버퍼(85)로 출력하는데,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는 감시대상 유닛 내에서 발생한 장애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장애에 대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선택기(70)에서 출력되는 신호 역시, 우선순위가 높은 장애에 대한 분주신호이다.
상기 삼상버퍼(85)는 상기 선택기(70)로부터 출력되는 분주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데, 상기 오어게이트(8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될 경우에 구동되어 분주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오어게이트(81)는 감시대상 유닛 내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삼상버퍼(85)를 인에이블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는 장애의 중요도에 따라 부호화를 행하므로, 어떤 장애가 발생한 다음 이 장애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존의 장애를 무시하고 현재 발생한 장애 상태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제어 유닛에서는 기존의 장애 상태처리를 멈추고 새로 발생한 장애에 대한 복구로 전환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존에 발생한 장애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장애가 새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에서 기존의 장애에 대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새로 발생한 장애에 따른 선택신호를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제어 유닛에서 기존에 발생한 장애에 대한 처리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에서 기존 장애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야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부(60)에서 해당 장애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장애 복구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에서는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한 장애에 대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장애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복수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를 제어 유닛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장애의 상태를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대상 유닛과,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시대상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장애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는 제어 유닛으로 이루어진 장애 상태 전달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 유닛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장애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분주신호를 선택하여 장애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장애 송신부의 구성은,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주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분주수단;
    감시대상 유닛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따라 해당하는 우선순위를 정하여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우선순위 부호화수단;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분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하게 분주된 분주신호 중에서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
    장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만 그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부호화수단은,
    기존에 발생한 상태의 장애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기존의 장애를 무시하고 새로 발생한 우선순위가 높은 장애 상태신호를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정수단의 구성은,
    감시대상 유닛에서 장애신호가 발생할 때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삼상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 회로.
KR2019980025550U 1998-12-18 1998-12-18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KR200212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50U KR200212137Y1 (ko) 1998-12-18 1998-12-18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50U KR200212137Y1 (ko) 1998-12-18 1998-12-18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46U true KR20000012546U (ko) 2000-07-05
KR200212137Y1 KR200212137Y1 (ko) 2001-02-15

Family

ID=6950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550U KR200212137Y1 (ko) 1998-12-18 1998-12-18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1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7878A (zh) * 2020-05-12 2020-09-04 路德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连续流化床烘干过程的除杂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7878A (zh) * 2020-05-12 2020-09-04 路德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连续流化床烘干过程的除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137Y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19146A (ja) 広帯域光ネットワーク用インテリジェント相互接続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US4127845A (en) Communications system
KR200212137Y1 (ko)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CA1227834A (en)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for computer networks
US7035262B1 (en) Software-based emulation of single SONET path layer
JP2953153B2 (ja) 送信電力制御方式
JP2000092033A (ja) 高速データ送受信方式
US510542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JPS6040749B2 (ja) シリアル伝送装置
KR100315987B1 (ko)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JP2762873B2 (ja) 通話路系切り替え監視方式
JP2956385B2 (ja) バスライン監視方式
WO2023141770A1 (zh) 中继器的旁路电路及测试方法
SU6615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в зи центральной и периферийных цифровых вычислительных машин
KR100562644B1 (ko) 데이터 송수신방법
KR200215346Y1 (ko) 전자식 교통신호제어기의 무선 연동제어장치
JPH0734559B2 (ja) ディジタル伝送方式
Smith et al. Intercomputer communications in real time control systems
KR200180134Y1 (ko) 교환기에서의 광 정합 링크 장치
KR200403625Y1 (ko) 이중화 제어신호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유니트
SU9551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JP3059002B2 (ja) ルート切替装置
JPH10324246A (ja) 親子式伝送方式
JP2734859B2 (ja) 通話路系切替装置
JPH11275063A (ja) デジタル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