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446U -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446U
KR20000012446U KR2019980025424U KR19980025424U KR20000012446U KR 20000012446 U KR20000012446 U KR 20000012446U KR 2019980025424 U KR2019980025424 U KR 2019980025424U KR 19980025424 U KR19980025424 U KR 19980025424U KR 20000012446 U KR20000012446 U KR 200000124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vhs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5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446U/ko
Publication of KR20000012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446U/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슈퍼 브이에치에스(S-VHS)타입 비디오 테이프와 노멀 브이에치에스(N-VHS)타입 비디오 테이프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최적의 상태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테이프 타입 자동 판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S-VHS 테이프와 N-VHS 테이프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테이프(30)밑면에 인식홀(31)을 형성하고, VCR데크의 테이프 삽입구에는 상기 테이프의 인식홀(31)의 위치점에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작동레버(28)의 만곡부(29)가 일치하게 설치하고, 상기 인식홀(31)의 유무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접점출력은 S-VHS 모드와 N-VHS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이컴(22)에 인가하게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22)에 의해 선택되는 슈퍼 영상처리회로(23) 또는 노멀 영상처리회로(24)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헤드(20)로 재생되는 영상신호가 복조 출력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의 종류를 간단한 방식으로 자동 식별하여 테이프 특성에 맞는 최적의 상태로 영상신호를 재생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테이프 타입 자동 판별장치
본 고안은 VCR용 비디오 테이프의 종류별 재생방식 선택을 위한 테이프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슈퍼 브이에치에스(S-VHS)타입 비디오 테이프와 노멀 브이에치에스(N-VHS)타입 비디오 테이프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장치를 테이프에 설치하여 재생시 VCR에서 이를 자동 인식하여 최적의 상태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테이프 타입 자동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VCR 회로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VCR 회로는 크게 메인PCB(100)와 로직PCB(200)로 나뉘어진다.
상기 메인PCB(100)는 그 내부에 전원부(110)와 음성기록 재생부(120)와 타이머 시스콘 서보부(130)와 영상녹화 재생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10)는 전원코드(114)를 통하여 입력되는 AC전압에 포함될 수 있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전원라인 상에 설치되는 노이즈 필터(111)와, 상기 노이즈 필터(111)를 거친 AC 입력전압을 일정한 전압 크기의 DC전압으로 안정화시켜 VCR 회로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안정화 회로(112)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기록 재생부(120)는 음성헤드(174)에 의해 읽혀져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등화앰프(123)와, 상기 등화앰프(123)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A/V잭(180)의 음성출력단(182)으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A/V잭의 음성입력단(184)의 음성 입력신호를 받아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되는 라인앰프(121)와, 상기 라인앰프(121)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헤드(174)측으로 출력하는 녹음앰프(122)와, 전폭소거 헤드(176) 및 음성소거 헤드(177)에 신호 삭제를 위한 발진신호를 공급하는 OSC(124)를 포함한다.
타이머 시스콘 서보부(130)는 로직PCB(200)내의 리모컨 리시버(22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트론 드라이버(230)를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타이머(132)와, 상기 타이머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며 콘트롤 헤드(170)에 의한 테이프 컨트롤 신호를 받아들이고 또한 이 콘트롤 헤드(170)측에 테이프 녹화시 비디오 테이프의 컨트롤 트랙 상에 기록될 컨트롤 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컨트롤(131)과, 상기 시스템 컨트롤(131)의 제어출력에 따라 드라이브 모터(171), 캡스턴 모터(172), 로딩 모터(173)를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드라이브 서보(133), 캡스턴 서보(134), 로딩 모터 드라이버(135)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녹화 재생부(140)는 입력 셀렉터(165)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LPF(141), 프리 엠파시스 회로(142), FM 모듈레이터(143)로 이루어지는 제1신호패스와, BPF(145), ACC(Automatic Chroma Level Control)(146), 컨버터(147)로 이루어지는 제2신호패스와, 이들 제1,2신호패스를 거친 두신호를 혼합하여 헤드앰프 모듈(160)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1믹서(1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녹화 재생부(140)는 DOC(148), 디모듈레이터(149), 디 엠파시스 회로(150)로 이루어지는 헤드앰프 모듈(160)의 제3신호패스와, 컨버터(152) 및 BPF(153)로 이루어지는 헤드앰프 모듈의 제4신호패스와, 이들 제3,4신호패스를 거친 영상신호를 혼합하는 제2믹서(151)와, 상기 제2믹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재생 신호를 증폭하는 재생앰프(154)를 포함한다.
헤드앰프 모듈(160)은 2개 또는 4개로 구성되는 영상 회전헤드(175)를 가지는데, 표준 기록 및 재생 방식에서는 영상 2개의 회전헤드만 작동하게 된다.
상기 영상녹화 재생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 재생신호의 일부는 A/V잭(180)의 영상출력단(181)으로 출력되게 구성하고, 다른 일부는 RF모듈레이터(164)에서 변조되어 RF출력단(196)으로 출력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RF모듈레이터(164)의 안테나 입력단(195)에 입력된 RF신호는 튜너(163)와 IF블록(162)을 거치면서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입력 셀렉터(165)의 제1,2스위치(166,167)의 각각의 일단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이 입력 셀렉터(165)의 제1,2스위치(166,167)의 각각의 타단에는 A/V잭(180)의 영상 및 음성 입력단(183,184)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음성신호가 인가되게 연결하고 있다.
입력 셀렉터(165)의 제1,2스위치(166,167)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는 각각 음성기록 재생부(120)내의 라인앰프(121)와 영상기록 재생부(140) 내의 LPF(141), BPF(145)로 전송되게 연결하고 있다.
로직 PCB(200)에는 VCR의 외부 전면패널에 마련되고 있는 기능 선택키의 키 신호를 입력하는 키 매트릭스(240)와, 이 키 매트릭스(240)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 데이터를 받아 이를 타이머 시스콘 서보부(130)의 타이머(132)에 전송하고 또한 이 타이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트론 드라이버(230)와, 상기 디지트론 드라이버(230)의 출력에 따라 각종 문자와 숫자를 표시하게 되는 디지트론(210)과, 리모컨으로부터의 제어키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 데이터를 타이머(132)에 전송하는 리모콘 리시버(2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VCR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R의 각 부위에 안정화된 동작 전압을 공급하게 되는 메인PCB(100)의 전원부(110)는 전원코드(114)를 통한 AC 입력전압이 전원부(110)내의 노이즈 필터(111)를 거쳐 전압 안정화 회로(112)에서 정류 및 안정화 처리되어 VCR의 각부 회로에서 요구하는 작동전압(12V, 5V등)으로 제공된다.
입력셀렉터(165)는 음성 및 영상 스위치(166,167)에 의해 선택된 음성 및 영상신호를 각각 음성 기록 재생부(120) 및 영상 녹화 재생부(140)에 공급한다.
상기 입력셀렉터(165)의 음성 스위치(166)는 스카트잭 및 A/V잭의 음성 입력단을 통하여 들어오는 음성신호와 IF 블록(162)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선택하게 되고, 또한 그의 영상 스위치(167)는 A/V잭의 영상 입력단을 통하여 들어오는 비디오테이프의 영상신호와 IF 블록(162)에서 발생되는 에어방송 영상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앞서 상기 IF 블록(162)에는 튜너(163)에 의한 방송선국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튜너(163)에는 RF 모듈레이터(164)에서 RF 신호로 변조된 A/V신호 또는 안테나 입력단(195)을 통하여 입력되는 안테나 신호가 인가된다.
음성기록재생부(120)에 인가된 음성신호는 라인앰프(121)를 거쳐 녹음앰프(122)에서 증폭된 후 음성헤드(174)로 전송되어 비디오 테이프상에 해당 음성신호가 기록된다.
영상 기록 재생부(140)에 인가된 영상신호는 LPF(141), 프리 앰파시스 회로(142), FM 모듈레이터(143)로 이루어지는 제1신호패스와 BPF(145), ACC(146), 컨버터(147)로 이루어지는 제2신호패스를 각각 거쳐서, 제1믹서(144)에서 혼합되어 2개 또는 4개의 영상헤드(175)를 가지는 헤드앰프모듈(160)로 인가되는 것으로, 해당 영상신호가 상기 영상헤드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상에 녹화되게 된다.
이러한 영상 및 음성신호 기록시에는 전폭소거 헤드(176)와 음성소거 헤드(177)에 OSC(124)로 부터의 발진신호가 인가되어 비디오 테이프 상에 기록된 이전의 영상 및 음성 신호가 기록 직전에 삭제되게 하고있다.
반대로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에 따라 상기 음성헤드(174)에 의해 읽혀진 비디오 테이프상의 음성재생 신호는 음성기록 재생부(120)내의 등화앰프(123)와 라인앰프(121)를 차례로 거쳐서 A/V잭(180)의 각각의 음성 출력단으로 출력되고, 영상헤드(175)에 의해 읽혀진 비디오 테이프상의 영상신호는 헤드앰프모듈(160)과 영상녹화 재생부(140)를 거쳐 A/V잭 (180)의 각각의 영상출력단으로 출력된다.
또한 음성기록 재생부(120)의 음성출력 신호와 발진회로(161)를 거친 영상녹화 재생부(140)의 영상출력 신호는 RF 모듈레이터(164)에서 RF신호로 변조되어 RF출력단(196)으로 출력된다.
로직 PCB(200)상의 키 매트릭스(240)로 들어오는 VCR의 전면패널상의 키입력 신호는 디지트론 드라이버(230)를 거쳐 타이머 시스콘 서보부(130)내의 타이머(132)로 리모콘 리시버(220)의 수신신호와 함께 인가되어 시스템 콘트롤(131)에 전달되고, 또한 상기 타이머(132)에서 발생된 디스플레이 신호는 상기 디지트론 드라이버(230)를 거쳐 디지트론(210)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타이머(132)를 통하여 입력되는 리모콘 리시버 또는 키 매트릭스로 부터의 VCR 제어신호와 테이프 주행계에 설치된 콘트롤 헤드(170)로 부터의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서 시스템 콘트롤(131)은 드럼 서보(133), 캡스턴 서보(134), 로딩모터 드라이버(135)를 통하여 각각의 드럼 모터(171), 캡스턴 모터(172), 로딩 모터(173)를 제어하는 것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데크내로 로딩/언로딩하고 주행을 제어한다.
이렇게 동작하는 VCR은 S-VHS 타입과 N-VHS 타입으로 대별된다. S-VHS 타입은 고해상도의 영상기록 및 재생을 위한 방식으로 원칙적으로 S-VHS 전용 비디오 테이프를 요구한다. 따라서 두 타입간의 테이프 호완성이 없다.
이를 보완하여 S-VHS 타입과 N-VHS 타입 테이프 상호간에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노멀 타입 VCR에 슈퍼 퀄리티(SQ)재생장치를 부가함으로써 두 테이프간 호환성을 유지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현재 적용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S-VHS 타입과 N-VHS 타입 테이프의 인식을 위해 FM 캐리어 주파수를 읽어들여 이를 기준값에 비교하는 것으로 현재의 재생테이프가 어떤 타입인지를 판단해 왔다.
도 2는 종래의 테이프 타입 판별 및 그의 재생 영상신호 처리회로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비디오 헤드(20)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신호의 FM캐리어 주파수 신호를 FM 캐리어 검출기(12)에서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캐리어 주파수 신호는 테이프 타입판별기(13)에 입력되어 여기에서 3.4MHz-4.4MHz이면 N-VHS으로 판단하고, 그 캐리어 주파수 신호가 5.4MHz-7.0MHz이면 S-VHS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의 종류가 S-VHS 타입이면 슈퍼 영상처리회로(15)를 통하여 영상신호가 처리된후 복조기(17)에서 복조 출력되게 되고 테이프의 종류가 N-VHS 타입이면 노멀 영상처리회로(16)를 통하여 영상신호가 처리된후 복조 출력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 캐리어신호 주파수를 가지고 테이프의 종류를 판단하게 될 경우에 낡은 테이프에서는 캐리어 주파수 성분에 노이즈가 삽입되어 주파수 검출에 에러가 발생되면 재생모드의 선택이 잘못되어 테이프 재생화면이 불량하게 나타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VCR을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재생되는 테이프가 S-VHS 타입이면 슈퍼 영상처리회로를 선택하여 재생신호가 처리되고 재생되는 테이프가 N-VHS 타입이면 노멀 영상처리회로를 선택하여 재생신호가 처리되도록 테이프 식별장치를 비디오 테이프와 카세트 데크에 장착함으로써, VCR 데크에 삽입되는 비디오 테이프의 종류가 자동으로 판별되어 최적의 상태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테이프 타입 자동 판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VCR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테이프 종류 자동선별 및 영상신호 처리회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카세트 테이프 식별장치의 설치 위치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헤드 21 : 전치증폭기
22 : 마이컴 23 : 슈퍼 영상처리회로
24 : 노멀 영상처리회로 25 : 복조기
26 : 마이크로 스위치 27 : 작동놉
28 : 작동레버 29 : 만곡부
30 : 테이프 31 : 인식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S-VHS 테이프와 N-VHS 테이프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테이프 상에 인식홀을 형성하고, VCR데크의 테이프 삽입구에는 상기 테이프의 인식홀의 위치점에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레버의 만곡부가 일치하게 설치하고, 상기 인식홀의 유무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출력은 S-VHS 모드와 N-VHS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이컴에 인가하게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에 의해 선택되는 슈퍼 영상처리회로 또는 노멀 영상처리회로중 최적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헤드로 재생되는 영상신호가 복조 출력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고안의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 장치의 구성도로써 S-VHS 타입의 테이프(30)밑면 일측에는 인식홀(31)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N-VHS 타입의 테이프에는 당연히 상기 인식홀은 마련되지 않는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보인 S-VHS 타입의 테이프(30)에 마련된 인식홀(31)이 데크의 밑면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작동레버(28)의 만곡부(29)에 의해 인식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6)는 노멀 테이프에서는 오프접점을, 그리고 슈퍼 테이프에서는 온접점을 발생하는 식으로 서로반대의 신호접점을 발생하도록 설치하여 그 로직값이 마이컴(22)에 제공되게 연결한다.
마이컴(22)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접점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슈퍼 영상처리회로(23) 또는 노멀 영상처리회로(24)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연결한다.
VCR의 헤드(20)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전치증폭기(21)를 통하여 증폭된후 슈퍼 영상처리회로(23) 또는 노멀 영상처리회로(24)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복조기(25)를 거쳐 영상신호로 출력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R의 카세트 데크에 슈퍼 타입의 테이프가 삽입되면 그의 후면에 마련된 인식홀(31)에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작동레버(28)의 만곡부(29)가 삽입되게 되므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놉(27)에는 상태변화 조건이 부여되지 않아 마이크로스위치(26)의 접점출력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마이컴(22)은 슈퍼 영상처리회로(23)의 선택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 헤드(20)에 의해 재생되는 S-VHS 타입 테이프의 영상신호를 전치증폭기(21)로 증폭한 후 슈퍼 영상처리회로(23)와 복조기(25)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패스를 통하여 슈퍼 VHS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는 반대로 VCR의 카세트 데크에 노멀 타입의 테이프가 삽입되면 그의 후면에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고 있지 않으므로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작동레버(28)의 만곡부(29)는 테이프의 바닦면에 눌려져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놉(27)이 오픈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상태변화는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접점출력 상태를 반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컴(22)은 슈퍼 영상처리회로(23)의 선택상태에서 노멀 영상처리회로(24)의 선택상태로 스위치 시키기 위한 출력을 내게되므로, 헤드(20)에 의해 재생되는 N-VHS 타입 테이프의 영상신호는 전치증폭기(21)로 증폭된 후 노멀 영상처리회로(24)와 복조기(25)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패스를 통하여 노멀 VHS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S-VHS 타입 비디오 테이프와 N-VHS 타입 비디오 테이프중 어느 하나에 테이프 판별을 위한 인식홀을 마련하는 것을 통하여 S-VHS 타입 비디오 테이프와 N-VHS 타입 비디오 테이프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이 판별 데이터에 따라 VCR의 재생계를 해당 삽입 테이프의 종류에 적합하도록 회로를 자동 스위치하여 줌으로써, 재생되는 테이프를 최적의 상태에서 영상 출력시킬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laims (1)

  1. 슈퍼 VHS 및 노멀 VHS 테이프 VCR에 있어서, S-VHS 테이프와 N-VHS 테이프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테이프(30)밑면에 인식홀(31)을 형성하고, VCR데크의 테이프 삽입구에는 상기 테이프의 인식홀(31)의 위치점에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작동레버(28)의 만곡부(29)가 일치하게 설치하고, 상기 인식홀(31)의 유무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26)의 접점출력은 S-VHS 모드와 N-VHS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이컴(22)에 인가하게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22)에 의해 선택되는 슈퍼 영상처리회로(23) 또는 노멀 영상처리회로(24)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헤드(20)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신호가 복조 출력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타입 자동 판별장치.
KR2019980025424U 1998-12-17 1998-12-17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장치 KR200000124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424U KR20000012446U (ko) 1998-12-17 1998-12-17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424U KR20000012446U (ko) 1998-12-17 1998-12-17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446U true KR20000012446U (ko) 2000-07-05

Family

ID=6950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424U KR20000012446U (ko) 1998-12-17 1998-12-17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44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892B1 (ko)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
US5790498A (en) Apparatus for self-recording a compact disk reproduced signal on a video tap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compact disk player complex system
KR20000012446U (ko) 테이프 타입 자동판별장치
KR19980030878A (ko) 영상재생상태 표시기능을 갖춘 비디오카세트레코더
KR100424768B1 (ko) 재생된 영상신호의 종류에 대한 식별신호를 출력하는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238082B1 (ko) 복사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복사장치
KR970004639B1 (ko) 멀티데크 브이씨알의 테이프 복사장치 및 그의 복사방법
KR980009514U (ko) 오토트래킹 시의 화면 안정화 회로
KR0151424B1 (ko)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KR100220100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외부 연결단자 입/출력 절환방법
KR100221839B1 (ko) 휘도레벨을 이용한 비스신호 기록기능을 갖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19980067185U (ko) 녹화 진행상태 경보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KR0146455B1 (ko) 기존녹화물에 대한 데이터 검색 및 검색결과 기록기능을 갖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KR19980031542A (ko) 원격 시동 겸용 브이시알의 리모컨 장치
JPH082497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80073589A (ko) 음향출력 자조기능을 갖는 카 브이시알 시스템
KR19990016647A (ko) 비디오테이프의 보안재생제어방법
EP0869678A2 (en) Copy guard state indication
KR19980041423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회로 이상여부 판별장치
KR19990002854U (ko) 무신호시 예약녹화제어장치
KR19980057852U (ko) 속도감응형 카 브이시알의 음성출력 자동조절 장치
KR20000040338A (ko) 오에스디가 없는 브이시알의 티브이와의 연결상태 판별방법
KR19990019211A (ko)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사용자음성 기록제어장치
KR19980014549A (ko) 비디오테이프의 무신호구간에 따른 일시정지제어장치
KR19990035517A (ko) 비디오 테이프 중복 삽입 방지기능을 갖춘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