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424B1 -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424B1
KR0151424B1 KR1019940037538A KR19940037538A KR0151424B1 KR 0151424 B1 KR0151424 B1 KR 0151424B1 KR 1019940037538 A KR1019940037538 A KR 1019940037538A KR 19940037538 A KR19940037538 A KR 19940037538A KR 0151424 B1 KR0151424 B1 KR 015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recording
voice information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670A (ko
Inventor
곽상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424B1/ko
Publication of KR96002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녹화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화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정보신호가 부가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기록할때 방송신호에서 음성정보신호를 검출해 내는 검출수단과, 검출한 음성정보신호를 주파수변조하는 변조수단과, 주파수변조한 음성정보신호를 방송신호의 음성신호와 함께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기록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 기록매체로부터 음성정보신호를 독출하여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복조된 음성정보신호를 인가받아 현재 재생중인 음성신호가 스테레오, 모노, 및 음성다중신호중 어떤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 및 제어수단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하는 음성신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는 녹화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도 사용자가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마이콤의 제어동작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11,13,23,26: 제1 내지 제4대역필터
12,15 : 제1 및 제2증폭기 14 : 검파기
16 : 변조부 17 : 마이콤
18 : 발진기 19,27 : 제1 및 제2가산기
20 : 기록용오디오신호처리부 21,24 : 제1 및 제2 오디오헤드
28 : 복조부 22,25 : 제1 및 제2오디오신호재생부
29 : FLT부 30 : OSD부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녹화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화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비데오카세트레코더(VCR)에 녹화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때 VCR의 FLT(Fluorescent Light)상에는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수신받아 녹음중인 음성신호가 스테레오(Stereo)신호인지 모노(Mono)신호인지 아니면 음성다중(Bilingual)신호인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기설정한 상기 각 신호에 해당하는 색신호를 FLT상에 출력한다.
그러나 상술한 음성신호의 정보와 같은 E-E(Electric to Electric)계 방송신호는 녹화할때 그 신호가 흘러도 이를 재생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녹화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는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녹화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도 사용자가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음성정보신호가 부가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할때 상기 방송신호에서 상기 음성정보신호를 검출해 내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한 음성정보신호를 주파수변조하는 변조수단, 상기 주파수변조한 음성정보신호를 상기 방송신호의 음성신호와 함께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상기 기록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음성정보신호를 독출하여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된 음성정보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하는 음성신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정보신호 표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정보신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전파중에서 원하는 채널의 전파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튜너(10)를 구비한다. 튜너(10)의 출력단에는 튜너(10)의 출력신호에서 기설정한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대역필터(11)가 연결된다. 제1대역필터(11)의 출력단에는 제1증폭기(12)가 연결된다. 제1증폭기(12)의 출력단에는 제1대역필터(11)의 출력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대역필터(13)가 연결된다. 제2대역필터(13)의 출력단에는 제2대역필터(13)의 출력신호에서 특정 신호를 검출해 내는 검파기(14)가 연결된다. 검파기(14)의 출력단에는 제2증폭기(15)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2증폭기(15)의 출력단에는 변조부(16)가 연결된다.
한편, 제1도 장치는 마이콤(17)을 구비한다. 마이콤(17)의 출력단에는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18)가 연결된다. 발진기(18)의 출력단에는 제2증폭기(15)의 출력주파수에 따라 발진기(18)의 출력신를 변조하는 변조부(16)가 연결된다.
제1도는 또한, 수신한 신호를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기록용오디오신호처리부(20)를 구비한다. 변조부(16)와 기록용오디오신호처리부(20)의 출력단에는 제1가산기(19)가 연결된다. 제1가산기(19)의 출력단에는 제1가산기(19)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기록매체로부터 신호를 독출하는 제1 및 제2오디오헤드(21,24)가 연결된다. 제1오디오헤드(21)의 출력단에는 제1오디오헤드(21)가 독출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제1오디오신호재생부(22)가 연결된다. 제1오디오헤드(21)의 출력단에는 또한, 독출한 신호에서 발진기(18)의 출력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3대역필터(23)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오디오헤드(24)의 출력단에는 제2오디오신호재생부(25)가 연결된다. 제2오디오신호재생부(25)의 출력단에는 또한, 제4대역필터(26)가 연결된다.
제3 및 제4대역필터(23,26)의 출력단에는 이들 출력신호를 더하는 제2가산기(27)가 연결된다. 그리고 복조부(28)는 제2가산기(27)의 출력신호를 복조하여 마이콤(17)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마이콤(17)의 출력단에는 VCR의 동작상태를 형광색표시하는 FLT부(29)가 연결된다. 마이콤(17)의 출력단에는 또한, VCR의 동작상태를 문자데이타로 출력하는 OSD부(30)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i-Fi VCR시스템의 제2음성채널은 스테레오방송과 2개국어방송에서 제2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제2음성채널에는 음성신호외에도 이 음성신호가 스테레오신호인지 2개국어방송인지를 알려주는 정보신호, 즉 파일럿(Pilot)신호가 부가된다. 여기서 스테레오방송의 파일럿신호 주파수는 150Hz이고 음성다중방송의 파일럿신호 주파수는 276Hz이다. 파일럿신호는 음성중간주파신호(Sound Intermediate Frequency; SIF)의 4.7MHz대역중에서도 55.1kHz주파수성분에 진폭변조되어 실려있다.
먼저, 튜너(10)는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TV전파를 선택하여 증폭한다. 제1대역필터(11)는 튜너(10)의 출력신호에서 중간주파신호(IF)로 주파수 변환된 음성중간주파신호(SIF)를 입력받는다. 제1대역필터(11)는 4.7MHz대역의 통과폭을 갖고 있어 튜너(10)로부터 인가된 음성중간주파신호에서 4.7MHz대역신호들만 통과시킨다. 제1증폭기(12)는 제1대역필터(11)의 통과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한 후 제2대역필터(13)에 인가한다. 제2대역필터(13)는 상기 4.7MHz대역신호에서 55.1kHz주파수성분만을 출력시킨다. 그런다음 검파기(14)에서 55.1kHz주파수성분에 진폭변조되 실려있는 파일럿신호를 검출한다.
Hi-Fi VCR시스템에서 음성신호는 기록매체에 주파수변조되어 기록된다. 본 발명에서 파일럿신호 역시 주파수변조하여 상기 음성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먼저, 마이콤(17)은 VCR이 기록모드상태일때 발진기(18)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발진기(18)는 1MHz의 고주파신호를 발생하여 변조부(16)에 인가한다. 변조부(16)는 1MHz의 고주파신호를 파일럿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변조한다.
한편, 기록용오디오신호처리부(20)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일반적인 신호처리를 한다. 여기서 좌채널의 음성신호는 1.3MHz, 우채널의 음성신호는 1.7MHz의 반송파로 각각 주파수변조한다. 상기 파일럿신호의 주파수변조에 사용되는 고주파신호는 상기 1.3MHz, 1.7MHz신호를 고려한 값이다. 그런다음 제1가산기(19)는 좌, 우채널신호를 합성하여 제1 및 제2오디오헤드(21,24)에 공급한다. 이때 제1가산기(19)는 파일럿신호를 음성신호에 실어 헤드에 공급한다. 이로써 파일럿신호를 음성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녹화한 방송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VCR을 재생모드상태로 한다. 제1오디오신호재생부(22)는 제1오디오헤드(21)를 통해 독출한 음성신호를 인가받는다. 제1오디오신호재생부(22)는 상기 독출한 음성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한다. 제3대역필터(23) 또한, 제1오디오헤드(21)에서 독출한 음성신호를 인가받는다. 제3대역필터(23)는 독출한 신호에서 1MHz대역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상기 파일럿신호를 1MHz의 고주파신호에 변조하여 기록한 것에 따른 것이다.
한편, 제2오디오헤드(24), 제2오디오신호재생부(25), 및 제4대역필터(26)의 동작은 상기 제1오디오헤드(21), 제1오디오신호재생부(22), 및 제3대역필터(23)와 동일하다.
제2가산기(27)는 제3대역필터(23), 제4대역필터(26)의 출력신호들을 합성하여 복조부(28)에 인가한다. 복조부(28)는 상기 기록시 행한 파일럿신호의 변조에 대한 복조를 행한다. 그리고, 복조한 파일럿신호를 마이콤(17)에 인가한다.
마이콤(17)은 상기 파일럿신호를 인가받아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동작을 한다. 우선, 마이콤(17)은 복조부(28)로부터 인가받은 파일럿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트한다(제100단계). 상기 제100단계에서 카우트한 주파수가 0Hz이면 즉, 파일럿신호가 없으면(제 110단계) 이는 수신받은 음성신호가 모노신호임을 나타낸다. 이때 마이콤(17)은 FLT(29) 및 OSD부(30)에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는다. 파일럿신호가 존재할때 그 주파수가 150Hz이면(제 120단계)이는 수신받은 음성신호가 스테레오신호임을 나타낸다. 이때 마이콤(17)은 FLT부(29) 및 OSD부(30)를 통해 현재 재생중인 음성신호가 스테레오신호임을 인지할 수 있는 해당표시를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0단계에서 주파수가 150Hz가 아닌경우에는 주파수가 276Hz인 음성다중신호가 재생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마이콤(17)은 FLT부(29) 및 OSD부(30)를 통해 현재 재생중인 음성신호가 음성다중신호임을 인지할 수 있는 해당표시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재생중인 음성신호가 모노신호일때 해당표시를 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노신호임을 인지할 수 있는 별도의 표시를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오디오헤드(21,24)의 출력단 각각에 대역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역필터를 1개만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헤드의 스위칭신호에 따라서, 독출된 신호가 대역필터를 통과하여 복조부에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는 녹화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도 사용자가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5)

  1.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음성정보신호가 부가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할때 상기 방송신호에서 상기 음성정보신호를 검출해 내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한 음성정보신호를 주파수변조하는 변조수단; 상기 주파수변조한 음성정보신호를 상기 방송신호의 음성신호와 함께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상기 기록된 방송신호를 재생할때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음성정보신호를 독출하여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된 음성정보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하는 음성신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정보신호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음성중간주파신호에서 4.7MHz의 대역신호를 출력하는 제1대역필터; 상기 제1대역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55.1kHz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대역필터; 상기 제2대역필터의 출력신호에서 상기 음성정보신호를 검출해 내는 검파기; 및 상기 검파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제2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1MHz의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및 상기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2증폭기의 출력주파수에 따라 변조하는 변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수단은 제1오디오헤드가 상기 기록매체의 제1오디오채널로부터 독출한 신호중 1MHz의 대역신호를 출력하는 제3대역필터; 제2오디오헤드가 상기 기록매체의 제2오디오채널로부터 독출한 신호중 1MHz의 대역신호를 출력하는 제4대역필터; 상기 제3 및 제4대역필터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가산기;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복조하는 복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단결과를, 해당 음성신호를 나타내는 기설정한 색신호로 출력하는 형광표시판; 및 상기 판단결과를 문자데이타로 출력하는 문자표시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KR1019940037538A 1994-12-27 1994-12-27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KR0151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538A KR0151424B1 (ko) 1994-12-27 1994-12-27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538A KR0151424B1 (ko) 1994-12-27 1994-12-27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70A KR960025670A (ko) 1996-07-20
KR0151424B1 true KR0151424B1 (ko) 1998-10-15

Family

ID=1940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538A KR0151424B1 (ko) 1994-12-27 1994-12-27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237A (ko) * 2013-05-31 2014-12-10 전자부품연구원 오디오 신호와 커맨드의 복합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오디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1237A (ko) * 2013-05-31 2014-12-10 전자부품연구원 오디오 신호와 커맨드의 복합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오디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70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196A (en) Stereo/multivoice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tape recorder including a decoder developing a switch control signal
KR960030086A (ko) 디지탈/아날로그 호환성의 비디오테이프레코더
US4564867A (en) Video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for video discs having recognition signal indicative of content of associated program signal
EP0404465A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video and audio signals
KR0151424B1 (ko) 음성수신정보 표시장치
US6385390B1 (en) Hi-Fi audio signal recording/playback apparatus using video heads
KR970004639B1 (ko) 멀티데크 브이씨알의 테이프 복사장치 및 그의 복사방법
KR100326893B1 (ko) 자기기록장치
KR0183695B1 (ko) 캠코더의 날짜와 시간에 관련되는 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JP279070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90004696Y1 (ko) Vtr의 녹화 및 재생장치
KR930005436B1 (ko) 멀티방식의 음성신호 기록시스템
KR19980060786U (ko) 브이시알 시스템의 신호 트랩회로
JPH0528260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16755B1 (ko) 하이파이 브이시알의 오디오 출력 제어방법
KR100220176B1 (ko) 멀티 tvcr의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KR0131544B1 (ko) 티브이씨알의 두 채널 녹화장치와 그의 녹화방법
KR20000004031A (ko) Vcr의 녹화방지방법
JPH0983953A (ja) 信号記録再生装置
JPH0514849A (ja) ビデオ記録再生装置
KR960005545A (ko) 브이씨알의 두 채널 녹화/재생장치와 그의 녹화/재생방법
KR19990051243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하이-파이 녹음 방지 방법
KR19990056425A (ko) 파일로트 신호를 이용한 테이프 등급 판별 장치
KR19980022519U (ko) 간단녹화재생장치
JPH0752931B2 (ja) モノラルrfモジユレ−タの入力音声信号混合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