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307U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307U
KR20000010307U KR2019980022529U KR19980022529U KR20000010307U KR 20000010307 U KR20000010307 U KR 20000010307U KR 2019980022529 U KR2019980022529 U KR 2019980022529U KR 19980022529 U KR19980022529 U KR 19980022529U KR 20000010307 U KR20000010307 U KR 200000103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indoor unit
condensate
air condition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1490Y1 (ko
Inventor
윤연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2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9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9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는, 증발기의 하부에 응축부 받이가 배설되고, 상기 증발기의 전열관에 연결되는 입구 냉매관과 출구냉매관이 케이스의 후측에 설치된 단열체의 내부에서 상부로 나오게 되어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단열체의 상부에 생긴 응축수가 상기 응축부 받이로 안내되어 흐르도록 상기 단열체의 상단부 하측에는 안내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열체의 상측에 생기는 응축수가 응축수 받이로 흘러 모여 유출되므로, 실내기의 내부 바닥에 고이는 일이 없게 되어 바닥에 고정된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응축수가 케이스에서 누설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받이 구조.
본 고안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모터측을 가로질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앞측에는 전면판넬(1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12)의 내측에는 그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증발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기를 발생하는 증발기(1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14)와 케이스(10)사이에는 상기 증발기(14)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아를 구동하는 모터(1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모터(16)는 상기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18)에 수용되고, 이 지지부(18)의 타측에 결합된 커버(20)에 의해 둘러 싸여 도시하지 않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16)는 지면은 꿰뚫는 방향(즉, 실내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된 도시하지 않는 블로아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증발기(14)의 하측에는 공기중의 수분이 상기 증발기(14)에 부닺쳐 냉각됨에 의해 생겨 흘러 내리는 응축수를 받도록 응축수 받이(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8)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14)에 연결되는 입구냉매관(24)과 출구냉매관(26)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단열체(2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입구냉매관(24)과 출구냉매관(26)은 상기 단열체(28)의 상부에서 나와서 상기 열교환기(14)의 중간부로 연결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증발기(14)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증발기(14)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뀌게 된다.
이때 실내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증발기(14)에 부닺쳐 냉각되어 물로 흘러내리거나 서리로 되어 증발기(14)에 붙어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14)에 어린 서리는 제상운전에 의해 녹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생긴 응축수는 증발기를 따라 흘러내려 응축수받이(22)에 모이게 된다.
상기 응축수 받이(22)에 모인 응축수는 도시하지 않은 유출구를 통해 실내기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증발기(14)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지 않는 공기중의 수분은 상기 단열체(28)의 상부에서 나오는 입구냉매관(24)과 출구냉매관(26)에 부닺쳐 응축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입구냉매관(24)과 출구냉매관(26)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는 일부는 상기 커버(20)의 외면을 따라 응축수 받이(22)의 내부로 유입하지만, 응축수의 나머지는 상기 지지부(18)를 따라 케이스(10)의 내부후측으로 떨어져 실내기의 내부 바닥에 고이게 되고, 바닥에 고정된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게 되며, 케이스의 결합부에서 외부로 응축수가 누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기의 내부상측에서 떨어지는 응축수가 바닥에 고이지 않게 하고 케이스에서 응축수가 누설됨을 방지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결합된 모터측을 가로질러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4는 도3의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5는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라 나타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케이스 32 : 전면 패널
38 : 증발기 40 : 모터
42 : 응축수 받이 44 : 단열체
46 : 입구냉매관 48 : 출구냉매관
50 : 지지부 52 : 커버
56 : 전열관 58 : 고정구
60 : 절곡부 64, 72 : 안내부재
66 : 판부 68 : 리브부
70 : 홈 74 : 걸림홈
76 : 경사면 78 : 프랜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공지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는 증발기의 하부에 응축부 받이가 배설되고, 상기 증발기의 전열관에 연결되는 입구 냉매관과 출구냉매관이 케이스의 후측에 설치된 단열체의 내부에서 상부로 나오게 되어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단열체의 상부에 생긴 응축수가 상기 응축부 받이로 안내되어 흐르도록 상기 단열체의 상단부 하측에는 안내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에는 리브가 상측으로 형성되어 이 리브의 단부는 상기 증발기의 전열관에 걸려, 안내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이 걸림홈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어 안내부재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0)의 앞측에는 전면판넬(32)이 결합되어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있고, 실내기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블로아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블로아의 우측에는 이 블로아를 구동하는 후술하는 모터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넬(32)의 앞측면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32)의 저면에는 상기 흡입구(34)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가 후술하는 증발기를 통하면서 냉기로 변한 다음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32)의 내측에는 그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증발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기를 발생하는 증발기(3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38)와 케이스(30)사이에는 상기 증발기(38)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아를 구동하는 모터(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38)의 하측에는 공기중의 수분이 상기 증발기(38)에 부닺쳐 냉각됨에 의해 생겨 흘러 내리는 응축수를 받도록 응축수 받이(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40)와 상기 케이스(30)의 내측벽 사이에는 열전달을 억제하는 단열체(44)가 상측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단열체(44)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38)에 연결되는 입구냉매관(46)과 출구냉매관(48)이 지나가게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0)에는 상기 모터(40)를 수용하여 고정지지하는 지지부(50)가 상측으로 세워져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50)에 수용되는 모터(40)를 덮어 고정하는 커버(52)가 상기 지지부(5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52)와 지지부(50)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3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판넬(32)은 상기 케이스(30)에 착탈가능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38)는 비스듬하게 된 상측부와 수직으로 된 하측부로 이루어진 절곡된 형상으로 된 다수의 핀(54)이, 지면을 뛔뚫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이 핀(56)을 전열관(56)이 관통하여 이어져 냉매관로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38)의 핀의 비스듬하게 된 상측부는 수직으로 된 하측부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는 전면판넬(32)의 흡입구가 상측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구에 가까운 쪽의 전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입구냉매관(46)과 출구냉매관(48)은 상기 단열체(44)의 상부에서 나와서 상기 증발기(38)의 중간부에 있는 전열관에 연결되게 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받이(42)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구가 형성되어 이 배수구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응축수가 배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 단열체(44)는 공지의 단열재로 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상기 입구냉매관(46) 및 출구냉매관(48)을 고정하도록 고정구(5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58)는 공지의 묶음 밴드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입구냉매관(46)과 출구냉매관(48)은 상기 단열체(44)의 내부를 따라 상측으로 상승한 뒤, 상기 단열체(44)의 상단부에서 나와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증발기(38)의 상측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연장된 후 증발기(38)의 중간부에 있는 전열관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0)은 모터(40)의 우측반원부를 싸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기 단열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52)은 상기 모터(40)의 좌측반원부를 싸고 있으며, 그 중간부에는 증발기(38)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받이(42)로 안내하도록 안내돌기(62)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체(44)의 상부의 입구냉매관(46)과 출구냉매관(48) 부분에서 생긴 응축수가 상기 응축부 받이(42)로 안내되어 흐르도록 상기 단열체(44)의 상단부 하측에는 안내부재(64)가 결합되어 있다.
도4는 상기 안내부재(64)를 분리하여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64)는 상기 커버(52)의 상측부 위치에서 우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부(60)의 상측을 덮은 다음 상기 단열체(44)의 상단 하부에 이어진 판부(66)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판부(66)의 상측에는 리브(68)가 상측으로 형성되어 이 리브(68)의 단부는 상기 증발기(38)의 전열관(56)에 걸려, 안내부재(6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리브(68)의 상부에는 상기 전열관(56)에 걸리는 개구된 홈(7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모터(40)를 구동하면, 모터(40)에 연결된 블로아가 회전하여, 흡입구(34)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실내기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구(34)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증발기(38)를 통과하면서 증발기(38)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뀌게 된다. 이때 실내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증발기(38)에 부닺쳐 냉각되어 물로 흘러내리거나 서리로 되어 증발기(38)에 붙어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38)에 어린 서리는 제상운전에 의해 녹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생긴 응축수는 증발기를 따라 흘러내려 응축수받이(42)에 모이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38)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지 않는 공기중의 수분은 상기 단열체(44)의 상부에서 나오는 입구냉매관(46)과 출구냉매관(48)에 부닺쳐 응축되어 떨어지게 되는 데, 이 응축수는 안내부재(64)의 판부 및 상기 커버(52)를 타고 흘러내려 상기 응축수받이(42)에 모이게 된다.
상기 응축수 받이(42)에 모인 응축수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구를 통해 실내기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받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72)의 하부에 걸림홈(74)이 구비되고, 이 걸림홈(74)이 상기 절곡부(60)에 걸리어, 안내부재(7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72)의 상단부에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흘러내리도록 경사면(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부재(72)의 단열체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프랜지(78)가 형성되어 응축수가 단열체측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부재의 구성은 별도의 리브가 필요하지 않고 바로 장착되므로 구 조가 간단하다.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에 의하면, 증발기의 상측을 지나가는 입구냉매관과 출구냉매관에서 떨어지는 응축수가 모두 응축수 받이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구를 따라 외부로 유출하므로, 응축수가 실내기의 내부 바닥에 고이지 않고, 응축수가 바닥에 고정된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케이스의 결합부에서 외부로 응축수가 누설되지 않는다.

Claims (3)

  1. 증발기의 하부에 응축부 받이가 배설되고, 상기 증발기의 전열관에 연결되는 입구 냉매관과 출구냉매관이 케이스의 후측에 설치된 단열체의 내부에서 상부로 나오게 되어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단열체의 상부에 생긴 응축수가 상기 응축부 받이로 안내되어 흐르도록 상기 단열체의 상단부 하측에는 안내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에는 리브가 상측으로 형성되어 이 리브의 단부는 상기 증발기의 전열관에 걸려, 안내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이 걸림홈이 상기 절곡부에 걸리어 안내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응축수 받이 구조.
KR2019980022529U 1998-11-18 1998-11-18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의응축수받이구조 KR200241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29U KR200241490Y1 (ko) 1998-11-18 1998-11-18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의응축수받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29U KR200241490Y1 (ko) 1998-11-18 1998-11-18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의응축수받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07U true KR20000010307U (ko) 2000-06-15
KR200241490Y1 KR200241490Y1 (ko) 2001-12-01

Family

ID=6950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529U KR200241490Y1 (ko) 1998-11-18 1998-11-18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의응축수받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72B1 (ko) * 2005-01-12 200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72B1 (ko) * 2005-01-12 200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490Y1 (ko)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32449T3 (es) Unidad interior de un aire acondicionado
KR200241490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의응축수받이구조
KR100728330B1 (ko) 일체형 에어컨
ES2275990T3 (es) Un aparato de aire acondicionado.
KR200163495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CN113091363A (zh) 商用风冷冷柜
KR100716251B1 (ko) 공기조화기
KR100487778B1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KR200228660Y1 (ko) 분리형공조기기의실내기
KR10042396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39240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4615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장치
CN220669894U (zh) 冰箱
KR1004361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1999035450A1 (en) Condensate collection system for a room air conditioner
KR19980056360A (ko) 분리형 에어컨 실외기의 커버구조
KR20060005856A (ko) 공기조화기
KR20010093370A (ko) 배리어의 응축수 처리 장치
KR200224092Y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950009153Y1 (ko) 분리형 룸에어콘의 응수축 배수장치
KR10056448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300434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9990019491U (ko) 공조기기
KR100291872B1 (ko) 룸에어콘용실내기의배수장치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