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014A -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014A
KR20000010014A KR1019980030706A KR19980030706A KR20000010014A KR 20000010014 A KR20000010014 A KR 20000010014A KR 1019980030706 A KR1019980030706 A KR 1019980030706A KR 19980030706 A KR19980030706 A KR 19980030706A KR 20000010014 A KR20000010014 A KR 2000001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tation
wireless subscriber
automatic dialing
telephone number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미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014A/ko
Publication of KR2000001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 시도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 시도이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에 의한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시간이내에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다이얼링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시 발신 시도만 하면, 자동으로 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 시도가 있은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다이얼링되지 않는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에서 다이얼링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한 후 송신키를 누르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무선 단말기의 가입자가 위급한 상황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다이얼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 시도가 있으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시간이내에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은 발신이 시도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기능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제어부100과 메모리101과 국선접속부102과 스위칭부103과 DTMF수신부104와 DTMF송신부105와 유선 가입자접속부106과 링발생부107과 톤발생부108과 타이머109와 무선 기지국접속부110과 다수의 유선 가입자 단말기111∼11n으로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01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어 흐름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사설 교환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자동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국선접속부102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국선을 통해 접속되는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위칭부103으로 전송한다. 스위칭부103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통화로를 스위칭한다. DTMF수신부104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국선접속부102에서 수신된 신호 중 DTMF신호를 수신한다. DTMF송신부105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103으로 DTMF신호를 전송한다. 유선 가입자접속부106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103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접속된 유선 가입자 단말기111∼11n로 전송하고, 접속된 유선 가입자 단말기111∼11n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위칭부103으로 전달한다. 링발생부107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소정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통화 요청이 있을 때 링신호를 생성하여 유선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접속된 유선 가입자 단말기111∼11n 또는 무선 기지국접속부120을 통해 무선 가입자 단말기121로 전달한다. 톤발생부108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103으로 전달한다. 타이머109는 시계칩 회로로 구현되며, 제어부100로 시간 데이터를 제공한다. 유선 가입자 단말기111∼11n은 유선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착발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무선 기지국접속부110은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기지국120과 유선으로 연결된다. 무선 기지국120은 소정 반경내에 위치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121의 착발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기지국접속부110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103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 기지국120을 통해 무선 가입자 단말기121로 전송하고,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 기지국120을 무선 가입자 단말기12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칭부103으로 전달한다. 무선 가입자 단말기121는 무선 기지국120을 통해 착발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한다. 제21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유선 가입자접속부106 또는 무선 기지국접속부110을 통해 소정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시도 여부는 유선 가입자접속부106을 통해 유선 가입자 단말기인 경우 후크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를 감지하므로써 파악할 수 있고, 무선 가입자 단말기인 경우 무선 기지국접속부110을 통해 연결된 무선 기지국120으로부터 발신 기능키가 입력됨을 감지하므로써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210단계에서 소정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2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무선 기지국접속부110을 통해 상기 발신을 시도한 가입자 단말기가 무선 가입자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20단계에서 발신을 시도한 가입자 단말기가 무선 가입자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발신을 시도한 가입자 단말기가 유선 가입자 단말기인 경우 제225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유선 가입자 단말기에 관련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20단계에서 발신을 시도한 가입자 단말기가 무선 가입자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3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메모리101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제24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결과로써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40단계에서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45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240단계에서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5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정해진 시간내에 서비스하기 위해 타이머109를 구동한다.
제26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타이머109가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구동되는 동안에 무선 기지국접속부110을 통해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121로부터 소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은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다른 기능키가 입력된 경우이다.
상기 260단계에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타이머109를 구동하는 동안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65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60단계에서 타이머109를 구동하는 동안에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정해진 시간내에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제27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DTMF송신부105를 제어하여 메모리101에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등록하여 가입자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발신 버튼만 누르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수 있다.

Claims (3)

  1.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소정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 시도가 있으면, 상기 발신을 시도한 가입자 단말기가 무선 가입자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발신이 시도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해진 시간내에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정해진 시간내에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소정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제2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발신을 시도한 무선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자동 다이얼링을 위한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4단계와,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에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에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에 따라 등록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소정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기능키가 입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0706A 1998-07-29 1998-07-29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20000010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706A KR20000010014A (ko) 1998-07-29 1998-07-29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706A KR20000010014A (ko) 1998-07-29 1998-07-29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14A true KR20000010014A (ko) 2000-02-15

Family

ID=1954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706A KR20000010014A (ko) 1998-07-29 1998-07-29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0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249B1 (ko) * 2005-01-31 2007-04-13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가지는 공중 전화기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650A (ja) * 1988-06-24 1990-01-11 Nec Eng Ltd 共通線信号方式電子交換機の自動発信接続方式
KR960020235A (ko) * 1994-11-01 1996-06-17 구자홍 전화기의 자동다이얼링 방법
JPH08204835A (ja) * 1995-01-20 1996-08-09 Fujitsu General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KR970078159A (ko) * 1996-05-13 1997-12-12 유기범 자동 긴급다이얼 기능을 갖춘 개인통신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650A (ja) * 1988-06-24 1990-01-11 Nec Eng Ltd 共通線信号方式電子交換機の自動発信接続方式
KR960020235A (ko) * 1994-11-01 1996-06-17 구자홍 전화기의 자동다이얼링 방법
JPH08204835A (ja) * 1995-01-20 1996-08-09 Fujitsu General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KR970078159A (ko) * 1996-05-13 1997-12-12 유기범 자동 긴급다이얼 기능을 갖춘 개인통신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249B1 (ko) * 2005-01-31 2007-04-13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가지는 공중 전화기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483B1 (ko) 페이저가 장착된 핸드셋들간의 원격 지점간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960000528B1 (ko)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페이징 이동 사용자용 중앙국을 갖는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
US4776001A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365572A (en) Cordless key telephone system with multiple tenant facility
US5530736A (en) Radiotelephone with multiple simultaneous telephone number identities
KR100200261B1 (ko)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를 갖고 있는 무선 전화 및 작동방법
US5745559A (en) Restricted access telephones for logical telephone networks
JP2002271478A (ja) 電話機及び呼接続制御方法
KR20000010014A (ko)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가입자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0135206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00044365A (ko)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핸드셋과 전화기 본체간의연결 방법
RU2248667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телефонного номера в системе с местной линией радиосвязи
KR20040009241A (ko)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동시호출 처리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100464488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내선 직접 호출 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19990069674A (ko)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선택 수신 방법
KR19990016138A (ko) 교환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안내 방법
KR20000027205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60012903A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89833B1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제어 방법
KR100186411B1 (ko) 키폰의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구내 페이징 시스템 접속방법
KR100378400B1 (ko) 교환시스템의무선단말자동호출방법
KR100389826B1 (ko) 무선 사설교환시스템 운용상태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