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834A -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834A
KR20000009834A KR1019980030482A KR19980030482A KR20000009834A KR 20000009834 A KR20000009834 A KR 20000009834A KR 1019980030482 A KR1019980030482 A KR 1019980030482A KR 19980030482 A KR19980030482 A KR 19980030482A KR 20000009834 A KR20000009834 A KR 2000000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ervice
message
us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5077B1 (ko
Inventor
엄태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998003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0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077B1/ko

Links

Abstract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방법에 의한 서비스 생성 장치는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무선망 환경에 있어서, 망운용자가 서비스 흐름을 지시하기 위한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동작 지시 파일, 파일을 실제로 수행하는 런타임 엔진, 런타임 엔진과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교환하는 세션 관리자, 실제 단문 메시지 센터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구하는데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 런타임 엔진, 세션 관리자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여 적절한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이벤트 관리자 및 이벤트 관리자에 의해 처리된 이벤트의 시스템 상태, 동작 상황 등을 기록, 표시하는 출력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화형태의 서비스를 쉽게 생성, 수정하는 환경을 제공하여 신규 서비스 제공 및 수정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문 서비스란 문자, 숫자를 송수신할 수 있는 두 엔터티간에 망을 통하여 단문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여기서의 엔터티란 단말장치나 시스템, 혹은 프로그램 등 단문을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문 서비스는 단방향 단문 서비스와 양방향 단문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단방향 단문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엔터티가 해당 단말장치에게 문자나 숫자 등을 송신한다. 단말장치는 가입자 표시 장치에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여 이를 가입자가 알아보도록 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양방향 단문 서비스는 단말장치를 통하여 가입자가 단문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게 문자나 숫자 메시지 등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엔터티는 적절하게 이를 처리하는 서비스이다.
도 1 은 무선망 환경의 구성도이다. 무선망(100)에서의 단문 서비스를 제공할 응용 블럭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 SMSC)에게 전송 요구하는 엔터티이다. 단말기(130)로 또는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실제 전송은 SMSC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서비스의 흐름은 이동국(130) 혹은 단말기(130)의 위치가 등록된 위치 등록 시스템(120)에서 신호망(110)에게 위치를 알려준다. 이후 상기 단문 메시지는 교환기(150)를 통하고, 최종적으로 기지국과 제어국(140)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처럼, SMSC는 망과 서비스 응용 블록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응용 블록에 의해 만들어진 메시지는 SMSC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단말장치로 전송을 요청한다. 실제 단말기로의 전송은 SMSC에 의해 착신자 주소에 따라 망으로 전송하게 되며 전송 결과는 다시 서비스 응용 블록에 보고될 수 있다. 단말기에서 단문이 발생되는 경우는 SMSC가 단문 메시지를 착신자 주소에 따라 서비스 응용 블록으로 라우팅(Routing)할 것인지 아니면 다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기 혹은 이동국으로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며 그 형태는 날씨, 뉴스 등의 일방적인 단방향 단문 서비스 형태와 계좌조회, 여론 조사 등의 양방향 단문 서비스 형태로 상호 대화형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망환경에서의 양방향 형태의 서비스는 구체적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고, 단지 ARS(Audio Response System), VMS(Voice Mailing Service)의 분야에서 일부 사용될 뿐이다.
이처럼 일부 ARS, VMS 분야에서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쉽게 구성하기 위한 제작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망환경에서 가입자에게 대화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작 도구가 없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가 요구될 때마다 프로그래머에 의해 서비스를 구현해야 하고, 기존의 서비스 방법이나 흐름이 변경되면 그에 따라 기존에 구현된 프로그램을 매번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화 형태의 서비스를 누구나 쉽게 생성, 수정하는 환경을 제공하여 신규 서비스의 제공 및 수정이 쉽도록 한,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과 장점은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무선망 환경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세션 관리자와 런타임 엔진간의 메시지 처리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형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처리형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오류 처리형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재시도 처리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종료형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페이스망
110 : 신호망
120 : 위치 등록 시스템
130 : 이동국
140 : 기지국 및 제어국
150 : 교환기
200 :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
210 : 런타임 엔진
220 : 세션 관리자
23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
240 : 동작 지시 파일
250 : 이벤트 관리자
260 : 출력 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무선망 환경에 있어서, 망운용자가 서비스 흐름을 지시하기 위한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 상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동작 지시 파일, 상기 파일을 실제로 수행하는 런타임 엔진, 상기 런타임 엔진과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교환하는 세션 관리자, 실제 단문 메시지 센터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구하는데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 상기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 런타임 엔진, 세션 관리자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여 적절한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이벤트 관리자 및 상기 이벤트 관리자에 의해 처리된 이벤트의 시스템 상태, 동작 상황 등을 기록, 표시하는 출력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지시 파일은, 셀 번호, 운용자가 정의하는 셀 이름, 셀의 형태, 단말기에 전송될 단문 메시지인 단문 내용 입력, 사용자 응답에 따라 수행될 다음 수행 셀 번호, 다음 셀 번호와 셀 수행 횟수로 구성된 다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셀을 구성하는 요소중의 하나인 셀의 형태는, 사용자의 응답을 받아야만 다음 처리를 수행하는 형태, 사용자의 응답을 처리하고 자동으로 다음 셀 번호로 이동하는 형태, 마지막 종료를 의미하는 형태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션 관리자는, 가입자에 대해 필요한 저장 영역을 할당한 후 가입자 번호, 가입자 단말기 형태, 서비스 등급, 재시도 횟수 등의 저장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무선망 환경에 있어서, 제공할 단문 서비스의 초기화 단계, 상기 초기화 과정에 의한 응답형 셀 생성 단계, 상기 응답형 셀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따른 처리형 셀 생성 단계, 상기 처리형 셀에 대한 사용자에게의 송신 요구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송신에 대한 오류 검사 단계, 상기 검사 과정에 의해 오류가 있으면, 오류 처리 셀을 생성하고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과정에 의해 오류가 없으면, 종료형 셀을 생성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상기 파일을 실제로 수행하는 런타임 엔진에 의해 서비스 파일 이름이 생성되고, 상기 런타임 엔진과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교환하는 세션 관리자에 의해 타임아웃 시간과 재시도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초기화 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션 관리자는,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와 가입자의 단말기 형태에 관한 정보를 런타임 엔진에게 보내는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션 관리자는, 런타임 엔진에게 사용자가 종료되었다는 메시지와 상기 종료 메시지가 가입자로부터의 무응답 또는 비정상 종료인지 등의 형태 정보를 보내는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런타임 엔진은, 상기 종료 메시지에 대한 종료 응답 메시지를 세션 관리자에게 보내는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런타임 엔진은, 현재 사용자로부터 다음 메시지가 동작하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메시지를 세션 관리자에게 보내는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션 관리자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시도 횟수를 0으로 초기화하는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션 관리자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면 이를 런타임 엔진에게 상기 정보를 알려주는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응답형 셀 생성 단계는, 서비스의 내용, 상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자릿수, 사용자의 응답에 대한 처리, 오류시 전송 메시지의 내용, 타임아웃 발생시 종료 셀의 번호, 재시도 발생시 종료 셀의 번호, 오류시 종료 셀의 번호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초기화 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처리형 셀 생성 단계는, 상기 처리형 셀의 번호, 상기 처리형 셀의 이름, 처리 후 이동할 다음 셀의 번호, 상기 처리형 셀에서 사용자에게 보낼 셀의 메시지 내용, 상기 처리형 셀의 수행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처리형 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류 처리 셀은, 상기 오류 처리 셀의 번호, 상기 오류 처리 셀의 이름, 상기 오류 처리 셀의 형태, 처리 후 이동할 다음 셀의 번호, 상기 오류 처리 셀에서 사용자에게 보낼 셀의 메시지 내용, 상기 오류 처리 셀의 수행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 처리 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류 처리 셀 생성 단계는, 셀의 번호, 셀의 이름, 셀의 형태, 처리 후 이동할 다음 셀의 번호, 사용자에게 보낼 메시지 내용, 재시도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재시도 처리 셀 생성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종료형 셀은, 상기 종료형 셀의 셀 번호, 상기 종료형 셀의 셀 이름, 상기 종료형 셀의 형태, 사용자에게 보낼 메시지 내용, 상기 종료형 셀의 수행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셀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잘 알려진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특징 및 기능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동일 용어에 대해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영문 이니셜 또는 국어 해석용어를 병용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는,
망운용자가 서비스 흐름을 지시하기 위한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200), 상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동작 지시 파일(240), 상기 파일을 실제로 수행하는 런타임 엔진(210), 상기 런타임 엔진(210)과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교환하는 세션 관리자(220), 실제 단문 메시지 센터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구하는데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230), 상기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200), 런타임 엔진(210), 세션 관리자(220)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여 적절한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이벤트 관리자(250) 및 상기 이벤트 관리자에 의해 처리된 이벤트의 시스템 상태, 동작 상황 등을 기록, 표시하는 출력 장치(260)로 구성된다.
여기서의 동작 지시자 생성기는 운용자가 정의된 서비스 흐름에 따라 동작 지시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동작 지시자 생성기에 의해 만들어진 동작 지시 파일은 실제 사용자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런타임 엔진에 의해 차례로 읽혀져 수행된다. 이를 위해서는 런타임 엔진과 세션 관리자간의 약속된 형태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서비스 사용자와 주고 받는 단문 메시지는 실제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 모듈(Short Message Service Center Interface Module)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센터에게 전송 요구된다.
이러한 모든 동작시의 결과들은 이벤트 관리자에 의해 적절한 출력 장치로 전송된다. 먼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를 이용하여 동작 지시 파일을 생성한다. 이 동작 지시 파일은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를 명시한 파일로 런타임 엔진은 단지 해당하는 위치의 동작 지시내용을 읽고 그곳에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동작 지시 파일은 여러개의 셀로 구성된다.
하나의 셀은 형태에 따라 여러 영역을 갖는다. 그 형태는 셀 번호 영역, 운용자가 정의하는 셀의 이름 영역, 셀의 형태 영역, 단말기에 전송될 단문의 내용 입력 영역, 사용자 응답에 따라 수행될 다음 셀 번호영역, 셀 수행 횟수 영역 등이다.
하나의 셀은 위의 세 가지 형태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응답형 셀의 경우는 사용자의 응답을 받아야만 다음 과정을 수행하는 셀이고, 처리형 셀은 사용자의 응답을 처리하고 자동으로 다음 셀 번호로 이동하는 셀이며, 종료형 셀은 마지막 종료를 의미하는 셀이 된다. 이 장치에 의해 생성된 셀 정보는 서비스 시나리오 생성시 운용자가 입력한 파일에 문서 형태로 저장되고, 기존에 작성했던 동작 지시 파일은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에 의해 조회, 변경, 삭제 및 흐름 차트로의 표시가 가능하다.
세션 관리자는 새로운 가입자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도착하면 가입자의 인준 여부를 조사한 후 그 가입자에 대해 필요한 메모리를 할당하고 가입자 번호, 가입자 단말기 형태, 서비스 등급, 재시도 횟수와 같은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해 둔다.
세션 관리자와 런타임 엔진이 상호 주고 받는 메시지 형태를 도 3 의 세션 관리자와 런타임 엔진간의 메시지 처리 흐름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START' 메시지는 세션 관리자가 런타임 엔진에게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시작을 알리는 매시지이다. 이때의 세션 번호는 세션 관리자에 의해 할당되며 그 가입자를 구분하는 열쇠가 된다. 단말기 형태는 가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형태로 영문전용인지 자국어를 지원하는 것인지를 구분한다.
'END' 메시지는 세션 관리자가 런타임 엔진이 세션 관리자에게 사용자가 종료되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이고, 세션 번호와 종료 형태(가입자로부터의 무응답, 비정상 종료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END_RESP' 메시지는 런타임 엔진이 세션 관리자에게 보내는 종료 응답 메시지이다.
'WAITING' 메시지는 런타임 엔진이 세션 관리자에게 현재 사용자로부터 다음 메시지가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세션 관리자는 재시도 횟수를 0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도 세션 번호와 런타임 엔진이 현재 처리하고 있는 셀의 번호와 가입자에게 전송되어야 할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NEW' 메시지는 세션 관리자가 런타임 엔진에게 현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SMAC로 거쳐 단문 메시지가 도착(300)하고 이 단문 메시지가 세션 관리자에 의해 새로운 가입자에 의해 최초로 시작하는 메시지라는 것이 판명되면, 세션 관리자는 런타임 엔진에게 START 메시지를 보내서 시작(310)을 알리게 된다. 그러면 런타임 엔진은 동작 지시 파일의 처음 것을 찾아서 동작 지시에 지정한 형태의 동작(320)을 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를 송신해야 한다면 해당 단말기 형태에 따라 적절한 단문 메시지를 송신 요구하게 된고 세션 관리자는 이 메시지를 받는 순간 세션에 대한 재시도 횟수를 0으로 만든다.(320)(325) 그리고 그 세션에 대해 지정된 시간이 지난 후 아무 응답이 없을 때(330)는 타임아웃 메시지를 런타임 엔진에 보내게 되고 이것을 수신한 런타임 엔진은 타임아웃시 행해야 할 동작을 취하게 된다.(330)
만약 사용자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값을 송신하면(340) 런타임 엔진은 'RETRY' 메시지를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세션 관리자는 재시도 횟수를 증가시킨 후 시스템에서 정의한 재시도 횟수와 같은 경우 'END' 메시지를 송신(350)하게 된다. 이때 종료 형태 셀에 종료 이유를 명시하게 된다. 이 종료 형태에 따라 런타임 엔진은 해당 종료 셀을 수행한다. 이때는 'END_RESP' 메시지 형태로 처리 완료되었음을 세션 관리자에게 알리고 서비스를 종료하며, 이를 수신한 세션 관리자는 해당 세션을 정리하게 된다. 같은 세션 관리자에 의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접속된 SMSC로 전송 요구한다.
만약 접속되는 SMSC가 바뀌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 부분만 변경하면 된다. 만약 새로운 메시지가 해당 가입자로부터 도착하면 세션 관리자는 새 메시지 형태의 메시지를 런타임 엔진에게 송신하게 된다. 이때 현재의 런타임 엔진에서 처리해야 할 셀 번호를 포함하므로 런타임 엔진은 이 셀 번호를 읽은 후 수신된 메시지의 응답 코드에 따라 다음 동작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 4 의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의 동작은 먼저,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무선망 환경에 있어서, 제공할 단문 서비스의 초기화 한다.(400) 그런 다음, 상기 초기화 과정에 의한 응답형 셀을 생성하고(410), 상기 응답형 셀에 대한 사용자 응답(420)에 따른 처리형 셀을 생성한다.(430) 이후, 상기 처리형 셀에 대한 사용자에 대한 송신을 요구하고,(440)(450) 상기 사용자의 송신에 대한 오류를 검사한다.(460) 그 다음으로, 상기 검사 과정에 의해 오류가 있으면, 오류 처리 셀을 생성하고 종료하거나(480)(500) 상기 검사 과정에 의해 오류가 없으면, 종료형 셀을 생성하고 종료하는 단계(470)(500)로 동작한다.
이후 상기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현재 작성되어야 할 서비스 시나리오의 파일명과 서비스에 필요한 시스템 파라미터를 도 5 의 본 발명에 의한 초기 셀의 화면 구성도와 같이 명시한다. 시나리오 파일 이름은 런타임 엔진에 의해 참조되며 타임아웃이나 재시도 횟수는 세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된다.
이후 셀 발생 메뉴에서 응답형 셀을 선택한다. 응답형 셀을 만들기 위한 창이 도 6 의 본 발명에 의한 응답형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이처럼 정의된 시나리오에 맞추어 각 영역에 적절한 내용을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 응답 자리수가 2일 경우는 최대 20개의 콜(call) 번호를 입력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서비스가 시작될 때 런타임 엔진은 이 셀을 읽어 내용 영역을 단문으로 세션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이 한글만 지원되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가입자 단말기 형태에 따라 자국어가 지원되지 않는 단말기일 경우에는 영문 내용을 송신 할 수 있다.
세션 관리자는 런타임 엔진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이때 동작 상태를 이벤트 관리자에게 보내 진행 상태를 운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시스템에 남기도록 할 수 있다. 가입자가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단문 메시지로 보내게 되면 그 응답에 따라 다음 셀을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런타임 엔진이 1번 셀에 대한 가입자 응답으로 0을 세션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2번 셀을 읽어 처리하며, 메뉴를 벗어난 응답 메시지를 받았으면 오류시 전송 해야할 메시지를 송신하고 재시도 횟수를 증가시킨다. 가입자가 각 셀에 대해 재시도 횟수가 시나리오 제시도 횟수보다 커지면 그 가입자에 대해서 재시도 종료 셀을 처리하며, 지정된 시간 안에 응답이 도착하지 않으면 타임아웃 종료 셀로, 이외의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종료 셀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각 사용자 응답에 따른 처리형 셀을 만든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처리형 셀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형 셀은, 정의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단말기로 송신요구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셀로 이동하게 된다. 이 셀을 수행할 때마다 셀 처리 횟수가 증가한다.
이후 각각의 오류가 발생하면, 도 8 의 본 발명에 의한 오류 처리형 셀의 화면 구성도와, 도 9 의 본 발명에 의한 재시도 처리 셀의 화면 구성도처럼 셀을 만든다. 이와 같은 오류 처리용 셀을 거쳐서 각 사용자가 발생하는 오류들의 횟수를 통계를 낼 수도 있다.
이후 도 10 의 본 발명에 의한 종료형 셀을 만들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종료한다. 상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도면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한정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단문 서비스가 제공되는 망환경에서 가입자에게 대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작 도구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고 빠르게 신규 서비스를 생성,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망운용자가 서비스 흐름을 지시하기 위한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
    상기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동작 지시 파일;
    상기 파일을 실제로 수행하는 런타임 엔진;
    상기 런타임 엔진과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교환하는 세션 관리자;
    실제 단문 메시지 센터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구하는데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
    상기 동작 지시 파일 생성기, 런타임 엔진, 세션 관리자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여 적절한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이벤트 관리자; 및
    상기 이벤트 관리자에 의해 처리된 이벤트의 시스템 상태, 동작 상황 등을 기록, 표시하는 출력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지시 파일은,
    셀 번호, 운용자가 정의하는 셀 이름, 셀의 형태, 단말기에 전송될 단문 메시지인 단문 내용 입력, 사용자 응답에 따라 수행될 다음 수행 셀 번호, 다음 셀 번호와 셀 수행 횟수로 구성된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셀을 구성하는 요소중의 하나인 셀의 형태는,
    사용자의 응답을 받아야만 다음 처리를 수행하는 형태;
    사용자의 응답을 처리하고 자동으로 다음 셀 번호로 이동하는 형태;
    마지막 종료를 의미하는 형태; 중 하나인,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자는,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와 가입자의 단말기 형태에 관한 정보를 런타임 엔진에게 보내는 동작을 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자는,
    런타임 엔진에게 사용자가 종료되었다는 메시지와 상기 종료 메시지가 가입자로부터의 무응답 또는 비정상 종료인지 등의 형태 정보를 보내는 동작을 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런타임 엔진은,
    상기 종료 메시지에 대한 종료 응답 메시지를 세션 관리자에게 보내는 동작을 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런타임 엔진은,
    현재 사용자로부터 다음 메시지가 동작하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메시지를 세션 관리자에게 보내는 동작을 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자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시도 횟수를 0으로 초기화하는 동작을 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자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면 이를 런타임 엔진에게 상기 정보를 알려주는 동작을 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자는,
    가입자에 대해 필요한 저장 영역을 할당한 후 가입자 번호, 가입자 단말기 형태, 서비스 등급, 재시도 횟수 등의 저장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장치.
  11. 제공할 단문 서비스의 초기화 단계;
    상기 초기화 과정에 의한 응답형 셀 생성 단계;
    상기 응답형 셀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따른 처리형 셀 생성 단계;
    상기 처리형 셀에 대한 사용자에게 송신 요구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송신에 대한 오류 검사 단계;
    상기 검사 과정에 의해 오류가 있으면, 오류 처리 셀을 생성하고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과정에 의해 오류가 없으면, 종료형 셀을 생성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상기 파일을 실제로 수행하는 런타임 엔진에 의해 서비스 파일 이름이 생성되고, 상기 런타임 엔진과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교환하는 세션 관리자에 의해 타임아웃시간과 재시도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초기화 셀을 생성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형 셀 생성 단계는,
    서비스의 내용, 상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자릿수, 사용자의 응답에 대한 처리, 오류시 전송 메시지의 내용, 타임아웃 발생시 종료 셀의 번호, 재시도 발생시 종료 셀의 번호, 오류시 종료 셀의 번호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초기화 셀을 생성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형 셀 생성 단계는,
    상기 처리형 셀의 번호, 상기 처리형 셀의 이름, 처리 후 이동할 다음 셀의 번호, 상기 처리형 셀에서 사용자에게 보낼 셀의 메시지 내용, 상기 처리형 셀의 수행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처리형 셀을 생성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처리 셀은,
    상기 오류 처리 셀의 번호, 상기 오류 처리 셀의 이름, 상기 오류 처리 셀의 형태, 처리 후 이동할 다음 셀의 번호, 상기 오류 처리 셀에서 사용자에게 보낼 셀의 메시지 내용, 상기 오류 처리 셀의 수행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 처리 셀을 생성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처리 셀 생성 단계는,
    셀의 번호, 셀의 이름, 셀의 형태, 처리 후 이동할 다음 셀의 번호, 사용자에게 보낼 메시지 내용, 재시도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재시도 처리 셀 생성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형 셀은,
    상기 종료형 셀의 셀 번호, 상기 종료형 셀의 셀 이름, 상기 종료형 셀의 형태, 사용자에게 보낼 메시지 내용, 상기 종료형 셀의 수행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셀을 생성하는,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KR19980030482A 1998-07-29 1998-07-29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26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30482A KR100265077B1 (ko) 1998-07-29 1998-07-29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30482A KR100265077B1 (ko) 1998-07-29 1998-07-29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834A true KR20000009834A (ko) 2000-02-15
KR100265077B1 KR100265077B1 (ko) 2000-09-01

Family

ID=1954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80030482A KR100265077B1 (ko) 1998-07-29 1998-07-29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701B1 (ko) * 2001-12-24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55A (ko) * 2001-03-26 2002-10-09 (주) 엘지텔레콤 단축키를 이용한 대화형 문자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701B1 (ko) * 2001-12-24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5077B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783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단축메시지전송상태정보표시장치및방법
US82758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xtendabl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er interface
US6091958A (en) Mobile stations&#39; geographical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rrangement
US20040054745A1 (en) Method of supporting multiple language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20020036880A (ko) Sms를 이용한 장문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JPH11150768A (ja) 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によって制御される移動端末に所定のアイテムリストをダウンロード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及びコマンド、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及び移動端末
JPH1056666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メッセージのメニュー駆動入力方法
US9058372B2 (en) Databas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11150582A (ja) 無線通信の移動端末の一つ又は複数のインターフェースに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の機能を適合する方法、ならびに対応する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及び移動端末
US6397250B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user with a paging message
KR100265077B1 (ko) 단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화형 서비스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030020530A (ko)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GB2289825A (en) Communications system, terminal and method
KR2002005244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푸쉬 방법
KR2003001722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자동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40064854A (ko) 특정 코드를 이용한 착신 확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000027957A (ko) 외부 컴퓨터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6526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CN116208742A (zh) 信号处理方法、智能猫眼及智能门
US9414181B2 (en) Device, computer-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retaining services
JPH11296464A (ja) 送信状況提示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50020320A (ko)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50010519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친필 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N113094187A (zh) 信息处理系统和方法
CN114584525A (zh) 消息的处理方法、系统、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