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665U - 섀도우 마스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섀도우 마스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665U
KR20000009665U KR2019980021705U KR19980021705U KR20000009665U KR 20000009665 U KR20000009665 U KR 20000009665U KR 2019980021705 U KR2019980021705 U KR 2019980021705U KR 19980021705 U KR19980021705 U KR 19980021705U KR 20000009665 U KR20000009665 U KR 200000096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mask assembly
panel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4586Y1 (ko
Inventor
오태식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2019980021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8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86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섀도우마스크의 유공부의 단장변부를 따라서 복수개의 와이어로 된 보강부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 섀도우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본 고안은 섀도우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섀도우마스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섀도우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11a)이 형성된 패널(11)이 마련되고, 상기 패널(11) 내측으로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섀도우마스크 조립체(12)가 설치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 조립체(12)는 전자총으로부터 조사되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무수개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섀도우마스크(13)와, 상기 섀도우마스크(13)의 스커트부와 결합하여 지지하는 프레임(14)과, 상기 패널(11)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핀(15)과 프레임(14)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판스프링(16)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이 편향요오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편향되어, 상기 섀도우마스크(13)의 전자빔통과공을 통과하여 형광막(11a)의 각 형광체에 랜딩됨으로써 화상을 재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섀도우마스크(13)는 100 내지 250 마이크로미터의 박판형 철판의 표면에 수십만개의 구멍을 뚫어서, 적,녹,청색의 전자총에서 나오는 전자빔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형광막(11a)의 형광체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색선별 기능을 가진다.
상기 섀도우마스크(13)는 금속재 철판, 예컨대 인바(invar)나 AK강 소재의 표면에 사진식각법으로 무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성형,탈지,흑화하는 공정을 거쳐서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섀도우마스크(13)는 그 두께가 0.3 밀리미터이하의 소재로 가공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변형이 생기게 되어, 마스크 꺼짐현상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량은 형광막(11a)과 전자빔통과공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13)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게 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이 소망하는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빔은 제각기의 형광체에 부딪히지 못하게 되어 원하는 칼라 화상을 재현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13)가 변형이 되지않도록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섀도우마스크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변형이 가지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섀도우마스크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섀도우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섀도우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패널 12,20.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13,21. 섀도우마스크 14,22. 프레임
15,25. 스터드핀 16,23. 판스프링
24. 유공부 25. 무공부
26. 스커트부 27,47. 보강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는,
패널의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무수개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유공부와, 상기 유공부로부터 연장되는 무공부와, 상기 무공부로부터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상기 스커트부가 고정되어 섀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섀도우마스크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핀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판스프링; 및 상기 섀도우마스크에 설치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유공부의 단변부 내지 장변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탄성을 가지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조립체(20)가 패널(11)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섀도우마스크(21)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11)에는 섀도우마스크 조립체(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섀도우마스크 조립체(20)에는 패널(11)의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섀도우마스크(21)가 마련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21)에는 프레임(22)이 결합되어 섀도우마스크(21)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패널(11)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핀(15)과 프레임(22)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판스프링(23)을 구비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21)는 무수개의 전자빔통과공(24a)이 형성된 유효화면부인 유공부(24)와, 상기 유공부(24)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폭 연장된 무공부(25)와, 상기 무공부(25)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22)에 고정되는 스커트부(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섀도우마스크(21) 내측으로 상기 유공부(24)에는 단변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된 보강부(27)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27)는 기계적 성질, 예컨대 인장강도와 경도가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소재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잘 흡수하는 것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27)는 유공부(24)에 외면이 접촉하여 고정되기 위해서 별도의 고정수단, 이를테면 용접장치에 의해서 양 단부가 무공부(26)나 스커트부(26)에 용접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부(24)의 장변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와이어로 된 보강부(47)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장변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부(27)(47)는 섀도우마스크(21)가 성형하기 이전 단계에서 유공부(24)에 외면이 접촉하여 양 단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경우는 섀도우마스크(21)가 성형되기 이전에 보강부(47)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조립체(20)는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11)의 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전자빔통과공(24a)을 통과하여 형광막체에 정확하게 랜딩됨으로써 색선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섀도우마스크(21)의 유공부(24)에는 단장변부 방향으로 고강도의 와이어로 된 보강부(27)(47)가 면접촉하여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변형량을 흡수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는 섀도우마스크의 내면에 복수개의 와이어로 된 보강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섀도우마스크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패널의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무수개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유공부와, 상기 유공부로부터 연장되는 무공부와, 상기 무공부로부터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상기 스커트부가 고정되어 섀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섀도우마스크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핀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판스프링; 및
    상기 섀도우마스크에 설치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유공부의 단변부 내지 장변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탄성을 가지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KR2019980021705U 1998-11-09 1998-11-09 섀도우 마스크 조립체 KR200204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705U KR200204586Y1 (ko) 1998-11-09 1998-11-09 섀도우 마스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705U KR200204586Y1 (ko) 1998-11-09 1998-11-09 섀도우 마스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65U true KR20000009665U (ko) 2000-06-05
KR200204586Y1 KR200204586Y1 (ko) 2001-01-15

Family

ID=6952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705U KR200204586Y1 (ko) 1998-11-09 1998-11-09 섀도우 마스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06B1 (ko) * 2000-12-25 2004-07-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컬러음극선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06B1 (ko) * 2000-12-25 2004-07-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컬러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586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4586Y1 (ko) 섀도우 마스크 조립체
US6614152B1 (en) Frame/mask structure for cathode ray tube
KR100344501B1 (ko) 샤도우 마스크 조립체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
US6646369B2 (en) Display tube comprising a mask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KR100307157B1 (ko) 음극선관의마스크어셈블리와그조립방법
KR1007301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KR200159889Y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838063B1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이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KR100217143B1 (ko) 평면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151015Y1 (ko) 칼라 음극선관
KR0119185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39580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728202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100385212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55797Y1 (ko)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지지용 프레임
KR100209691B1 (ko) 칼라 음극선관
KR0122806Y1 (ko) 음극선관용 후크 스프링
KR200159886Y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322093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339402B1 (ko) 브라운관용 댐퍼스프링
KR19980085526A (ko) 평면 브라운관
KR19990008933A (ko) 음극선관
KR20070031861A (ko) 음극선관용 프레임/마스크 조립체의 지지 수단
KR20020019218A (ko)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JPH10125250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